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37B1 -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37B1
KR102182837B1 KR1020200024701A KR20200024701A KR102182837B1 KR 102182837 B1 KR102182837 B1 KR 102182837B1 KR 1020200024701 A KR1020200024701 A KR 1020200024701A KR 20200024701 A KR20200024701 A KR 20200024701A KR 102182837 B1 KR102182837 B1 KR 10218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late
flui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권
Original Assignee
양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권 filed Critical 양희권
Priority to KR102020002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00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 B66F1/02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 B66F1/04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 B66F1/06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and the devices being actua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3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emoving ro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가 지붕 또는 외벽에 설치된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쌍줄 비계;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슬레이트를 철거하는 작업자가 철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를 따라 설치되는 안전 발판; 슬레이트의 철거 작업 도중 슬레이트로부터 비산되는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외부 분진막; 상기 건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건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 바아에 연결 설치되며, 작업자가 철거 작업 도중 낙상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 및 상기 쌍줄 비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를 바닥면까지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슬레이트 운반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DEMOLAITION SYSTEM FOR SLATE WITH ASBESTOS}
본 발명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붕재로 주로 설치 사용되는 슬레이트는 내화 및 단열, 흡음, 내부식성, 내약품성을 뛰어나게 하기 위해 다량의 석면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한, 석면은 일급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발암물질이란 요약하자면 체내에 들어왔을 때 높은 비율로 암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그 가운데 일급 발암물질은 인체에 치명적인 암이나 질병을 유발시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물질이라는 뜻이다.
발암물질은 외인성 발암물질과 내인성 발암물질로 나눌 수 있는데, 외인성 발암물질의 경우 90%이상이 자연환경의 화학물질로 밝혀져 있고, 그 가운데 석면은 무기화합물로 분류되며, 그 종류로는 비소, 카드뮴, 크로뮴, 니켈, 납, 베릴늄, 철 등이 포함되어 있고, 석면, 니켈, 크로뮴 화합물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특정한 암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면은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이 인체에 암을 일으키는 것이 확실하다고 제시한 1급 발암물질 27종 중 하나이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석면(Asbestos)은 천연의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문석 및 각섬석 등의 광물에서 채취된 섬유모양의 규산화 합물로서 직경이 0.02~0.03㎛ 정도로 머리카락보다도 가늘고 유연성과 특이한 광택이 있는 극세섬유상의 광물로서 공기 중에 유동하게 되어 호흡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체내에 들어가기 쉽고, 또 일단 체내에 들어가면 오랜 기간 동안 잠복하다가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석면은 천정재나 슬레이트 등으로 제조되어 국내에서는 70년대부터 학교, 공공건물, 다중이용시설, 건축자재 등에 다량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오랜 세월이 흘러 건물이 노후화되어 철거 또는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석면입자가 대기 중에 방출되게 되어 국민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심히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슬레이트 지붕을 해체할 때는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슬레이트 못의 못머리를 절단해야 건물의 지붕에서 슬레이트를 파손 없이 해체할 수 있게 되는데, 종래에는 슬레이트 못의 머리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전용 절단기가 없어 슬레이트 지붕의 해체 과정에서 대부분 파손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자연적으로 석면이 비산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0620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657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중장비가 진입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지지 바아에 안착된 슬레이트가 승하강 프레임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또는, 승하강 프레임이 바닥면에 도착함에 따라 발생되는 안착 충격 등을 지지 바아를 지지하고 있는 바아 지지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가 지붕 또는 외벽에 설치된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쌍줄 비계;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슬레이트를 철거하는 작업자가 철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를 따라 설치되는 안전 발판; 슬레이트의 철거 작업 도중 슬레이트로부터 비산되는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외부 분진막; 상기 건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건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 바아에 연결 설치되며, 작업자가 철거 작업 도중 낙상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 및 상기 쌍줄 비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를 바닥면까지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슬레이트 운반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레이트 운반 장치는, 상기 쌍줄 비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자동 윈치; 상측이 상기 자동 윈치에 연결 설치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자동 윈치에 권취됨에 따라 승강되거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자동 윈치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되며,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승하강 프레임; 및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 프레임에 수용된 슬레이트를 하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지게차 포크의 좌우 너비보다 넓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슬레이트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슬레이트의 하부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두 