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579A -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6579A KR20090056579A KR1020070123793A KR20070123793A KR20090056579A KR 20090056579 A KR20090056579 A KR 20090056579A KR 1020070123793 A KR1020070123793 A KR 1020070123793A KR 20070123793 A KR20070123793 A KR 20070123793A KR 20090056579 A KR20090056579 A KR 200900565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bestos
- containing material
- work
- work area
- roo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75 wastewater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85 pressure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178 malignant mesotheli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91 tox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66—Disposal of asbesto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의 석면함유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은, 건축물의 구조,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석면함유물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현장조사단계; 상기 현장조사단계에서 파악한 정보와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작업계획수립단계; 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작업구역 내의 바닥면, 벽면, 천정면, 창문, 공기 유입구, 콘센트 등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설치하여 작업구역과 외부를 완전하게 차단하고, 음압기, 폐수여과시설을 설치하며, 폐기물 유출구, 이동통로,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작업자 출입구를 확보하는 작업준비단계; 상기 작업준비단계에서 설치된 음압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작업구역 내에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하고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여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에 비산방지제를 살포하고,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작업구역 내를 청소하며, 제거된 석면함유물질을 폐기물 봉투에 수집하여 폐기물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후처리단계;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를 측정하여 석면농도가 일정 값 미만일 경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석면제거 과정에서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거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석면, 석면함유물질, 비산, 제거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내의 석면함유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에 있는 석면함유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Asbestos)이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것의 속칭으로서, 단일섬유가 매우 가늘며, 가는 섬유다발로 쉽게 풀어져 미소섬유나 섬유다발 상태로 대기 중에 쉽게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석면은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등이 뛰어나 석면가스켓(단열재), 석면시멘트(내화재), 석면직물(방화재), 석면크레이크라이닝(마찰재)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건축자재와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등으로 소비되고 있 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석면은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즉,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중피종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석면의 유해성으로 인하여 석면은 독성지정폐기물로 지정되었으나, 현재까지는 실효성 있는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965년부터 1991년에 이르는 동안 소방법에 의해 공공건물 즉, 관공청사, 학교, 지하철, 터미널, 발전소, 체육관, 공항, 댐, 조선소, 물류창고, 영화관, 호텔, 은행 등에는 내벽에 석면을 살포하도록 의무화하였으므로 당시에 건축되어진 거의 모든 건축물에는 석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석면은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공기중에 부유하게 되면서 건축물 내부에서 활동하는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지하철이나 학교 등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시설 등에 있는 석면으로 인하여 국민건강이 심각하게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1991년부터 석면의 사용이 규제되면서 신축건물에는 석면의 사용이 거의 없게 되었으나, 1991년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에 있는 석면은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안할 때 제거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석면의 문제점이 인식되면서 기존 건축물 내에 존재하는 석면의 제거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석면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즉,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함과 더불어 작업자 의 안전까지 모두 고려되는 석면의 안전한 제거방법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석면제거 과정에서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 제거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포함된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은,
건축물의 구조,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석면함유물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현장조사단계;
상기 현장조사단계에서 파악한 정보와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작업계획수립단계;
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작업구역 내의 바닥면, 벽면, 천정면, 창문, 공기 유입구, 콘센트 등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설치하여 작업구역과 외부를 완전하게 차단하고, 음압기, 폐수여과시설을 설치하며, 폐기물 유출구, 이동통로,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작업자 출입구를 확보하는 작업준비단계;
