KR20090061415A -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15A
KR20090061415A KR1020070128421A KR20070128421A KR20090061415A KR 20090061415 A KR20090061415 A KR 20090061415A KR 1020070128421 A KR1020070128421 A KR 1020070128421A KR 20070128421 A KR20070128421 A KR 20070128421A KR 20090061415 A KR20090061415 A KR 20090061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etal plate
decorative material
attach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194B1 (ko
Inventor
이석봉
정정호
손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2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1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석, 인조대리석 등 무기계 소재에 불소계 또는 실리카계 물질을 표면처리하여 내오염성을 대폭 향상시킨 건축용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얇게 켠 석재의 이면에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아연 등의 소재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금 또는 합금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비롯한 기타의 금속 판재를 접착하고, 금속 판재의 다른 이면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계열 등의 유기 소재나 마루판, 톱밥, 베니어판 등의 목재판,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 마그네슘 소재 보드, 도자기질 타일 등의 무기 소재가 단독 또는 혼합되어 존재하는 기재를 접착한 석재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내오염성, 석재 장식재, 천연석, 표면처리

Description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Stone decorative material having improved stain resistance}
본 발명은 천연석 등의 석재를 이용한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객의 가장 큰 불만사항 중 하나인 오염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우수한 내오염성을 가진 석재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얇게 켠 후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금속 판재 및 유,무기 소재의 기재를 접착하여 깨지기 쉬운 석재에 강도를 보완하고, 고가의 대리석에 경제성을 부여하며, 동시에 경량화하여 취급하기 용이하게 만든 석재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상승하고, 인테리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향상되면서 건축 내장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리석이나 화강석과 같은 천연석을 응용한 장식재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대리석을 비롯한 천연석은 고가이며, 이면서 너무 무거워 취급이 매우 어려운 장식재이다. 뿐만 아니라 경도는 크지만 탄성이 없어서 충격에 깨지기가 쉬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리석을 건축용 장식재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리석 자체 비용 이외에도 시공비용이 많이 들며,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까다롭고, 사용상에서도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리석과 세라믹 타일을 복합한 대리석 타일의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경량성 부분은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깨짐이나 대리석층 박리와 같은 품질문제는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5919호에는 얇은 철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내부에 삼각형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연속된 트러스 형태의 골조구조로 금속재 패널을 구성하고, 상기한 패널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얇게 가공한 천연석을 부착하며, 금속제 패널의 이면에는 벽체 부착을 위한 부착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석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90074호에는 다층구조의 건축용 조립식 패널에 있어서, 표면층이 천연석 알갱이와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물이 고착된 다음, 연마되어 형성된 천연석 알갱이층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조립식 패널은 조립부재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 삽입공에 높이조절 조립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30162호에는 다수의 미세 틈새부들을 갖는 천연석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미세 틈새부들이 항균성 나노입자들이 분산된 탄산칼슘으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나노입자 함유 천연석재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천연석이 제공하는 외관이 매우 아름다운 것에 비해 너무나 쉽게 오염이 되고, 또 오염 제거가 매우 어려운 까닭에 유지 및 관리가 까다롭다.
특히, 천연석 장식재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김치 국물, 커피, 매직, 볼펜 등이 접촉할 가능성이 높으며, 한번만 접촉하더라도 표면의 기공으로 오염물이 침투해 버리기 때문에 제거가 어려워 그 자국이 장기간 지속되므로, 천연석의 아름다운 외관 효과를 감소시켜 사용자들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대부분의 천연석 장식재는 별다른 내오염 처리 없이 생산되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 설치 이후에 꾸준한 유지 보수가 절실한 상황이며, 이는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천연석 장식재가 설치되기 전, 즉 제조되는 단계에서 미리 표면을 처리하여 내오염성을 향상시킨 천연석 장식재가 존재한다면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과 비용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45582호에는 표준상태에서 고체이고 이합체 산 및/또는 삼합체 산의 플루오로지방족 에스테르인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케미칼 조성물로 처리되어 발수성과 발유성이 제공된 표면을 가진 기재를 포함하는 제품으로서, 상기 화합물들이 각각 2개 이상의 플루오로지방족 기 및 3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진 탄화수소 부분을 갖거나, 또는 1개 이상의 플루오로지방족 기 및 다수의 상기 탄화수소 부분을 가지며, 상기 기재가 직포, 종이, 카펫, 피혁 또는 석재인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등록 제2537311호에는 석재의 표면에 실록산 결합을 이용하고 불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나노 미터 내지 옹스트롬 레벨의 두께의 화학 흡착막이 설치되는 발수,방오성 석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2148호에는 1,1,1-트리메톡시-3-아릴-1-실라부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멕토시실란을 1:9:10 내지 1:19:20의 몰비로 함유하는 다공성 건축용 석재의 표면처리용 수용성 발수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석 등의 석재 표면에 불소계 또는 실리케이트계 표면처리제를 사용하여 각종 오염물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더라도 이 오염물질 및 그 흔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석재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대리석 대비 훨씬 가볍고 저렴하며, 접착제를 이용한 시공이 가능한 석재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시 또는 사용시 충격에 의한 석재의 깨짐성을 대폭 개선하여 강도가 향상된 석재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이며 강도가 보강되어 취급이 용이하므로 대형화하여 더욱 화려하고 웅장한 외관을 지닌 석재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리케이트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를 표면에 처리한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 장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석재는 대리석, 화강석 등의 천연석이거나 인조대리석과 같은 인조석이다.
