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059A - 다기능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3059A KR20090053059A KR1020070119694A KR20070119694A KR20090053059A KR 20090053059 A KR20090053059 A KR 20090053059A KR 1020070119694 A KR1020070119694 A KR 1020070119694A KR 20070119694 A KR20070119694 A KR 20070119694A KR 20090053059 A KR20090053059 A KR 200900530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connection
- hole
- mounting hole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8—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구와 연결봉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결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구는 다면체 형상으로서, 장착구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 일면의 중앙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 및, 상기 장착결합공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 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은 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일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구의 장착결합홈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연결링; 및, 상기 삽입연결링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결합공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 내부로 삽입되되, 장착결합홈에 삽입돌기가 안착되면 장착결합공이 형성된 일면에 의하여 장착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분리방지막;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분리되어 있는 부재의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저항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단하므로 경제적이다.
건축구조물, 조립구조물, 연결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착구와 연결봉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결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구는 다면체 형상으로서, 장착구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 일면의 중앙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 및, 상기 장착결합공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 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은 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일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구의 장착결합홈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연결링; 및, 상기 삽입연결링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결합공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 내부로 삽입되되, 장착결합홈에 삽입돌기가 안착되면 장착결합공이 형성된 일면에 의하여 장착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분리방지막;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토목건축 구조물이나 조립구조물 등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결구조의 일례로 피삽입단을 삽입단에 끼워 넣는 형태의 연결구가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연결구는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거나, 적절하게 힘을 조절하여 분리하기가 곤란하였다. 아울러 연결구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규격이 다양하지 못하고, 이들 사이의 오차를 수용하면서 결합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다기능 연결구(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 출원번호 10-2007-0089302)"에 대하여 출원하였다. 그러나 선출원 발명의 경우 다기능 연결구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를 제작하기 위하여는 수차례의 주물을 형성하여 별도로 결합시키는 과정이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제작 기간 및 제작 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어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선출원 발명은 곡선이나 곡면의 제작이 한정적이어서,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진 도형을 형성시키기 어려웠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 부재들의 제작이 간단하여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한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곡선 및 곡면의 제작이 가능한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결합이 견고하고 쉽게 분리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듈을 가진 부재도 동시에 이용가능한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착구와 연결봉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결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다면체 형상으로서, 장착구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 일면의 중앙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 및, 상기 장착결합공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 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은 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일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구의 장착결합홈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연결링; 및, 상기 삽입연결링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결합공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 내부로 삽입되되, 장착결합홈에 삽입돌기가 안착되면 장착결합공이 형성된 일면에 의하여 장착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분리방지막;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를 제공한다.
즉, 다면체 형상의 장착구는 펀칭 형식의 장착결합공만을 포함하므로 제작이 간단하다.
또한 연결봉을 V형, Z형, M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여러가지 기하학적 형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장착구의 장착결합공을 형성하는 일부 변에 형성된 장착결합홈이 연결봉의 삽입돌기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장착결합공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봉이 회전되지 않고, 장착구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결봉의 분리방지막이 장착구의 면에 의하여 차단되어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구의 견고한 결합은 여전히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구성 부재들의 제작이 간단하여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다기능 연결구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
둘째, 연결봉을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곡선이나 곡면을 포함한 여러가지 기하학적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연결구를 구성하는 장착구와 연결봉이 회전제어 및 상호 분리제어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반면, 분리가 용이하며, 다른 모듈을 가진 부재 사이에서도 결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는 토목건축 구조물이나 조립 구조물을 비롯하여 완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장착구(100)는 다면체 형상으로 장착구(100)의 일면 이상에 장착결합공(110)과 장착결합홈(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다면체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일부 면이 제거된 형태의 도형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장착구(100)의 내부는 속이 빈 형태일 수도 있고, 연결봉(200)이 삽입되어 작동되는데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채워져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장착결합공(110)은 장착구(100) 일면의 중앙부가 다각형으로 천공된 형상이다. 도1에서는 다기능 연결구의 실시예로 장착결합공(110)이 팔각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다. 장착결합공(110)은 연결봉(200)이 장착구(10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을 유도하는 역할과 동시에, 연결봉(200)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장착구(100)와 연결 봉(200)의 분리를 방지한다.