개의 바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아 지지대는,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은,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이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충격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평판;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상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하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본체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상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받침대를 지지하는 4 개의 상부 지지 롤러; 상기 상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상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양측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지지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 날개;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쌍의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쌍의 하부 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4 개의 하부 지지 롤러; 및 상기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본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천장면을 따라 회전 롤러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장비가 진입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바아에 안착된 슬레이트가 승하강 프레임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또는, 승하강 프레임이 바닥면에 도착함에 따라 발생되는 안착 충격 등을 지지 바아를 지지하고 있는 바아 지지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슬레이트의 운반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슬레이트로부터 비산될 수 있는 석면이나 먼지 등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슬레이트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바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제동부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탄성 조절 실린더에 의한 간격 지지부의 수축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3의 충격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은, 쌍줄 비계(10), 안전 발판(20), 외부 분진막(30), 안전 고리(40) 및 슬레이트 운반 장치(50)를 포함한다.
쌍줄 비계(10)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S)가 지붕 또는 외벽에 설치된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을 따라 설치된다.
안전 발판(20)은,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슬레이트(S)를 철거하는 작업자(P)가 철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쌍줄 비계(10)를 따라 설치된다.
외부 분진막(30)은, 슬레이트(S)의 철거 작업 도중 슬레이트(S)로부터 비산되는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쌍줄 비계(1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다.
안전 고리(40)는, 건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건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 바아(60)에 연결 설치되며, 작업자(P)가 철거 작업 도중 낙상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P)의 안전벨트에 체결된다.
슬레이트 운반 장치(50)는, 쌍줄 비계(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를 바닥면까지 하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은, 중장비가 진입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슬레이트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레이트 운반 장치(50)는, 자동 윈치(100), 와이어(200), 승하강 프레임(300) 및 두 개의 지지대(400-1, 400-2)를 포함한다.
자동 윈치(100)는, 쌍줄 비계(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와이어(200)에 설치된 중량물, 즉 승하강 프레임(30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와이어(200)는, 상측이 자동 윈치(100)에 연결 설치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하측에 설치된 승하강 프레임(30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승하강 프레임(300)은, 와이어(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와이어(200)가 자동 윈치(100)에 권취됨에 따라 승강되거나, 와이어(200)가 자동 윈치(100)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되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S)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프레임(300)은, 각각의 뼈대는 각재로 제작되고, 경략 금속판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제작함으로써 하중을 감소시키고,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철거된 슬레이트(S)의 규격에 대응하여 충분한 크기(예를 들어, 1400*2600)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대(400-1, 400-2)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승하강 프레임(300)에 수용된 슬레이트(S)를 하차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프레임(300)의 바닥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지게차 포크(F)의 좌우 너비보다 넓게 서로 이격(예를 들어, 100mm 등)되어 설치되며, 승하강 프레임(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슬레이트(S)를 이격시켜 지지한다.
실 실시예에서, 슬레이트 운반 장치(50)는, 지지대(400-1, 400-2)에 안착된 슬레이트(S)가 승하강 도중에 움직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지지대(400-1, 400-2)에 슬레이트(S)를 체결하기 위한 슬레이트 고정 바아(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400)는, 지지 바아(500) 및 두 개의 바아 지지대(800)를 포함한다.
지지 바아(500)는, 슬레이트(S)의 하부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며, 전단 및 후단이 각각 바아 지지대(8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바아 지지대(800)는, 지지 바아(500)의 전단 및 후단을 승하강 프레임(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400)는, 지지 바아(500)에 안착된 슬레이트(S)가 승하강 프레임(30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또는, 승하강 프레임(300)이 바닥면에 도착함에 따라 발생되는 안착 충격 등을 지지 바아(500)를 지지하고 있는 바아 지지대(800)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슬레이트(S)의 운반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슬레이트(S)으로부터 비산될 수 있는 석면이나 먼지 등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바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아 지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지지 기둥(820) 및 기둥 지지부(8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승하강 프레임(30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지지 기둥(820)이 연장 형성된다.