상기 작업준비단계에서 설치된 음압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작업구역 내에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하고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여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에 비산방지제를 살포하고,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작업구역 내를 청소하며, 제거된 석면함유물질을 폐기물 봉투에 수집하여 폐기물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후처리단계;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를 측정하여 석면농도가 일정 값 미만일 경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시트는 두겹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는 두께가 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압기는 상기 작업자 출입구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압기는 작업구역 내의 공기를 1시간에 4회 이상 순환시킬 수 있는 용량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사이에는 공기차단막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단계에서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는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가 0.01개/cc 미만일 경우에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에 의할 경우, 석면제거 과정에서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거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함유물질 제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작업준비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은,
건축물의 구조,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석면함유물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현장조사단계(S 100);
상기 현장조사단계에서 파악한 정보와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작업계획수립단계(S 200);
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작업구역 내의 바닥면, 벽면, 천정면, 창문, 공기 유입구, 콘센트 등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설치하여 작업구역과 외부를 완전하게 차단하고, 음압기, 폐수여과시설을 설치하며, 폐기물 유출구, 이동통로,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작업자 출입구를 확보하는 작업준비단계(S 300);
상기 작업준비단계에서 설치된 음압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작업구역 내에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하고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여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단계(S 400);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에 비산방지제를 살포하고,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작업구역 내를 청소하며, 제거된 석면함유물질을 폐기물 봉투에 수집하여 폐기물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후처리단계(S 500);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를 측정하여 석면농도가 일정 값 미만일 경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는 마무리단계(S 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현장조사단계(S 100)에서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공정을 시행할 대상 건축물의 위치, 구조,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부합되게끔 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석면함유물질의 시료를 채취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S 200)에서는 상기 현장조사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와 시료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즉, 석면함유물질의 위치, 양, 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작업계획을 수립하며,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여 피난계획, 응급처치계획, 화재예방계획 등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 작업준비단계(S 300)에서는 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설비 및 시설물을 설치한다. 작업구역 내의 바닥면, 벽면, 천정면, 창문, 공기 유입구, 콘센트 등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설치하여 작업구역과 외부를 완전하게 차단하여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는 두겹으로 설치되는 것이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는 그 두께가 0.1mm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시트의 두께가 0.1mm 보다 얇을 경우에는 작업과정에서 찢어짐이 발생하여 석면이 대기중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준비단계에서는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음압기와 폐수여과시설과 같은 설비를 설치한다.
상기 음압기는 작업구역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로서 작업구역내의 공기압을 외부보다 낮게끔 유지한다. 작업구역 내에 비산되는 석면은 대기중으로 유출되지 않고 음압기를 통하여 포집된다. 음압기의 용량은 작업구역 내의 공기를 1시간에 4회 이상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준비단계에서는 폐기물 유출구, 이동통로,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작업자 출입구를 설치한다.
이러한 설비와 시설의 배치가 완료된 일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역(100)과 인접하여 음압기(210)가 설치되고, 작업구역(100)의 일측면에 폐기물유출구(310)가 위치한다. 작업구역(100) 내로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작업자 출입구(360), 탈의실(350), 사워실(340), 장비실(330), 이동통로(320)의 순서대로 거쳐야 하며, 작업구역(100) 내에서 작업자가 외부로 나갈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상기 탈의실(350), 사워실(340), 장비실(330)의 사이에는 공기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면함유물질의 제거과정에서 사용되는 물 등의 용액에는 석면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액을 직접 배출하여서는 아니되며, 용액내에 함유되어 있는 석면을 제거한 상태에서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구역 및 샤워실과 연결하여 폐수여과장치(220)가 설치된다.
상기 음압기(210)는 작업자 출입구(36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단계(S 400)에서 석면함유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음압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작업구역 내에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한다.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하고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여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한다.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 습윤제를 지속적으로 살포하여 석면이 비산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제거된 석면함유물질은 폐기물 봉투에 즉시 수집하여 밀봉하도록 한다.
