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729A -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729A
KR20090052729A KR1020070119368A KR20070119368A KR20090052729A KR 20090052729 A KR20090052729 A KR 20090052729A KR 1020070119368 A KR1020070119368 A KR 1020070119368A KR 20070119368 A KR20070119368 A KR 20070119368A KR 20090052729 A KR20090052729 A KR 2009005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ok
crank arm
pi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982B1 (ko
Inventor
구흥서
Original Assignee
참좋은레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참좋은레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참좋은레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9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2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of adjustabl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단부에 페달(34)이 설치되는 크랭크아암(30)을 구동스프라켓(53)에 대해 체결되거나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구동스프라켓(53)에 장착되는 장착판(50)에 대해 상기 크랭크아암(30)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크랭크아암(30)과 상기 장착판(50)을 체결기구(40)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체결해제되도록 하였다. 상기 체결기구(40)는 회전중심에서부터 외면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캠부(43)를 구비하는 레버(42)와 상기 레버(42)에 대해 레버핀(4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장착판(50)의 걸이핀(66)에 걸어지는 걸이턱(45')을 구비한 후크(4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페달(34)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보관이나 운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고, 체결기구(40)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도 있다.
자전거, 페달, 크랭크아암, 접이식

Description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Folding type crank arm assembly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답력을 스프라켓휠로 전달하는 크랭크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을 프레임(1)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는 헤드튜브(2)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튜브(2)를 관통하여 핸들스템(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스템(3)의 상단에는 탑승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5)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스템(3)의 하단에는 앞포크(7)가 구비되는데, 상기 앞포크(7)에는 앞바퀴(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에는 안장(11)이 설치된다. 상기 안장(11)은 탑승자가 앉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1)에는 또한 구동스프라켓(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13)은 그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13)을 회전시키기 위해 탑승자가 가하는 힘은 상기 구동스프라켓(13)의 회전중심에 일단부가 연결된 크랭크아암(15)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크랭크아암(15)의 타단부에는 페달(1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의 후단에는 종동스프라켓(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19)과 함께 회전되게 뒷바퀴(21)가 프레임(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13)과 종동스프라켓(19)에는 체인(23)이 걸어감아져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에는 프레임(1)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기구(25)가 구비된다. 상기 접이기구(25)는 자전거의 보관이나 휴대시에 프레임(1)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프레임(1)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자전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페달(17)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프레임(1)을 평면도로 볼 때, 프레임(1)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를 보관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의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자전거의 다른 부분과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페달(17)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의 페달(17)은 그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페달(17)만이 접어지므로 돌출되는 정도가 줄어들기는 하나 여전히 접어진 상태의 페달(17)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접을 때 페달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크랭크아암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랭크아암의 체결과 체결해제를 위한 체결기구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단부에 페달이 설치되는 페달체결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가 구비되는 크랭크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의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스프라켓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장착판과, 상기 크랭크아암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이나 장착판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가 되게 체결하는 체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아암에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레버핀의 회전중심에서 외면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캠부를 구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핀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레버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관통하고 상기 크랭크아암과 레버의 캠부 사이에 위치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밀착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와 후크 사이에는 레버와 후크가 상기 레버핀을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후크스프링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후크스프링은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상기 레버와 후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버핀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기구가 걸어지는 체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된 슬롯에 걸이핀이 위치되어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진다.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걸이핀의 양단이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공이 각각 관통되게 천공되는데, 상기 걸이핀의 양단에는 상기 볼트공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볼트공내에서 이동되게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나사부의 사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된 테이퍼부가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아암에는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레버가 안착되는 레버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안착홈에는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후크가 관통하는 후크공이 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에서는 크랭크아암을 스프라켓에 대해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크랭크아암의 타단에 설치된 페달이 자전거의 프레임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접을 수 있게 되어 자전거의 보관과 운반을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걸이핀을 지지대의 볼트공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어 걸이핀이나 걸이턱이 마모되면 걸이핀의 위치를 이동시켜 보다 견고하게 걸이핀과 걸이턱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 체결기구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의 외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크랭크아암(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 형상이다. 상기 크랭크아암(30)의 일단부에는 페달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페달체결공(32)의 내부에는 나사부(도면부호 부여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페달체결공(32)에는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페달(34)의 회전중심 일단이 체결된다.