지지 기둥(820)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기둥 지지부(83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기둥 지지부(830)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820)의 상부에서 형성된 지지홈(822)을 통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 받침대(82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 바아(5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830)는, 지지 플레이트(831), 육각 프레임(832) 및 제동 렉기어(8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8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바아(500)를 지지하며, 하부면으로부터 육각 프레임(832)이 연장 형성된다.
육각 프레임(832)은, 육각 기둥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8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6개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제동 렉기어(833)이 형성된다.
제동 렉기어(833)는, 육각 프레임(832)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동 플레이트(8233)가 밀착됨에 따라 육각 프레임(832)의 하강을 저지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820)은, 기둥 바디(821), 지지홈(822), 제동부(823) 및 탄성 받침대(824)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821)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지지홈(822)은,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 바디(821)의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하측에 탄성 받침대(824)가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제동부(823)가 형성된다.
제동부(823)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기둥을 제동시킨다.
즉, 제동부(8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프레임(832)의 3면에 제동 렉기어(833)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823a, 823b, 823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받침대(824)는,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동부(823)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받침대(824)는, 상판(8241), 하판(8242), 지지 스프링(8243), 유체 탱크(8244) 및 유체 공급관(8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41)은, 지지 스프링(8243)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판(82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하판(824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8244)를 압축시켜 준다.
하판(8242)은, 상판(8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판(8241)과의 사이에 지지 스프링(8243)과 유체 탱크(8244)가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8243)은,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판(8242)의 상측에서 상판(8241)을 지지한다.
유체 탱크(8244)는,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8241)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8245)를 통해 공급한다.
유체 공급관(8245)은, 유체 탱크(8244)로부터 전진 실린더(8232)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탱크(824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진 실린더(8232)로 전달한다.
도 8은 도 5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동부(823)는, 안착 플레이트(8231), 전진 실린더(8232), 제동 플레이트(8233), 슬라이딩홈(8234), 탄성체(8235) 및 슬라이딩바아(8236)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8231)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8221)에 안착되며, 후면에 설치되는 전진 실린더(8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진함에 따라 전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 플레이트(8233)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시켜 준다.
전진 실린더(8232)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후면에 설치되며, 탄성 받침대(82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공급관(8237)를 통해 전달받아 안착 플레이트(8231)를 육각 프레임(832)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
제동 플레이트(8233)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전면에 제동 렉기어(83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G)를 형성하며, 안착 플레이트(8231)가 전진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프레임(832)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킨다.
슬라이딩홈(8234)은,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아(8236)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탄성체(8235)가 설치된다.
탄성체(8235)는, 슬라이딩홈(82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8234)애 안착되는 슬라이딩바아(8236)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슬라이딩바아(8236)는, 슬라이딩홈(8234)에 대향하는 제동 플레이트(8233)의 후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8234)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성체(8235)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9는 도 3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700)는, 상부 평판(710), 하부 평판(720), 간격 지지부(730), 유체 공급 고리(740) 및 탄성 조절 실린더(750)를 포함한다.
상부 평판(71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하부 평판(7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하강 프레임(30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평판(72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상부 평판(7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하강 프레임(300)이 하강하여 바닥에 도착하면 바닥면에 안착된다.
간격 지지부(730)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유체 공급 고리(740)는,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시켜 준다.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간격 지지부(730)가 안착되는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및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간격 지지부(7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부(700)는,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하강 프레임(300)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730)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켜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더이상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 프레임(300)과 바닥면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체 공급 고리(740)는, 제1 사각 고리(741), 제2 사각 고리(742), 제1 지지관(743), 제2 지지관(744), 제1 유체 파우치(745) 및 제2 유체 파우치(746)를 포함한다.