본 발명의 석재 장식재는 천연석 또는 인조대리석층 단독으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면에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보드, 마그네슘 보드, 도기질 타일, 자기질 타일 등의 무기물;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유기물, 또는 이들 소재로 만들어진 발포물; 마루판, 톱밥, 베니어판 등의 목재; 그리고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아연 등의 소재가 단독 또는 도금 혹은 합금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금속 등의 소재 중에서 이들 소재가 단독 혹은 혼합되어진 보강재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석재 장식재는 석재와 금속판재 및 기재를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석재 층의 최종 두께는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석재 층이 두꺼우면 경량화의 효과가 줄어들게 되고, 너무 얇으면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는 석재의 이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금속판의 다른 이면에 기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는 석재의 이면에 기재가 부착되고, 기재의 다른 이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는 석재와 기재 사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기재 하부면에도 금속판재가 부착된다.
이 세 가지 구조 중 금속판재가 석재 층과 기재 사이에 삽입된 것이 석재 강도 보완의 효과 및 비용 최소화와 더불어 금속판이 노출되지 않아 산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보드, 마그네슘보드, 도기질 타일, 자기질 타일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 소재;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 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비발포물 또는 발포물; 및 마루판, 톱밥, 베니어판 중에서 선택되는 목재가 단독 혹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거한 기재 중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사용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석재의 비산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강 기재의 두께는 경량화 및 충격 보완 정도에 따라 수 내지 수십 ㎜의 두께로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기재 두께는 1 내지 5㎜이다.
본 발명에서 금속판재는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아연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금 또는 합금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러 가지 금속재료 중 강도가 우수한 철 소재에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아연 또는 주석이 도금된 형태의 복합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재 또한 경량화 및 강도 보강, 가공성 정도에 따라 0.01 내지 수㎜ 두께로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두께는 0.1 내지 0.5㎜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의 양면에 금속판재 및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 석재를 수평방향(면과 같은 방향)으로 절단하여 양분한 후 절단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석재의 표면을 실리케이트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석재의 양면에 금속판재를 부착한 후 금속판재의 양면에 기재를 부착하거나, 석재의 양면에 기재를 부착한 후 기재의 양면에 금속판재를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판재와 기재를 먼저 부착한 후 이를 석재 의 양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석재를 수평방향으로 양분한 후 석재의 절단면에 다시 금속판재와 기재를 부착한 후 다시 절단하여 양분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석재 장식재는 내오염성을 현저하게 향상되어 유지관리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천연대리석과 대비하여 경량성, 강도 향상의 효과와 함께 취급의 용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대형 패널의 제작이 가능하여 외관의 증진효과도 함께 발휘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의 석재 장식재는 위로부터 석재(10), 접착층(40), 금속판재(20), 접착층(40), 기재(3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의 석재 장식재는 위로부터 석재(10), 접착층(40), 기재(30), 접착층(40), 금속판재(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는 석재와 기재 사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기재 하부면에도 금속판재가 부착된다(미도시). 즉, 위로부터 석재, 접착층, 금속판재, 접착층, 기재, 접착층,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는 각종 천연석 등의 석재가 도입된 장식재의 석재 표면에 불소계 또는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또는 기타의 표면처리제가 도포되어 발수 및 발유의 효과를 발휘하여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석재 장식재는 석재(10)와 유,무기 및/또는 목질 소재의 기재(30) 사이에 금속판재(20)를 삽입하거나, 또는 석재(10)와 금속판재(20) 사이에 상기의 기재(30)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석재(10)로는 대리석, 화강석 등의 천연석 또는 인조대리석과 같은 인조석을 사용할 수 있다. 석재 장식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석 등의 석재는 20 내지 30㎜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석재 부분을 톱날로 켜게 되므로 그 두께가 얇게는 0.5㎜에서 두껍게는 약 10㎜ 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석재의 최종 두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석재(10)는 내오염성의 향상을 위해 표면처리되는데, 표면처리제는 나노크기의 불소계 또는 실리케이트계 화합물의 입자를 용매에 도입한 것으로, 석재(10)의 표면에 코팅되면 석재(10)의 표면장력을 현저하게 낮추어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표면장력이 높은 물 또는 오염물질이 석재(10) 표면에 접촉되더라도 부착되지 못하게 되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금속판재(20)는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아연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금 또는 합금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연으로 도금된 철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30)로는 무기 소재, 합성수지 소재,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을 단독 또는 혼용할 수 있다. 무기 소재로는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보드, 마그네슘보드, 도기질 타일, 자기질 타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합성수지 소재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비발포물 또는 발포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목재로는 마루판, 톱밥, 베니어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40)은 에폭시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한 접착제로 구성된다.
