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396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396A
KR20090052396A KR1020097007777A KR20097007777A KR20090052396A KR 20090052396 A KR20090052396 A KR 20090052396A KR 1020097007777 A KR1020097007777 A KR 1020097007777A KR 20097007777 A KR20097007777 A KR 20097007777A KR 20090052396 A KR20090052396 A KR 2009005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retur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775B1 (ko
Inventor
아츠시 마츠바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필터의 취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겨도, 필터를 바이패스(bypass)하는 공기가 열교환기 측으로 빨아들여지지 않도록 한다. 케이싱(1)의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표면 측에 걸쳐 형성된 흡입구(3)로부터 취출구(吹出口, 4)에 이르는 통풍로(5) 내에, 열교환기(7)와 팬(8)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조 기구(X)와, 흡입구(3)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박판(薄板) 형상의 필터(13)를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면서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한 후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청소 기구(Y)와, 필터(13)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후의 필터 장착 후, 또는 필터(13)의 복귀 동작 시에, 당해 필터(13)의 복귀 작동에 있어서만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열교환기(7) 측에 빨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판(35)을 구비하고, 청소 기구(Y)에 의한 청소 후에 필터(13)를 복귀시켰을 때에, 방해판(35)에 의하여,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열교환기(7) 측으로 빨아들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 청소 기구, 공기 유입 저지 수단, 방해판, 검지 수단,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원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하고, 더 자세하게는 공조 기구와 필터의 청소 기구를 병설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필터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청소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필터의 청소 기구는, 예를 들면, 공기 흡입구의 내면을 따라 왕복동 가능하게 배치된 박판상(薄板狀)의 필터와, 당해 필터의 왕복 이동 경로 중에 배치한 더스트(dust) 박스와, 당해 더스트 박스 내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표리 양면을 사이에 두고 접촉시키도록 배치한 브러시(brush)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 내를 왕복 이동하는 필터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상기 브러시로 긁어 떨어뜨리는 것으로 필터의 기능 재생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01101호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필터 청소 기구의 경우, 필터를 왕복 이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그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먼지를 브러시로 제거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가 완료한 후에 필터를 정규의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터를 왕복 이동시키는 타입의 청소 기구에 있어서는, 필터의 취부성의 용이성이나 구동 기구의 제약에 의하여 필터 취부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여유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청소 기구의 경우,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환언하면, 필터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열교환기로 빨아들여져 열교환기의 더러움이나 곰팡이 발생의 원인으로 되거나, 필터 취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겨, 취부 검지를 오(誤)검지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구조적인 여유를 가지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터의 취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겨도, 필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가 열교환기 측으로 빨아들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의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상면 측에 걸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하면 측에 형성된 취출구(吹出口)에 이르는 통풍로 내에, 열교환기와 팬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조 기구와, 상기 흡입구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박판(薄板) 형상의 필터를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면서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한 후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청소 기구와, 상기 필터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후의 필터 장착 후, 또는 상기 필터의 복귀 동작 시에, 당해 필터의 복귀 작동에 있어서만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빨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메인터넌스의 후의 필터 장착 후, 또는 청소 기구에 의한 필터 청소 후에 필터를 복귀시켰을 때에,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필터의 복귀 작동에 있어서만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빨아들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필터의 취부 구조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게 되어, 필터의 복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겼다고 하여도, 열교환기가 더러워지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없어진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을, 상기 필터의 상단부(上端部)가 수납되는 부위에 설치된 방해판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이 얻어진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방해판을, 상기 청소 기구를 구성하는 필터 취부 테두리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청소 기구를 구성하는 필터 취부 테두리와 방해판을 일체 구조로 할 수 있어, 구조의 간략화 및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청소 기구에, 상기 필터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청소 