다음으로 장착결합홈(120)은 도1과 같이 장착결합공(110)의 일부변 상에서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봉(200)의 삽입돌기(22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한편, 연결봉(200)은 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210)와 연결본체(210)의 일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연결링(220) 및 삽입연결링(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분리방지막(230)으로 이루어진다.
삽입연결링(220)은 장착구(100)의 장착결합공(110)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여야 하며, 삽입연결링(220)에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222)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기(222)는 장착구(100)의 장착결합홈(120)에 안착되는 부분이므로, 삽입돌기(222) 상호 간의 간격은 장착결합홈(120) 상호 간의 간격과 동일하여야 하며, 삽입돌기(222)의 외측 단부는 분리방지막(230)의 외주면과 일치하거나 보다 내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분리방지막(230)은 장착구(100)의 장착결합공(110)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100) 내부로 삽입 가능하되, 장착결합홈(120)에 삽입돌기(222)가 안착되면 장착결합공(110)이 형성된 일면에 의하여 장착구(1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즉, 분리방지막(230)은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이 결합되는 경우, 연결봉(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봉(200)에는 상기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의 중 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원형천공부(240)와 상기 삽입연결링(220)에 대응되는 원형천공부(24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보조링(224)이 포함되는 구성될 수 있다.
연결봉(200) 제작의 일실시예로 연결본체(210)에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을 차례대로 결합하여 완성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때 마지막 과정으로 삽입돌기(222)가 형성된 보조링(224)을 연결봉(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장착결합공(110)이 형성되지 않은 장착구(100)의 타면에는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이 구비될 수 있고, 반대로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봉(200)의 타면에는 장착결합공(110)과 장착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는 다기능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장착구(100)는 장착결합공(110)과 장착결합홈(120) 외에 장착결합공(110)이 형성된 장착구(100)의 일면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30)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140)가 더 포함된다.
여기에서 장착결합공(110)은 삽입연결링(2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천공되며, 장착결합홈(120)은 장착결합공(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플레이트(130)에는 연결봉(200)의 분리방지막(23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된다. 그리고 안착플레이트(140)는 분리방지막(230)의 삽입이 가능하되, 장착결합홈(120)에 삽입돌기(222)가 안착되면 장착구(100)로부터 분리방지막(2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천공된다.
아울러 연결봉(200)에는 연결본체(210)에 결합되는 분리방지막(230)과 삽입연결링(220)에 더하여, 원형플레이트(2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원형플레이트(260)는 연결본체(210)의 일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장착구(100)의 안착플레이트(140) 내주면에 삽입 가능한 형태이다. 원형플레이트(260) 상부에는 분리방지막(230)과 삽입연결링(220)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이때 분리방지막(230)은 안착플레이트(140)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100)의 회전플레이트(130) 내주면에 삽입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연결링(220)에는 장착구(100)의 장착결합홈(120)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222)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3은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즉, 도3에서는 도1과 같은 형태의 연결봉(200)을 연결봉(200)의 길이방향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45도 회전시켜 장착구(100) 내부로 삽입한 다음, 다시 반대 방향으로 45도 회전시켜 장착결합홈(120)에 삽입돌기(222)를 안착함으로써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삽입연결링(220)의 삽입돌기(222)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분리방지막(230) 부분이 장착결합공(110)의 모서리측 변을 통하여 삽입되었으며, 도3과 같이 분리방지막(230)이 장착구(100)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돌기(222)가 장착결합홈(120)에 안착된 후에는 상기 분리방지 막(230) 부분이 장착결합공(11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원리이다.
다음으로 도4는 보조링(22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보조링(224)은 삽입돌기(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삽입돌기(222)와 결합된 별개의 부재일 수도 있다.
도4의 (a)와 (b)는 삽입돌기(222)와 보조링(224)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의 결합 전, 결합 중, 결합 후의 보조링(224)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다. 즉, 보조링(224)은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찌그러졌다가 다시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탄성 거동을 한다. 도4의 경우 외에 보조링(224)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삽입돌기(222)만 보조링(22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겠다.
