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341A - 유성 현탁 농축물 - Google Patents

유성 현탁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341A
KR20090060341A KR1020097007427A KR20097007427A KR20090060341A KR 20090060341 A KR20090060341 A KR 20090060341A KR 1020097007427 A KR1020097007427 A KR 1020097007427A KR 20097007427 A KR20097007427 A KR 20097007427A KR 20090060341 A KR20090060341 A KR 2009006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p
active compound
species
oil
hydrogenated ca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717B1 (ko
Inventor
로날트 베르메르
페터 바우르
토비아스 뒬베르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6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to enhance the stick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having the sequences of atoms O—N—S, X—O—S, N—N—S, O—N—N or O-haloge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onds each atom has and with no atom of these sequences form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 조성물의 내강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용도, 내강우성이 향상된 신규 액체 농약 조성물, 이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함유된 활성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성 현탁 농축물{Oil-based suspension concentrates}
본 발명은 내강우성이 증진된 신규 액체 농약 조성물, 이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함유된 활성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신 농약 활성 화합물, 특히 전신 살충제 및/또는 살진균제는 그의 생물학적 작용을 전개하기 위해, 활성 화합물이 식물/표적 유기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제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신 농약 활성 화합물은 보통 에멀젼 농축물(EC), 가용성 액체(SL) 및/또는 유성(oil-based) 현탁 농축물(OD)로서 제제화된다. EC 제제 및 SL 제제에서, 활성 화합물은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며; OD 제제에서, 활성 화합물은 고체로서 존재한다. 기술적/물리적 이유로 해서, 많은 농약 활성 화합물에 있어서 EC 및 SL 제제는 이용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OD 제제를 선택하는 것만이 허용적될 수 있다. OD 제제의 경우에는, 침투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물학적 작용이 촉진된다. 이들 침투제 외에, 특성들(체류, 확산 거동, 내강우성 등)을 개선하는 추가의 어쥬번트가 보통 제제에 도입된다. 이 경우, 어쥬번트는 성분 자체가 생물학적 작용을 지니지 않고도 제제의 생물학적 작용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어쥬번트 및 침투제는 특히 다양한 화학적 그룹으로부터 유래되는 계면활성제이다(예를 들어 알칸올 에톡실레이트, 아미노에톡실레이트, 식물성 오일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MSO)).
이러한 제제 전략의 단점은 고농도의 이들 어쥬번트가 식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제품내 활성 화합물 대 어쥬번트의 비율도 또한 관심사이다. 헥타르당 적용되는 제품의 양은 필요한 적용 비율의 활성 화합물로 결정되지만, 어쥬번트의 지지 작용은 스프레이액내 어쥬번트의 농도에 좌우된다. 그 결과, 캔(in-can) 제품내 어쥬번트의 가능한 양은 제한적이다.
물론, 탱크 믹스(tank-mix)로서 어쥬번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즉, 이들은 농축 제제를 희석하여 제조되는 분무액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특히, 사용자가 과잉량을 초래하게 되는 우려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어쥬번트에 의해 식물이 피해를 입을 위험성이 높다. 또한, 탱크 믹스 방법에서는, 어쥬번트가 일반적으로 어쥬번트를 이미 함유하고 있는 농축 제제(캔 제제)에서 보다 더 높은 농도로 사용된다. 또한, 캔 제제는 농약 제품의 적용동안 사용자의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그밖에, 탱크-믹스 제품에 불필요한 포장재의 사용을 막는다. 이러한 이유로, 캔 제제가 원칙적으로 유리하다.
농약 활성 화합물의 무수 현탁 농축물이 다수 알려졌다. 요컨대, WO 03/000053호는 각종 어쥬번트를 최대 55% 이하로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제제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WO 05/084435호에는 어쥬번트로서 폐쇄 알칸올 에톡실레이트를 필적할만한 농도로 포함할 수 있는 제제가 개시되었다.
고농도의 어쥬번트로 인해, 이들 제제는 내강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의 내강우성이 언제나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온식 작물에 비해, 밭작 물, 예를 들어, 곡물 또는 목화에 비가 언제 내릴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액체 농약 조성물의 내강우성을 훨씬 더 최적화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사용자에게는 제제가 적용되는 활성 화합물이 비교적 단시간 비에 노출되는 것을 보장한다면 유리하다. 그렇치 않다면, 추가의 분무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액체 농약 제제중에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US 6,274,570호, US 6,071,857호, WO 98/00008호 및 WO 98/00009호에서는, 겔화제로 겔상 살충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화장품 및 의학적 제제에서의 사용은 매우 보편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내 표면-활성 어쥬번트의 농도 증가없이 선행 기술에 비해 내강우성이 뛰어난 안정하고 저장이 가능한 액체 농약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액체 농약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및
-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액체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성 현탁 농축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 수소첨가 피마자유,
- 적어도 하나의 침투제,
-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오일 및/또는 광유,
-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분산제 및
- 경우에 따라, 유화제, 소포제, 방부제, 항산화제, 전착제, 착색제 및/또는 농후제의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액체 유성 현탁 농축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농축 또는 희석 농약 조성물에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첨가함으로써 액체 농약 조성물의 내강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용도를 제공한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성분들을 서로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 형성된 현탁액을 그라인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 수소첨가 피마자유,
- 적어도 하나의 침투제,
-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오일 및/또는 광유,
-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분산제 및
- 경우에 따라, 유화제, 소포제, 방부제, 항산화제, 전착제, 착색제 및/또는 농후제의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형성된 현탁액을 그라인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기에 함유된 농약 활성 화합물을 식물 및/또는 그의 서식지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 현탁 농축물이 침투제의 농도를 전혀 증가시키지 않고도 가장 최근의 선행 기술보다 내강우성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중 개별 성분들의 함량은 비교적 넓은 범위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즉,
- 실온에서 고체인 농약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5 중량%,
-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
- 침투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
- 식물성 오일 및/또는 광유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 비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분산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2.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 중량%, 및
- 첨가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온에서 고체인 모든 농약 활성 화합물이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실온에서 고체인 전신 살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살충제는 실온에서 고체인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및 케토에놀계이며;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및 스피로테트라메이트이다.
실온에서 고체인 살진균제가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살진균제는 실온에서 고체인 스트로빌루린계 및 아졸계 살진균제이다.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합한 침투제는 식물에 농약 활성 화합물의 침투를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모든 물질이다. 이때, 침투제는 수성 분무액 및/또는 분무 코팅으로부터 식물의 큐티클로 침투하여 큐티클내 활성 화합물의 이동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기술되고, 문헌(Baur et al., 1997, Pesticide Science 51, 131-152)에 개시된 방법이 이러한 성질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침투제는 하기 화학식 (I)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을 나타내고,
R'는 H,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을 나타내며,
AO는 에틸렌 옥사이드 래디칼, 프로필렌 옥사이드 래디칼, 부틸렌 옥사이드 래디칼,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래디칼 또는 부틸렌 옥사이드 래디칼의 혼합물을 나타내고,
m은 2 내지 30의 수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침투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a)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2
상기 식에서,
R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며,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20의 수를 나타낸다.
침투제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b)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3
상기 식에서,
EO, R 및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4
를 나타내며,
p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낸다.
침투제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c)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5
상기 식에서,
EO, PO, R 및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며,
s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낸다.
침투제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d)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6
상기 식에서,
EO, R 및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B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7
를 나타내며,
p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고,
q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낸다.
침투제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e)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8
상기 식에서,
EO, BO, R 및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내며,
s는 1 내지 10의 수를 나타낸다.
침투제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그룹은 하기 화학식 (I-f)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이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09
상기 식에서,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t는 8 내지 13의 수를 나타내며,
u는 6 내지 17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화학식에서,
R은 바람직하게는 부틸, 이소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n-옥틸, 이소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n-도데실, 이소도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이소트리데실, 트리메틸노닐, 팔미틸, 스테아릴 또는 에 이코실을 나타낸다.
화학식 (I-a)의 특히 바람직한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I-a-1)의 에톡실화 게르베(Guerbet) 알콜이 언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0
상기 식에서,
R은 C16-C18-알킬을 나타내고,
R'는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부틸을 나타내며,
EO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b는 4 내지 10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I-c)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의 일례로 하기 화학식 (I-c-1)의 2-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1
상기 식에서,
EO 및 PO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화학식 (I-d)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의 일례로 하기 화학식 (I-d-1)가 언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2
상기 식에서,
EO 및 PO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10, 6 및 2의 숫자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화학식 (I-f)의 특히 바람직한 알칸올 알콕실레이트는
t가 9 내지 12의 수를 나타내고,
u는 7 내지 9의 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하기 화학식 (I-f-1)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한 알칸올 알콕실레이트로 언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3
상기 식에서,
t는 평균값 10.5를 나타내고,
u는 평균값 8.4를 나타낸다.
알칸올 알콕실레이트의 일반 정의는 상기 화학식으로 주어진다. 이들 물질은 쇄 길이가 상이한 제시된 형태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지수는 정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평균값을 가진다.
제시된 화학식의 알칸올 알콕실레이트는 공지되었거나, 공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참조: WO 98/35 553, WO 00/35 278 및 EP-A 0 681 865).
