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873A -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873A
KR20090059873A KR1020070126949A KR20070126949A KR20090059873A KR 20090059873 A KR20090059873 A KR 20090059873A KR 1020070126949 A KR1020070126949 A KR 1020070126949A KR 20070126949 A KR20070126949 A KR 20070126949A KR 20090059873 A KR20090059873 A KR 2009005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plunger body
plunger
insertion device
barre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riority to KR102007012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873A/ko
Publication of KR2009005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93Flashback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침 캐뉼러를 배럴내에 밀어 넣을 수 있고, 또, 배럴내에 흡입된 혈액이 침 캐뉼러로부터 사출되지 않는 주사기식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관형상으로 형성된 배럴수단과, 침 캐뉼러와 침 캐뉼러를 포위하여 확고히 지지하는 침 장착부와 침 장착부를 포위하도록 배럴수단 내에 유지하는 유지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침 캐뉼러수단과, 후방으로부터 배럴수단의 후단개구에 끼워넣어지고, 배럴수단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으로 침 장착부와 유지링의 유지관계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침 장착부에 접촉하여 접속할 수 있는 수용유닛을 갖고 있는 플런저수단과, 침 장착부와 유지링의 유지관계가 해제되면, 침 캐뉼러를 노출하지 않도록 배럴수단 내에 수용하도록, 수용유닛과 침 장착부를 플런저체의 후단으로 이동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이나 위생상의 관점에서 보다 우수한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이다. 해당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9)는, 본체(91)에 침 캐뉼러(needle cannula)(94)가 마련되는 본체수단(9A)과, 카테터 허브(catheter hub)(92)에 가요성 카테터(93)가 부착되어 있는 카테터 수단(9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침 캐뉼러(94)가 가요성 카테터(93)에 둘러싸이도록 본체수단(9A)에 부착되어 있는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가요성 카테터(93)를 침 캐뉼러(94)와 동시에 환자의 혈관 내에 도입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카테터 수단(9B)의 가요성 카테터(93)를 환자의 혈관 내에 남긴 채로, 본체수단(9A)을 빼내면, 수액기구 또는 공중 배럴(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카테터 허브(92)에 접속하여 약제의 주사 또는 채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9)에서는, 캐뉼러(94)가 확실히 환자의 정맥에 들어갔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이 없어, 조작을 하는 의료 스탭의 경험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험이 충분하지 않는 의료 스탭이 조작 실수를 범할 우려가 있다.
또, 해당 종래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9)를 사용할 때, 뽑아 내진 캐뉼러(94) 및 본체(91)를 이웃에 배치하고 있는 트레이(tray)(도시하지 않음)에 둘 필요가 있지만, 이 때 노출하고 있는 캐뉼러(94)의 침 선단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5-312895 호 공보에서는, 본 발명자가 전에 발명한 주사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주사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배럴수단(81)과, 침 캐뉼러 수단(82)과, 플런저 수단(83)으로 이루어진다. 침 캐뉼러 수단(82)은, 침 캐뉼러(821)를 유지하는 침 장착부(針座)(822) 및 침 장착부(822)와 배럴수단(81)의 전단부(811)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지링부(823)에 의해서, 배럴수단(81)의 전단부(811)의 관 내에 유지되어 있다. 플런저 수단(83)의 배럴수단(81)의 후단에 있는 개구로부터 삽입하는 전단부(831)에는, 유지링부(823)를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유지링부(823)와 침 장착부(822)의 유지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단(831a)과, 침 장착부(822)의 후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플런저 수단(83)의 관내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블럭(831b)을 갖고 있다. 또한, 플런저 수단(83)에는 침 장착부(822)의 후단과 결합한 결합블럭(831b)을, 침 장착부(822) 및 침 캐뉼러(821)를 플런저 수단(83)의 후단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스프링(83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본적인 구성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이 일본 특허공개 2005-312895 호 공보에 개시된 주사기를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본체수단으로서 이용하면, 상기 2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즉, 해당 주사기를 플런저 수단(83)의 전단이 침 장착부(822)의 부근에 배치된 상태로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본체 수단으로서 이용하고, 플런저 수단(83)의 후단에 있는 조작 단(833)을 후방으로 천천히 빼면서 환자의 체내에 삽입한다. 환자의 혈액이 침 캐뉼러(821)를 경유하여 해당 주사기를 플런저 수단(83)의 전단과 침 장착부(822)의 사이에 있는 챔버(812) 내에 흡입되는 것을 시인할 수 있으면, 침 캐뉼러(821)가 확실히 환자의 혈관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9)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어 가요성 카테터(841)가 해당 주사기의 침 캐뉼러(821)를 둘러싸도록 부착되는 카테터 수단(84)은, 상기 가요성 카테터(841)를 환자의 혈관내에 남겨 본체수단으로서의 해당주사기를 빼내고, 그리고 플런저 수단(83)을 전방으로 눌러 전진시켜 유지링부(823)와 침 장착부(822)의 유지관계를 해제하여 침 장착부(822)의 후단과 결합블럭(831b)을 결합시키고, 스프링(832)은 배럴수단(81) 외부로 노출하고 있었던 침 캐뉼러(821)를 침 장착부(822)및 결합블럭(831b)과 동시에 플런저 수단(83)의 후단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기본적인 구성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던 한편, 또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것이, 침 캐뉼러(821)를 밀어 넣기 위해서는, 침 장착부(822)의 후단과 결합블럭(831b)을 결합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래서는 플런저 수단(83)의 전단(결합블럭(831b))과 침 장착부(822)의 사이에 있는 챔버(812) 내에 흡입된 혈액을 수용하는 공간이 없어져, 갈곳이 없는 혈액은 유일한 출구인 침 캐뉼러(821)의 선단 개구로부터 사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점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성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문제점과, 본체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침 캐뉼러 인입식 주사기가 만들어 내는 문제점을 일제히 해결할 수 