그리고 도5는 연결편(300)이 구비된 연결봉(2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5의 (a)는 연결편(300)이 구비된 연결봉(200)의 사시도이고, 도5의 (b)와 (c)는 각각 연결편(300)의 분해사시도와 연결봉(200)의 측면에 연결편(300)이 결합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연결봉(2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연결구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모듈을 갖는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연결봉(200)의 측면에 연결유도단(250)을 형성하고, 별도의 부재인 연결편(300)을 이용하여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의 결합을 매개한다.
여기에서 연결유도단(250)은 연결봉(20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그 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되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다수 개의 요철이 연속 형성되는 삽입유도층(252) 및, 상기 삽입유도층(252) 하부에서 연결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천공되되 삽입유도층(252)보다 너비가 넓은 분리방지층(25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유도단(250)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편(300)이 연결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방지층(254) 상부에는 연결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이동제어볼(256)이 설치될 수 있다. 도5의 (c)와 같이 이동제어볼(256)은 연결편천공부(330)에 두 개 이상 위치시킨다.
아울러 연결편(300)은 도5의 (b)와 같이, 상기 연결유도단(25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결본체(210)의 삽입유도층(252)을 통하여 분리방지층(254)에 삽입되되 대면하는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312)이 구비된 원형의 제1연결층(310), 상기 제1연결층(31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본체(210)의 삽입유도층(252)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유도층(252)의 요철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연결돌기(32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연결층(320), 상기 제2연결층(320)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연결링(220) 및, 상기 제3연결층 상부에 형성되는 분리방지막(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연결층(310)과 제2연결층(320)이 연결유도단(250)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이 장착구(1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연결편(3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서로 달라도 무관하나, 조립완구의 경우에는 이들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너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편(3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편(300)에는 제1연결층(310)과 제2연결층(320)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원형의 연결편천공부(330) 및, 상기 제2연결층(320)에 대응되는 연결편천공부(330)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연결편보조링(324)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연결편(300)은 도5의 (c)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 형태로 연결유도단(250)에 삽입되며, 연결편(300)이 연결유도단(250)에 삽입된 후에는 연결편(300)의 각도를 제어하여 연결돌기(322)를 요철 부분에 안착시켜 연결봉(200)과 연결편(300)의 분리를 방지한다. 아울러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제1연결층(310)이 삽입유도층(252)에 의하여 외부로 분리되지 않는다
도6은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한 도형의 실시예이다.
여기에서는 연결편(3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도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도7 및 도8은 각각 여러가지 연결봉(200)의 실시예와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한 도형의 다른 실시예이다.
다기능 연결구를 구성하는 연결봉(200)은 도7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응용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7의 (a)는 연결본체(210) 일면에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봉(200)을 연결한 것으로, 연결본체(210)의 측면이 상호 힌지 결합된 V형 연결봉이며, 도7의 (b)와 (c)는 Z형 연결봉과 M형 연결봉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연결봉(200)을 이용하여 곡선 또는 곡면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부재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8의 (a)는 V형 연결봉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장착구(100)를 결합함으로써 제작되는 원을 나타낸다.
또한 도8의 (b)와 같이 원형을 상하로 결합하는 경우, 즉 상하부 장착구(10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층과 하부층을 매개하기 위하여 Z형 연결봉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M형 연결봉 역시 상하 장착구(10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M형 연결봉은 신축적으로 인접하는 장착구(100)의 거리와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9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장착구(100)에는 내부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구(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는 길이조절판(1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장착구(100) 내부에 형성된 길이조절판(150)은 길이조절판(150)의 중앙 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110) 및, 상기 장착결합공(110)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120)이 구비되는데, 연결봉(200)이 삽입연결링(220)의 원하는 위치의 길이조절판(150)에 위치되는 경우, 삽입돌기(222)와 장착결합홈(120)이 결합되면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봉(200)의 연결본체(210)는 장착구(10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연결본체(210)의 일면이 삽입연결링(220)의 크기 이하인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며, 토목건축 구조물, 조립구조물 외에 조립식 완구, 가구, 단추, 클립, 병마개, 벽걸이, 텐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가능하다.