제1 사각 고리(741)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사각 고리(74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연결되며, 상측에 제1 지지관(743)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1 유체 파우치(745)가 설치된다.
제2 사각 고리(742)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각 고리(741)와 교차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제2 지지관(744)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2 유체 파우치(746)가 설치된다.
제1 지지관(743)은, 제1 사각 고리(741)의 상부로부터 상부 평판(71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1 유체 파우치(74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2 지지관(744)은, 제2 사각 고리(742)의 하부로부터 하부 평판(72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2 유체 파우치(74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평판(72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1 유체 파우치(745)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1 사각 고리(741)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2 사각 고리(742)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1 지지관(743)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제2 유체 파우치(746)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2 사각 고리(74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1 사각 고리(741)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2 지지관(744)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도 11은 도 9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하우징(751) 및 안착 플런저(752)를 포함한다.
하우징(751)은,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또는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유체(L)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안착 플런저(752)가 연결 설치된다.
안착 플런저(752)는, 하우징(751)에 안착되며, 하우징(751)으로 유체(L)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L)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751)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지지부(730)를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키 아니하여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1이 되도록 하나,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압축됨에 따라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에 의하여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2(t1 > t2)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여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3의 충격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600)는, 상부 받침대(610), 하부 받침대(620), 상부 지지대(630), 하부 지지대(640) 및 지지 스프링(650)을 포함한다.
상부 받침대(610)는, 승하강 프레임(30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611)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부 지지대(6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받침대(620)는, 승하강 프레임(300)이 하강하여 바닥에 도착하면 바닥면에 안착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대(610)와 상하 대칭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 입구의 양측 테두리(621)가 각각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대(640)가 안착된다.
상부 지지대(630)는, 상부 받침대(6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하며, 하부 지지대(640)의 상측에 체결된다.
하부 지지대(640)는, 상부 지지대(63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 받침대(6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지지대(630)를 지지한다.
지지 스프링(650)은, 상부 지지대(630)와 하부 지지대(64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대(630)와 하부 지지대(640)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부(600)는, 승하강 프레임(3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지지 스프링(650)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받침대(610)와 하부 받침대(620)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승하강 프레임(300)과 바닥면 간의 충격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따른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30)는, 상부 본체(631), 두 쌍의 상부 레일(632), 4 개의 상부 지지 롤러(633), 상부 슬라이딩 레일(634), 체결홈(635) 및 안착홈(636)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631)는, 상부 받침대(610)의 하부 공간에 안착되어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640)의 상측에 체결된다.
상부 레일(632)은, 상부 본체(63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지지 롤러(633)가 각 레일에 안착된다.
상부 지지 롤러(633)는, 상부 본체(631)에 안착되는 상부 받침대(6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쌍의 상부 레일(632)에 각각 안착되어 상부 본체(631)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받침대(610)를 지지한다.
이때, 상부 지지 롤러(63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631)의 상측으로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부 받침대(6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부 받침대(610)가 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시킨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634)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대(610)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611)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양측 상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받침대(61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롤러(612)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된다.
체결홈(635)은, 하부 지지대(640)의 상부 양측, 즉 체결 날개(64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착홈(636)은, 지지 스프링(6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63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640)는, 하부 본체(641), 체결 날개(642), 두 쌍의 하부 레일(643), 4 개의 하부 지지 롤러(644) 및 슬라이딩 레일(645)을 포함한다.
하부 본체(641)는, 하부 받침대(620)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본체(631)를 지지하고,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하부 레일(643)이 형성된다.
체결 날개(642)는, 하부 본체(641)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지지대(630)의 체결홈(635)에 체결된다.
하부 레일(643)은, 하부 본체(641)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의 좌우 각각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레일에 하부 지지 롤러(644)가 안착된다.
하부 지지 롤러(644)는, 하부 받침대(620)의 상측에서 하부 본체(64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쌍의 하부 레일(643)에 각각 안착된다.
이때, 하부 지지 롤러(64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641)의 하측으로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어 하부 받침대(62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하부 받침대(620)가 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시킨다.