상기 크랭크아암(30)의 일측 표면으로 개구되게 레버안착홈(3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레버안착홈(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기구(40)의 레버(4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안착홈(36)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공(37)이 크랭크아암(30)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공(37)의 주변은 상기 레버안착홈(36)의 다른 부분보다 더 요입되어 안착단(37')을 형성한다.
상기 크랭크아암(30)의 타단, 즉 상기 페달체결공(32)이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는 회전부(38)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38)는 크랭크아암(30)의 타단부가 두갈래로 갈라져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38)에는 각각 회전중심핀(39)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아암(30)에는 크랭크아암(30)을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판(50) 또는 구동스프라켓(53)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4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기구(40)에는 상기 레버안착홈(36)에 안착되는 레버(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42)는 체결기구(40)를 사용하여 크랭크아암(30)이 장착판(50)이나 구동스프라켓(53)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크랭크아암(30)의 레버안착홈(36)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축공(도시되지 않음)에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핀(44)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됨에 의해 크랭크아암(30)에 설치된다. 상기 축공은 레버핀(44)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정원이거나 장공형태가 되어야 된다.
상기 레버(42)의 일단부에는 캠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43)는 상기 레버(42)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부(43)는 상기 안착단(37')에 안착되어 있는 밀착편(49)에 밀착된다.
상기 캠부(43)가 구비된 상기 레버(42)의 일단부에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크(45)가 레버핀(4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크(45)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으로 선단에 걸이턱(45)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42)와 상기 후크(45)는 상기 레버핀(44)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한데, 이들 사이에는 후크스프링(4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크스프링(47)은 일종의 토션스프링으로 원통형상의 몸체부(47')를 가지고, 그 양단부인 제1단부(48)와 제2단부(48')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몸체부(47')의 원심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스프링(47)의 몸체부(47')는 상기 레버핀(44)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단부(48)와 제2단부(48')는 각각 레버(42)와 후크(45)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단부(48)와 제2단부(48')가 상기 레버(42)와 후크(45)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버(42)와 후크(45)중 어느 일측이 구속된 상태에서 타측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레버(42)와 후크(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함께 이동된다.
한편, 상기 크랭크아암(30)에 형성된 레버안착홈(36)의 안착단(37')에는 밀착편(49)이 설치된다. 상기 밀착편(49)에는 상기 후크공(37)과 일치하게 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상기 후크(45)가 관통한다. 상기 밀착편(49)은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밀착편(49)은 상기 안착단(37')과 레버(42)의 캠부(43) 사이에 있게 된다.
장착판(50)은 상기 크랭크아암(30)을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구동스프라켓(53)에 장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장착판(50)은 상기 구동스프라켓(53)에 장착되는 원판상의 베이스(5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52)가 반드시 원판상으로 될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52)의 일면 중앙에는 체결보스(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54)의 중앙에는 체결공(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4')은 상기 장착판(50)을 구동스프라켓(53)의 회전중심과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체결보스(54)의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52)의 양단에는 지지펜스(5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펜스(56)는 상기 회전중심핀(39)의 일단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회전중심핀(39)은 회전부(38) 각각의 일단으로만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펜스(56)에만 지지되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부(38) 각각의 양단으로 회전중심핀(39)이 돌출되는 경우에는 지지펜스(56)와 체결보스(54)에 각각 양단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5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체결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8)는 상기 체결기구(40)의 후크(45)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58)가 상기 장착판(50)상에 구비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구동스프라켓(5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58)에는 지지대(6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60)의 사이에는 슬롯(62)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62)은 상기 후크(45)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대(60)를 각각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볼트공(64)이 천공된다. 상기 볼트공(64)의 내면에는 나사부(도면부호 부여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60)의 볼트공(64)에 양단이 위치되고 중간부가 상기 슬롯(62)에 위치되게 걸이핀(66)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핀(66)은 상기 후크(45)의 걸이턱(45') 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핀(66)은 그 양단에 상기 볼트공(64)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부(6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나사부(68)는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64)의 나사부에 체결된다.
