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74B1 -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674B1
KR102462674B1 KR1020210091102A KR20210091102A KR102462674B1 KR 102462674 B1 KR102462674 B1 KR 102462674B1 KR 1020210091102 A KR1020210091102 A KR 1020210091102A KR 20210091102 A KR20210091102 A KR 20210091102A KR 102462674 B1 KR102462674 B1 KR 102462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mold
flooring
layer
lo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수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윤석수
윤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수, 윤상원 filed Critical 윤석수
Priority to KR102021009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를 혼합한 복합재료의 비율을 조절하여 하부층과 상부층에 공급하고, 상기 하부층과 상부층의 사이에서 화이바그라스 매트에 철심과 메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 진동기(바이브레터)로 평탄 성형한 후 열처리에 의해 견고한 바닥재와, 계단판재, 건축 내·외장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양쪽 선단에 결합홈을 형성해 고정스크류로 각관에 고정된 부분의 상측으로 반대편의 결합홈이 감추도록 결합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과, 화이바그라스를 분쇄한 파우더,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복합재료 혼합단계;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교반을 통하여 용융상태가 되도록 하며, 진동장치의 성형 받침대 상측에 금형을 3∼15개의 범위에서 공급하여 금형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합재료 용융 공급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부층을 성형하는 상부층 성형단계; 상기 상부층의 하측으로 중간층을 성형하는 중간층 성형단계; 상기 중간층의 하측으로 하부층을 성형하는 하부층 성형단계; 상기 하부층을 성형한 후에 금형을 콘베어에 공급하여 60∼120℃로 가열되는 가열로에서 10∼20분간 열처리에 의해 성형하는 열처리단계;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을 뒤집으면 바닥재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바닥재의 성형이 완성되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층 성형단계는, 진동장치를 통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복합재료가 금형의 요철부 상에 상부층이 6∼13mm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상부층은 금형의 하부홈 성형돌기를 통하여 상부 결합홈이 한쪽 선단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층 성형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상측으로 혼합 용융로에서 복합소재를 공급하여 하부층을 성형하되,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5∼13mm의 일정한 두께와 측벽의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하부층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 성형덮개를 공급해 하부홈 성형돌기의 반대방향에 상부홈 성형돌기가 형성되어 하부 결합홈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탈형단계는,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을 뒤집으면 바닥재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성형되고, 한쪽에는 하부 결합홈이 다른 한쪽에는 상부 결합홈이 각각 단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바닥면 가공장치의 받침봉 상측으로 바닥재를 공급해 공급로라에 안내되며 공급벨트의 상측에 공급된 후 측면에서는 안내로라가 상측에서는 누름로라가 지지하며 이송시켜 가공모터의 하측에 설치한 가공휠의 고속회전으로 가공휠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공봉이 하부층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가공한 후 지지로라에 지지되며 배출로라의 상측으로 안내되어 바닥면 가공을 통해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를 가공해 공급하는 바닥면 가공단계를 포함하며,
바닥면이 가공되면서 분진과 이물질 등이 바닥재의 전체면을 오염시킨 상태이므로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과시키며 바닥재의 외측에 오염된 분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FLOORING MATERIAL FOR HAIR WASHING OF FIXED SCREW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를 혼합한 복합재료의 비율을 조절하여 하부층과 상부층에 공급하고, 상기 하부층과 상부층의 사이에서 화이바그라스 매트에 철심과 메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 진동기(바이브레터)로 평탄 성형한 후 열처리에 의해 견고한 바닥재와, 계단판재, 건축 내·외장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양쪽 선단에 결합홈을 형성해 고정스크류로 각관에 고정된 부분의 상측으로 반대편의 결합홈이 감추도록 결합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판 제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원목의 활용도를 높이고, 물성이 우수한 합판 등이 많이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 사실이며, 합판을 사용하여 마루바닥 등 바닥재나 기타 건축자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를 다시 무늬목 등으로 표면을 장식하고, 그 표면을 수지도료로 코팅처리하여 내수성 및 긁힘 현상 등에 대하여 내성이 부여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내 마루바닥재를 제조하는 일예로, 합성의 상부면에 무늬목 단판을 요소수지로 접착하여 마루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오고, 내수 및 내열성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중질섬유판(MDF)의 상부면에 멜라민수지 함침지(LPM)를 고온, 고압으로 눌러 접합하여 제조되는 마루판재의 경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내수, 내열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모재로 사용되는 합판이나 중질섬유판 들은 보통 건조된 상태에서 가공 처리되나 실제 건축물의 내부 바닥에 설치 시공되어 사용되는 환경은 여름철 및 겨울철 등 계절의 변화에 의해 실내온도와 습도 변화가 발생되어, 수축 팽윤 작용에 의한 내부 응력으로 연결부위가 들뜨거나 벌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화학적 열화에 의해 초기 접착 조건을 그대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서, 치수 안정성과 내수성이 약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방부목 