적합한 식물성 오일은 농약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식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모든 오일을 포함한다. 이들의 예로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평지씨유, 옥수수씨유, 면실유 및 대두유가 언급될 수 있다. 적 합한 광유는 농약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원유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모든 오일을 포함한다. 이들의 예로 백유, 파라핀유 및 단쇄 지방족 알콜, 예를 들어, Exxsol®D 시리즈 오일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 현탁 농축물은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분산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분산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 직쇄 알콜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지방산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 폴리머, 및 (메트)아크릴산과 (메트)아크릴 에스테르의 코폴리머, 임의로 인산화될 수 있으며, 임의로 염기로 중화될 수 있는 알킬 에톡실레이트 및 알킬아릴 에톡실레이트가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될 수 있으며, 예로 소르비톨 에톡실레이트, 및 폴리옥시알킬렌아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분산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알킬설폰산 또는 알킬아릴설폰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분산제의 다른 바람직한 그룹으로는 폴리스티렌설폰산의 염, 폴리비닐설폰산의 염,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염, 나프탈렌설폰산, 페놀설폰산 및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염, 및 리그노설폰산의 염 등의 식물성 오일에 저용해성인 염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첨가제에는 유화제, 소포제, 방부제, 항산화제, 전착제, 착색제 및 농후제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에톡실화 노닐페놀, 알킬페놀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 에톡실화 아릴알킬페놀, 및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아릴알킬페놀, 및 설페이트화 또는 포스페이트화 아릴알킬 에톡실레이트 및/또는 아릴알킬 에톡시프로필레이트이며, 예로서 소르비탄 유도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소포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실리콘 오일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방부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Preventol®(Bayer AG 제품) 및 Proxel®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적합한 항산화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및/또는 시트르산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전착제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이다. 알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착색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이산화티탄, 카본 블랙 안료, 산화아연, 청색 안료 및 퍼머넌트 레드(Permanent Red) FGR이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적합한 농후제에는 농약 조성물에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될 수 있으며, 농후제로 작용하는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무기 입자, 예컨대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및 옥사이드, 또한 유기 물질, 예컨대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카올린, 금홍석, 미분 실리카로 알려진 이산화규소, 실리카 겔, 및 천연 및 합성 실리케이트, 활석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 현탁 농축물은 목적하는 특정 비의 성분들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성분들은 임의 순서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편의상, 고체 성분들은 미분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형성된 현탁액을 먼저 거칠게 그라인딩한 다음,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평균 입자 크기를 20 ㎛ 아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현탁 농축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온도는 특정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0 ℃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4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농약 제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믹서 및 그라인더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결정 성장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승온 또는 저온에서 장기간 저장 후에도 안정하게 남아 있는 제제이다. 이들은 물로 희석함으로써 균질한 스프레이액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용 비율은 비교적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농약 활성 화합물 및 조성물내 그의 함량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내성이 우수하고, 온혈 동물에 허용하는 정도의 독성을 가지며, 친환경성이 우수하여서 식물 및 식물 기관을 보호하고, 수확량을 증산시키고, 수확 물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농업, 원예, 동물 사육, 임업, 정원, 레저용 설비, 저장 제품 및 재료의 보호 및 위생 분야에서 마주치게 되는 동물 해충, 특히 곤충, 거미류, 기생충, 선충 및 연체동물을 구제하는데 적합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작물 보호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정상적인 감수성 및 내성 종 및 발달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에 대하여 활성적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해충에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이목(Anoplura)(Phthiraptera), 예를 들어 다말리니아 종(Damalinia spp.), 하에마토피누스 종(Haematopinus spp.), 리노그나투스 종(Linognathus spp.), 페디쿨루스 종(Pediculus spp.), 트리코덱테스 종(Trichodectes spp.).
거미(Arachnida)목, 예를 들어 아카루스 시로(Acarus siro), 아세리아 셸도니(Aceria sheldoni), 아쿨로프스 종(Aculops spp.), 아쿨루스 종(Aculus spp.), 암블리옴마 종(Amblyo㎜a spp.), 아르가스 종(Argas spp.), 부필루스 종(Boophilus spp.), 브레비팔푸스 종(Brevipalpus spp.), 브리오비아 프라에티오사(Bryobia praetiosa), 코리오프테스 종(Chorioptes spp.), 데르마니수스 갈리나에 (Dermanyssus gallinae), 에오테트라니쿠스 종(Eotetranychus spp.), 에피트리메루스 피리(Epitrimerus pyri), 유테트라니쿠스 종(Eutetranychus spp.), 에리오피에스 종(Eriophyes spp.), 헤미타소네무스 종(Hemitarsonemus spp.), 히알롬마 종(Hyalo㎜a spp.), 익소데스 종(Ixodes spp.), 라트로덱투스 막탄스(Latrodectus mactans), 메타테트라니쿠스 종(Metatetranychus spp.), 올리고니쿠스 종(Oligonychus spp.), 오르니토도로스 종(Ornithodoros spp.), 파노니쿠스 종(Panonychus spp.), 필로콥트루타 올레이보라(Phyllocoptruta oleivora),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 라투스(Polyphagotarsonemus latus), 프소로프테스 종(Psoroptes spp.), 리피세팔루스 종(Rhipicephalus spp.), 리조글리푸스 종(Rhizoglyphus spp.), 사코프테스 종(Sarcoptes spp.), 스코르피오 마우루스(Scorpio maurus), 스테노타르소네무스 종(Stenotarsonemus spp.), 타르소네무스 종(Tarsonemus spp.), 테트라니쿠스 종(Tetranychus spp.), 바사테스 리코퍼시치(Vasates lycopersici).
비발바(Bivalva)강, 예를 들어 드레이스세나 종(Dreissena spp.).
지네(Chilopoda)목, 예를 들어 게오필루스 카르포파구스(Geophilus carpophagus), 스쿠티게라 종(Scutigera spec.).
딱정벌레(Coleoptera)목, 예를 들어 아칸토스셀리데스 오브텍투스(Acanthoscelides obtectus), 아도레투스 종(Adoretus spp.), 아겔라스티카 알니 (Agelastica alni), 아그리오테스 종(Agriotes spp.),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Amphimallon solstitialis), 아노비움 푼크타툼(Anobium punctatum), 아노플로 포라 종(Anoplophora spp.), 안토노무스 종(Anthonomus spp.), 안트레누스 종(Anthrenus spp.), 아포고니아 종(Apogonia spp.), 아토마리아 종(Atomaria spp.), 아타게누스 종(Attagenus spp.), 브루키디우스 오브텍투스(Bruchidius obtectus), 브루쿠스 종(Bruchus spp.), 세우토린쿠스 종(Ceuthorrhynchus spp.), 클레오누스 멘디쿠스(Cleonus mendicus), 코노데루스 종(Conoderus spp.), 코스모폴리테스 종(Cosmopolites spp.), 코스텔리트라 제알란디카(Costelytra zealandica), 쿠르쿨리오 종(Curculio spp.), 크리프토린쿠스 라파티(Cryptorhynchus lapathi), 더메스테스 종(Dermestes spp.), 디아브로티카 종(Diabrotica spp.), 에필라크나 종(Epilachna spp.), 파우스티누스 쿠바에(Faustinus cubae), 기비움 프실로이데스(Gibbium psylloides), 헤테로니쿠스 아라토르(Heteronychus arator), 힐라모르파 엘레간스(Hylamorpha elegans), 힐로트루페스 바줄루스(Hylotrupes bajulus), 히페라 포스티카(Hypera postica), 히포테네무스 종(Hypothenemus spp.), 라크모스테르나 콘산귀네아(Lachnosterna consanguinea), 렙티노타르사 데셈리네아타(Leptinotarsa decemlineata), 리소르호프투스 오리조필루스(Lissorhoptus oryzophilus), 릭수스 종(Lixus spp.), 릭투스 종(Lyctus spp.), 멜리게테스 아에네우스(Meligethes aeneus), 멜로론타 멜로론타(Melolontha melolontha), 미그돌루스 종(Migdolus spp.), 모노카무스 종(Monochamus spp.), 나우팍투스 크산토그라푸스(Naupactus xanthographus), 니프투스 홀로레우쿠스(Niptus hololeucus), 오릭테스 리노세로스(Oryctes rhinoceros), 오리자에필루스 수리나멘시스(Oryzaephilus surinamensis), 오티오린 쿠스 술카투스(Otiorrhynchus sulcatus), 옥시세토니아 주쿤다(Oxycetonia jucunda), 파에돈 코클레아리아에(Phaedon cochleariae), 필로파가 종(Phyllophaga spp.), 포필리아 자포니카(Popillia japonica), 프렘노트리페스 종(Premnotrypes spp.), 프실리오데스 크리소세팔라(Psylliodes chrysocephala), 프티누스 종(Ptinus spp.), 리조비우스 벤트랄리스(Rhizobius ventralis), 리조페르타 도미니카(Rhizopertha dominica), 시토필루스 종(Sitophilus spp.), 스페노포루스 종(Sphenophorus spp.), 스테르네쿠스 종(Sternechus spp.), 심필레테스 종(Symphyletes spp.), 테네브리오 몰리토르(Tenebrio molitor), 트리볼리움 종(Tribolium spp.), 트로고더마 종(Trogoderma spp.), 티키우스 종(Tychius spp.), 자일로트레쿠스 종(Xylotrechus spp.), 자브루스 종(Zabrus spp.).
톡토기(Collembola)목, 예를 들어 오니키우루스 아르마투스(Onychiurus armatus).
집게벌레(Dermaptera)목, 예를 들어 포르피쿨라 아우리쿨라리아(Forficula auricularia).
노래기(Diplopoda)목, 예를 들어 블라니울루스 구툴라투스(Blaniulus guttulatus).