슬라이딩 레일(645)은, 하부 받침대(620)의 절곡된 양측 테두리(621)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본체(64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 받침대(62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레일의 천장면을 따라 회전 롤러(642)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쌍줄 비계
20: 안전 발판
30: 외부 분진막
40: 안전 고리
50: 슬레이트 운반 장치

Claims (12)

  1.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가 지붕 또는 외벽에 설치된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쌍줄 비계;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슬레이트를 철거하는 작업자가 철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를 따라 설치되는 안전 발판;
    슬레이트의 철거 작업 도중 슬레이트로부터 비산되는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쌍줄 비계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외부 분진막;
    상기 건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건물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 바아에 연결 설치되며, 작업자가 철거 작업 도중 낙상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 및
    상기 쌍줄 비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를 바닥면까지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슬레이트 운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트 운반 장치는,
    상기 쌍줄 비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자동 윈치;
    상측이 상기 자동 윈치에 연결 설치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자동 윈치에 권취됨에 따라 승강되거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자동 윈치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되며, 상기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으로부터 철거된 슬레이트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승하강 프레임; 및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 프레임에 수용된 슬레이트를 하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지게차 포크의 좌우 너비보다 넓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슬레이트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슬레이트의 하부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두 개의 바아 지지대;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지지대는,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이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충격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평판;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KR1020200024701A 2020-02-28 2020-02-28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KR10218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01A KR102182837B1 (ko) 2020-02-28 2020-02-28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01A KR102182837B1 (ko) 2020-02-28 2020-02-28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837B1 true KR102182837B1 (ko) 2020-11-25

Family

ID=7364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701A KR102182837B1 (ko) 2020-02-28 2020-02-28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204A (ko) 2002-07-11 2004-01-24 한국석면환경사업(주)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JP2007063784A (ja) * 2005-08-29 2007-03-15 Marco Polo Co Ltd アスベスト成型板の解体時における飛散防止工法
KR20090053023A (ko) *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석면 함유 슬레이트 지붕 해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석면함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답판 구조물
KR20090056579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아스프리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KR101713489B1 (ko) * 2016-06-02 2017-03-07 현태근 철거한 폐슬레이트를 지붕에서 하강시키는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204A (ko) 2002-07-11 2004-01-24 한국석면환경사업(주)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JP2007063784A (ja) * 2005-08-29 2007-03-15 Marco Polo Co Ltd アスベスト成型板の解体時における飛散防止工法
KR20090053023A (ko) *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석면 함유 슬레이트 지붕 해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석면함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답판 구조물
KR20090056579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아스프리 석면함유물질의 제거방법
KR101713489B1 (ko) * 2016-06-02 2017-03-07 현태근 철거한 폐슬레이트를 지붕에서 하강시키는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774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windows and construction areas
JP5237895B2 (ja) 飛散防止装置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102182837B1 (ko)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철거 시스템
CN110206329B (zh) 一种土木工程用施工防护装置
JP2012030927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落下養生方法
CN109914835A (zh) 一种建筑工程防护网
JP6116325B2 (ja) 構造部材の落下防止構造
CN213774417U (zh) 一种建筑外墙施工用吊篮
KR20050084220A (ko) 건물 피난 시스템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JP4700994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
CN211775619U (zh) 一种建筑工程用吊篮
CN217680434U (zh) 一种电梯井和采光井防护架
CN207776478U (zh) 外爬架防护装置
CN106703390A (zh) 能够导向轨道脚手架机构
CN212477447U (zh) 一种具有侧边扶手的桥梁施工防掉落装置
CN214330000U (zh) 一种建筑施工防坠落物保护结构
WO2018216201A1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
CN215670939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爬架防护结构
JP4351110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CN211691579U (zh) 一种外立面施工用防护装置
CN208280635U (zh) 一种建筑施工防坠物装置
CN211169385U (zh) 高速梯的底坑检修装置
CN215055100U (zh) 一种建筑工程用高层安全防护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