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432Y1 -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32Y1
KR200165432Y1 KR2019990014474U KR19990014474U KR200165432Y1 KR 200165432 Y1 KR200165432 Y1 KR 200165432Y1 KR 2019990014474 U KR2019990014474 U KR 2019990014474U KR 19990014474 U KR19990014474 U KR 19990014474U KR 200165432 Y1 KR200165432 Y1 KR 200165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stacked
coupl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824U (ko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보강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강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강기술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19990038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32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구축용 블록조립체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타 블록본체의 제1결합부와 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진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구축용 블록들과; 적층되는 상기 구축용 블록들이 소정 각도의 각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적층된 상기 구축용 블록들에 적어도 일측의 블록에 적층되는 코너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블록이 적층되면서 각 블록의 결속력이 견고함으로서 상기 블록이 이탈되지 않고 시공될 수 있으며, 어떠한 곡선부분 및 각진부분의 시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Block for consfructing and its assembly}
본 고안은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블록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한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몰탈블록은 제작특성상 고강도 블록 생산이 불가능하여 높이 6미터 이상의 높은 옹벽에서는 상층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직응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없어 수직방향 균열발생으로 자주 나타나며, 규격이 작아 높은 옹벽에 시공되면 시각적 안정감을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상하의 결속을 연결핀 예컨대, 섬유유리의 연결핀을 사용함으로서 곡선부 시공시 수직경사를 주어 시공하면 연결구멍이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이유로 조립이 불가능하여 곡선부 시공시 수직경사를 주지 않고 직립으로 조립함으로서 시각적 안정감을 확보할 수 없으며, 시공상의 오차를 수렴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역기울기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불안감 내지 위압감을 주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높은 옹벽에 시공되어도 시각적인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고, 기계화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꾀할 수 있으며,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구축되도록 할 수 있고, 다양한 곡선부분 및 각진부분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에 이용되는 구축용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에 이용되는 코너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의 측면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의 곡선부분 시공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구축용 블록과 코너블록이 이용되어 각진부분 시공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시공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축용 블록 101. 제1결합부
102. 제2결합부 103, 205. 전면부
104. 제1블록 지지용 중공 200. 코너블록
201. 라운드부 202. 스트레이트부
203. 제3결합부 204. 제4결합부
206. 제2블록 지지용 중공 207. 제3블록 지지용 중공
208. 직형결합부 209. 원형결합부
301. 측면돌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축용 블록은,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타 블록본체의 제1결합부와 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진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축용 블록조립체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타 블록본체의 제1결합부와 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진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구축용 블록들과; 적층되는 상기 구축용 블록들이 소정 각도의 각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적층된 상기 구축용 블록들에 적어도 일측의 블록에 적층되는 코너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은 상기 코너블록의 본체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축용 블록과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코너블록의 본체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제3,4결합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이용되는 각각의 블록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100) 및 그 조립체는 경사지대에 구축되는 옹벽 등에 적용되며, 구축용 블록조립체는 상기의 옹벽의 등에서 주로 직선부분과 곡선부분에 적용되는 구축용 블록(100)과, 상기 구축용 블록(100)과 함께 적층되고 소정의 각도로 적층경로가 변경된 각진부분에 이용되는 코너블록(2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축용 블록(100)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축용 블록(100)이 적층되었을 때 이탈방지를 위해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부(101, 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블록(200)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축용 블록(100)의 좌, 우단부의 일측에 적층되며 적층경로가 소정의 각도로 변경될 때 각진부분에 적층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단부가 전, 후면을 잇는 원호를 그리며 형성된 라운드부(201)로 구비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구축용 블록(100)과 동일형태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트부(202)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코너블록(200)은 우측 코너블록(200)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시되지 않은 좌측 코너블록은 상기의 우측 코너블록(200)과 라운드부(201)와 스트레이트부(202)가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블록(200)에는 적층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제3,4결합부(203, 204)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축용 블록조립체에 이용되는 구축용 블록(100)과 코너블록(200)을 보다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1a는 이 구축용 블록(100)의 제1결합부(101)가 보일 수 있도록 도시된 것이며, 도 1b는 제2결합부(102)가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101)가 상면이고, 그 반대로 상기 제2결합부(102)가 하면이 된다. 그리고 도 2a에는 상기 코너블록(200)의 제3결합부(203)가, 도 2b에는 상기 코너블록(200)의 제4결합부(204)가 보일 수 있도록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제1,2,3, 및 4결합부(101, 102, 203, 204)는,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의 전면부(103, 205)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면의 높이를 달리한 두 개의 면이 형성되며, 이 두면의 경계인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01)는 구축용 블록(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로 이루어진 직선형의 걸림턱이며, 상기 제2결합부(102)는 연속하는 상기 경사면이 네 개의 단차로 파상으로 형성된 걸림턱이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102)는 구축용 블록에 돌출되어 경사면과 결합되는 다른 구축용 블록(100)의 제1결합부(101)의 걸림턱이 걸린다.
