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931B1 - 조적블럭 - Google Patents

조적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931B1
KR100384931B1 KR10-2001-0020892A KR20010020892A KR100384931B1 KR 100384931 B1 KR100384931 B1 KR 100384931B1 KR 20010020892 A KR20010020892 A KR 20010020892A KR 100384931 B1 KR100384931 B1 KR 10038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des
masonry
block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533A (ko
Inventor
이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1-002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9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04B2002/0236Angular dovetails tapered, i.e. dovetail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블럭의 양측면 및 상하면에 서로 결합 조립될 수 있는 다수의 요홈과 돌조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블럭을 관통하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철근등의 심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적되는 다수의 블럭을 모르타르 사용없이 간단히 조적하는 것만으로 견고한 상태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 조적되어 블럭조립체(a)를 이루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11)를 갖는 조적블럭(A)에 있어서, 조적블럭(A)을 이루는 블럭 본체(1) 양측면의 두께 방향 중앙에는 세로홈(12)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12) 양측으로는 서로 결합 가능한 요홈(14)과 돌조(15)를 대칭으로 형성하며, 블럭 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가로홈(13)을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는 각각 경사돌출면(16)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상기 경사돌출면(16)과 결합되는 경사요입면(17)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블럭이다.

Description

조적블럭{dry stackable block}
본발명은 조적(組積)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블럭의 양측면 및 상하면에 서로 결합 조립될 수 있는 다수의 요홈과 돌조 및 경사돌출면과 경사요입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블럭을 관통하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철근등의 심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적되는 다수의 블럭을 모르타르 사용없이 간단히 적층조립하는 것만으로 견고한 상태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일정 높이 적층 조립되는 블럭조립체의 경우, 일정 크기를 갖는 블럭을 가로로 일정 길이 가지런히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다시 블럭을 적층하는 식으로 여러번 반복 설치하는 것에 의해 목적한 높이 및 길이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이 블럭조립체로 하여금 경계를 구분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개가 반복적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하여 목적한 크기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조적블럭은, 그 형태가 단순히 대략 직사각 함체형으로 되어 이들 조적되는 블럭과 블럭면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워 다수의 블럭이 견고하게 조적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목적한 블럭 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이와같은 블럭의 경우는 블럭의 조적을 위해 반드시 블럭과 블럭면이 모르타르에 의해 서로 접합, 결합되도록 조적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그에 따른 블럭 조적 시공작업의 번거로움과 함께 그만큼 시공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반드시 모르타르를 개재하여 다수의 블럭 상하좌우면이 서로 접합 결합되게 하는 것에 의해 목적한 크기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조적블럭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모르타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상하좌우면에 형성되는 요홈과 돌조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견고한 상태로 일정 높이 조적되는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블럭 조적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적블럭 시공작업의 공기(工期) 단축과 함께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다 견고한 상태의 블럭조립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적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평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조적 시공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블럭조립체
1 : 블럭 본체 11 : 중공부 12 : 세로홈 13 : 가로홈
14 : 요홈 15 : 돌조 16 : 경사돌출면 17 : 경사요입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발명의 조적블럭은, 다수 조적되어 블럭조립체(a)를 이루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11)를 갖는 조적블럭(A)에 있어서, 조적블럭(A)을 이루는 블럭 본체(1) 양측면의 두께 방향 중앙에는 세로홈(12)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12) 양측으로는 서로 결합 가능한 요홈(14)과 돌조(15)를 대칭으로 형성하며, 블럭 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가로홈(13)을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는 각각 경사돌출면(16)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상기 경사돌출면(16)과 결합되는 경사요입면(17)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조적 시공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블럭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발명에 의한 조적블럭(A)은 대략 직사각형태로 되어 내부의 중공부(11)를 갖는 블럭 본체(1)의 양측으로 각각 다수의 요홈(14)과 이 요홈(14)에 결합되는 돌조(1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블럭(A)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형성되는 상기 요홈(14)과 돌조(15)는 블럭 본체(1)의 폭(두께)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세로홈(12)을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각각 한조씩 설치되게 하여 블럭 본체(1) 일측에 각각 한조의 요홈(14)과 한조의 돌조(15)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로홈(12)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는 요홈(14)을 다른 한쪽에는 돌조(15)를 형성하는 식으로 블럭 본체(1) 일측에 하나의 요홈(14)과 돌조(15)가 형성되게 하여 다수의 블럭(A)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조립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블럭 본체(1) 양측으로 형성되는 요홈(14)과 돌조(15)의 설치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럭 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로홈(13)을 일정 깊이 형성하되, 이 가로홈(13)을 기준으로 그 양측으로는 각각 경사돌출면(16)을 대칭상태로 형성하고, 블럭 본체(1)의 하면에는 그 중앙부를 정점으로 하여 역 V자형으로 일정 깊이 경사지게 요입되는 경사요입면(17)을 형성하여 블럭(A)의 상하 조적시 하부에 위치되는 블럭(A)의 경사돌출면(16)이 그 상부에 위치되는 블럭(A)의 경사요입면(17)에 끼워져 결합되는 식으로 다수의 블럭(A)이 일정 높이 만큼 견고한 상태로 적층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 적층 조립되는 블럭(A)을 이루는 블럭 본체(1)의 양측 중앙에 형성되는 세로홈(12)과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가로홈(13)에는 철근을 끼워 설치할 수있게 함으로써 이 철근의 존재에 의해 다수의 블럭(A)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견고한 블럭조립체(a)로서 시공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발명에 의한 조적블럭(A)의 실시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일정 크기의 블럭조립체(a)를 설치 시공하기 위해 다수의 조적블럭(A)을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14)과 돌조(15)가 서로 이웃하는 블럭(A)의 돌조(15)와 요홈(14)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다수의 블럭(A)을 가로방향으로 일정 길이 좌우 연결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이렇게 설치된 블럭(A)의 상측으로 또다른 블럭(A)을 일정 높이 적층 설치하는 식으로 조적 시공하는 것인바, 이 경우 기 설치된 블럭(A)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돌출면(16)에 새롭게 적층 설치될 상부의 블럭(A) 하면의 경사요입면(17)이 결합되게 하는 식으로 상, 하부에 설치되는 블럭(A)(A)이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상부에 설치되는 블럭(A) 역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럭 본체(1) 양측의 요홈(14)과 돌조(15)에 의해 일정 길이 좌,우로 반복 연결되게 설치하는 식으로, 다수의 블럭(A)을 상,하,좌,우로 반복 적층 결합되게 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 크기를 갖는 견고한 상태의 블럭조립체(a)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때 일정 크기로 조적 시공되는 블럭조립체(a)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이기 위해 블럭 본체(1)의 양측 중앙에 형성되는 세로홈(12)과 블럭 본체(1)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가로홈(1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철근을 끼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적 시공된 블럭조립체(a)내에 상하좌우, 격자형으로 철근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블럭(A)은 철근에 의해 서로 견고한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강도가 뛰어난 블럭조립체(a)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 크기로 조적된 블럭조립체(a)는 블럭조립체(a)를 이루는 각각의 블럭(A)에 형성되는 세로홈(12)과 가로홈(13)의 존재에 의해 차음효과를 거둘수 있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발명의 조적블럭에 의하면 일정 크기의 조적블럭을 이루는 블럭 본체의 상,하,좌,우면에 서로 결합 가능한 경사돌출면과 경사요입면 및 요홈과 돌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다수 조적되는 블럭이 상,하,좌,우 서로 반복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모르타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도 견고한 상태의 블럭조립체로서 조적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블럭조립체의 시공 설치작업을 단순화 함과 동시에 그 시공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므로 그만큼 블럭조립체의 시공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양질의 블럭조립체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다수 조적되어 블럭조립체(a)를 이루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11)를 갖는 조적블럭(A)에 있어서,
    조적블럭(A)을 이루는 블럭 본체(1) 양측면의 두께 방향 중앙에는 세로홈(12)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12) 양측으로는 서로 결합 가능한 요홈(14)과 돌조(15)를 대칭으로 형성하며, 블럭 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가로홈(13)을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는 각각 경사돌출면(16)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상기 경사돌출면(16)과 결합되는 경사요입면(17)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블럭.
KR10-2001-0020892A 2001-04-18 2001-04-18 조적블럭 KR10038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92A KR100384931B1 (ko) 2001-04-18 2001-04-18 조적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92A KR100384931B1 (ko) 2001-04-18 2001-04-18 조적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533A KR20020081533A (ko) 2002-10-28
KR100384931B1 true KR100384931B1 (ko) 2003-05-23