마루 판재가 있으나 방부 과정에서 유독성 화학 물질이 첨가되어 인체에 유해 하므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서 사용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HDF(Hight Density Fiderboard)를 사용하는 강화마루에 의해, 클릭(Click)가공 및 현가식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표면강도가 강하도록 할 수 있으나, 천연무늬목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천연질감 저하 및 내수성에 취약하고, 무게 또한 무거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용신안등록 제0399316호는 목섬유(목재파티클)-폴리프로필렌섬유 복합재 기재의 온돌마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의 온돌마루 주요 기재로 WPC(Wood Fiber Poiypropylene Hiber Composite Panel)를 사용하여 강화마루의 최대 단점이라 할 수 있는 내수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합판마루의 단점이 내충격성을 보완하고, 천연 질감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마루재를 제공하였으나, 표면 시트의 특성상 내스크래치성이 약하고 고광택의 표면을 갖는 마루재를 얻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의 합판마루재의 경우, 합판 위에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롤 코터(Roll Coater)에 의한 착색과 코팅이 이루어지며 표면경도 보강을 위해 무늬목에 감압주약관으로 합성수지를 강제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착색의 경우 롤 코터에 의한 착색 과정을 거치므로, 무늬목의 장점인 목재가 가지고 있는 목리(패턴)를 그대로 살릴 수 없게 되는 단점과, 표면경도, 표면긁힘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 등을 위치 우레탄이나 에폭시 및 아크릴 계열 등의 도료를 두껍게 도장하게 되는데, 이는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오히려 유연성을 저하시켜 쉽게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표면강도 보강을 위해 몇 가지 개발된 기술 중에서 WPC(Wood Polymer Composite)방법은 목재 단판(무늬목)을 수지 함침 처리하여 강도 및 경도 등을 높인 후, 하도, 중도, 상도의 도장으로 마감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목재단판을 합판 위에 부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수지를 목재의 공극과 세포층 내에 가압하여 강제적으로 주입시켜 경화하는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도 있으나, 수분에 의한 목재의 수축팽창으로 단판의 결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멜라민수지 함침 및 오버레이 프레스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판의 경우, 상기 합판 위에 무늬목을 부착할 때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무늬목과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가 함유된 오버레이를 무늬목 상부에 덮은 후 고온, 고압의 프레스로 무늬목 내부에 침투시키는 방식으로 강화마루와 유사한 제조방식을 갖는데, 이 역시 고가의 실비와 번거로운 작업방식 등으로 인해 생산과정에서의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소비자가 원하는 무늬목 위의 얇은 코팅방식에 의한 표면 질감을 얻는다는 것이 어려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0978586호(2010. 08. 23. 등록)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탄산칼슘과 합성수지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 97∼99.8 중량%와 색소 0.2∼3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성형하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의 상측으로 화이바그라스를 성형한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의 상측으로 탄산칼슘과 합성수지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 97∼99.8 중량%와 색소 0.2∼3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성형하는 상부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하였으나, 수축과 팽창이 없고 내수, 내열, 내구성을 좋은 제품을 제공하였지만, 프레스 성형을 위한 시간이 30분 정도 소요되고, 프레스 성형 시간의 소모 뿐만 아니라, 프레스 성형을 위한 사전 준비시간과 프레스 성형을 마친 후 프레스로부터 분리하는 시간 및 탈형을 위한 시간의 소모가 많아 전체적으로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40분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 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1685117호(2016. 12. 05. 등록)는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중 어느 하나와 합성수지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97∼99.8 중량%와 색소 0.2∼3 중량%로 이루어지는 상부층의 상측으로 그라스 화이바 매트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의 상측으로 탄산칼슘과 합성수지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97∼99.8 중량%와 색소 0.2∼3 중량%로 이루어지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그라스화이바 매트를 공급한 후 금속재질의 메쉬와 길게 형성된 일정한 간격에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결합한 철심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과 중간층 및 하부층을 성형하면서 각각 250∼35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성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금형의 상측 즉, 제품의 하부층 바닥의 평면이 불규칙하게 성형되어 바닥을 수평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후 가공 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후 가공을 위한 가공시간의 지연과 제품의 성형시간을 연장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복합재료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절단하여 보면 내부에 기공이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1809196호(2017. 12. 08. 등록)는 복합재료 용융 공급단계가 진동기의 성형 받침대 상측에 금형을 3∼15개의 범위에서 공급하여 금형 고정대가 금형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코팅하며, 상기 하부층을 성형한 후에 금형을 콘베어에 공급하여 30∼80℃로 가열되는 가열로에서 45∼75초간 열처리에 의해 성형하는 열처리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바닥재를 성형하였다.