파리(Diptera)목, 예를 들어 아에데스 종(Aedes spp.), 아노펠레스 종 (Anopheles spp.), 비비오 호르툴라누스(Bibio hortulanus), 칼리포라 에리트로세팔라(Calliphora erythrocephala), 세라티티스 카피타타(Ceratitis capitata), 크리소미아 종(Chrysomyia spp.), 코클리오미아 종(Cochliomyia spp.), 코르딜로비아 안트로포카가(Cordylobia anthropophaga), 쿨렉스 종(Culex spp.), 쿠테레브라 종(Cuterebra spp.), 다쿠스 올레아에(Dacus oleae), 데르마토비아 호미니스(Dermatobia hominis), 드로소필라 종(Drosophila spp.), 판니아 종(Fannia spp.), 가스트로필루스 종(Gastrophilus spp.), 힐레미이아 종(Hylemyia spp.), 힙포보스카 종(Hyppobosca spp.), 히포더마 종(Hypoderma spp.), 리비오미자 종(Liriomyza spp.), 루실리아 종(Lucilia spp.), 무스카 종(Musca spp.), 네자라 종(Nezara spp.), 오에스트루스 종(Oestrus spp.), 오시넬라 프리트(Oscinella frit), 페고미아 히오스키아미(Pegomyia hyoscyami), 포르비아 종(Phorbia spp.), 스토목시스 종(Stomoxys spp.), 타바누스 종(Tabanus spp.), 탄니아 종(Tannia spp.), 티풀라 팔루도사(Tipula paludosa), 올파르티아 종(Wohlfahrtia spp).
가스트로포다(Gastropoda)강, 예를 들어 아리온 종(Arion spp.), 비옴팔라리아 종(Biomphalaria spp.), 불리누스 종(Bulinus spp.), 데로세라스 종(Deroceras spp.), 갈바 종(Galba spp.), 림나에아 종(Lymnaea spp.), 온코멜라니아 종(Oncomelania spp.), 숙시네아 종(Succinea spp.).
기생충 강, 예를 들어 안실로스토마 두오데날레(Ancylostoma duodenale), 안실로스토마 세일라니쿰(Ancylostoma ceylanicum), 안실로스토마 브라질리엔시스(Acylostoma braziliensis), 안실로스토마 종(Ancylostoma spp.), 아스카리스 루브리코이데스(Ascaris lubricoides), 아스카리스 종(Ascaris spp.), 브루기아 말라이(Brugia malayi), 브루기아 티모리(Brugia timori), 부노스토뭄 종(Bunostomum spp.), 차베티아 종(Chabertia spp.), 클로노르키스 종(Clonorchis spp.), 쿠페리 아 종(Cooperia spp.), 디크로코엘리움 종(Dicrocoelium spp.), 딕티오카울루스 필라리아(Dictyocaulus filaria), 디필로보트리움 라툼(Diphyllobothrium latum), 드란쿤쿨루스 메디넨시스(Dracunculus medinensis), 에키노코쿠스 그라눌로수스(Echinococcus granulosus), 에키노코쿠스 물티로쿨라리스(Echinococcus multilocularis), 엔테로비우스 버미쿨라리스(Enterobius vermicularis), 파시올라 종(Faciola spp.), 해몬쿠스 종(Haemonchus spp.), 헤테라키스 종(Heterakis spp.), 히메노렙시스 나나(Hymenolepis nana), 히오스트롱굴루스 종(Hyostrongulus spp.), 로아 로아(Loa Loa), 네마토디루스 종(Nematodirus spp.), 오에소파고스토뭄 종(Oesophagostomum spp.), 오피스토키스 종(Opisthorchis spp.), 온코세스카 볼불루스(Onchocerca volvulus), 오스터타기아 종(Ostertagia spp.), 파라고니무스 종(Paragonimus spp.), 쉬스토소멘 종(Schistosomen spp.), 스트롱길로이데스 푸엘레보르니(Strongyloides fuelleborni), 스트롱길로이데스 스테르코랄리스(Strongyloides stercoralis), 스트롱일로이데스 종(Stronyloides spp.), 타에니아 사기나타(Taenia saginata), 타에니아 솔리움(Taenia solium), 트리키넬라 스피랄리스(Trichinella spiralis), 트리키넬라 나비타(Trichinella nativa), 트리키넬라 브리토비(Trichinella britovi), 트리키넬라 넬소니(Trichinella nelsoni), 트리키넬라 슈돕시랄리스(Trichinella pseudopsiralis), 트리코스트론굴루스 종(Trichostrongulus spp.), 트리쿠리스 트리추리아(Trichuris trichuria), 우헤레리아 반크로프티(Wuchereria bancrofti).
원생동물, 예를 들어 에이메리아(Eimeria)를 구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시아(Heteroptera)목, 예를 들어 아나사 트리스티스(Anasa tristis), 안테스티옵시스 종(Antestiopsis spp.), 블리수스 종(Blissus spp.), 칼로코리스 종(Calocoris spp.), 캄필롬마 리비다(Campylomma livida), 카벨레리우스 종(Cavelerius spp.), 시멕스 종(Cimex spp.), 크레오티아데스 딜루투스(Creontiades dilutus), 다시누스 피페리스(Dasynus piperis), 디켈롭스 푸카투스(Dichelops furcatus), 디코노코리스 헤웨티(Diconocoris hewetti), 디스터쿠스 종(Dysdercus spp.), 에우키스투스 종(Euschistus spp.), 에우리가스터 종(Eurygaster spp.), 헬리오펠티스 종(Heliopeltis spp.), 호시아스 노빌렐루스(Horcias nobilellus), 렙토코리사 종(Leptocorisa spp.), 렙토글로수스 필로푸스(Leptoglossus phyllopus), 리구스 종(Lygus spp.), 마크로페스 엑스카바투스(Macropes excavatus), 미리다에(Miridae), 네자라 종(Nezara spp.), 오에발루스 종(Oebalus spp.), 펜토미다에(Pentomidae), 피에스마 쿼드라타(Piesma quadrata), 피에조도루스 종(Piezodorus spp.), 프살루스 세리아투스(Psallus seriatus), 슈도다시스타 퍼세아(Pseudacysta persea), 로드니우스 종(Rhodnius spp.), 살버겔라 싱굴라리스(Sahlbergella singularis), 스코티노포라 종(Scotinophora spp.), 스테파니티스 나시(Stephanitis nashi), 티브라카 종(Tibraca spp.), 트리아토마 종(Triatoma spp.).
매미(Homoptera)목, 예를 들어 아크리토시폰 종(Acyrthosipon spp.), 아에네올라미아 종(Aeneolamia spp.), 아고노스세나 종(Agonoscena spp.), 알레우로데스 종(Aleurodes spp.), 알레우롤로부스 바로덴시스(Aleurolobus barodensis), 알레우 로트릭수스 종(Aleurothrixus spp.), 암라스카 종(Amrasca spp.), 아우라피스 카르두이(Anuraphis cardui), 아오니디엘라 종(Aonidiella spp.), 아파노스트그마 피리(Aphanostigma piri), 아피스 종(Aphis spp.), 아보리디아 아피칼리스(Arboridia apicalis), 아스피디엘라 종(Aspidiella spp.), 아스피디오투스 종(Aspidiotus spp.), 아타누스 종(Atanus spp.), 아울라코르툼 솔라니(Aulacorthum solani), 베미시아 종(Bemisia spp.), 브라키카우두스 헬리크리시이(Brachycaudus helichrysii), 브라키콜루스 종(Brachycolus spp.), 브레비코리네 브라시카에(Brevicoryne brassicae), 칼리기포나 마르기나타(Calligypona marginata), 카르네오세팔라 풀기다(Carneocephala fulgida), 세라토바쿠나 라니게라(Ceratovacuna lanigera), 세르코피다에(Cercopidae), 세로플라스테스 종(Ceroplastes spp.), 차에토시폰 프라가에폴리이(Chaetosiphon fragaefolii), 크비오나스피스 테갈렌시스(Cbionaspis tegalensis), 클로리타 오누키이(Chlorita onukii), 크로마피스 주글란디콜라(Chromaphis juglandicola), 크리솜팔루스 피쿠스(Chrysomphalus ficus), 시카둘리나 엠빌라(Cicadulina mbila), 코코미틸루스 할리(Coccomytilus halli), 코쿠스 종(Coccus spp.), 크립토미주스 리비스(Cryptomyzus ribis), 달불루스 종(Dalbulus spp.), 디알레우로데스 종(Dialeurodes spp.), 디아포리나 종(Diaphorina spp.), 디아스피스 종(Diaspis spp.), 도랄리스 종(Doralis spp.), 드로시카 종(Drosicha spp.), 디사피스 종(Dysaphis spp.), 디스미코쿠스 종(Dysmicoccus spp.), 엠포아스카 종(Empoasca spp.), 에리오소마 종(Eriosoma spp.), 에리스로네우라 종(Erythroneura spp.), 에우셀리스 빌로바투스(Euscelis bilobatus), 게오코쿠스 코페아에(Geococcus coffeae), 호말로디스카 코아굴라타(Homalodisca coagulata), 히알로프테루스 아룬디니스(Hyalopterus arundinis), 이세리아 종(Icerya spp.), 이디오세루스 종(Idiocerus spp.), 이디오스코푸스 종(Idioscopus spp.), 라오델팍스 스트리아텔루스(Laodelphax striatellus), 레카니움 종(Lecanium spp.), 레피도사페스 종(Lepidosaphes spp.), 리파피스 에리시미(Lipaphis erysimi), 마크로시품 종(Macrosiphum spp.), 마하나바 핌브리올라타(Mahanarva fimbriolata), 멜라나피스 사카리(Melanaphis sacchari), 메트칼피엘라 종(Metcalfiella spp.), 메토폴로피움 디르호둠(Metopolophium dirhodum), 모넬리아 코스탈리스(Monellia costalis), 모넬리옵시스 페카니스(Monelliopsis pecanis), 미주스 종(Myzus spp.), 나소노비아 리비스니그리(Nasonovia ribisnigri), 네포테틱스 종(Nephotettix spp.), 닐라파바타 루겐스(Nilaparvata lugens), 온코메토피아 종(Oncometopia spp.), 오르테지아 프라엘론가(Orthezia praelonga), 파라베메시아 미리카에(Parabemisia myricae), 파라트리오자 종(Paratrioza spp.), 파라토리아 종(Parlatoria spp.), 펨피구스 종(Pemphigus spp.), 페레그리누스 마이디스(Peregrinus maidis), 페나코쿠스 종(Phenacoccus spp.), 플로에오미주스 파세리니이(Phloeomyzus passerinii), 포로돈 휴물리(Phorodon humuli), 필록세라 종(Phylloxera spp.), 피나스피스 아스피디스트라에(Pinnaspis aspidistrae), 플라노코쿠스 종(Planococcus spp.), 프로토풀비나리아 피리포르미스(Protopulvinaria pyriformis), 슈다울라캅시스 펜타고나(Pseudaulacaspis pentagona), 슈도코쿠스 종(Pseudococcus spp.), 실라 종(Psylla spp.), 프테로말루스 종(Pteromalus spp.), 피릴라 종(Pyrilla spp.), 쿼드라스피디오투스 종(Quadraspidiotus spp.), 퀘사다 기가스(Quesada gigas), 라스트로코쿠스 종(Rastrococcus spp.), 로팔로시품 종(Rhopalosiphum spp.), 사이세티아 종(Saissetia spp.), 스카포이데스 티타누스(Scaphoides titanus), 쉬자피스 그라미눔(Schizaphis graminum), 셀레나스피두스 아티쿨라투스(Selenaspidus articulatus), 소가타 종(Sogata spp.), 소가텔라 푸르시페라(Sogatella furcifera), 소가토데스 종(Sogatodes spp.), 스틱토세팔라 페스티나(Stictocephala festina), 테날라파라 말라엔시스(Tenalaphara malayensis), 티노칼리스 카리아에폴리아에(Tinocallis caryaefoliae), 토마스피스 종(Tomaspis spp.), 톡소프테라 종(Toxoptera spp.), 트리알레우로데스 바포라리오람(Trialeurodes vaporarioram), 트리오자 종(Trioza spp.), 티플로시바 종(Typhlocyba spp.), 유나스피스 종(Unaspis spp.), 비테우스 비티폴리(Viteus vitifolii).