상기 제3결합부(203)는 상기 코너블록(200)의 본체의 상면에 상기 코너블록(200)의 본체의 폭방향과, 상기 폭방향과 연장되어 상기 라운드부(201)로 이어지며 형성된 단차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결합부(203)의 걸림턱은 상기 폭방향과 상기 라운드부(201)를 잇는 직선이 상기 라운드부(201)의 일측에서 상기 직선이 소정각도로 변경되며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부(204)는 코너블록(200)의 하면에 돌출되어 코너블록(2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로 이루어진 직형걸림턱(208)과, 상기 라운드부(201)의 일측에 형성된 단차로 이루어진 원형걸림턱(209)을 포함한다. 상기 직형걸림턱(208)은 상기 코너블록의 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과, 상기 직선과 연장되어 소정각도로 변경되며 형성되고, 상기 원형걸림턱(209)은 상기 라운드부(201)의 일측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4결합부(204)는 상기 직형 및 원형걸림턱(208, 209)에 타 코너블록의 제3결합부(203)의 걸림턱이 걸리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방향의 폭은 구축용 블록(100)과 코너블록(200)의 본체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구축용 블록(100)과 코너블록(200)은 각각 상, 하면을 관통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면의 개구와 하면의 개구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 1, 2, 3블록 지지용 중공(104, 206, 207)이 구비된다. 상기 제1블록 지지용 중공(104)은 구축용 블록(100)의 전후부 및 중앙부를 기준해서 소정의 살두께를 주며 몸체의 좌우로 대칭되게 두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3블록 지지용 중공(206, 207)은 코너블록(200)의 라운드부(201)와 스트레이트부(202)로부터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며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2,3블록 지지용 중공(104, 206, 207)은 일종의 빼기구배인 테이퍼(taper)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블록 지지용 중공(104)이 없을 경우 구축용 블록(100)은 165㎏ 정도였으나, 두 개의 제1블록 지지용 중공(104)을 형성시키면 약 118㎏ 정도로 중량이 감소된다. 이로서 블록식 보강토 옹벽 설치 및 적층시, 지반에 매립되는 지지밴드(미도시)와 상기 제1,2,3블록 지지용 중공(104, 206, 207)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은 전면부의 길이가 후면부의 길이 보다 크며, 이로서 블록의 좌우측면이 소정의 각도로서 경사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전면부(103, 205)와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에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좌우측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측면돌출부(301)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돌출부(301)는 약 14°정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은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의 전면부(103, 205)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좌우대칭으로 소정의 각도 예컨대, 15°정도의 각을 주고, 상기 전면부(103, 205)에 자연석 느낌을 주기 위하여 다양한 무늬를 장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에 이용되는 각각의 블록은 도 3과 같이,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이 각각의 걸림턱이 서로 걸리면서 저층의 상기 제1,3결합부(101, 203)와 이 저층의 바로 상부에 적층되는 상층의 제2,4결합부(102, 204)가 결속되어 저층의 블록 보다 상층의 블록이 블록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후퇴되거나 전진되어 적층된다.
그 일예로 도 3의 적층된 블록조립체의 측면도와 같이 수직경사가 3% 내지 10%를 기울려 시공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시에 이 옹벽이 상층부로 적층되 면서 옹벽의 연장이 줄고 늘어남으로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축용 블록(100)의 크기는 특정한 크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표준형으로는 가로 X 세로 X 높이가 780 X 400 X 300(㎜)이고, 필요에 따라 표준형 보다 크거나 작은 대형 또는 소형으로 제작된다. 상기의 표준형과 대형 및 소형의 차이점은 가로의 크기가 각각 다르며, 그 크기는 840과 720(㎜)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블록 결합부들과, 블록 크기의 다양화로 블록의 좌우 수평이동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곡선부분에서 상부로의 시공시 점점 줄어드는 방식에서는 전술한 소형블록을 이용하고, 점점 늘어나는 방식에서는 대형블록을 이용하여 곡선의 형태에 맞게 각각의 블록을 늘어놓음으로서 다양한 곡선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의 사방 모서리는 예각이 되지 않도록 하여, 운반 및 설치시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구축용 블록(100) 및 코너블록(200)의 전면부(103, 205)의 표면에는 자연석돌무늬를 장식하여 자연석축과 같은 효과를 나타나게 한다.