그러나 성형된 바닥재는 금형이 아무리 정밀하여도 생산되는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 설치된 후에 바닥면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으며, 성형된 바닥재를 설치한 후에는 표면에 수지 등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수지 등의 코팅된 부분이 소멸되는 시기까지 정상적인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노출되고, 바닥재의 요철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고정 스크류를 상측에서 관통시켜 하부에 설치한 각관에 고정하게 되므로 고정 스크류의 노출에 의한 미관을 해치는 원인이 되었다.
. 특허등록번호 제0978586호(2010. 08. 23. 등록) . 특허등록번호 제0201866호(1999. 03. 16. 등록) . 특허등록번호 제0882530호(2009. 02. 02. 등록) . 특허등록번호 제0875687호(2008. 12. 17. 등록) . 특허등록번호 제1685117호(2016. 12. 05. 등록) . 특허등록번호 제1809196호(2017. 12. 0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용융 공급하여 상부층과 하부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의 사이 중간층에 화이바그라스 매트를 공급한 후 철심 및 메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 3층이 일체형의 바닥재로 성형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와 화이바그라스 매트에 철심과 철근 및 메쉬를 사용하므로 성형된 후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열팽창계수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안정되고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며, 난연재로 실내 장식용 및 바닥재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재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하부층을 수평하게 하기 위해 바닥면 가공장치를 통해 바닥면을 정밀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 선단에서 한쪽은 하측에 반대쪽은 상측에 결합홈을 형성한 후 상부 결합홈 방향에서 고정 스크류를 사용해 각관에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한 후 이와 결합되는 바닥재가 고정 스크류의 머리부분을 덮어 감추면서 결합되어 고정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면과 요철 부분을 한번 더 가공해 수지 코팅부분으로 인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과, 화이바그라스를 분쇄한 파우더,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복합재료 혼합단계;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교반을 통하여 용융상태가 되도록 하며, 진동장치의 성형 받침대 상측에 금형을 3∼15개의 범위에서 공급하여 금형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합재료 용융 공급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부층을 성형하는 상부층 성형단계; 상기 상부층의 하측으로 중간층을 성형하는 중간층 성형단계; 상기 중간층의 하측으로 하부층을 성형하는 하부층 성형단계; 상기 하부층을 성형한 후에 금형을 콘베어에 공급하여 60∼120℃로 가열되는 가열로에서 10∼20분간 열처리에 의해 성형하는 열처리단계;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을 뒤집으면 바닥재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바닥재의 성형이 완성되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층 성형단계는, 진동장치를 통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복합재료가 금형의 요철부 상에 상부층이 6∼13mm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상부층은 금형의 하부홈 성형돌기를 통하여 상부 결합홈이 한쪽 선단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층 성형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상측으로 혼합 용융로에서 복합소재를 공급하여 하부층을 성형하되,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5∼13mm의 일정한 두께와 측벽의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하부층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 성형덮개를 공급해 하부홈 성형돌기의 반대방향에 상부홈 성형돌기가 형성되어 하부 결합홈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탈형단계는,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을 뒤집으면 바닥재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성형되고, 한쪽에는 하부 결합홈이 다른 한쪽에는 상부 결합홈이 각각 단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바닥면 가공장치의 받침봉 상측으로 바닥재를 공급해 공급로라에 안내되며 공급벨트의 상측에 공급된 후 측면에서는 안내로라가 상측에서는 누름로라가 지지하며 이송시켜 가공모터의 하측에 설치한 가공휠의 고속회전으로 가공휠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공봉이 하부층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가공한 후 지지로라에 지지되며 배출로라의 상측으로 안내되어 바닥면 가공을 통해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를 가공해 공급하는 바닥면 가공단계를 포함하며,
바닥면이 가공되면서 분진과 이물질 등이 바닥재의 전체면을 오염시킨 상태이므로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과시키며 바닥재의 외측에 오염된 분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용융 공급하여 상부층과 하부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의 사이 중간층에 화이바그라스 매트를 공급한 후 철심 및 메쉬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 3층이 일체형의 바닥재로 평탄 성형하며, 강성이 뛰어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화이바그라스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와 화이바그라스 매트에 철심과 철근 및 메쉬를 사용하므로 성형된 후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온도의 큰 변화에도 열팽창계수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안정되고 일반 데크에 비하여 30배 이상의 강성을 갖는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며, 난연재로 실내 장식용 벽체 및 바닥재로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재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하부층을 수평하게 하기 위해 바닥면 가공장치에 연속 공급해 고속 회전하는 가공휠을 통해 바닥면을 정밀 가공함으로써 정확한 높이의 바닥재를 제공하고 평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설치된 이후에 각관 등과 밀착되도록 안정되게 설치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쪽 선단에서 한쪽은 하측에 반대쪽은 상측에 결합홈을 형성한 후 상부 결합홈 방향에서 고정 스크류를 사용해 일정한 간격에서 각관에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한 후 이와 연속해서 결합되는 바닥재가 고정 스크류의 머리부분을 덮어 감추면서 결합되어 고정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고정 스크류를 이용한 고정상태를 가릴 수 있어서 외관이 매우 미려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면과 요철 부분으로 이루어진 상측을 한번 더 가공해 수지 코팅부분을 벗긴 상태에서 공급해 바닥재가 설치된 후부터 곧바로 수지 코팅으로 인한 미끄럼을 방지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금형을 이용한 성형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완성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높이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바닥면의 가공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닥재 내부에 메쉬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닥재 내부에 철심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을 이용한 성형과정의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 