도1은 다기능 연결구의 실시예.
도2는 다기능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
도3은 장착구와 연결봉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보조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연결편이 구비된 연결봉과 연결편의 실시예.
도6은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한 도형의 실시예.
도7은 여러가지 연결봉의 실시예.
도8은 다기능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작가능한 도형의 다른 실시예.
도9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연결구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장착구 110: 장착결합공
120: 장착결합홈 130: 회전플레이트
140: 안착플레이트 150: 길이조절판
200: 연결봉
210: 연결본체 220: 삽입연결링
222: 삽입돌기 224: 보조링
230: 분리방지막
240: 원형천공부 250: 연결유도단
252: 삽입유 254: 분리방지층
256: 이동제어볼 260: 원형플레이트
300: 연결편 310: 제1연결층
312: 걸림판 320: 제2연결층
322: 연결돌기 324: 연결편보조링
330: 연결편천공부
Claims (6)
-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결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상기 장착구(100)는다면체 형상으로서,장착구(10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100) 일면의 중앙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110); 및,상기 장착결합공(110)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120); 이 구비되고,상기 연결봉(200)은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210);상기 연결본체(210)의 일면 이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구(100)의 장착결합홈(120)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222)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연결링(220); 및,상기 삽입연결링(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결합공(110)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100) 내부로 삽입되되, 장착결합홈(120)에 삽입돌기(222)가 안착되면 장착결합공(110)이 형성된 일면에 의하여 장착구(1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분리방지막(230); 이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 장착구(100)와 연결봉(200)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시켜 결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상기 장착구(100)는다면체 형상으로서,장착구(10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100) 일면의 중앙부를 원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110);상기 장착결합공(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120);상기 장착구(100)의 일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분리방지막(2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천공된 회전플레이트(130); 및,상기 회전플레이트(13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방지막(230)의 삽입이 가능하되, 장착결합홈(120)에 삽입돌기(222)가 안착되면 장착구로(100)부터 분리방지막(2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천공된 안착플레이트(140); 가 구비되고,상기 연결봉(200)은다면체 형상의 연결본체(210);상기 연결본체(210)의 일면 이상에서 그 일면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장착구(100)의 안착플레이트(140) 내주면에 삽입 가능한 원형플레이트(260);상기 원형플레이트(26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140)의 내주면을 통하여 장착구(100)의 회전플레이트(130) 내주면에 삽입 가능한 분리방지막(230); 및,상기 분리방지막(23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구(100)의 장착결합홈(120)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222)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연결링(220); 이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상기 연결봉(200)은상기 삽입연결링(220)과 분리방지막(230)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원형천공부(240); 및,상기 삽입연결링(220)에 대응되는 원형천공부(24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보조링(224); 이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상기 다기능 연결구는상기 연결봉(200)의 일면 이상에 형성되는 연결유도단(250); 및,상기 연결유도단(25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편(300); 이 포함되는 것으로,상기 연결유도단(250)은상기 연결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그 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되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다수 개의 요철이 연속 형성되는 삽입유도층(252); 및,상기 삽입유도층(252) 하부에서 연결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천공되되, 삽입유도층(252)보다 너비가 넓은 분리방지층(254); 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연결편(300)은상기 연결본체(210)의 삽입유도층(252)을 통하여 분리방지층(254)에 삽입되되, 대면하는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312)이 구비된 원형의 제1연결층(310);상기 제1연결층(310)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본체(210)의 삽입유도층(252)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유도층(252)의 요철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연결돌기(32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연결층(320);상기 