그리고 직선구간은 물론이고 도 4a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부분에서도 이러한 걸림턱의 결속력으로 이탈되지 않고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곡선부분의 옹벽구축시 일정한 각을 주어 오목한 곡선으로 구축하고 그 상층은 블록과 블록 사이에 결속시킨다. 이와 같은 결속은 상기 제1,3결합부(101, 203)와 제2,4결합부(102, 204)의 걸림턱의 형상이 일직선형, 파상형, 및 원형으로 형성되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축용 블록(100)과 코너블록(200)의 측면돌출부(301)는 곡선부분 설치시 원활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돌출부(30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측면돌출부(301)를 서로 접촉시켜 오목한 곡선부분을 시공하면 최대 28°까지 시공할 수 있으며, 최소 회전반경은 1.65미터가 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조립체를 이용하여 어떠한 각도로도 각진부분의 시공이 가능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직선구간을 상기 구축용 블록(100)으로 시공하다 소정의 각도로서 그 경로가 변경된 각진부분에서 상기 코너블록(200)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상기의 각진부분에는 코너블록(200)의 제3블록 지지용 중공(207)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원형걸림턱(209)이 맞도록 결합하고, 상기 라운드부(201)에 측면돌출부(301)를 밀착시켜 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에 구비된 걸림턱을 이용하면 어떠한 각도로도 시공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진부분의 시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시공 각도는 약 30°정도이며, 그 외의 어떠한 각도에도 구애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소정의 직선부분에 적층된 구축용 블록(100)에 의해 완성된 구축용 블록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함으로서 시각적인 안정감과 상기 제1,2결합부(101, 102)의 결속으로 견고하게 시공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우선, 블록이 적층되면서 다른 블록과의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므로서 블록들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블록 결합부들과 외형 구조상 어떠한 곡선부분이나 각진부분의 시공도 가능하고, 수직경사부에서도 상기 결합부의 결속이 가능함으로서 이 수직경사부의 시공이 수월해 진다. 그리고 전술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효과로서 높은 옹벽의 시공시 시각적이나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셋째, 블록의 전면에 소정의 각을 형성함으로서 음영을 나타내며, 곡률을 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넷째, 블록의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 지지용 중공을 형성하여 블록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제작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지며, 운반 설치시 기구의 이용편리성 등의 장점이 있으며, 상기 블록 지지용 중공의 테이퍼로 인해 블록 제작이 용이하다.
다섯째, 상기 블록 지지용 중공의 형성으로 간단한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고, 기구 사용이 용이하며, 시공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타 블록본체의 제1결합부와 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진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상기 블록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로 이루어진 직선형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연속하는 상기 경사면이 네 개의 단차로 파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용 블록.
  4.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타 블록본체의 제1결합부와 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진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구축용 블록들과;
    적층되는 상기 구축용 블록들이 소정 각도의 각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적층된 상기 구축용 블록들에 적어도 일측의 블록에 적층되는 코너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용 블록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은 상기 코너블록의 본체의 적어도 일측단부에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축용 블록과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코너블록의 본체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제3,4결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축용 블록조립체.
KR2019990014474U 1998-03-14 1999-07-21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1654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752 1998-03-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752 Division 1998-03-14 199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24U KR19990038824U (ko) 1999-10-25
KR200165432Y1 true KR200165432Y1 (ko) 2000-02-15

Family

ID=1953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474U KR200165432Y1 (ko) 1998-03-14 1999-07-21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29B1 (ko) 2012-11-16 2013-05-08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비탈면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16B1 (ko) * 2001-02-23 2003-05-27 주식회사 팸택 조적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29B1 (ko) 2012-11-16 2013-05-08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비탈면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24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687B2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RU2032803C1 (ru) Опалубка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US6401419B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CA2226497C (en) Modular formwork for concrete
EP1026334B1 (en) Dry stackable block structures
AU2018202666A1 (en) Retaining wall
EP0830484A1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WO2000024982A1 (en) Building block
CA2577424A1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EP1255899B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KR200165432Y1 (ko)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AU2001228222A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KR200157355Y1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CN210917925U (zh) 一种新型建筑用砖
US4776728A (en) Angulated retaining wall
KR101181457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2592440B1 (ko) 인서트형 열교차단 단열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파라펫과 지붕 슬래브간 접합부 시공방법
JPH10219930A (ja) 床コンクリート鉄筋嵌合用治具
CA2274239C (en) Concrete masonry reinforcement
JPS6040764Y2 (ja) 中空孔付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ト板の建て起し用支持金具
JP3744922B2 (ja) 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その接続構造
JP3017405U (ja) 抱き合わせブロック及び抱き合わせブロックの組積み構造
JP3142519B2 (ja) 建築物の基礎用型枠材
JP2000212971A (ja) べた基礎用のpc礎版と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べた基礎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