저면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완성상태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높이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바닥면 가공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닥재를 각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닥재를 각관에 결합하고 고정 스크류를 가려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바닥면 가공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측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 중 가공휠에 대한 정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싱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요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면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면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設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는 것이지, 하나 도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이?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을 이용한 성형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완성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높이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한 바닥면의 가공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금형(20)은 바닥재(30)의 사용 위치와 용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와 색채및 디자인을 갖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갖도록 하며 안쪽의 양면에 평면부(22)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22)의 사이에 "W"형 또는 다양한 디자인을 요철형태로 성형하도록 요철부(21)가 형성되며, 일정한 높이의 측벽(23)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에 상층부(35)와 중간층(36) 및 하부층(37)을 공급한 후 상측에 바닥 성형덮개(40)를 덮어 통상적인 진동장치에 공급해 강한 진동상태에서 성형시간을 유지시켜금형(20)과 바닥 성형덮개(40)의 형태에 따른 바닥재(3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성형덮개(40)는 금형(20)의 측벽(23) 전체면을 감싸며 내부에 설치되어 바닥재(30)의 하부층(37)을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의 내부에는 먼저 상부층(35)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한 후 상기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용융시켜 금형(20)의 요철(31)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이 진동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의해 상부층(35)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며 외측에 요철(31)과 평면(3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층(35)의 상측으로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8 중량부를 갖는 화이바그라스 매트(38)에 메쉬(39)와 철심(40)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중간층(36)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으로 가열에 의해 용융된 복합재료를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에 하부층(37)으로 공급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바닥재(3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탄산칼슘은 탄산의 칼슘염으로서 화학식 CaCO3이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염 중에서 가장 많다.
그 형태도 여러 가지이며, 대리석·방해석·선석·석회석·백악·빙주석·조개껍질·달걀껍질·산호 등으로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으로 비중 2.93이며, 825℃에서 분해하고, 가열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생석회를 얻는다.
상기 규사와 마사토는 각각 사용하거나 이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 및 탄산칼슘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나, 건조에 의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unsaturated polyester resin), 비닐에스테르수지, 엑폭시수지(epoxyresin), 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PVC 등 일반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류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중 어느 하나와 합성수지는 어느 하나씩 혼합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을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층(37)은 중분과 미분을 8:2의 비율로 혼합한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중 어느 하나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층(37)의 두께(a)는 6∼13mm 정도로 하고, 중간층(36)의 두께(b)는 2∼6mm 정도로 하며, 상부층(35)의 두께(c)는 5∼13mm 정도로 하여 전체 두께를 13∼32mm가 되도록 한다.
상기 색소 0.2∼3 중량부는 바닥재(30)의 색채를 다양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색소를 선택하여 선택한 어느 하나의 색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경화제 0.2∼3 중량부는 믹서기에서 혼합한 복합재료에 색소와 함께 공급한 후 혼합에 의해 용융상태에서 금형(2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균질화된 복합재료가 용융상태 또는 혼합상태로 공급되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중 어느 하나와 전체적으로 미분말과 모래알과 같이 굵은 것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부층(37)에 사용하는 경우 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층(35)에 사용하는 경우 모래알과 같이 비교적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36)에는 그라 스화이바(Glass Fiber)는 유리장 섬유 #300, #380, #450을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며 그라스 화이바 파지나 촙과 같이 절단한 유리섬유(장섬유 포함), F.R.P 재생 분쇄 분말가루, 그라스 화이바 재생분말을 사용 가능하며 두께는 무한정이나 통상적으로 2∼3.4mm 정도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도 7은 하부층(37)의 상측에 장섬유로 이루어진 그라스화이바(G)를 깔고 바닥 성형덮개(40)를 덮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하부층(37)에 그라스화이바(G)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바닥면(33)을 바닥면 가공장치(60)를 통하여 가공해 바닥재(30)의 생산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면이 편평해 시공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닥재 내부에 메쉬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닥재 내부에 철심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층(35)의 상측으로 화이바그라스 매트(38)에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메쉬(39)와 철심(40)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중간층(36)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으로 가열에 의해 용융된 복합재료를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에 하부층(37)으로 공급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바닥재(30)를 성형함으로써 화이바그라스 매트(38)에 메쉬(39)와 철심(40)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중간층(26)을 이루게 되며 하부층(27)과 상부층(35)을 연결하는 