있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축선 방향을 향하여 그 전단(132)에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소직경부(134)와, 동 축선방향을 향하여 후단(131)에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대직경부(133)와, 상기 소직경부의 후단과 상기 대직경부의 전단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상기 소직경부로 직경이 축소하는 접합부(135)로 형성된 관형의 배럴수단(1)과, 전단이 침 선단(231)으로서 날카롭게 형성된 침 캐뉼러(23)와, 대략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침 캐뉼러를 외주로부터 확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소정범위 내에 제한되도록, 상기 배럴수단 내의 전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침 장착부(22)와, 상기 침 장착부를 끼우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침 장착부의 외주면과 상기 배럴수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침 장착부를 유지하고, 후방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하면,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게 되는 유지링(21)을 구비하고 있는 침 캐뉼러수단(2)과, 상기 배럴수단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 내에 전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전단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관형상체로, 후방으로부터 상기 배럴수단의 후단개구에 끼워지고, 전단면이 상기 유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유지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진행할 수 있는 플런저체(32)와; 상기 플런저체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그리고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플런저체에 대하여 후방로 누르면,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플런저체 내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는 동시에, 그 전단부가 상기 플런저체의 배럴수단에 대한 상대운동에 따라서 전진하여 상기 침 장착부의 후단부에 접촉하여 접속할 수 있는 후 접속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 접속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개구와 연통하는 개구와, 상기 플런저체의 관내 공간과 연통하여 기체의 왕래만을 허용하는 제 1 통풍구를 갖도록 중공의 관형상체에 형성되는 수용 유닛(34)을 구비하고 있는 플런저수단과; 상기 플런저수단의 플런저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진하고,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면이 상기 유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유지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하여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수단이 계속해서 전진하여 상기 수용유닛의 후 접속 단부가 상기 침 장착부의 후단부에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수용 유닛이 전방으로의 이동이 소정범위에 도달하여 전진할 수 없게 되는 상기 침 장착부에 부딪치게 되어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빠지면, 상기 침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침 캐뉼러를 노출하지 않도록 상기 배럴수단 내에 수용하도록, 상기 수용유닛과 상기 침 장착부를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으로 이동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 수단(4)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공통·도 3, 5 참조)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링(21)의 상기 침 장착부(22)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과, 상기 배럴수단(1)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주면에는, 각각 제1 링홈(211)과 제2 링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침 장착부(22)의 외주면의 후단 부근과 상기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는, 각각 상기 제1 링홈과 상기 제2 링홈에 대응하여 끼워넣는 것에 따라 상기 침 장착부를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유지할 수 있는 제1 링 돌기(222)와 제2 링 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시킨 단차부(段部)(139)를 갖고 있고, 상기 침 장착부의 전단에는, 상기 단차부에 대응하여 전방에 면하여, 해당 단차부에 접촉하면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그 전단(411)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소직경부의 선단벽의 내측 후방에 면한 배럴 접촉단부(141)에 접촉하고, 그 후 단(412)이 상기 침 장착부의 침 장착부 접촉단부에 접촉하도록 축설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41)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 코일 스프링의 신장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양단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대직경부의 전단 부근과, 상기 수용유닛의 외주면의 후단 부근의 사이에 축설되는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코일 스프링의 신장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전단(421)이 상기 수용유닛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고, 후단(422)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대직경부의 후단 부근에 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인장코일 스프링(42)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 인장코일 스프링의 수축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수단에는,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단 캡(37)을 더 갖고, 그 전단이 상기 수용유닛의 외주면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고, 후단이 상기 플런저수단의 상기 조작단 캡(37)에 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갖고, 해당 인장 코일 스프링의 수축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수용유닛이 갖는 상기 제 1 통풍구(344)가 기체의 왕래만을 허용할수 있도록, 상기 제 1 통풍구를 피복하도록 부착하여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키는 필터(3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의 통 내는,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플런저체가 자유롭게 전후 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부에는, 해당 간극을 수밀(water-tight)로 막는 동시에, 상기 유지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하여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면을 갖고 있는 밀봉 부재(36)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플런저체에는, 해당 플런저체 관내 공간을 외부와 연통하고, 또 사용자가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제 