제2연결층(320)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연결링(220); 및,상기 제3연결층 상부에 형성되는 분리방지막(230); 으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 제4항에서,상기 연결유도단(250)은상기 연결편(3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방지층(254) 상부에서 연결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이동제어볼(256); 이 구비되고,상기 연결편(300)은상기 제1연결층(310)과 제2연결층(320)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원형의 연결편천공부(330); 및,상기 제2연결층(320)에 대응되는 연결편천공부(330)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연결편보조링(324); 이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 제1항에서,상기 장착구(100)는장착구(100)의 내부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구(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다수 개 형성되는 길이조절판(150); 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상기 길이조절판(150)은길이조절판(150)의 중앙부를 다각형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장착결합공(110); 및,상기 장착결합공(110)의 일부변에서 장착결합공(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결합홈(120); 이 구비되며,상기 연결봉(200)은상기 삽입연결링(220)에 결합되는 연결본체(210)의 일면이 삽입연결링(220)의 크기 이하인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694A KR101015569B1 (ko) | 2007-11-22 | 2007-11-22 | 다기능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694A KR101015569B1 (ko) | 2007-11-22 | 2007-11-22 | 다기능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3059A true KR20090053059A (ko) | 2009-05-27 |
KR101015569B1 KR101015569B1 (ko) | 2011-02-16 |
Family
ID=4086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694A KR101015569B1 (ko) | 2007-11-22 | 2007-11-22 | 다기능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556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669A (ko) * | 2015-07-10 | 2017-01-19 | 박종길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
KR20190128856A (ko) * | 2018-05-09 | 2019-11-19 | (주)에스라인 | 회전 진열대용 퍽 조립체 |
CN115095169A (zh) * | 2022-07-21 | 2022-09-23 | 汪晶晶 | 一种装配式预制框架梁和框架柱构成的连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0901A (ja) * | 1994-05-10 | 1995-11-14 | Sekisui Chem Co Ltd | 柱の接続構造 |
KR100519174B1 (ko) * | 2003-06-18 | 2005-10-06 | 이승현 | 강구조물의 결합구조 |
KR100600066B1 (ko) * | 2004-06-12 | 2006-07-13 | 이창환 | 프레임 체결구조 |
KR100731346B1 (ko) | 2005-11-29 | 2007-06-25 | 일 광 하 | 조립식 구조물 |
-
2007
- 2007-11-22 KR KR1020070119694A patent/KR1010155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669A (ko) * | 2015-07-10 | 2017-01-19 | 박종길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
KR20190128856A (ko) * | 2018-05-09 | 2019-11-19 | (주)에스라인 | 회전 진열대용 퍽 조립체 |
CN115095169A (zh) * | 2022-07-21 | 2022-09-23 | 汪晶晶 | 一种装配式预制框架梁和框架柱构成的连接装置 |
CN115095169B (zh) * | 2022-07-21 | 2023-12-22 | 新疆钢之盛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预制框架梁和框架柱构成的连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5569B1 (ko) | 2011-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101536A (ko) |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 |
TWI702078B (zh) | 鳩形積木 | |
KR20090053059A (ko) | 다기능 연결구 | |
US20060024128A1 (en) | Multidirectional joint connector | |
KR100906699B1 (ko) | 다기능 연결구 | |
KR100889360B1 (ko) | 커튼 월의 3차원 조립식 연결재의 시공방법 | |
JP4565342B2 (ja) | 家屋等の壁面用ブロック | |
KR100699235B1 (ko) |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 |
JP7506067B2 (ja) | モデル構築セット | |
US20070113504A1 (en) | Insulated Concrete Form Blocks | |
KR20060024992A (ko) | 플러쉬형 칸막이의 연결장치 | |
KR102342256B1 (ko) | 석재블럭의 상호 조립을 위한 결합유닛 | |
KR101894269B1 (ko) | 프레임 연결구 | |
JP6749568B2 (ja) | 連結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ント | |
JP2007154495A (ja) | 振止連結具 | |
WO2008088354A2 (en) | A retainer frame for a swimming pool | |
KR200178991Y1 (ko) | 구조물용 조립부재 | |
KR200326217Y1 (ko) | 조립식 구조물 | |
KR100384931B1 (ko) | 조적블럭 | |
KR200410357Y1 (ko) |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 |
JP2005232928A (ja) |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との接合構造 | |
EA041821B1 (ru) | Конструктор моделей для монтажа быстровозводимых разбо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 |
KR200238519Y1 (ko) | 조적블럭 | |
JP3104035U (ja) | 土台用建築要素 | |
KR200376797Y1 (ko) | 축조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