상기 걸이핀(66)에서 상기 체결나사부(68)의 사이 부분은 테이퍼부(70)이다. 상기 테이퍼부(7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턱(45')이 걸이핀(66)에 걸어지면서 걸이핀(66)의 테이퍼부(70) 일부가 마모되면, 걸이핀(66)을 이동시켜 마모되지 않은 부분에 걸이턱(45')이 걸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핀(66)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걸이핀(66)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홈(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크랭크아암 조립체는 페달(34)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답력을 구동스프라켓(53)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랭크아암(30)은 상기 구동스프라켓(53)측에 장착된 장착판(50)에 대해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중심핀(39)을 중심으로 180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자전거의 사용중에는 상기 크랭크아암(30)이 상기 장착판(50) 또는 구동스프라켓(53)측에 대해 고정되어야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기구(40)의 후크(45)가 상기 장착판(50)의 걸이핀(66)에 걸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크스프링(47)은 상기 제1단부(48)와 제2단부(48')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레버(42)의 캠부(43)중 레버핀(44)에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부분이 상기 밀착편(49)에 밀착되면서 상기 레버핀(44)이 상기 축공내에서 상기 걸이핀(66)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45)를 당겨 상기 걸이턱(45')이 상기 걸이핀(66)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크랭크아암(30)이 상기 장착판(50)과 체결기구(4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53)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페달(34)에 가해지는 답력이 크랭크아암(30)을 통해 구동스프라켓(53)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크랭크아암(30)을 상기 장착판(50)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페달(34)이 자전거 프레임의 외측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레버(42)를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부(43)중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밀착편(49)과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걸이턱(45')이 상기 걸이핀(66)에서 이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후크스프링(47)의 제1단부(48)와 제2단부(48')사이는 그 복원력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상기 레버(42)의 회전이 계속되어 상기 후크스프링(47)의 복원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1단부(48)와 제2단부(48')는 상기 레버(42)와 후크(45)에 각각 탄성변형없이 연결된 상태가 되어 레버(42)와 후크(45)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45)의 걸이턱(45')은 상기 걸이핀(66)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크랭크아암(30)이 상기 장착판(50)과의 체결상 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회전중심핀(39)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랭크아암(30)이 도 3의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페달(34)이 돌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자전거의 프레임 외측으로 페달(34)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걸이핀(66)과 걸이턱(45')은 서로 밀착되어 상대 이동되면서 결합 및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이핀(66)이나 걸이턱(45')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핀(66)과 걸이턱(45') 사이의 체결이 헐겁게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걸이핀(66)의 체결나사부(68)가 상기 지지대(60)의 볼트공(64) 내에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걸이핀(66)의 테이퍼부(70)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부분이 상기 걸이턱(45')과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크랭크아암 조립체는 자전거 프레임 양단중 적어도 일측에 채용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스프라켓(53)이 있는 부분에서는 구동스프라켓(53)이나 그 회전중심에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구동스프라켓(53)의 회전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후크스프링(47)은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ㅎ하지만, 후크스프링(47)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42)를 회전시켜 상기 걸이턱(45')과 걸이핀(66)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걸이턱(45')을 걸이핀(66)에서 직접 분리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기는 하다.
상기 크랭크아암(30)에 형성되는 레버안착홈(36)은 상기 레버(42)가 크랭크아암(3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레버(42)가 크랭크아암(30)에서 돌출되어 있더라도 주변부품이나 탑승자와 간섭되지 않는다면 레버안착홈(36)을 두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에서 프레임과 페달 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랭크아암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기구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크랭크아암 32: 페달체결공
34: 페달 36: 레버안착홈
38: 회전부 39: 회전중심핀
40: 체결기구 42: 레버
43: 캠부 44: 레버핀
45: 후크 45': 걸이턱
47: 후크스프링 47': 몸체부
48: 제1단부 48'; 제2단부
49: 밀착편 50: 장착판
52: 베이스 53: 구동스프라켓
54: 체결보스 56L: 지지펜스
58: 체결부 60: 지지대
62: 슬롯 64: 볼트공
66: 걸이핀 68: 체결나사부
70: 테이퍼부

Claims (6)

  1. 일단부에 페달이 설치되는 페달체결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회전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가 구비되는 크랭크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의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스프라켓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장착판과,
