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357Y1 -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357Y1
KR200410357Y1 KR2020050035301U KR20050035301U KR200410357Y1 KR 200410357 Y1 KR200410357 Y1 KR 200410357Y1 KR 2020050035301 U KR2020050035301 U KR 2020050035301U KR 20050035301 U KR20050035301 U KR 20050035301U KR 200410357 Y1 KR200410357 Y1 KR 200410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concrete block
center
concret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신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호 filed Critical 신용호
Priority to KR2020050035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할 때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 앞쪽에 원호접촉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원호접촉면의 중심에 회전중심구를 형성하며,
Figure 112005073355248-utm00001
형상의 연결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회전중심구에 삽입되어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고,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배치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의 횡방향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도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축조된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하게 되며, 위치조정부재를 이용하여 상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경사각을 구비한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원호접촉면을 구비함과 더불어 원호접촉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중심구에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때문에 횡방향의 콘크리트 블록의 굽힘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블록, 콘크리트 블록, 옹벽블록, 블록연결,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CONNECTOR FOR CONCRETE BLOCK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연결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연결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연결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블록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연결구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콘크리트 블록에 적용되는 블록 배열 상태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위치조정부재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위치조정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1c : 콘크리트 블록 10 : 삽입구
11 : 원호접촉면 12 : 회전중심구
13 : 연결부재 14 : 위치조정부재
14a : 편심구멍 14b : 설치홈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을 횡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구조물의 경사각과 굽힘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방파제, 호안, 도로 및 택지 등에 경사면을 축조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흙, 모래 등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막기 위한 것이며, 이는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블록을 효율적으로 축조하여 블록 구조물의 경사각, 굽힘각을 조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일 예로서 특허 제10-401173호로 등록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패턴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사다리꼴형으로 경사각을 갖는 측면, 후면측으로 향하는 측면과 연접되어 좌우측으로 돌출부를 갖는 배면을 포함하며, 측면길이에 해당하는 평면에 저면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과 전면사이의 평면에 상층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통공의 일측 평면에서 저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되고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각 블록을 상층으로 위치시켜 교호적으로 조적시키기 위한 안착공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안착공의 사이에 조적되는 블록의 위치를 잡아 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h자형 클립을 안내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는 소문자 h자 형상의 클립을 이용하여 아래쪽에 배열된 콘크리트 블록과 위쪽에 배열된 콘크리트 블록의 전후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클립의 구조가 두 가지의 경사각만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의 경사각 구조물을 축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지 못하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른 예의 종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0-214299호로 등록된 바 있으며, 이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전면, 상부면, 바닥면, 후면 및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된 두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인 블록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바닥면에 소정 깊이로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앵글핀의 헤드부를 수납하는 수납홈, 상기 전면에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수납홈까지 수직방 향으로 관통되어 앵글핀의 삽입부와 끼워 맞춰지는 핀홀, 상기 핀홀 및 수납홈과 후면 사이에 수직으로 관통된 수직홀을 포함하며, 블록을 연결하는 앵글핀을 포함하되, 상기 앵글핀은 블록의 핀홀의 단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측면을 갖는 삽입부, 상기 핀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거리를 각 측면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블록의 수납홈에 수납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이는 핀홀에 삽입되는 앵글핀으로 상하의 블록 위치를 4단계로 조정할 수 있어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의 경사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앵글핀은 헤드부의 단면 구조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블록의 하측 수납홈에 꽉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축조된 구조물의 흙의 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이 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앵글핀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횡방향으로 연결하지 못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이 횡방향으로의 작용력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블록의 횡방향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도 상호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축조된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하며, 상하의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를 쉽게 조정함으로써 경사각을 구비한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축조하며, 횡방향의 콘크리트 블록의 굽힘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할 때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 앞쪽에 원호접촉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원호접촉면의 중심에 회전중심구를 형성하며,
Figure 112005073355248-utm00002
형상의 연결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회전중심구에 삽입되어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을 연결하고,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배치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블록연결구조는 콘크리트 블록(1a,1b,1c)(편의상 횡방향으로 인접여 하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도면 부호 1a,1b로 지칭하고,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도면 부호 1c로 지칭함)에 삽입구(10)가 형성되고,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1a,1b,1c)을 축조할 때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블록연결구조는 콘크리트 블록(1a,1b,1c)의 측면 앞쪽에 원호접촉면(11)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원호접촉면(11)의 중심에 회전중심구(12)를 형 성하며,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a,1b)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1a,1b)의 회전중심구(12)에 삽입되고,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1a,1b)의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1c)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재(14)가 상기 연결부재(13)에 설치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1c)의 삽입구(1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3)는 횡방향의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1a,1b)을 상호 연결함과 더불어 상측 콘크리트 블록(1c)도 연결하게 되는 바,
Figure 112005073355248-utm00003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록의 회전중심구(12)에 삽입되는 삽입부(13a)와, 두 개의 삽입부(13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b)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정부재(14)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3)의 양측에 구비된 삽입부(13a)가 삽입 관통하는 편심구멍(14a)이 상부면의 편심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위치조정부재(14)는 도 11과 같은 정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2와 같은 정육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3과 같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삼각형 기둥 형상, 정오각형 기둥 형상, 정칠각형 기둥 형상, 정팔각형 기둥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재(14)는 상기 연결부재(13)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외력에 의하여 뜻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면 에 상기 편심구멍(14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설치홈(14b)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13)의 중앙부에 구비된 연결부(13b)가 상기 설치홈(14b)에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더우기 콘크리트 블록의 삽입구(10)에 삽입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조정부재(14)의 설치홈(14b)은 정다각형 기둥 형상에 형성될 때, 다각형의 변과 평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위치조정부재(14)의 폭이나 직경은 설치 작업을 고려한 오차와 가공 오차를 감안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삽입구(10)의 폭과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상기 콘크리트 블록(1a,1b,1c)에 형성되는 삽입구(10)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 형상이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면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도 6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배치되면서 적층하면서 경사각을 구비한 블록 구조물에 적용되고,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굽히도록 배치되는 블록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아무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조정부재(14)의 편심구멍(14a)에 연결부재(13)의 삽입부(13a)를 삽입 관통하여 하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1a,1b)의 회전중심구(12)에 연결부재(13)의 삽입부(13a)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정부재(14)를 회전시켜서 도 4와 같이 상측 콘크리트 블록(1c)의 위치를 도 5의 상측 콘크리트 블록(1c)보다 앞쪽(도면상 우측)에 위치하거나, 도 5와 같이 상측 콘크리트 블록(1c)을 도 4의 상측 콘크리트 블록(1c)보다 뒤쪽(도면상 좌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한 뒤, 상측 콘크리트 블록(1c)의 삽입구(10)에 위치조정부재(14)를 삽입하게 된다.