벌(Hymenopera)목, 예를 들어 디프리온 종(Diprion spp.), 호플로캄파 종 (Hoplocampa spp.), 라시우스 종(Lasius spp.),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 (Monomorium pharaonis), 베스파 종(Vespa spp.).
쥐며느리(Isopoda)목, 예를 들어 아르마딜리디움 불가레(Armadillidium vulgare), 오니스쿠스 아셀루스(Oniscus asellus), 포르셀리오 스카베르(Porcellio scaber).
흰개미(Isoptera)목, 예를 들어 레티쿨리테르메스 종(Reticulitermes spp.), 오돈토터메스 종(Odontotermes spp.).
나비(Lepidoptera)목, 예를 들어 아크로닉타 마조르(Acronicta major), 아에디아 류코멜라스(Aedia leucomelas), 아그로티스 종(Agrotis spp.), 알라바마 아르길라세아(Alabama argillacea), 안티카시아 종(Anticarsia spp.), 바라트라 브라시카에(Barathra brassicae), 바큘라트릭스 투르베리엘라(Bucculatrix thurberiella), 부팔루스 피니아리우스(Bupalus piniarius), 카코에시아 포다나 (Cacoecia podana), 카푸아 레티쿨라나(Capua reticulana), 카르포카프사 포모넬라(Carpocapsa pomonella), 케이마토비아 브루마타(Cheimatobia brumata), 칠로 종(Chilo spp.), 코리스토네우라 푸미페라나(Choristoneura fumiferana), 클리시아 암비구엘라(Clysia ambiguella), 크나팔로세루스 종(Cnaphalocerus spp.), 에아리아스 인슐라나(Earias insulana), 엠페스티아 쿠에니엘라(Ephestia kuehniella), 유프록티스 크리소레아(Euproctis chrysorrhoea), 육소아 종(Euxoa spp.), 펠티아 종(Feltia spp.), 갈레리아 멜로넬라(Galleria mellonella), 헬리코베르파 종(Helicoverpa spp.), 헬리오티스 종(Heiiothis spp.), 호프만노필라 슈도스프레텔라(Hofmannophila Pseudospretella), 호모나 마그나니마(Homona magnanima), 히포노메우타 파델라(Hyponomeuta padella), 라피그마 종(Laphygma spp.), 리토콜레티스 블란카르델라(Lithocolletis blancardella), 리토파네 안테나타(Lithophane antennata), 록사그로티스 알비코스타(Loxagrotis albicosta), 리만트리아 종(Lymantria spp.), 말라코소마 네우스트리아(Malacosoma neustria),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Mamestra brassicae), 모시스 레판다(Mocis repanda), 미티른다 세파라 타(Mythirnna separata), 오리아 종(Oria spp.), 오울레마 오리자에(Oulema oryzae), 파놀리스 플람메아(Panolis fla㎜ea), 펙티노포라 고시피엘라(Pectinophora gossypiella), 필로크니스티스 시트렐라(Phyllocnistis citrella), 피에리스 종(Pieris spp.),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Plutella xylostella), 프로데니아 종(Prodenia spp.), 슈달레티아 종(Pseudaletia spp.), 슈도플루시아 인클루덴스(Pseudoplusia includens), 피라우스타 누비랄리스(Pyrausta nubilalis), 스포도프테라 종(Spodoptera spp.), 테르메시아 겜마탈리스(Thermesia gemmatalis), 티네아 펠리오넬라(Tinea pellionella), 티네올라 비셀리엘라(Tineola bisselliella), 토르트릭스 비리다나(Tortrix viridana), 트리코플루시아 종(Trichoplusia spp.).
메뚜기(Orthoptera)목, 예를 들어 아케타 도메스티쿠스(Acheta domesticus), 블라타 오리엔탈리스(Blatta orientalis), 블라텔라 게르마니카(Blattella germanica), 그릴로탈파 종(Gryllotalpa spp.), 류코파에아 마데라에(Leucophaea maderae), 로쿠스타 종(Locusta spp.), 멜라노플루스 종(Melanoplus spp.), 페리플라네타 아메리카나(Periplaneta americana), 쉬스토세르카 그레가리아(Schistocerca gregaria).
벼룩(Siphonaptera)목, 예를 들어 세라토필루스 종(Ceratophyllus spp.), 크세노프실라 케오피스(Xenopsylla cheopis).
심필라(Symphyla)목, 예를 들어 스쿠티게렐라 임마쿨라타(Scutigerella i㎜aculata).
총채벌레(Thysanoptera)목, 예를 들어 발리오트립스 비포르미스(Baliothrips biformis), 에네오트립스 플라벤스(Enneothrips flavens), 프랑클리니엘라 종(Frankliniella spp.), 헬리오트립스 종(Heliothrips spp.), 헤르시노트리프스 페모랄리스(Hercinothrips femoralis), 카코트립스 종(Kakothrips spp.), 리피포로트립스 크루엔타투스(Rhipiphorothrips cruentatus), 쉬르토트립스 종(Scirtothrips spp.), 타에니오트립스 카르다모니(Taeniothrips cardamoni), 트립스 종(Thrips spp.).
좀(Thysanura)목, 예를 들어 레피스마 사카리나(Lepisma saccharina).