상기 후처리단계(S 500)에서는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에 비산방지제를 살포한다. 비산방지제를 살포한 상태에서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작업구역 내를 청소한다. 또한 석면함유물질이 담겨진 폐기물 봉투를 폐기물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상기 마무리단계(S 600)에서는 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석면농도가 0.01개/cc 미만일 경우에는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며, 측정된 석면농도가 0.01개/cc 이상일 경 우에는 작업구역 내의 청소를 다시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에 의할 경우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제거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함유물질 제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작업준비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작업구역
210 : 음압기
220 : 폐수여과장치
310 : 폐기물 유출구
320 : 이동통로
330 : 장비실
340 : 샤워실
350 : 탈의실
360 : 작업자 출입구
Claims (7)
- 건축물의 구조, 주변환경 등을 파악하고 석면함유물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현장조사단계;상기 현장조사단계에서 파악한 정보와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작업계획수립단계;상기 작업계획수립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작업구역 내의 바닥면, 벽면, 천정면, 창문, 공기 유입구, 콘센트 등에 폴리에틸렌 시트를 설치하여 작업구역과 외부를 완전하게 차단하고, 음압기, 폐수여과시설을 설치하며, 폐기물 유출구, 이동통로,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작업자 출입구를 확보하는 작업준비단계;상기 작업준비단계에서 설치된 음압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작업구역 내에 물, 습윤제, 침투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하고 도구 및 장비를 이용하여 석면함유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에 비산방지제를 살포하고,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작업구역 내를 청소하며, 제거된 석면함유물질을 폐기물 봉투에 수집하여 폐기물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후처리단계;석면함유물질이 제거된 작업구역 내의 석면농도를 측정하여 석면농도가 일정 값 미만일 경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작업구역 내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시트는 두겹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에틸렌 시트는 두께가 0.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압기는 상기 작업자 출입구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압기의 용량은 작업구역 내의 공기를 1시간에 4회 이상 순환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실, 샤워실, 탈의실 사이에는 공기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마무리단계에서 석면농도가 0.01개/cc 미만일 경우에 작업구역 내에 설치된 폴리에틸렌 시트와 설비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3793A KR20090056579A (ko) | 2007-11-30 | 2007-11-30 |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3793A KR20090056579A (ko) | 2007-11-30 | 2007-11-30 |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6579A true KR20090056579A (ko) | 2009-06-03 |
Family
ID=4098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3793A KR20090056579A (ko) | 2007-11-30 | 2007-11-30 |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657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5374A (ko) | 2014-08-27 | 2016-03-08 | 이진호 | 액상수지를 이용한 석면 텍스의 균열 봉합방법 |
KR102093738B1 (ko) | 2019-07-09 | 2020-03-26 | 남궁택 | 석면 제거 방법 |
KR102182837B1 (ko) | 2020-02-28 | 2020-11-25 | 양희권 |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
KR102345728B1 (ko) * | 2021-03-19 | 2021-12-31 | 조영선 | 석면 및 석면함유 잔재물의 비산방지를 위한 석면 제거 및 석면잔재물의 친환경 청소방법 |
-
2007
- 2007-11-30 KR KR1020070123793A patent/KR200900565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5374A (ko) | 2014-08-27 | 2016-03-08 | 이진호 | 액상수지를 이용한 석면 텍스의 균열 봉합방법 |
KR102093738B1 (ko) | 2019-07-09 | 2020-03-26 | 남궁택 | 석면 제거 방법 |
KR102182837B1 (ko) | 2020-02-28 | 2020-11-25 | 양희권 |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
KR102345728B1 (ko) * | 2021-03-19 | 2021-12-31 | 조영선 | 석면 및 석면함유 잔재물의 비산방지를 위한 석면 제거 및 석면잔재물의 친환경 청소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lanagan et al. | Silica dust exposures during selected construction activities | |
KR20090056579A (ko) |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
Obmiński | Asbestos in building and its destruction | |
Verma et al. | Current chemical exposures among Ontario construction workers | |
JPH0366470B2 (ko) | ||
Ewing et al. | Zonolite attic insulation exposure studies | |
KR101003224B1 (ko) | 흡입구에 경사체가 내설된 분리형 음압기 | |
Mlynarek et al. | Asbestos exposure of building maintenance personnel | |
JP3881864B2 (ja) | 廃棄物処理設備の解体システム | |
KR20040006204A (ko) |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 |
KR20100028285A (ko) | 실시간 농도 측정을 통한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 |
JP2007231705A (ja) | 作業者空間隔離式アスベスト等有害物質除去工法 | |
KR100923314B1 (ko) | 석면 해체 장치 | |
KR101002023B1 (ko) |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 |
JPH038978A (ja) | 吹付アスベストの乾式除去装置 | |
Jaffery et al. | An investigation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in two UK building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removal of asbestos | |
USH785H (en) |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1759775B1 (ko) |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 |
Sussell | An evaluation of worker lead exposures and cleaning effectiveness during removal of deteriorated lead-based paint | |
JPS62164969A (ja) | 有害作業場における移動式洗浄棟 | |
JP4369767B2 (ja) | 化学剤汚染地域の隔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H0377654A (ja) | アスベスト粉塵の捕集装置 | |
Corn et al. | Asbestos exposures of building maintenance personnel | |
JP2009024433A (ja) | 石綿または石綿代替繊維含有吹付け材、もしくは石綿または石綿代替繊維含有材の除去作業により発生した石綿等繊維粉塵の監視および飛散防止システム | |
Axelrod | A Building Survey for Asbestos Fallou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