매게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화이바그라스 매트(38)는 되도록 장섬유를 이용해 상호 결합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을 이용한 성형과정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일부분 저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완성상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높이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바닥재에 대한 바닥면 가공상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 10 내지 도 16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재질 및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금형(20)은 바닥재(30)의 사용 위치와 용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와 색채및 디자인을 갖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갖도록 하며 안쪽의 양면중 어느 한쪽면에 평면부(22)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22)의 사이에 "W"형 또는 다양한 디자인을 요철형태로 성형하도록 요철부(21)가 형성되며, 일정한 높이의 측벽(23)을 갖도록 한 후 상기 평면부(22)가 형성되지 않은 한쪽면에 하부홈 성형돌기(2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에 상층부(35)와 중간층(36) 및 하부층(37)을 공급한 후 상측에 바닥 성형덮개(40)를 덮어 통상적인 진동장치에 공급해 강한 진동상태에서 성형시간을 유지시켜금형(20)과 바닥 성형덮개(40)의 형태에 따른 바닥재(3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성형덮개(40)는 하부홈 성형돌기(24)의 반대 방향에 하측으로 상부홈 성형돌기(43)가 돌출되어 있으며, 금형(20)의 측벽(23) 전체면을 감싸며 내부에 설치되어 바닥재(30)의 하부층(37)을 수평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의 내부에는 먼저 상부층(35)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한 후 상기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용융시켜 금형(20)의 요철(31)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20)이 진동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의해 상부층(35)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며 외측에 요철(31)과 평면(3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층(35)의 상측으로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8 중량부를 갖는 화이바그라스 매트(38)에 메쉬(39)와 철심(40)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중간층(36)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으로 가열에 의해 용융된 복합재료를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에 하부층(37)으로 공급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바닥재(3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층(35)은 금형(20)의 한쪽 방향에 형성된 하부홈 성형돌기(24)가 측벽(23)의 높이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부 결합홈(35a)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층(37)은 상부 결합홈(25a)의 반대방향에 하부 결합홈(37a)이 형성되도록 바닥 성형덮개(40)의 상부홈 성형돌기(43)가 측벽(23)의 높이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하부 결합홈(37a)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30)는 양쪽으로 상부 결합홈(35a)과 하부 결합홈(37a)이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되어 바닥에 연속해서 설치할 때 상, 하부 결합홈(35a, 37a)가 겹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30)는 금형(20)에서 완성된 후 양쪽으로 상부 결합홈(35a)과 하부 결합홈(37a)이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닥재를 각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닥재를 각관에 결합하고 고정 스크류를 가려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재(20)를 설치하는 경우 각관(50)을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한 후 각관(50)의 상측에 바닥재(2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바닥재(20)의 상부 결합홈(35a)이 각관(50)의 상측에 위치하면 일정한 간격에서 고정 스크류(51)를 사용하여 상부 결합홈(35a)에서 하부층(37)을 관통해 고정되도록 한 후 이어서 새로운 바닥재(20)의 하부 결합홈(37a)이 형성된 부분을 상부 결합홈(35a)에 결합시킨 후 반대편의 상부 결합홈에 고정 스크류(51)를 관통시켜 각관에 고정하는 순서로 연결해 나가면 바닥재(20)는 각관(50)에 고정 스크류(51)를 통하여 고정되고 이어서 설치되는 바닥재(20)의 하부 결합홈(27a)이 고정 스크류(51)의 머리부분을 덮어 감춰지도록 함으로써 노출되는 것을 상측에서 차단하며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20)는 상, 하부 결합홈(35a, 37a)가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도 열팽창계수가 발생하지 않아 서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 스크류(51)를 통하여 바닥재(20)를 고정한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가려지도록 마감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닥면 가공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에 대한 요부확대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닥 가공장치 중 가공휠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면 가공장치(60)는 바닥재(30)의 바닥면(33)을 평면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송베드(69)가 설치되어 가공모터(7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가공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가공모터(70)의 하측에는 가공휠(71)을 설치한 후 원형의 가공휠(71) 상측 경사면에는 다수의 배출구멍(72)이 형성되어 분진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공휠(71)에는 하측으로 다수개의 가공봉(73)이 돌출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바닥면(33)을 평면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공휠(71)의 하측에는 바닥재(30)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벨트(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벨트(63)의 상측 가공휠(71)의 양쪽에는 누름로라(65)와 지지로라(67)가 설치되어 바닥재(30)를 공급벨트(63)에 눌러 공급하며 바닥면(33)이 가공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누름로라(65)와 지지로라(67)는 구동모터(66)의 동력이 풀리 또는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여 구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벨트(63)의 상측에는 안내로라(64)가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 바닥재(30)의 위치를 제어하며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벨트(63)의 전방에는 바닥재(30)를 지지하는 받침봉(62)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고, 한쪽에는 공급로라(6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바닥재(30)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벨트(63)의 후방에는 배출로라(68)가 연속해서 다수개 설치되어 바닥면(33)이 가공된 바닥재(30)를 가공해 배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첨부한 도 23의 블럭도를 통하여 성형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료 준비단계(S10)로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과, 화이바그라스를 분쇄한 파우더,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것이다.