식물 기생성 선충에는 예를 들어, 안귀나 종(Anguina spp.), 아펠렌코이데스 종(Aphelenchoides spp.), 벨로노아이무스 종(Belonoaimus spp.), 부르사펠렌쿠스 종(Bursaphelenchus spp.), 디틸렌쿠스 디프사키(Ditylenchus dipsaci), 글로보데라 종(Globodera spp.), 헬리오코틸렌쿠스 종(Heliocotylenchus spp.), 헤테로데라 종(Heterodera spp.), 롱기도루스 종(Longidorus spp.), 멜로이도기네 종(Meloidogyne spp.), 프라틸렌쿠스 종(Pratylenchus spp.), 라도폴루스 시밀리스(Radopholus similis), 로틸렌쿠스 종(Rotylenchus spp.), 트리코도루스 종(Trichodorus spp.), 틸렌코린쿠스 종(Tylenchorhynchus spp.), 틸렌쿨루스 종(Tylenchulus spp.), 틸렌쿨루스 세미페네트란스(Tylenchulus semipenetrans) 및 크시피네마 종(Xiphinema spp.)이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특정 농도 또는 적용 비율로 제초제, 약해완화제, 성장조절제, 또는 식물 특성 개량제, 살미생물제, 예를 들어 살 진균제, 항균제, 살균제, 살바이러스제(비로이드에 대한 제제 포함), MLO(미코플라즈마-류 유기체) 및 RLO(리케차-류 유기체)에 대한 제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농약 활성 화합물 외에, 혼합 파트너로서 살충제, 유인제, 멸균제, 살균제, 살비제, 살선충제, 살진균제, 성장조절물질, 제초제, 약해완화제, 비료 또는 신호물질과 같은 다른 활성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혼합 성분으로,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들이 예시된다:
살진균제:
핵산 합성 저해제:
베날락실, 베날락실-M, 부피리메이트, 키랄락실,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페녹삼, 메탈락실, 메탈락실-M, 오푸라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유사분열 및 세포분열 억제제:
베노밀, 카벤다짐,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족사미드
호흡 사슬 복합체 I 저해제:
디플루메토림
호흡 사슬 복합체 II 저해제:
보스칼리드, 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푸르메사이클록스,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티오피라드, 티플루자미드
호흡 사슬 복합체 III 저해제:
아족시스트로빈, 사이아조파미드,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빈, 파목사돈, 페나미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디커플러(decoupler):
디노캅, 플루아지남
ATP 생산 저해제:
펜틴 아세테이트, 염화펜틴, 수산화펜틴, 실티오팜
아미노산 생합성 및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레이트,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신호 전달 억제제: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퀴녹시펜
지질 및 막 합성 저해제:
클로졸리네이트, 이프로디온, 프로사이미돈, 빈클로졸린,
암프로필포스, 포타슘-암프로필포스,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이프로벤포스(IBP), 이소프로티올란, 피라조포스,
톨클로포스-메틸, 비페닐,
이오도카브,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펜헥사미드,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마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푸르코나졸, 푸르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이마잘릴 설페이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펜코나졸, 페푸라조에이트,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페녹스,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보리코나졸, 비니코나졸,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도데모르프 아세테이트,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스피록사민, 트리데모르프,
나프티핀, 피리부티카브, 터비나핀,
세포벽 합성 저해제:
벤티아발리리카브, 디알라포스,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이프로발리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스,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사이메트, 펜옥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사이클라졸,
내성 유도제:
아시벤졸라-S-메틸,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다중부위제:
캅타폴, 캅탄, 클로로탈로닐, 구리 염, 예를 들어 수산화 구리, 구리 나프테네이트,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산화구리, 옥신-구리, 보르도 혼합물,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페르밤, 폴펫, 플루오로폴펫, 구아자틴, 구아자틴 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 알베실레이트,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만코퍼, 만코제브, 마네브, 메티람, 메티람 아연, 프로피네브, 칼슘 폴리설파이드,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네브, 지람을 비롯한 황 및 황 제제
추가의 살진균제:
아미브롬돌, 벤티아졸, 벤톡사진, 캅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네이트, 클로로피크린, 쿠프라네브, 사이플루페나미드, 사이목사닐, 다조메트, 데바카브, 디클로메진, 디클로로펜, 디클로란, 디펜조쿠아트, 디펜조쿠아트 메틸설페이트, 디페닐아민, 페림존, 플루메토버, 플루설파미드, 플루오피콜리드, 플루오로이미드,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8-하이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트라페논,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2-페닐페놀 및 염, 피페랄린,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벤카브, 피롤니트린, 퀸토젠, 테클로프탈람, 테크나젠, 트리아족사이드, 트리클라미드, 발리페날, 자릴라미드,
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 (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트아미드,
2-[[[[1-[3-(1-플루오로-2-페닐에틸)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N-메틸-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벤즈아세트아미드,
시스-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사이클로헵탄올,
1-[(4-메톡시페녹시)메틸]-2,2-디메틸프로필-1H-이미다졸-1-카복실산,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부톡시-6-요오도-3-프로필벤조피라논-4-온,
2-클로로-N-(2,3-디하이드로-1,1,3-트리메틸-1H-인덴-4-일)-3-피리딘카복사미드,
3,4,5-트리클로로-2,6-피리딘디카보니트릴,
3,4-디클로로-N-(2-시아노페닐)이소티아졸-5-카복사미드 (이소티아닐)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5-클로로-6-(2,4,6-트리플루오로페닐)-N-[(1R)-1,2,2-트리메틸프로필][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5-클로로-N-[(1R)-1,2-디메틸프로필]-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메틸 2-[[[사이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티오]메틸]-알파-(메톡시메틸렌)-벤즈아세테이트,
메틸 1-(2,3-디하이드로-2,2-디메틸-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3',4'-디클로로-5-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3-에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N-(4-클로로-2-니트로페닐)-N-에틸-4-메틸벤젠설폰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2S)-N-[2-[4-[[3-(4-클로로페닐)-2-프로피닐]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메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N-{(Z)-[(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벤즈아세트아미드,
N-{2-[1,1'-비(사이클로프로필)-2-일]페닐}-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프옥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메틸]-2,2-디메틸프로필]-1H-이미다졸-1-카보티온산,
2-아미노-4-메틸-N-페닐-5-티아졸카복사미드,
2,4-디하이드로-5-메톡시-2-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3H-1,2,4-트리아졸-3-온 (CAS No. 185336-79-2),
N-(6-메톡시-3-피리디닐)사이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살균제:
브로노폴, 디클로로펜, 니트라피린,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카수가마이신, 옥틸리논, 푸란카복실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프로베나졸, 스트렙토마이신, 테클로프탈람, 황산구리 및 다른 구리 제제.
살충제 / 살비제 / 살선충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hE) 저해제:
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알독시카브, 알릭시카브, 아미노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펜카브, 부타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클로에토카브, 디메틸란,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페노티오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탐-소듐,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메카브, 프로폭수르,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메타카브, XMC, 크실릴카브, 트리아자메이트,
유기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메틸, -에틸), 브로모포스-에틸, 브롬펜빈포스(-메틸), 부타티오포스, 카두사포스, 카보페노티온,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에틸), 쿠마포스, 시아노펜포스, 시아노포스, 클로르펜빈포스, 데메톤-S-메틸, 데메톤-S-메틸설폰, 디알리포스, 디아지논, 디클로펜티온,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옥사벤조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에트림포스, 팜푸르, 펜아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설포티온, 펜티온, 플루피라조포스, 포노포스, 포르모티온, 포스메틸란,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오도펜포스, 이프로벤포스, 이사조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르밤, 메타크리포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메틸/-에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포스포카브, 폭심, 피리미포스(-메틸/-에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파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프로토에이트,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피리다티온, 퀴날포스, 세부포스, 설포텝, 설프로포스,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테르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소듐 채널 조절제/전압-의존성 소듐 채널 봉쇄제
피레트로이드, 예를 들어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d-시스-트랜스, d-트랜스), 베타-사이플루트린, 비 펜트린, 비오알레트린, 비오알레트린-S-사이클로펜틸 이성체, 비오에타노메트린, 비오퍼메트린, 비오레스메트린, 클로바포트린, 시스-사이퍼메트린, 시스-레스메트린, 시스-퍼메트린, 클로사이트린, 사이클로프로트린, 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알파-, 베타-, 테타-, 제타-), 사이페노트린, 델타메트린, 엠펜트린(1R-이성체),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플루트린, 펜프로파트린, 펜피리트린, 펜발레레이트, 플루브로사이트리네이트,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플루펜프록스, 플루메트린, 플루발리네이트, 푸브펜프록스, 감마-사이할로트린,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람마-사이할로트린, 메토플루트린, 퍼메트린(시스-, 트랜스-), 페노트린(1R-트랜스-이성체), 프랄레트린, 프로플루트린, 프로트리펜부트, 피레스메트린, 레스메트린, RU 15525, 실라플루오펜,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테플루트린, 트랄레트린, 테트라메트린(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ZXI 8901, 피레트린스(피레트럼),
DDT,
옥사디아진, 예를 들어
인독사카브,
세비카바존, 예를 들어
메타플루미존(BAS3201),
아세틸콜린 수용체 작용제/길항제
클로로니코티닐,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니티아진,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벤설탑, 카탑,
아세틸콜린 수용체 조절제
스피노신, 예를 들어
스피노사드,
GABA-조절 클로라이드 채널 길항제
유기 염소, 예를 들어
캄페클로르, 클로로단, 엔도설판, 감마-HCH, HCH, 헵타클로르, 린단, 메톡시클로로,
피프롤, 예를 들어
아세토프롤, 에티프롤, 피프로닐,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바닐리프롤,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제
멕틴, 예를 들어
아바멕틴, 에마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이버멕틴, 레피멕틴, 밀베마이신,
유충 호르몬 모방체, 예를 들어
디오페놀란, 에포페노난, 페녹시카브,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피리프록시펜, 트리프렌,
에크디손 작용제/붕괴제
디아실히드라진, 예를 들어
크로마페노자이드, 할로페노자이드, 메톡시페노자이드, 테부페노자이드,
키틴 생합성 저해제
벤조일우레아, 예를 들어
비스트리플루론, 클로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아주론, 플루사이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펜플루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산화 포스포릴화 억제제, ATP 붕괴제
디아펜티우론,
유기 주석 화합물, 예를 들어
아조사이클로틴, 사이헥사틴, 펜부타틴 옥사이드,
H-양성자 구배 차단에 의한 산화 포스포릴화 작용 해제제
피롤, 예를 들어
클로르페나피르,
디니트로페놀, 예를 들어
비나파크릴, 디노부톤, 디노캅, DNOC, 멥틸디노캅,
I-측 전자 전달 억제제
METIs, 예를 들어
펜아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 드,
히드라메틸논,
디코폴,
II-측 전자 전달 억제제
로테논,
III-측 전자 전달 억제제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곤충 장막 미생물 붕괴제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균주(strains),
지질 합성 억제제,
테트론산, 예를 들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테트람산, 예를 들어
스피로테트라메이트, 시스-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아자스피로[4.5]데-3-센-2-온,
카복사미드, 예를 들어
플로니카미드,
옥토파미너직 작용제(octopaminergic agonist), 예를 들어
아미트라즈,
마그네슘-촉진 ATPase 저해제, 예를 들어
프로파기트,
네레이스톡신 유사체, 예를 들어
티오사이클람 하이드로겐 옥살레이트, 티오설탑-소듐,
리아노딘 수용체 작용제,
벤조디카복사미드, 예를 들어
플루벤디아미드,
안트라닐아미드, 예를 들어
리낙시피르(3-브로모-N-{4-클로로-2-메틸-6-[(메틸아미노)카보닐]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
생물제, 호르몬 또는 페로몬, 예를 들어
아자디라크틴, 바실러스(Bacillus) 종, 뷰베리아(Beauveria) 종, 코들몬, 메타리지움(Metarrhizium) 종, 파에실로마이세스(Paecilomyces) 종, 투링기엔신, 버티실리움(Verticillium) 종,
작용 기전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비특이적인 활성 화합물,
훈증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메틸 브로마이드, 설퍼릴 플루오라이드,
먹이섭취 방지제, 예를 들어
크리오라이트, 플로니카미드, 피메트로진,
응애 성장 억제제, 예를 들어
클로펜테진, 에톡사졸, 헥시티아족스,
아미도플루메트,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부프로페진, 키노메티오네이트, 클로르디메포름, 클로로벤질레이트, 클로로피크린, 클로티아조벤, 사이클로프렌, 사이플루메토펜, 디사이클라닐, 페녹사크림, 펜트리파닐, 플루벤지민, 플루페네림, 플루텐진, 고시플루레, 하이드라메틸논, 자포닐루레, 메톡사디아존, 석유,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포타슘 올레에이트, 피리달릴, 설플루라미드, 테트라디폰, 테트라설, 트라아라텐, 버부틴.