대리석을 적용한 예를 통해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20 내지 30㎜ 두께의 원석의 양면에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또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단독 또는 혼용한 접착제로 금속판재를 부착하고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다. 다시 양쪽 면의 금속판에 상기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무기 및/또는 목질 소재의 기재를 부착한 후 충분히 건조한다. 이 후 원형 톱이나 벨트형 톱, 또는 워터젯(Water Jet) 설비를 이용하여 대리석 층의 가운데 부분을 켜서 제품을 양분한 다음, 절단된 대리석의 표면을 곱게 갈아서 제품의 두께를 일정하게 조정함과 동시에 광택을 부여하게 되고, 톱으로 재단하는 과정과 제품 옆면을 갈아내는 공정을 지나면서 원하는 크기를 맞춘다.
이러한 석재 장식재의 제조과정에서 석재와 기재는 부착하기 전에 표면을 갈아서 두께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의 부착순서도 금속판을 기재에 먼저 부착한 다음 석재에 부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석재 장식재는 석재의 양면에 기재가 부착되고, 다시 기재의 이면에 금속판이 부착되는 구조를 거쳐, 가운데 석재 부분을 톱날로 켠 후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석재 장식재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석재의 양면에 각 구성부를 부착한 후 석재를 절단하여 생성되는 절단면에 다시 금속판재와 기재를 부착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하나의 석재에서 두 개 이상의 석재 장식재도 제조 가능하다.
[실시예 1]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천연대리석의 표면에 나노크기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하였다.
[실시예 2]
나비가 600㎜, 길이가 2400㎜, 두께가 20㎜인 천연 대리석의 양면에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아연으로 도금된 0.3㎜ 두께의 철판을 부착한 후, 약 24시간 동안 충분히 건조하고, 다시 금속판의 다른 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업용 바닥재로 널리 쓰이는 3㎜ 두께의 폴리염화비닐계 기재를 부착하여 충분히 건조하였다. 이후 고정형 원형 톱날에 통과시켜 가운데 천연대리석 부분을 켜서 양분하였다. 각각의 절단면을 그라인더로 갈아 천연석 층의 최종두께가 4 내지 5㎜가 되도록 제조하고 표면 광택을 낸 후 다이아몬드 톱날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였으며, 대리석 표면에 나노크기의 실리케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하였다.
[비교예 1]
아무런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실시예와 같은 석종의 대리석 타일
[비교예 2]
두께 20㎜의 일반 대리석
[비고예 3]
3㎜ 두께의 대리석과 8㎜ 두께의 타일을 접착한 범용 대리석 타일
[시험예 1]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석재 장식재에 대하여 증류수를 용매로 하였을 때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로,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각 시편 위에 작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한 방울의 물을 떨어뜨리고, 물방울이 맺힌 형태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물방울의 좌측 및 우측 끝의 임계점에서 대리석 표면과 이루는 각도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였다.