물론 상측 콘크리트 블록(1c)에도 위치조정부재(14)와 연결부재(13)를 배치하여 그 위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면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1a,1b)의 측면에 원호접촉면(11)과 회전중심구(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재(13)와 위치조정부재(14)를 배치한 뒤에 회전중심구(12)를 중심으로 콘크리트 블록(1a,1b)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곡선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쉽게 축조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블록(1a,1b)을 회전하게 되면 상호 접촉하는 부위에서 기어와 같이 맞물리는 작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의 접촉 부위가 원호접촉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접촉하게 되어 도면과 같이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가지런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의 연결부(13b)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조정부재(14)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위치조정부재(14)를 연결부재(13)의 연결부(13b)에 배치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 물을 간편하게 축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정부재(14)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기 편심구멍(14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설치홈(14b)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정부재(14)에 형성된 설치홈(14b)이 편심구멍(14a)에서 교호되는 구조이나, 이러한 구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얇은 폭 부분이 작업시에 파손될 수 있으므로, 도 15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구멍(14a)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4b)을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위치조정부재(14)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홈(14b)에 상기 연결부재(13)의 연결부(13b)의 한쪽을 삽입함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위치조정부재(14)의 하부면에 형성된 설치홈(14b)에 상기 연결부재(13)의 연결부(13b)의 다른 한쪽을 삽입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는 연결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의 횡방향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도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축조된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하게 되며, 위치조정부재를 이용하여 상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경사각을 구비한 콘크리트 블록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원호접촉면을 구비함과 더불어 원호접촉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회 전중심구에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때문에 횡방향의 콘크리트 블록의 굽힘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 중의 어느 하나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원호접촉면의 접촉 부위에서 기어와 같이 맞물리는 효과가 발생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의 접촉 부위가 원호접촉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가지런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할 때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 앞쪽에 원호접촉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원호접촉면의 중심에 회전중심구를 형성하며,
    Figure 112005073355248-utm00004
    형상의 연결부재가 횡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회전중심구에 삽입되어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을 연결하고,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배치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재는 정다각형 기둥 형상과 원기둥 형상 중의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삽입부가 삽입 관통하는 편심구멍이 상부면의 편심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재는 상부면에 상기 편심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설치홈을 상호 교호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연 결부가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재는 상기 편심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설치홈을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하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연결부가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5. 제3항과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재의 설치홈이 정다각형 기둥 형상에 형성될 때, 다각형의 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되는 삽입구는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과 하부면에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2020050035301U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200410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01U KR200410357Y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01U KR200410357Y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41A Division KR100699235B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357Y1 true KR200410357Y1 (ko) 2006-03-08

Family

ID=4176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01U KR200410357Y1 (ko) 2005-12-15 2005-12-15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3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CA3103889C (en)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US10472821B2 (en) Wall with decorative facing
US7328537B2 (en)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US7743574B2 (en) System of blocks for use in forming a free standing wall
RU2081263C1 (ru) Моду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ы
JPH038952A (ja) 建造用モジュール
AU2002362879A1 (en)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KR100699235B1 (ko)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200410357Y1 (ko)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CN111549936B (zh) 一种装配式轻质隔墙板
KR101015569B1 (ko) 다기능 연결구
KR20010039040A (ko) 조립식 옹벽 블록
JP2019214875A (ja) 組立式基礎ブロック
KR102331654B1 (ko)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200165432Y1 (ko)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KR200250240Y1 (ko) 조립식 직립해수교환 방파제
JP2008115666A (ja) 土留め工用ブロック材
JP5615728B2 (ja) ユニット接続用ジョイント
JP6956523B2 (ja)
JP3629499B2 (ja) 木製枠体
JP2016204970A (ja) 構築用ブロックの連結部材
KR20150003825U (ko) 석재블록 조적용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