기타 공지된 활성 화합물, 예컨대 비료와의 혼합물, 또는 식물 특성 개량제와의 제제가 또한 가능하다.
살충제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상승제와의 혼합물로서 그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제 및 이들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에 존재할 수 있다. 상승제는 첨가되는 상승제 그 자체가 활성화될 필요없이 활성 화합물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살충제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식물 환경, 식물 부분의 표면 또는 식물 조직에 사용후 활성 화합물의 분해를 감소시키는 억제제와의 혼합물로서 그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제 및 이들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에 존재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의 활성 화합물 함량은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사용형의 활성 화합물 농도는 활성 화합물 0.00000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화합물은 사용형에 적합한 통상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또는 작물(자연 발생 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물은 식물 육종권자의 주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 식물 재배종 및 형질전환(transgenic) 식물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식물 재배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생명공학 또는 유전자공학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의 부분은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자루(stalk), 줄기(stem), 꽃, 과실체, 과일, 종자, 뿌리, 괴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다. 수확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묘목, 괴경, 뿌리 줄기, 삽목 및 종자가 또한 식물 부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로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증발, 분무, 뿌리기, 살포, 주입에 의해서 및, 번식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일 또는 다중 코팅을 적용하여 직접, 또는 그의 주변, 서식지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야생 식물종 및 식물 재배종, 또는 통상적인 생물학적 육종법, 예를 들어 교잡육종 또는 원형체 유합(protoplast fusion)에 의해 얻어진 식물 종 및 식물 재배종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 적합하다면 통상적인 방법과 함께 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형질전환 식 물(transgenic plant) 및 식물 재배종(유전자 변형 유기체)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용어 "부위",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부위"는 상기 설명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시판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식물 재배종의 식물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다. 식물 재배종이라는 것은 통상적인 육종 기술, 돌연변이형성 또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육종되는 새로운 성질("형질")을 갖는 식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은 재배종(cultivars), 생리형(biotype) 및 유전자형(genotype)일 수 있다.
식물 종 또는 식물 재배종, 이들의 장소 및 성장 조건(토양, 기후, 생장기, 영양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또한 상가("상승")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물질 및 조성물의 적용비율의 감소 및/또는 활성 스펙트럼의 확대 및/또는 활성 증가,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수확량 증가, 수확 산물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및 수확 산물의 저장성 및/또는 처리성 향상과 같은 효과가 실제 기대되는 것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처리될 형질전환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것)에는 유전자 변형으로 이들 식물에 특히 유리한 유용한 형질을 제공하는 유전자 물질을 함유하는 모든 식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형질의 예로는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수확량 증가, 수확 산물 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및 수확 산물의 저장성 및/또는 처리성 증대가 포함된다. 또 다른 특히 주목할만한 상기 형질의 예로 동물 및 미생물 해충, 예를 들어 곤충, 응애, 식물병원성 진균,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 및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가 있다. 형질전환 식물의 예로 중요한 작물, 예를 들어 곡물(밀, 쌀), 옥수수, 대두, 감자, 사탕무, 토마토, 완두 및 기타 채소 품종, 목화, 담배, 유지종자 평지 및 과수 식물(사과, 배, 감귤 및 포도 과일이 열리는)이 언급될 수 있으며, 옥수수, 대두, 감자, 목화, 담배 및 유지종자 평지가 특히 주목된다. 특히 강조되는 형질은 특히 식물에 형성된 독소, 특히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얻은 유전자 물질(예를 들어 유전자 CryIA(a), CryIA(b), CryIA(c), CryIIA, CryIIIA, CryIIIB2, Cry9c, Cry2Ab, Cry3Bb 및 CryIF 및 이들 조합)에 의해 식물(이후 "Bt 식물"로 언급)에 형성된 독소로 인한 곤충, 거미류, 선충, 민달팽이 및 달팽이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이다. 특별히 강조되는 다른 형질은 전신적으로 획득한 내성(SAR), 시스테민, 피토알렉신, 엘리시터 및 내성 유전자 및 상응하게 발현된 단백질 및 독소로 인한 진균,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내성 증가다. 특별히 강조할 만한 형질은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논, 설포닐우레아, 글리포세이트 또는 포스피노트리신(예를 들어 "PAT" 유전자)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다. 목적하는 각 형질을 부여하는 유전자가 또한 상호 조합으로 형질전환 식물에 존재할 수 있다. "Bt 식물"의 예로 YIELD GARD® (예: 옥수수, 목화, 대두), KnockOut®(예: 옥수수), StarLink®(예: 옥수수), Bollgard®(예: 목화), Nucotn®(예: 목화) 및 NewLeaf®(예: 감자)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대두 품종 및 감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의 예로 Roundup Ready®(글리포세이트 내약성, 예: 옥수수, 목화, 대두), Liberty Link®(포스피노트리신 내약성, 예: 유지종자 평지), IMI®(이미다졸리논 내약성) 및 STS®(설포닐우레아 내약성, 예: 옥수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및 대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제초제 내약성을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육종된 식물)의 예로 Clearfield® 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품종(예: 옥수수)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은 또한 미래에 개발되고/되거나 시장화될 식물로, 상술된 유전적 형질을 지니거나 여전히 개발될 여지가 남아 있는 식물 재배종에도 적용된다.
상기 열거된 식물들이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로 특히 유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조성물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범위가 또한 이들 식물의 처리에도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조성물로 식물을 처리하는 것이 특히 언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공업용 물질을 파괴하는 곤충에 대하여 강력한 살충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의 곤충들이 바람직한 예로서 언급될 수 있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딱정벌레(Beetles), 예를 들어 힐로트루페스 바줄루스(Hylotrupes bajulus), 클로로포루스 필로시스(Chlorophorus pilosis), 아노비움 푼크타툼(Anobium punctatum), 크세스토비움 루포빌로숨(Xestobium rufovillosum), 프틸리누스 펙티코르니스(Ptilinus pecticornis), 덴드로비움 페르티넥스(Dendrobium pertinex), 에르노비우스 몰리스(Ernobius mollis), 프리오비움 카르피니(Priobium carpini), 릭투스 브룬네우스(Lyctus brunneus), 릭투스 아프리카누스(Lyctus africanus), 릭투스 플라니콜리스(Lyctus planicollis), 릭투스 리네아리스(Lyctus linearis), 릭투스 푸베센스(Lyctus pubescens), 트로곡실론 아에쿠알레(Trogoxylon aequale), 민테스 루기콜리스(Minthes rugicollis), 질레보루스 종(Xyleborus spp.), 트립토덴드론 종(Tryptodendron spec.), 아파테 모나쿠스(Apate monachus), 보스트리쿠스 카푸킨스(Bostrychus capucins), 헤테로보스트리쿠스 브룬네우스(Heterobostrychus brunnes), 시녹실론 종(Synoxylon spec.), 디노데루스 미누투스(Dinoderus minutus).
히메노프테론(Hymenopteran), 예를 들어, 시렉스 주벤쿠스(Sirex jubencus), 우로세루스 기가스(Urocerus gigas), 우로세루스 기가스 타이그누스 (Urocerus gigas taignus), 우로세루스 아우구르(Urocerus augur).
흰개미(Termites), 예를 들어, 칼로테르메스 플라비콜리스(Kalotermes flavicollis), 크립토테르메스 브레비스(Cryptotermes brevis), 헤테로테르메스 인 디콜라(Heterotermes indicola), 레티쿨리테르메스 플라비페스(Reticulitermes flavipes), 레티쿨리테르메스 산토넨시스(Reticulitermes santonensis), 레티쿨리테르메스 루시푸구스(Reticulitermes lucifugus), 마스토테르메스 다위니엔시스 (Mastotermes darwiniensis), 주테르모프시스 네바덴시스(Zootermopsis nevadensis), 코프토테르메스 포르모사누스(Coptotermes formosanus).