2 통풍구(33)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통풍구는,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 부근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풍구는,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에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풍구는, 관형상체에 형성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풍구가 관형상체에 형성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로서 형성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제 2 통풍구를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커버를 더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통풍구가 관형상체에 형성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로서 형성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 근처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오는 상기 수용유닛이 해당 제 2 통풍구로부터 나가지지 않도록, 내측에 돌기하여 상기 수용유닛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토퍼(327)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허브(51)와, 상기 카테터 허브에 마련되고, 상기 침 캐뉼러의 배럴수단으로부터 노출하는 근원의 부분을 파지하여 침 선단을 노출시키는 가요성 카테터(52)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터 수단(5)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에는,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된 링 돌기(325)를 갖고,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링 돌기와의 계합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링 홈(13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이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상기 수용유닛이 상기 침 장착부에 접촉하여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빠지도록 전진한 후, 상기 배럴수단의 후단개구 주연에 접촉하여 상기 플런저체의 추가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되는 제한링 돌기(324)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상의 주사기와 같이 침 캐뉼러가 환자의 혈관에 진입했는지를, 혈액이 배럴 내에 흘러 들어오는 것을 보고 있고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 후에 배럴수단 밖으로 노출하고 있었던 침 캐뉼러를 배럴수단 내에 밀어 넣은 것에 따라 침 캐뉼러의 침 선단에 찔리는 사고의 발생확률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럴수단 내에서의 플런저 수단과 침 캐뉼러수단의 사이에 흡입된 혈액을 수용유닛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할 수 없던 공기를 플런저 관벽이나 후단의 제 2 통풍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이 침 캐뉼러의 선단개구로부터 사출하여 환경을 오염시칼 우려도 없다.
도 1은 종래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사용 완료된 침 캐뉼러를 배럴내에 밀어 넣어 수용할 수 있는 종래의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조립한 전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침 캐뉼러수단의 주변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용 완료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용 완료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4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5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8의 실시형태의 사용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럴수단 131 : 배럴수단의 후단
132 : 배럴수단의 전단 133 : 대직경부
134 : 소직경부 135 : 접합부
136 : 링 홈 137 : 제2 링 돌기
138 : 손가락 접촉 플랜지 139 : 단차부
141 : 제 1 배럴 접촉단부 2 : 침 캐뉼러수단
21 : 유지 링 211 : 제2 링 홈
212 : 제1 링 홈 221 : 침 장착부 접촉단부
222 : 제1 링 돌기 223 : 전 접속단부
224 : 관 형상부 23 : 침 캐뉼러
231 : 침 선단 26 : 프로텍터
3 : 플런저 수단 31 : 플런저수단의 관내 공간
32 : 플런저체 324 : 제한 링 돌기
327 : 스토퍼 33 : 제 2 통풍구
34 : 수용유닛 341 : 계합돌기
343 : 후 접속단부 344 : 제1 통풍구
35 : 필터 36 : 밀봉 부재
361 : 전단면 37 : 조작단 캡
38 : 커버 4 : 가압수단
41 : 코일 스프링 411 : 코일 스프링의 전단
412 : 코일 스프링의 후단 42 : 인장 코일 스프링
421 : 인장코일 스프링의 전단 422 : 인장코일 스프링의 후단
5 : 카테터 수단 51b : 카테터 허브 52 : 가요성 카테터
이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해당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조립하기 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조립한 전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침 캐뉼러 수단의 주변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제 1 실시형태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는, 주로, 각 부재를 수용하거나 또는 부착되는 본체부로서의 배럴수단(1)과, 침 캐뉼러(23)와 침 캐뉼러(23)를 배럴수단(1)에 부착하기 위한 각 부재로 이루어지는 침 캐뉼러수단(2)과,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단을 갖고 각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플런저 수단(3)과, 침 캐뉼러(23)를 배럴수단(1)내에 밀어 넣어 수용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4)과, 배럴수단(1) 및 침 캐뉼러수단(2)에 부착되는 카테터 수단(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배럴수단(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축선방향을 포위하여 전단(132)에 침 캐뉼러(23)가 전방으로 연신하여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소직경부(134)와, 마찬가지로 상기 축선방향을 포위하여 후단(131)에 플런저 수단(3)이 삽입하는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대직경부(133)와, 소직경부(134)의 후단과 대직경부(133)의 전단의 사이에 개재하고, 대직경부(133)로부터 소직경부(134)로 직경이 축소하여 형성되는 접합부(135)를 갖는 관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타, 대직경부(133)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 형성되어 침 캐뉼러수단(2)과 계합하여 침 캐뉼러수단(2)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 링 돌기(137)와, 대직경부(133)의 내주면의 후단 부근에 형성되어 플런저 수단(3)과 계합함으로써, 플런저(3)의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재이용을 방지하는 링 홈(136)과, 대직경부(133)의 후단(13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 플랜지(138)와, 소직경부(134)의 내주면의 접합부(135)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침 캐뉼러수단(2)의 침 장착부(22)(후술함)에 접촉하기 위한 단차부(139)를 갖고 있다.