다음, 복합재료 혼합단계(S20)로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다음, 복합재료 용융 공급단계(S30)로 상기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교반을 통하여 용융상태가 되도록 하며, 진동장치의 성형 받침대 상측에 금형(20)을 3∼15개의 범위에서 공급하여 금형(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금형(20)의 내부에 이형제를 코팅하는 것이다.
다음, 상부층 성형단계(S40)로 진동장치를 통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복합재료가 금형(20)의 요철부(21) 상에 상부층(35)이 6∼13mm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상부층(35)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층(35)은 금형(20)의 하부홈 성형돌기(24)를 통하여 상부 결합홈(35a)이 한쪽 선단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중간층 성형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층(35)의 상측으로 그라스화이바 매트(38)가 2∼6mm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하고, 그라스 화이바 매트(38)의 상측에 메쉬(39)와 철심(39a)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중간층(36)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하부층 성형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으로 혼합 용융로에서 복합소재를 공급하여 하부층(37)을 성형하되,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5∼13mm의 일정한 두께와 측벽(23)의 높이를 갖도록 한다.
상기 하부층(37)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 성형덮개(40)를 공급해 하부홈 성형돌기(24)의 반대방향에 상부홈 성형돌기(43)가 형성되어 하부 결합홈(37a)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바닥 추가 공급단계(S65)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층(37)을 성형하기 위해 복합소재를 공급한 후 가장 상측에 장섬유로 이루어진 화이바그라스(G)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열처리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층(37)을 성형한 후에 금형(20)을 콘베어에 공급하여 60∼120℃로 가열되는 가열로에서 10∼20분간 열처리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다.
다음, 탈형단계(S80)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20)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20)을 뒤집으면 바닥재(30)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바닥재(30)의 성형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30)은 한쪽에는 하부 결합홈(35a)이 다른 한쪽에는 상부 결합홈(37a)이 각각 단이지도록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바닥면 가공단계(S90)를 수행하는 것으로, 바닥면 가공장치(60)의 받침봉(62) 상측으로 바닥재(30)를 공급해 공급로라(61)에 안내되며 공급벨트(63)의 상측에 공급된 후 측면에서는 안내로라(64)가 상측에서는 누름로라(65)가 지지하며 이송시켜 가공모터(70)의 하측에 설치한 가공휠(71)의 고속회전으로 가공휠(71)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공봉(73)이 하부층(37)의 바닥면(33)을 수평하게 가공한 후 지지로라(67)에 지지되며 배출로라(68)의 상측으로 안내되어 바닥면(33) 가공을 통해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30)를 가공해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 이물질 제거단계(S100)를 수행하는 것으로, 바닥면(33)이 가공되면서 분진과 이물질 등이 바닥재(30)의 전체면을 오염시킨 상태이므로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과시키며 바닥재(30)의 외측에 오염된 분질과 이물질을 제거해 깨끗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산된 바닥재(30)는 균일한 색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수지 코팅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지 코팅단계를 통하여 표면에 수지가 코팅되어 균일한 색채를 제공하게 되나, 코팅된 수지를 통하여 일정기간 슬립기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므로 요철(31)과 평면(32)이 형성된 부분을 그라인더 등으로 코팅된 수지를 제거하는 수지 제거단계를 더 수행해 안정된 슬립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바닥재(30)는 바닥에 각관(50)을 용접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설치한 후에는 각관(50)의 상측에 공급한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결합홈(35a)을 고정 스크류(51)가 관통되어 각관(50)에 고정되도록 하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결합홈(37a)이 상부 결합홈(35a)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하고 반대편에서 상기와 같이 고정 스크류(51)를 상부 결합홈(35a)에 관통시켜 각관(5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스크류(51)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미려하게 성형되며 상부 결합홈(35a)의 한쪽에서만 고정되는 기능을 통하여 바닥재(3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성형한 바닥재(30)를 KS F 3230:2013 시험방법을 통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한 결과 [표 1]과 같다.