좀(Bristletalis), 예를 들어, 레피스마 사카리나(Lepisma saccharina)
본 발명에서 공업용 물질은 무생 물질,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접착제, 아교, 종이, 판지, 가죽, 목재, 가공 목제품 및 코팅 조성물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석 사용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추가의 살충제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살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추가의 첨가제로는 상기 언급된 살충제 및 살진균제가 예시될 수 있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112 g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0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30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4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5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및
431.5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102 g의 티아클로프리드 및 10 g의 델타메트린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 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2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112 g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5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30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6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7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26.5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102 g의 티아클로프리드 및 10 g의 델타메트린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3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112 g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25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30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8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19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16.5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102 g의 티아클로프리드 및 10 g의 델타메트린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4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113 g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0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198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0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1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87.8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76.5 g의 티아클로프리드 및 10.2 g의 델타메트린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5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113 g -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5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198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2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3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82.8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76.5 g의 티아클로프리드 및 10.2 g의 델타메트린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6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30 g - 폴리알콕실화 알콜
5 g - 나프탈렌설포네이트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0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00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4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5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97.4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153.1 g의 스피로테트라메이트를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7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g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30 g - 폴리알콕실화 알콜
5 g - 나프탈렌설포네이트
2 g - 무수 시트르산
0.5 g - 폴리디메틸실록산
2 g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15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00 g - 하기 식의 에틸헥실 알콕실레이트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6
(상기 식에서,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PO는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7
를 나타내며,
8 및 6의 숫자는 평균값임)
492.4 g - 해바라기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 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153.1 g의 스피로테트라메이트를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실시예 8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90 g - 트리데실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포스페이트
10 g - 나프탈렌설포네이트
1 g - 폴리디메틸실록산
15 g - 수소첨가 피마자유
200 g - 하기 화학식 (I-a-1)의 에톡실화 게르베 알콜
Figure 112009021756712-PCT00028
(상기 식에서,
R은 분지형 C16-C18-알킬을 나타내고,
R'는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부틸을 나타내며,
EO는 -CH2-CH2-O를 나타내고,
b는 8의 수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8의 수는 평균값임)
474 g - 광유
를 혼합하고, 최대 60 ℃의 온도에서 균질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이 용액에 210 g의 테부코나졸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더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현탁액을 우선 거칠게 그라인딩하고, 이어서 미세하게 그라인딩하여 고체 입자의 90%가 6 ㎛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현탁액을 얻었다.
하기 제품들이 실시예에 사용되었다:
Aerosil® R 812 S 소수성 실리카
Arlatone® T(V)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올레에이트
Atlox® 3467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에틸헥산올 및 단일 분지형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혼합물
Atlox® 4894 폴리알콕실화 알콜
Bayol® 95 광유(파라핀유)
Castorwax® MP-70 수소첨가 피마자유
Exxsol® D 130 광유
Morwet® D 425 나프탈렌설포네이트
Rhodafac RS 610 트리데실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포스페이트
Silfoam® 1132 폴리디메틸실록산
Vulkanox® BHT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사용 실시예 I
왁스-함유 OD 제제 적용후 내강우성을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OD 제제와 비교하여 결정
원칙상, 우수한 내강우성은 적용후 수시간에 걸친 활성 화합물의 신속한 흡수 또는 우수한 내코팅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비에 의한 습윤도 및 식물 표면상의 부착성에 좌우된다. 이러한 성질들은 동시에 작용하며, 활성 화합물이 잎 표면으로부터 얼마나 빨리 씻겨져 나가는지를 결정한다. 이 시험에서는, 비가 내려서 씻겨져 나간 활성 화합물의 양을 조성물 적용으로부터 비가 내리기 까지의 시간 함수로 측정하였다.
목화(Gossypium hirsutum L. 품종 카르멘(Carmen)), 밀(Triticum aestivum L. 품종 오레스티스(Orestis)) 및 보리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OD110 제제(실시예 I, 실시예 II 및 실시예 III)를 시판 제제 Proteus® OD110(Bayer CropScience)와 비교하였다. 이 제제는 활성 화합물인 델타메트린 및 티아클로프리드를 포함한다. 물에 훨씬 잘 용해되는 활성 화합물로서, 티아클로프리드는 단독으로(수용액으로 적용됨) 잎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완전히 씻겨져 버린다. 따라서, 제제의 내강우성 효과는 티아클로프리드에 대해 측정하였다.
수돗물을 사용하여 제제를 활성 화합물 농도가 0.2 g/l의 티아클로프리드(이는 물 250 리터중 제품 0.5 l의 적용 비율에 해당함)인 분무액으로 전환시켰다. 분무액은 트레이서로서, 방사성 티아클로프리드를 1500 dpm/㎕의 농도로 함유하였다. 각 제제 5×2 ㎕를 3 잎의 앞면 1/3 부분에 적용하였다(t = 0에 해당함). 전 시험은 레인 노즐(풀 콘형 노즐, full cone nozzle FC 468.528.16.42, Lechler)로부터 탈이온수의 물을 대는 스테인레스강 스프레이 캐빈에서 실온(20 내지 22 ℃)으로 수행되었다. 적용 후 지정 시점에, 물을 대기 개시하였다. 이는 각 경우 2 mm의 5 관개 형태(t = 0, 15, 30, 45 및 60 분 후)로 1 시간에 걸쳐 10 mm 양의 비의 관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물이 잎 위에 계속해서 존재하고, 따라서 분무 코팅의 초기 용해 및 씻겨 내림이 최대 수준이기 때문에 비 작용에 대 한 최악의 시나리오이다.
각 잎에 대해 개별적으로, 잎 끝을 통해 타고 내려온 빗물로 액체 비를 유리 비이커에 정량적으로 모으고, 분취액을 취하였다(씻겨 내린 부분). 씻겨 내린 액체 분취액 및 각 경우 2 ㎕ 적용량의 5 대조군을 신틸레이션 계수기로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이용하여 분무 코팅의 내강우성 부분 및 씻겨 내린 부분의 분율을 결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제제의 경우에는, Confidor® Energy를 비교 제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이 제제는 활성 화합물로서 이미다클로프리드 및 델타메트린을 각각 75 및 10 g/l의 양으로 포함한다.
표 1
목화에 적용하고 2 시간후 티아클로프리드의 내강우성
제제 씻겨 내린 % 분무 코팅중 %
Proteus® OD110 92.2 7.8
실시예 I 67.9 32.1
실시예 II 82.9 17.1
실시예 III 73.6 26.4
표 2
목화에 적용하고 0.5 시간후 티아클로프리드의 내강우성(바람-건조; 15 분후 건조)
제제 씻겨 내린 % 분무 코팅중 %
Proteus® OD110 86.0 14.0
실시예 I 64.5 35.5
실시예 II 55.0 45.0
실시예 III 54.3 45.7
표 3
밀에 적용하고 2 시간후 티아클로프리드의 내강우성
제제 씻겨 내린 % 분무 코팅중 %
Proteus® OD110 84.9 15.1
실시예 I 83.7 16.3
실시예 II 73.6 26.4
실시예 III 82.9 17.1
표 4
보리에 적용하고 0.5 시간후 티아클로프리드의 내강우성(바람-건조; 15 분후 건조)
제제 씻겨 내린 % 분무 코팅중 %
Proteus® OD110 72.2 27.8
실시예 I 68.0 32.0
실시예 II 67.0 33.0
실시예 III 69.4 31.6
표 5
목화에 적용하고 2 시간후 이미다클로프리드의 내강우성
제제 씻겨 내린 % 분무 코팅중 %
Confidor® Energy 93.6 6.4
실시예 IV 74.9 25
실시예 V 80.3 19.7
시험 설명: 큐티클 레벨에 대한 침투제
이하, 큐티클 레벨에 침투제로 작용하는 첨가제를 촉진 첨가제(참조: Schoenherr and Baur, 1994, Pesticide Science 42, 185-208)로 언급하겠다. 촉진 첨가제는 수성 분무액 및/또는 분무 코팅으로부터 큐티클로 침투함으로써 큐티클내 활성 화합물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해, 다른 첨가제들,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분무 코팅에서만 작용하거나(액체상을 통해), 또는 습윤제, 예를 들어 소듐 도데실설페이트로만 작용한다.
본 시험에서는, 큐티클 레벨에서 다른 물질들의 침투성에 첨가제가 미치는 효과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큐티클내 시험 물질의 이동성은 탈착법을 이용하여 첨가제의 존재 및 부재하에 측정되었다. 이 방법은 문헌 [(Baur et al., 1997, Pesticide Science, 51, 131-152)에 상세히 공개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원리와 변경 내용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하겠다.
본 시험에서 선택된 트레이서 시험 물질은 방사성표지 약 유기산이다. 사용한 식물 물질은 야외에서 자라고 있는 배 나무잎의 상면으로부터 효소적으로 분리한 잎 큐티클이다. 큐티클을 특수 제작한 스테인레스 스틸 확산 셀에 마운팅하였다. 트레이서를 pH 3의 시트르산에 용해시켜 최초에 잎의 내면을 향해 배향된 면에 적용하였다. 이 잎의 내면은 비해리 산 형태로 소량의 방사성 트레이서를 신속히 흡수한다. 이어서, 이 내면을 커버링하여 100% 대기습도에서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보통 공기에 노출되는 잎 큐티클의 형태학상 외면을 수용체 용액으로서 완충액(pH 7)과 접촉시키고, 탈착을 개시시켰다. 침투된 산 형태의 시험 물질은 수 용체에 의해 해리되며, 1차 반응속도식 후 탈착이 일어난다. 탈착 상수는 큐티클내 트레이서의 이동성에 비례한다.