침 캐뉼러수단(2)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이 침 선단(231)으로서 날카롭게 형성되는 침 캐뉼러(23)와, 대략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침 캐뉼러(23)의 후단부를 포위하여 확고하게 지지하고, 외주면에 형성되어 유지 링(21)(후술)과 계합하기 위한 제1 링 돌기(222)와, 플런저 수단(3)의 수용유닛(34)(후술)과 접속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후단부에 형성되는 전 접속단부(223)와,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에 형성되는 단차부(139)에 대응하여 전방에 면하도록 전단에 형성되는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와, 해당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의 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134)의 내주면과 동시에 가압수단(4)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1)(후술)의 위치를 고정하는 관형상부(224)를 갖고 있는 침 장착부(22)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링의 내주면에 침 장착부(22)의 제1 링 돌기(222)와 계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링홈(211)을 갖는 동시에, 외주면에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에 형성되는 제2 링 돌기(137)와 계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링홈(212)을 갖고 있는 유지 링(21)을 구비하고 있다.
침 장착부(22)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가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에 형성되는 단차부(139)와 소정거리의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후방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전진하여 해당 단차부(139)와 접촉하면, 배럴수단(1)에 대하여 더 전진할 수 없게된다. 또한, 유지 링(21)은 제1 링 돌기(222)와 제1 링홈(211)의 계합으로 침 장착부(22)를 유지하는 한편, 제2 링 돌기(137)와 제2 링홈(212)의 계합으로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 내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링(21)은, 침 장착부(22) 및 대직경부(133)의 계합에 의해서, 대직경부(133)내에서의 유지 링(21)의 전측과 후측의 공간을 연통하지 않도록 하는 밀봉(seal)으로서의 역할도 해내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유지 링(21)이 후방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배럴수단(1)에 대하여 전방에 이동하면, 침 장착부(22)도 유지 링(21)과 동시에 전진하지만,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에 형성되는 단차부(139)와 접촉하면 배럴수단(1)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유지 링(21)의 직전에는 장해물이 없고, 아직 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링 돌기(222)와 제1 링홈(211)의 계합이 해제되게 되어, 침 장착부(22)의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게 된다.