바닥재 시험성적서
시험항목 단 위 시험결과 기 준 비 고
난연성-탄화길이 cm 8 20 이하 만 족
난연성- 나머지 불꽃 s 1 10초 이하 만 족
비 중 - 1,406 0.8∼1.5 만 족
굴곡최대하중 N 6,103 3,000 이상 강성향상
뒤틀림성 % 1.2 2.0 이하 성형상태 유지
나사못 유지력 N 1,158 400 이상 강한 결합력
미끄럼저항성(C.S.R) - 0.55 0.40 이상 미끄럼 방지
수분흡수율(중량변화) % 0.1 8.0 이하 거의 없음
충격강도 KJ/㎡ 50.4 3.0 이상 16배 이상
※ 지지대간 거리 : 300mm
상기 바닥재(30)는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의 알갱이를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성형한 것이므로 난연성이 부여되며, 굴곡 최대하중이 높아져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뒤틀림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성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흡수율에 의한 중량변화가 거의 없고 충격강도가 일반 데크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므로 여름철이나 겨울철과 같이 온도변화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설치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구멍을 성형한 후 나사못을 직접 바닥의 각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나사못의 유지력이 강해 오랜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도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돌),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과, 화이바그라스를 분쇄한 파우더,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 및 그라스 화이바에 철심과 메쉬 중 어느 하나를 중간층에 공급하여 진동기의 진동을 통하여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를 성형함으로써 강한 인장력과 난연성 및 충격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며, 바닥재의 양쪽으로 상부 결합홈과 하부 결합홈을 각각 형성시키고 고정 스크류가 관통되어 각관에 고정된 후 고정 스크류 머리 부분을 덮어 감추어지도록 보호하며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바닥면을 가공해 일정한 규격의 안정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20 : 금형 21 : 요철부
22 : 평면부 23 : 측벽
24 : 하부홈 성형돌기 30 : 바닥재
31 : 요철 32 : 평면
33 : 바닥면 35 : 상부층
35a : 상부 결합홈 36 : 중간층
37 : 하부층 37a : 하부 결합홈
38 : 그라스 화이바 매트 39 : 메쉬
39a : 철심 40 : 바닥 성형덮개
41 : 바닥 성형면 43 : 상부홈 성형돌기
50 : 바닥면 가공장치 61 : 공급로라
62 : 받침봉 63 : 공급벨트
64 : 안내로라 65 : 누름로라
66 : 구동모터 67 : 지지로라
68 : 배출로라 70 : 가공모터
71 : 가공휠 72 : 배출구멍
73 : 가공봉 75 : 흡입관

Claims (5)

  1. 삭제
  2.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과, 화이바그라스를 분쇄한 파우더,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S10); 탄산칼슘, 규사, 마사토, 방해석, 선석, 석회석, 화산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35∼70 중량부, 화이바그라스 파우더 2∼8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재료와 합성수지 28∼60 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를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복합재료 혼합단계(S20); 복합재료를 혼합 용융로에 공급하고, 상기 복합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2∼3 중량부, 경화제 0.2∼3 중량부를 상기 혼합 용융로에 공급한 후 교반을 통하여 용융상태가 되도록 하며, 진동장치의 성형 받침대 상측에 금형(20)을 3∼15개의 범위에서 공급하여 금형(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합재료 용융 공급단계(S30); 상기 금형(20)에서 상부층(35)을 성형하는 상부층 성형단계(S40); 상기 상부층(35)의 하측으로 중간층(36)을 성형하는 중간층 성형단계(S50); 상기 중간층(36)의 하측으로 하부층(37)을 성형하는 하부층 성형단계(S60); 상기 하부층(37)을 성형한 후에 금형(20)을 콘베어에 공급하여 60∼120℃로 가열되는 가열로에서 10∼20분간 열처리에 의해 성형하는 열처리단계(S70);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20)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20)을 뒤집으면 바닥재(30)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바닥재(30)의 성형이 완성되는 탈형단계(S8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층 성형단계(S40)는, 진동장치를 통하여 진동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복합재료가 금형(20)의 요철부(21) 상에 상부층(35)이 6∼13mm의 두께를 갖도록 공급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상부층(35)은 금형(20)의 하부홈 성형돌기(24)를 통하여 상부 결합홈(35a)이 한쪽 선단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층 성형단계(S60)는, 상기 중간층(36)의 상측으로 혼합 용융로에서 복합소재를 공급하여 하부층(37)을 성형하되, 250∼400초간 진동을 제공하여 5∼13mm의 일정한 두께와 측벽(23)의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하부층(37)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 성형덮개(40)를 공급해 하부홈 성형돌기(24)의 반대방향에 상부홈 성형돌기(43)가 형성되어 하부 결합홈(37a)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탈형단계(S80)는, 가열로에서 배출된 금형(20)을 120∼500초간 자연냉각시킨 후 금형(20)을 뒤집으면 바닥재(30)가 분리되는 탈형을 통하여 성형되고, 한쪽에는 하부 결합홈(37a)이 다른 한쪽에는 상부 결합홈(35a)이 각각 단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바닥면 가공장치(60)의 받침봉(62) 상측으로 바닥재(30)를 공급해 공급로라(61)에 안내되며 공급벨트(63)의 상측에 공급된 후 측면에서는 안내로라(64)가 상측에서는 누름로라(65)가 지지하며 이송시켜 가공모터(70)의 하측에 설치한 가공휠(71)의 고속회전으로 가공휠(71)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공봉(73)이 하부층(37)의 바닥면(33)을 수평하게 가공한 후 지지로라(67)에 지지되며 배출로라(68)의 상측으로 안내되어 바닥면(33) 가공을 통해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30)를 가공해 공급하는 바닥면 가공단계(S90)를 포함하며,