    상기 크랭크아암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이나 장착판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가 되게 체결하는 체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아암에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레버핀의 회전중심에서 외면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캠부를 구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핀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레버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관통하고 상기 크랭크아암과 레버의 캠부 사이에 위치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밀착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후크 사이에는 레버와 후크가 상기 레버핀을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후크스프링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후크스프링은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상기 레버와 후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버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체결기구가 걸어지는 체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된 슬롯에 걸이핀이 위치되어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걸이핀의 양단이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공이 각각 관통되게 천공되는데, 상기 걸이핀의 양단에는 상기 볼트공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볼트공내에서 이동되게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나사부의 사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된 테이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아암에는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레버가 안착되는 레버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안착홈에는 상기 체결기구를 구성하는 후크가 관통하는 후크공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KR1020070119368A 2007-11-21 2007-11-21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KR10092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68A KR100921982B1 (ko) 2007-11-21 2007-11-21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68A KR100921982B1 (ko) 2007-11-21 2007-11-21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729A true KR20090052729A (ko) 2009-05-26
KR100921982B1 KR100921982B1 (ko) 2009-10-15

Family

ID=4086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368A KR100921982B1 (ko) 2007-11-21 2007-11-21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9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259A (zh) * 2013-06-09 2013-10-02 无锡尚格工业设计有限公司 折叠车曲柄
KR20160061684A (ko) 2014-11-24 2016-06-01 (주) 에프엑스기어 접이식 자전거용 크랭크 아암
CN108313186A (zh) * 2018-03-01 2018-07-24 浙江里特机车部件有限公司 机动车脚踏总成
CN110282065A (zh) * 2018-03-19 2019-09-27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可隐藏式踏板和自行车
CN114590354A (zh) * 2022-03-09 2022-06-07 长兴德立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用的隐藏式脚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11B1 (ko) * 2014-12-18 2017-03-06 최준영 싱글기어 자전거의 고정기어 및 프리휠 기어 자유전환 크랭크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8755U (ko) 1977-10-01 1979-04-23
JPS5855106Y2 (ja) 1978-09-28 1983-12-16 義勝 久米 携帯用自転車のペダル折りたたみ装置
JP3098865U (ja) * 2003-04-18 2004-03-18 范 整能 自転車のクランクアーム構造
JP2006117030A (ja) * 2004-10-20 2006-05-11 Yasuo Umaji ペダルクラン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259A (zh) * 2013-06-09 2013-10-02 无锡尚格工业设计有限公司 折叠车曲柄
KR20160061684A (ko) 2014-11-24 2016-06-01 (주) 에프엑스기어 접이식 자전거용 크랭크 아암
CN108313186A (zh) * 2018-03-01 2018-07-24 浙江里特机车部件有限公司 机动车脚踏总成
CN110282065A (zh) * 2018-03-19 2019-09-27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可隐藏式踏板和自行车
CN114590354A (zh) * 2022-03-09 2022-06-07 长兴德立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用的隐藏式脚踏装置
CN114590354B (zh) * 2022-03-09 2023-09-29 长兴德立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用的隐藏式脚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982B1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82B1 (ko)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US6971564B2 (en) Lock fixing device for bicycle
JP5071871B2 (ja) 特に自動二輪車用の油圧アクチュエータを操作するためのレバー装置
US20110067207A1 (en) Retaining device for stand for sawing machine
JP4552078B2 (ja) 二輪車のペダル
JPH1086881A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JP2001190432A (ja) 容器の着脱式取手
JP4896986B2 (ja) レールを軌道の枕木又はストレッチに固定するための固定手段
EP1995149B1 (en) Tilt steering apparatus
JP2006250286A (ja) エンジンのベルト交換治具、ベルトテンショナ及びベルト交換方法
US6786108B2 (en) Gear lever clutching structure for prevention of gear slip
CN110466661A (zh) 缆线调节器
JP3479030B2 (ja) 自転車部品組立体、ケーブル固定ボルト保持ツール、及びケーブル固定ボルト保持方法
WO2004081325A1 (fr) Serrure renforc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9950412B2 (en) Torque wrench
KR200417360Y1 (ko) 자전거의 절첩기구
KR2010005671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체결유닛
US20050061115A1 (en) Wrench device
TWM578668U (zh) Bicycle quick release structure
US5865276A (en) Cantilever brake device
KR200343359Y1 (ko) 접는 자전거용 프레임
JPS5856446Y2 (ja) ベルトテンシヨナ−
JP4148167B2 (ja) 二輪車のスロットル操作装置
EP1880877B1 (en) Attachment device with cam lever for snow chains
KR200234354Y1 (ko) 접는 자전거의 절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