플런저 수단(3)은, 배럴수단(1)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배럴수단의 대직경부(133)의 후단(131)으로부터 대직경부(133) 내에 삽입되어 전후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전후 양단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관형상체로 형성되는 플런저체(32)와, 플런저체(32)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그리고 전방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플런저 체(32)에 대하여 후방으로 누르면, 플런저 체(32)로부터 분리되도록 플런저체(32) 내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는 수용유닛(34)과, 플런저체(32)의 후단개구를 막을 수 있는 조작단 캡(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체(32)는, 대직경부(133) 내의 자유로운 전후 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을 확보하기 위해서,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의 내주면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그 전단부에는, 해당 간극을 수밀로 막는 동시에,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지 링(21)을 배럴수단(1)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하여 침 장착부(22)의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면(361)을 갖고 있는 밀봉 부재(36)가 부착되고, 더 후단에 부착되어 있는 캡(37)의 부근에는, 관내 공간(31)을 외부와 연통하고,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도 6참조)에 의해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제 2 통풍구(33)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런저체(32)의 외주면에는, 배럴수단(1)의 후단(131)의 개구 주연에 접촉하면, 플런저체(32)의 배럴수단(1)에 대한 추가의 전진을 제한하는 제한 링 돌기(324)가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유닛(34)은 전후 양단에 각각 플런저체(32)의 전단개구와, 플런저체(32)의 관내 공간(31)과 연통하는 개구를 갖는 관형상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전단부에 형성되어 침 장착부(22)의 전 접속단부(223)를 받아 들여 접속 결합할 수 있는 후 접속단부(343)와, 중단부에 형성되어 플런저체(32)와 계합하여 플런저체(32)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계합돌기(341)와, 플런저체(32)의 관내공간(31)과 연통하는 개구로,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키는 필터(35)에 의해 덮여져 있는 제 1 통풍구(344)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플런저 수단(3)의 배럴수단(1)에 대한 전진 행정에 있어서, 배럴수단(1)내의 플런저 수단(3)의 전방에 있는 액체나 기체는 플런저체(32) 및 수용유닛(34)의 전단개구를 경유하여 수용유닛(34)의 관내에 진입하여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기체만 필터(35)를 더 통과하여 플런저 수단(3)의 관내 공간(31)과 제 2 통풍구(33)를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플런저체(32)의 배럴수단(1)에 대한 추가의 전진을 제한하는 제한 링 돌기(324)는, 플런저 수단(3)의 수용유닛(34)이 배럴수단(1)의 단차부(139)에 접촉하기 때문에 전진할 수 없는 침 장착부(22)에 저지되어 침 장착부(22)에 부딪치게 되어 플런저체(32)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전진하면, 마침 배럴수단(1)의 후단(131)의 개구 주연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가압수단(4)으로서 부착되는 코일 스프링(41)은, 전단(411)이 배럴수단(1)의 전단(132) 부근에 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는 배럴 접촉단부(141)에 접촉하도록 부착되고, 후단(412)이 침 장착부(22)의 관형상부(224)와 소직경부(134)의 내주면의 사이에 들어가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에 접촉하도록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134) 내에 축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침 장착부(22)의 유지 링(21)과의 계합과 수용유닛(34)의 플런저체(32)와의 계합이 양쪽 모두 해제되어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면, 코일 스프링(41)의 후단(412)도 해방되게 되어 그 신장력을 이용하여 침 장착부(22)와 수용유닛(34)과 침 캐뉼러(23)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테터 수단(5)은, 배럴수단(1)의 소직경부에 분리할 수 있도록 캡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허브(51)와, 카테터 허브(51)의 전단에 마련되고, 카테터 허브(51)가 배럴수단(1)에 부착되는 상태에 있어서, 침 캐뉼러(23)의 배럴수단(1)으로부터 노출하는 근원의 부분을 둘러싸서 침 선단(231)을 노출시키는 가요성 카테터(52)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전 상태에서 배럴수단(1)의 전단 밖으로 노출하고 있는 침 캐뉼러를 보호하는 캡형상으로 분리가능한 프로텍터(26)를 갖고 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수단(3)의 전단이 유지 링(21)의 부근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침 캐뉼러(23)의 침 선단(231)을 환자의 피부에 찔러 넣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플런저 수단(3)의 제 2 통풍구(33)를 막고 천천히 플런저 수단(3)을 배럴수단으로부터 뽑도록 조작하면,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내에서의 유지링 수단(21)의 후측의 압력은 용적의 증대와 동시에 감압되기 때문에, 침 캐뉼러(23)에 경유하여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 내에 흡입한 혈액의 기세로 침 캐뉼러(23)의 침 선단(231)이 확실히 환자의 혈관 내에 삽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작으로 채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침 캐뉼러(23)의 침 선단(231)이 확실히 환자의 혈관내에 삽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침 캐뉼러(23)를 카테터 수단(5)의 가요성 카테터(52)도 혈관내에 삽입할 때까지 삽입하고,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수단(5)의 카테터 허브(51)를 배럴수단(1)으로부터 분리하고, 카테터 수단(5)의 가요성 카테터(52)를 환자의 혈관내에 남긴 채로, 침 캐뉼러(23)를 환자의 피부로부터 빼낸다. 환자의 피부로부터 빼낸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플런저 수단(3)을 밀봉 부재(36)가 유지 링(21)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으면, 대직경부(133) 내에서의 유지 링(21)과 플런저 수단(3)의 사이에 있던 공기와 혈액은, 플런저 체(32) 및 수용유닛(34)의 전단개구를 경유하여 수용유닛(34)의 관내에 진입하여 수용되게 된다. 플런저체(32)의 관내와 수용유닛(34)이 수용하여 끊어지지 않은 공기는, 도 7에 있어서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루트(route), 즉, 플런저 수단(3)의 관내 공간(31) 및 제 2 통풍구(33)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대직경부(133)내에서의 유지 링(21)과 플런저 수단(3)의 사이에 흡입된 혈액이 거꾸로 침 캐뉼러(23)로부터 사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도 없게 된다.