시편 좌측부 우측부 평균
비교예 1 75.73˚ 73.95˚ 74.84˚
실시예 1 88.72˚ 82.41˚ 85.56˚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를 하였을 경우의 접촉각이 더 큰 것으로 미루어보아 내오염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표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석재 장식재에 대하여 가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도입하여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세척하여 표면에 오염물질의 잔존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오염물 매직 볼펜 구두약 커피
비교예 1 지워지지 않음 지워지지 않음 지워지지 않음 지워지지 않음
실시예 1 제거됨 제거됨 제거됨 제거됨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석재 장식재의 내오염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표 3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와 3의 석재 장식재에 대하여 KS F 2221에 근거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한 결과로, 시험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KS L 5100에서 규정한 모래를 두껍게 쌓고, 그 위에 실험을 위한 시편을 적층한 다음, 500g의 무게를 지닌 가지형 강제 추를 50cm 높이에서 떨어뜨려 시편의 파단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 종류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2
결과 파괴됨 파괴됨 이상없음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와 3은 50cm 높이에서 추를 떨어뜨린 경우에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실시예 2는 100cm 높이에서 추를 떨어뜨려도 손상되지 않아 충격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장식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석재
20: 금속판재
30: 기재
40: 접착층

Claims (13)

  1. 실리케이트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를 표면에 처리한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 장식재.
  2. 제1항에 있어서, 석재가 천연석 또는 인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3. 제1항에 있어서, 석재와 금속판재 및 기재를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석재 장식재.
  4. 제1항에 있어서, 석재의 최종 두께가 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5. 제3항에 있어서, 석재의 이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금속판의 다른 이면에 기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6. 제3항에 있어서, 석재의 이면에 기재가 부착되고, 기재의 다른 이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7. 제3항에 있어서, 천연석과 기재 사이에 금속판재가 삽입되고, 기재의 하부면에도 금속판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석 복합패널.
  8. 제3항에 있어서, 기재가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보드, 마그네슘보드, 도기질 타일, 자기질 타일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 소재;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비발포물 또는 발포물; 및 마루판, 톱밥, 베니어판 중에서 선택되는 목재가 단독 혹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9. 제3항에 있어서, 금속판재가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아연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도금 또는 합금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
  10. 석재의 양면에 금속판재 및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
    석재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양분한 후 절단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석재의 표면을 실리케이트계 또는 불소계 발수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석재의 양면에 금속판재를 부착한 후 금속판재의 양면에 기재를 부착하거나, 석재의 양면에 기재를 부착한 후 기재의 양면에 금속판재를 부 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금속판재와 기재를 먼저 부착한 후 이를 석재의 양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석재를 수평방향으로 양분한 후 석재의 절단면에 다시 금속판재와 기재를 부착한 후 다시 절단하여 양분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20070128421A 2007-12-11 2007-12-11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KR10108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21A KR101082194B1 (ko) 2007-12-11 2007-12-11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21A KR101082194B1 (ko) 2007-12-11 2007-12-11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15A true KR20090061415A (ko) 2009-06-16
KR101082194B1 KR101082194B1 (ko) 2011-11-09

Family

ID=4099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421A KR101082194B1 (ko) 2007-12-11 2007-12-11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35B1 (ko) * 2009-12-24 2010-09-28 (주)비온디 암석무늬 판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374A (ja) * 2001-05-10 2002-11-27 Toto Ltd 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35B1 (ko) * 2009-12-24 2010-09-28 (주)비온디 암석무늬 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194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1621B2 (ja) 天然石複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9227882B2 (en) Reinforced natural or conglomerated stone plate-like element and multilayered protective coating thereof
CN1172807C (zh) 一种耐磨层压片
KR101124149B1 (ko) 천연석 복합 패널
US7051483B2 (en) Laminate concrete panel
CN1261573A (zh) 改善层压板的抗水性的结构和方法
AU2005274516B2 (en) Scouring element for cleaning poin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CZ2002340A3 (cs) Sloľená obkladová deska mající lícní stranu z přírodního kamene a způsob její výroby
CA2407499A1 (en) Reduction of surface tension
WO2021250487A1 (en) Decorative panel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CN112969560A (zh) 覆盖的面板以及制造覆盖的面板的方法
ES2625704T3 (es) Placa de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con superficie modificada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UA122922C2 (uk) Матеріал-основа із шаром модифікованої смоли та його одержання
WO2006093367A1 (en) Panel
KR101082194B1 (ko) 내오염성이 향상된 석재 장식재
CN205528566U (zh) 木制工艺品的表面结构
KR101307059B1 (ko) 스톤 슬라이싱 시스템가구
KR10246267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90103561A (ko) 프리프레그층을 이용한 천연석 복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4653145B2 (ja) 積層体
WO2008084375A2 (en) Coating or flooring element and method for carrying out said element
KR20100131774A (ko) 핫멜트를 이용한 천연석 복합 패널
EP1555097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material-Formkörpers und danach hergestellter Baumaterial-Formkörper
CN101786349A (zh) 透闪石玉叠层复合材料及生产方法
KR20010010520A (ko) 숯을 내장한 목재 마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