이들 상수를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2회 반복 후, 시험할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완충액을 사용하여 탈착을 계속한다. 첨가제 특성에 따라, 큐티클내 첨가제의 수착이 있으며, 큐티클 가소제로서의 효과에 따라, 큐티클내 트레이서의 이동성이 증가된다. 이는 보다 높은 탈착 상수로서 자체로 나타나며, 첨가제 존재시 증가/첨가제 부재시의 증가비는 큐티클 레벨에 대한 침투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다양한 첨가제의 평균 효과 비교는 큐티클의 가소제로서의 그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1)

  1.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및
    -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액체 농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 수소첨가 피마자유,
    - 적어도 하나의 침투제,
    -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오일 또는 광유,
    -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 실온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농약 활성 화합물 1 내지 40 중량%,
    - 수소첨가 피마자유 0.5 내지 3 중량%,
    - 적어도 하나의 침투제 5 내지 50 중량%,
    -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오일 및/또는 광유 15 내지 75 중량%,
    - 비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분산제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화합물로서 티아클로프리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화합물로서 이미다클로프리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화합물로서 스피로테트라메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화합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화합물로서 테부코나졸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수소첨가 피마자유를 농축 조성물 또는 즉시 사용형(ready-to-use) 조성물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액체 농약 조성물의 내강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소첨가 피마자유가 1 내지 2.5 중량%의 최종 농도로 농 축 조성물에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액체 농약 조성물의 내강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소첨가 피마자유의 용도.
KR1020097007427A 2006-09-15 2007-09-01 유성 현탁 농축물 KR101410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3444A DE102006043444A1 (de) 2006-09-15 2006-09-15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DE102006043444.7 2006-09-15
PCT/EP2007/007655 WO2008031512A1 (de) 2006-09-15 2007-09-01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41A true KR20090060341A (ko) 2009-06-11
KR101410717B1 KR101410717B1 (ko) 2014-07-03

Family

ID=3882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27A KR101410717B1 (ko) 2006-09-15 2007-09-01 유성 현탁 농축물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1) EP2068625B1 (ko)
JP (1) JP5237952B2 (ko)
KR (1) KR101410717B1 (ko)
CN (1) CN101534640B (ko)
AR (1) AR062842A1 (ko)
AT (1) ATE509525T1 (ko)
AU (1) AU2007297016B2 (ko)
BR (1) BRPI0716832A2 (ko)
CL (1) CL2007002681A1 (ko)
CO (1) CO6150085A2 (ko)
DE (1) DE102006043444A1 (ko)
DK (1) DK2068625T3 (ko)
ES (1) ES2365556T3 (ko)
IL (1) IL197508A0 (ko)
MA (1) MA30789B1 (ko)
MX (1) MX2009002641A (ko)
PL (1) PL2068625T3 (ko)
PT (1) PT2068625E (ko)
SI (1) SI2068625T1 (ko)
TW (1) TW200829158A (ko)
WO (1) WO2008031512A1 (ko)
ZA (1) ZA200901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2822A1 (de) * 2008-02-25 2009-08-26 Bayer CropScience AG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US20120122696A1 (en) 2010-05-27 2012-05-17 Bayer Cropscience Ag Use of oil based suspension concentrates for reducing drift during spray application
BR112012033694A2 (pt) * 2010-06-29 2015-09-15 Bayer Ip Gmbh composições inseticidas melhoradas compreendendo carbonilamidinas cíclicas.
EP2457890A1 (en) * 2010-11-29 2012-05-30 Cognis IP Management GmbH Biocide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ion products of isoamyl alcohol derivatives
CN102172250A (zh) * 2011-03-24 2011-09-07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白僵菌-多杀霉素油悬浮剂制备方法及应用
RS59886B1 (sr) 2012-05-18 2020-03-31 Bvn Noevenyvedoe Kft Nosači za pesticide i postupak za formiranje adherentnog filma pesticida
JP2014131979A (ja) * 2012-12-06 2014-07-17 Ishihara Sangyo Kaisha Ltd 油性懸濁状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
CN103120158A (zh) * 2013-02-04 2013-05-29 广东中迅农科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悬浮剂的复配增效剂
CN105794833A (zh) * 2014-12-31 2016-07-27 殷瑞嶺 一种吡虫啉和溴氰菊酯的复配农药
JP6671880B2 (ja) * 2015-07-23 2020-03-25 Oatアグリオ株式会社 展着剤組成物
JP6979039B2 (ja) * 2016-07-06 2021-12-08 クロップ エンハンス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農業用用途のための非毒性コーティング濃縮物
CN106489964A (zh) * 2016-10-21 2017-03-15 青岛瀚生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含矿物油的螺虫乙酯可分散油悬浮剂及其制备方法、应用
CN107484767A (zh) * 2017-08-14 2017-12-19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油基悬浮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450225A (zh) * 2019-09-06 2021-03-09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呋虫胺油悬浮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A3164477A1 (en) * 2020-01-14 2021-07-22 Damian Hajduk Nontoxic coating concentrates for agricultural uses
EP3878279A1 (en) 2020-03-10 2021-09-15 Bayer Aktiengesellschaft Use of oil based suspo-emulsion concentrates for reducing drift during spray application
CN115968256A (zh) * 2020-04-03 2023-04-14 迈图高新材料公司 农业流体沉积助剂
CN111528225A (zh) * 2020-05-26 2020-08-14 山东麒麟农化有限公司 防治蔬菜小菜蛾的增效组合物及制备方法
GB202102142D0 (en) * 2021-02-16 2021-03-31 Upl Corporation Ltd Stable fungicidal compositions
CN117615650A (zh) * 2021-08-12 2024-02-27 石原产业株式会社 树脂制农药容器的变形防止方法
CN113875773B (zh) * 2021-10-20 2022-12-27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防控小麦白粉病的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TW202329811A (zh) * 2021-12-13 2023-08-01 美商富曼西公司 防止懸浮液濃縮物組成物中晶體生長之分散劑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7523B2 (ko) * 1972-12-11 1980-09-29
US20020077371A1 (en) * 1990-07-18 2002-06-20 Rhone Poulenc Ac Company Gel formulations for hazardous products
US5425955A (en) * 1992-11-13 1995-06-20 Isp Investments Inc. Compositions of insoluble film-forming polymers and uses therefor
AU719531B2 (en) * 1996-06-28 2000-05-11 Novartis Ag Pesticidal compositions
WO1999027906A1 (en) * 1997-12-03 1999-06-10 Merck & Co., Inc. Long acting injectable formulations containing hydrogenated castor oil
US6743756B2 (en) * 2001-01-26 2004-06-01 Benchmark Research And Technology, Inc. Suspensions of particles in non-aqueous solvents
DE10129855A1 (de) * 2001-06-21 2003-01-02 Bayer Ag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DE102004011007A1 (de) * 2004-03-06 2005-09-22 Bayer Cropscience Ag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JP4570395B2 (ja) * 2004-05-19 2010-10-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展着剤組成物
CN1745635A (zh) * 2005-10-11 2006-03-15 华中师范大学 一种水基型持效卫生杀虫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4640B (zh) 2014-12-10
DK2068625T3 (da) 2011-09-05
MA30789B1 (fr) 2009-10-01
AU2007297016B2 (en) 2013-05-30
BRPI0716832A2 (pt) 2013-10-29
PT2068625E (pt) 2011-07-27
CL2007002681A1 (es) 2008-03-14
AR062842A1 (es) 2008-12-10
TW200829158A (en) 2008-07-16
JP5237952B2 (ja) 2013-07-17
KR101410717B1 (ko) 2014-07-03
CO6150085A2 (es) 2010-04-20
JP2010503626A (ja) 2010-02-04
EP2068625B1 (de) 2011-05-18
EP2068625A1 (de) 2009-06-17
DE102006043444A1 (de) 2008-03-27
MX2009002641A (es) 2009-03-26
WO2008031512A1 (de) 2008-03-20
ZA200901691B (en) 2010-05-26
ATE509525T1 (de) 2011-06-15
AU2007297016A1 (en) 2008-03-20
SI2068625T1 (sl) 2011-09-30
ES2365556T3 (es) 2011-10-06
IL197508A0 (en) 2009-12-24
PL2068625T3 (pl) 2011-10-31
CN101534640A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717B1 (ko) 유성 현탁 농축물
TWI505775B (zh) 油基懸浮濃縮物
KR101444198B1 (ko) 현탁 농축물
MX2009001353A (es) Uso de derivados de acido tetramico con fertilizantes.
KR20090074182A (ko) 침투 증진제로 폴리알콕시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분산성 농약 제제
KR20090024813A (ko) 살충제와 살진균제의 상승작용성 혼합물
RU2447659C2 (ru) Жидкие композиции пиретроидов
KR20090060446A (ko) 재배 기재에 적용시 농약 조성물의 생물학적 작용 개선, 적합한 제제 및 그의 용도
JP2010513347A (ja) 相乗的活性成分組合せ
KR20090042860A (ko) 농약 활성제의 방출 조절용 제제
WO200911802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imal pest and plant pathogenic fungi by applying an agrochemical composition into the culture medium, suitable formulation and use thereof
KR20070086258A (ko) 치환된 옥시구아니딘
KR20090040468A (ko) 살충성을 지니는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실산 유도체
BRPI0908253B1 (pt) Concentrados para suspensão à base de óleo, bem como seu processo de preparação e sua aplicação, e agente
TW200829162A (en) Improvement of the biological action of agrochemical compositions on application to the culture substrate, suitable formulations and their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