또, 사용자가 계속하여 플런저 수단(3)을 배럴수단(1)에 밀어 넣으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링(21)은 플런저체(32)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밀봉 부재(36)의 전단면(361)에 의해서 전방으로 눌러 진행하여 침 장착부(2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한편, 전방으로의 이동이 침 장착부(22)에 의해서 저지된 수용유닛(34)은, 전단부에 형성되는 후 접속단부(343)가 침 장착부(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전 접속단부(223)와 접속하는 동시에, 플런저체(3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분리된다. 또, 플런저체(32)의 외주면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되는 링 돌기(325)는, 대직경부(133)의 내주면의 후단 부근에 형성되는 링 홈(136)에 끼워져 플런저체(32)의 배럴수단(1)에 대한 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리고 한쪽 제한 링 돌기(324)는 배럴수단(1)의 후단(131)의 개구 주연에 접촉함으로써 플런저체(32)의 배럴수단(1)에 대한 추가의 전진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체(32)의 배럴수단(1)에 대한 전진도 후퇴도 할 수 없게 되어, 해당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재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침 장착부(22)의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리고 침 장착부(22)의 후측에 있는 수용유닛(34)의 플런저체(32)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도 허용되기 때문에, 가압수단(4)으로서 부착되는 코일 스프링(41)의 침 장착부(22)의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에 접촉하는 후단(412)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회복 신장력을 이용하여 침 장착부(22)와 수용유닛(34)과 침 캐뉼러(23)를, 수용유닛(34)의 후단이 플런저체(32)의 후단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단 캡(37)에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여, 침 캐뉼러(23)의 침 선단(231)까지 배럴수단(1) 내에 수용함으로써, 침 캐뉼러(23)의 침 선단(231)에 찔리는 사고의 발생확률을 낮추도록 도모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또 조작단 캡(37)을 플런저체(32)로부터 분리하면, 수용유닛(34)을 배럴수단(1) 및 플런저체(32)로부터 꺼내서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1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이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가압수단(4)으로서 부착되는 코일스프링(41)은, 전단(411)이 플런저 수단(3)의 플런저체(32)에 부착되고, 후단(412)이 플런저 수단(3)의 수용유닛(34)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플런저체(32)와 해제가능하게 계합하는 접촉 플랜지(342)에 접촉하도록 플런저체(32)의 관내에 축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 장착부(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전 접속단부(223)가 수용유닛(34)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후 접속단부(343)와 접속하여 결합하여, 침 장착부(22)의 유지 링(21)과의 계합과 수용유닛(34)의 접촉 플랜지(342)의 플런저체(32)와의 결합이 양쪽 모두 해제되어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면, 코일 스프링(41)의 후단(412)도 해방되게 되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신장력을 이용하여 침 장착부(22)와 수용유닛(34)과 침 캐뉼러(23)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13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이다. 이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가압수단(4)으로서 부착되는 인장 코일스프링(42)은, 인장된 상태로, 전단(421)이 플런저 수단(3)의 수용유닛(34)의 전단 부근에 마련되는 계합돌기(341)에 고정되고, 후단(422)이 플런저 수단(3)의 플런저체(32)의 후단 부근에 고정되도록 플런저체(32)의 관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 장착부(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전 접속단부(223)가 수용유닛(34)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후 접속단부(343)가 접속하여 결합하면, 침 장착부(22)의 유지 링(21)과의 계합과 수용유닛(34)의 플런저체(32)와의 계합이 양쪽 모두 해제되어 배럴수단(1)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면, 인장코일 스프링(42)의 전단(421)도 해방되게 되어 그 수축력을 이용하여 침 장착부(22)와 수용유닛(34)과 침 캐뉼러(23)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4 실시형태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가압수단(4)으로서 부착되는 인장코일 스프링(42)의 후단(422)이, 플런저 수단(3)의 조작단 캡(37)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 5 실시형태이다. 이 제 5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제 2 통풍구(33)는 플런저체(32)가 아니라, 조작단 캡(37)에 마련된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6 실시형태이다. 이 제6 실시형태는 제5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조작단 캡(37)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2 통풍구(33)를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커버(38)를 더 갖고 있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7 실시형태이다. 이 제7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조작단 캡을 갖지 않고, 그리고 플런저체(32)의 후단개구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제 2 통풍구(33)로서 개방하고, 그리고 플런저체(32)의 후단개구 근처의 내주면에는, 가압수단(4)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오는 수용유닛(34)이 제2 통풍구(33)로부터 나가지지 않도록, 플런저체(3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기하여 수용유닛(34)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토퍼(327)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의 제8 실시형태이다. 