    바닥면(33)이 가공되면서 분진과 이물질 등이 바닥재(30)의 전체면을 오염시킨 상태이므로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과시키며 바닥재(30)의 외측에 오염된 분질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S1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성형단계(S60)를 수행한 다음, 하부층(37)을 성형하기 위해 복합소재를 공급한 후 가장 상측에 장섬유로 이루어진 화이바그라스(G)를 추가로 공급하는 바닥 추가 공급단계(S65)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100)를 수행하고, 바닥재(30)는 균일한 색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수지 코팅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단계를 수행하고, 상부층(35)의 요철(31)과 평면(32)이 형성된 부분을 그라인더로 코팅된 수지를 제거하는 수지 제거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210091102A 2021-07-12 2021-07-12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246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02A KR102462674B1 (ko) 2021-07-12 2021-07-12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102A KR102462674B1 (ko) 2021-07-12 2021-07-12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674B1 true KR102462674B1 (ko) 2022-11-04

Family

ID=841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02A KR102462674B1 (ko) 2021-07-12 2021-07-12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6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866B1 (ko) 1996-12-17 1999-06-15 이조원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75687B1 (ko) 2007-11-13 2008-12-23 주식회사 일래스틱존 침엽수칩을 이용한 탄성바닥재, 탄성바닥재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KR100882530B1 (ko) 2007-05-29 2009-02-06 신광산업 주식회사 마루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마루바닥재
KR100978586B1 (ko) 2010-03-11 2010-08-27 윤석수 탄산칼슘과 합성수지 및 화이바그라스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117B1 (ko) 2016-08-30 2016-12-09 윤석수 합성수지 혼합물에 화이바그라스와 매쉬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JP2017082388A (ja) * 2014-03-12 2017-05-18 矢島木材乾燥株式会社 突条部ビス留め床板
KR101809196B1 (ko) 2017-01-20 2017-12-14 윤석수 복합재료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866B1 (ko) 1996-12-17 1999-06-15 이조원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82530B1 (ko) 2007-05-29 2009-02-06 신광산업 주식회사 마루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마루바닥재
KR100875687B1 (ko) 2007-11-13 2008-12-23 주식회사 일래스틱존 침엽수칩을 이용한 탄성바닥재, 탄성바닥재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KR100978586B1 (ko) 2010-03-11 2010-08-27 윤석수 탄산칼슘과 합성수지 및 화이바그라스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7082388A (ja) * 2014-03-12 2017-05-18 矢島木材乾燥株式会社 突条部ビス留め床板
KR101685117B1 (ko) 2016-08-30 2016-12-09 윤석수 합성수지 혼합물에 화이바그라스와 매쉬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1809196B1 (ko) 2017-01-20 2017-12-14 윤석수 복합재료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73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gineered stone and an engineered stone
US20200055287A1 (en) Method of producing a veneered element and such a veneered element
KR101685117B1 (ko) 합성수지 혼합물에 화이바그라스와 매쉬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CN104002356B (zh) 具有耐磨表面的基于纤维的镶板
US20150298433A1 (en) Panel, use of a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and a prepreg
US20090291286A1 (en) Laminate manufacturing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A118967C2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будівельної панелі і будівельна панель
EP0277238A1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63759A1 (en) Decorative Panel
CN114829472A (zh) 基于pvc塑料溶胶的多层地板
US5789032A (en) Moldless coated board
KR101809196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0978586B1 (ko) 탄산칼슘과 합성수지 및 화이바그라스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67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정나사 머리 감춤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82530B1 (ko) 마루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마루바닥재
DE202004003214U1 (de) Mehrschichtmaterial für Platten und Formkörper
CN104822538B (zh) 包含椭圆体固体颗粒的抗磨保护层
KR10250987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목재형 돌 데크와 그 제조방법
AU2020259631A1 (en) Planar materi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30078611A (ko)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306548A (zh) 一种经济耐用的仿木制品制作方法
US4381328A (en) Paving and floor block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WO2005072957A1 (en) Reinforced encapsulated composite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433669B2 (ja) 床板の製造方法
KR102550901B1 (ko) 석분과 pvc 혼합층이 적층된 복합 목질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