Family

ID=2770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92A KR100384931B1 (ko) 2001-04-18 2001-04-18 조적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9609A1 (en) * 2017-11-17 2019-05-23 Genest Christopher Masonry block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224A (zh) * 2016-04-11 2016-07-13 孟红琳 外墙保温隔音建筑用砖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034A (ko) * 1990-03-17 1991-11-05 이해관 목조건축물 내, 외벽체의 축조방법과 그 조립식 목재블록
US5379565A (en) * 1990-11-29 1995-01-10 Brandom El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out mortar
KR980003205U (ko) * 1998-01-15 1998-03-30 오수종 담장 축조용 블록
KR19980014366U (ko) * 1998-03-09 1998-06-05 오수종 담장축조용 블록
US6082067A (en) * 1999-02-08 2000-07-04 Allan Block Corporation Dry stackable block structur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034A (ko) * 1990-03-17 1991-11-05 이해관 목조건축물 내, 외벽체의 축조방법과 그 조립식 목재블록
US5379565A (en) * 1990-11-29 1995-01-10 Brandom El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out mortar
KR980003205U (ko) * 1998-01-15 1998-03-30 오수종 담장 축조용 블록
KR19980014366U (ko) * 1998-03-09 1998-06-05 오수종 담장축조용 블록
US6082067A (en) * 1999-02-08 2000-07-04 Allan Block Corporation Dry stackable block struc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9609A1 (en) * 2017-11-17 2019-05-23 Genest Christopher Masonry block system
US11591791B2 (en) 2017-11-17 2023-02-28 Christopher Genest Masonry blo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533A (ko) 200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249A (en) Foam block wall and fabrication method
ES2299988T3 (es) Forma de refuerzo, en particular para fabricar suelos de refuerzo entrecruzado, y suelo asociado.
KR100384931B1 (ko) 조적블럭
DK64487D0 (da) Byggesaet til konstruering af murvaerk
KR200238519Y1 (ko) 조적블럭
KR101830354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JP4997131B2 (ja) 壁構造体および壁の施工方法
KR100800300B1 (ko) 우레탄패널
KR200417403Y1 (ko) 조립식 블럭
KR20210017506A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US20070113504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Blocks
GB2272462A (en) Masonry block
CN209066648U (zh) 一种装配式t形墙体
KR102346359B1 (ko) 단열데크
KR20100103168A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101347155B1 (ko) 건축용 목재블록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BR112021008758A2 (pt) conjunto de tijolos do tipo montagem
JP3706476B2 (ja) 間隔保持用部材及びそれを含む型枠形成用部材
JP4188790B2 (ja) 千鳥間柱の間仕切り壁の構造
CN211396203U (zh) 一种装配式楼板
CN109306760A (zh) 装配式墙体及装配式建筑砌块
KR200258518Y1 (ko) 건축용 단열재 조립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