이 제8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제7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단 캡을 갖지 않고, 그리고 플런저체(32)의 후단개구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제2 통풍구(33)로서 개방하고, 그리고 플런저 체(32)의 후단개구의 부근에는, 가압수단(4)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오는 수용유닛(34)이 제2 통풍구(33)로부터 나가지지 않도록, 플런저 체(3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기하여 수용유닛(34)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토퍼(327)가 형성되고, 그 위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2 통풍구(33)를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커버(38)를 더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상의 주사기와 같이 침 캐뉼러가 환자의 혈관에 진입했는지를, 혈액의 배럴내에 흡입되는 기세로 시인하여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후에 배럴수단 밖으로 노출하고 있었던 침 캐뉼러를 배럴수단 내에 밀어 넣는 것에 따라 침 캐뉼러의 침 선단에 찔리는 사고의 발생확률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럴수단 내에서의 플런저 수단과 침 캐뉼러수단의 사이에 흡입된 혈액을 수용유닛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할 수 없던 공기를 제 1 통풍구와 제 2 통풍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이 침 캐뉼러의 선단개구로부터 사출되어 환경을 오염할 우려도 없게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높고 다기능인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소정의 축선방향을 향하여 그 전단(132)에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소직경부(134)와, 동 축선방향을 향하여 후단(131)에 개구가 형성된 관형의 대직경부(133)와, 상기 소직경부의 후단과 상기 대직경부의 전단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상기 소직경부로 직경이 축소하는 접합부(135)로 형성된 관형의 배럴수단(1)과,
    전단이 침 선단(231)으로서 날카롭게 형성된 침 캐뉼러(cannula)(23)와, 대략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침 캐뉼러를 외주로부터 확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소정범위 내에 제한되도록, 상기 배럴수단 내의 전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침 장착부(針座)(22)와, 상기 침 장착부를 끼우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침 장착부의 외주면과 상기 배럴수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침 장착부를 유지하고, 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유지링(21)을 구비하고 있는 침 캐뉼러 수단(2)과,
    상기 배럴수단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 내에 전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우고, 그 전단에 개구를 갖는 중공의 관형상체로, 후방으로부터 상기 배럴수단의 후단 개구에 끼워 넣어지고, 전단면이 상기 유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유지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시킬 수 있는 플런저체(32)와, 상기 플런저체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그리고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플런저체에 대하여 후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플런저체 내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는 동시에, 그 전단부가 상기 플런저체의 배럴수단에 대한 상대운동에 따라서 전진하여 상기 침 장착부의 후단부에 접촉하여 접속할 수 있는 후접속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접속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개구와 연통하는 개구와, 상기 플런저체의 관내 공간과 연통하여 기체의 왕래만을 허용하는 제 1 통풍구를 갖도록 중공의 관 형상체로 형성되는 수용유닛(34)을 구비하고 있는 플런저 수단과,
    상기 플런저 수단의 플런저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진하고,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면이 상기 유지링에 접촉하여 상기 유지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시켜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 수단이 계속해서 전진하여 상기 수용유닛의 후접속 단부가 상기 자리의 후단부에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수용 유닛이 전방으로의 이동이 소정범위에 도달하여 전진할 수 없게 되는 상기 침 장착부에 부딪치게 되어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빠지면, 상기 침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침 캐뉼러를 노출하지 않도록 상기 배럴수단 내에 수용하도록, 상기 수용 유닛과 상기 침 장착부를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으로 이동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링(21)의 상기 침 장착부(22)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주면과, 상기 배럴수단(1)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주면에는, 각각 제1 링홈(211)과 제2 링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침 장착부(22)의 외주면의 후단 부근과 상기 배럴수단(1)의 대직경부(133)의 내주면의 전단 부근에는, 각각 상기 제1 링홈과 상기 제2 링홈에 대응하여 끼워넣는 것에 따라 상기 침 장착부를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유지할 수 있는 제1 링 돌기(222)와 제2 링 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시킨 단차부(139)를 갖고 있고, 상기 침 장착부의 전단에는, 상기 단차부에 대응하여 전방에 면하여, 해당 단차부에 접촉하면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침 장착부 접촉단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그 전단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소직경부의 선단벽의 내측후방에 면한 배럴접촉단부(141)에 접촉하고, 그 후단이 상기 침 장착부의 침 장착부 접촉단부에 접촉하도록 축설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 코일 스프링의 신장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그 양단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대직경부의 전단 부근과, 상기 수용유닛의 외주면의 후단 부근의 사이에 축설되는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코일 스프링의 신장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그 전단이 상기 수용유닛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고, 후단이 상기 배럴수단의 상기 대직경부의 후단 부근에 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해당 인장코일 스프링의 수축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에는,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조작단 캡(37)을 더 갖고, 그 전단이 상기 수용유닛의 외주면의 전단 부근에 부착되고, 후단이 상기 플런저수단의 상기 조작단 캡(37)에 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갖고, 해당 인장코일 스프링의 수축력을 상기 가압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수용유닛이 갖는 상기 제 1 통풍구가 기체의 왕래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통풍구를 피복하도록 부착하여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키는 필터(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의 통내는,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플런저체의 자유로운 전후 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체의 전단부에는, 해당 간극을 수밀로 막는 동시에, 상기 유지 링을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눌러 전진하여 상기 침 장착부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면을 갖고 있는 밀봉 부재(36)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플런저체에는, 해당 플런저체 관내공간을 외부와 연통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제 2 통풍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풍구가,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 부근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풍구가,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에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풍구가, 관형상체에 형성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통풍구를 자유롭게 막을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커버(38)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체의 후단개구 근처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오는 상기 수용유닛이 해당 제 2 통풍구로부터 나가지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기하여 상기 수용유닛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토퍼(327)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수단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허브와, 상기 카테터 허브에 마련되어, 상기 침 캐뉼러의 배럴수단으로부터 노출하는 근원 부분을 파지하여 침 선단을 노출시키는 가요성 카테터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터수단을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에는,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된 링 돌기(325)를 갖고, 상기 배럴수단의 대직경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링 돌기와의 계합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수단의 상기 배럴수단에 대한 후퇴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링 홈(136)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수단이 상기 배럴수단에 대하여 상기 수용유닛이 상기 침 장착부에 부딪치게 되어 상기 플런저체로부터 빠지도록 전진한 후, 상기 배럴수단의 후단개구주연에 접촉하여 상기 플런저체의 추가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런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기하도록 형성되는 제한 링 돌기(324)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KR1020070126949A 2007-12-07 2007-12-07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KR20090059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49A KR20090059873A (ko) 2007-12-07 2007-12-07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49A KR20090059873A (ko) 2007-12-07 2007-12-07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873A true KR20090059873A (ko) 2009-06-11

Family

ID=4098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949A KR20090059873A (ko) 2007-12-07 2007-12-07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8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999A (ko) 2015-06-19 2016-12-28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다층프린트 배선판 및 다층프린트 배선판과 커넥터와의 접속구조
KR20190099653A (ko)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KR20230114993A (ko) 2022-01-26 2023-08-02 한성욱 채혈이 용이한 일체형 안전 정맥주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999A (ko) 2015-06-19 2016-12-28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다층프린트 배선판 및 다층프린트 배선판과 커넥터와의 접속구조
KR20190099653A (ko)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KR20230114993A (ko) 2022-01-26 2023-08-02 한성욱 채혈이 용이한 일체형 안전 정맥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938B2 (en) Needle tip protector
KR100934085B1 (ko) 유치침 장치
KR100998126B1 (ko) 의료용 바늘 장치
JP3796514B2 (ja) 収納自在な穿刺針を備えた医療用器具及び同医療用器具の製造方法
US7141040B2 (en) Safety intravenous starter
US6569124B1 (en) Self-protected injection syringe
JP4906508B2 (ja) 留置針組立体
JP4886535B2 (ja) コネクター用キャップ
US8235945B2 (en) Safety device to cover the needle tip of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US6039713A (en)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
US7699814B2 (en) Syringe sheath
KR20160053981A (ko) 피동 안전 i.v 채혈 카테터
JPWO2009013844A1 (ja) 薬液注入器具
KR20090059873A (ko) 정맥내 카테터 삽입장치
CA3071621C (en) Improved medical device with resiliently retracting safety needle
JP2009125312A (ja) カートリッジ式使い捨て注射器
US20230119615A1 (en) Pad for adhering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to the skin, including a needle
JP4722365B2 (ja) 安全有針医療用装置
KR102032950B1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주사기
JP2009136397A (ja) 静脈内カテーテル挿入装置
JP2002505162A (ja) 後退式注射針を持つ流体サンプリングデバイス
KR20190099653A (ko)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JP4683285B2 (ja) 留置針装置
JP5163123B2 (ja) セーフティ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170083934A (ko) 슬라이드 타입 주사바늘 찔림 방지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