기구에 있어서의 필터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 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검지 수단을, 상기 필터의 복귀 작동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진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에 있어서의 복귀 작동 측만의 단부가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필터의 복귀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한 복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메인터넌스 후의 취부 시에도, 확실한 취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취부 구조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게 되어, 필터의 복귀 위치에 어긋남이 생겼다고 하여도, 열교환기가 더러워지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을, 필터의 상단부가 수납되는 부위에 설치된 방해판에 의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조의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이 얻어진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방해판을, 청소 기구를 구성하는 청소 유닛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청소 기구를 구성하는 필터 취부 테두리와 방해판을 일체 구조로 할 수 있어, 구조의 간략화 및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청소 기구에, 필터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 기구에 있어서의 필터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 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에 있어서의 복귀 작동 측만의 단부가 공기 유입 저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필터의 복귀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한 복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메인터넌스 후의 취부 시에도, 확실한 취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케이싱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이용되는 필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에 있어서 이용되는 풀리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도 2의 IV 방향으로부터 본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3: 흡입구
4: 취출구
5: 통풍로
7: 열교환기
8: 팬
13: 필터
13a: 상단
14: 청소 유닛 케이싱
35: 공기 유입 저지 수단(방해판)
38: 검지 수단(리밋 스위치)
X: 공조 기구
Y: 청소 기구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호적(好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는, 세퍼레이트형(separate-type)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실내 벽면에 취부되는 가로로 긴 상자상(狀)의 케이싱(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1)의 전면(前面)벽(1A)과 천면(天面)벽(1B)에는, 전면 측 흡입구(3A)와 상면 측 흡입구(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측 흡입구(3A)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 패널(2)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각각 실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측 흡입구(3A)에 근접하여 당해 전면 측 흡입구(3A)를 가림하는 닫음 위치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각각 쇄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닫음 위치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단(上端) 측을 전방으로 밀어 낸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고, 당해 열림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측 흡입구(3A)를 개구(開口)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의 저면벽(1C)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는, 가로로 긴 개구상의 취출구(4)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취출구(4)에는, 수평 플랩(flap)(44)과 수직 플랩(45)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케이싱(1)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구(4)보다도 전방 측이고 상기 전면벽(1A)의 하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수납부(30) 내에는, 후술하는 더스트 박스(20)를 구비한 브러시 기구(Q)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 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즉, 전면 측 흡입구(3A) 및 상면 측 흡입구(3B))로부터 상기 취출구(4)에 이르는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로(5)에는, 열교환기(7)와 팬(8)이 배치되고, 이들에 의하여 공조 기구(X)가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열교환기(7)는, 상기 흡입구(3)(주로, 전면 측 흡입구(3A))에 이간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7A)와, 당해 제1 열교환기(7A)의 상단에 연결되어 여기로부터 배면 벽(1E) 측으로 하강 경사하는 제2 열교 환기(7B)로 이루어지는 대략 산형(山形)의 굴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 측 흡입구(3A)와 상기 제1 열교환기(7A)의 전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면 측 스페이스와, 상기 제1 열교환기(7A)와 제2 열교환기(7B)의 상부와 상기 상면 측 흡입구(3B)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면 측 스페이스에는, 이들 양 스페이스에 걸쳐 후술하는 청소 기구(Y)가 배치되어 있다.
이 청소 기구(Y)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전면 측 흡입구(3A)로부터 상면 측 흡입구(3B)의 내면을 따르도록 만곡(彎曲)한 측면시(側面視) 형상을 가지는 청소 유닛 케이싱(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은, 가로로 긴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1) 측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측벽부(15)와 이들 측벽부(15)의 대향 방향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벽부(16)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이들 측벽부(15)와 중간 벽부(16)의 사이를 격자재(17)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테두리 형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부(15)와 중간 벽부(16)의 상기 케이싱(1)에 있어서의 상기 상면 측 흡입구(3B)에 대응하는 상면 측 부분의 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가이드 홈(15a, 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1)의 전면 측 흡입구(3A)에 대응하는 전면 부분에는, 이 전면 부분을 외측(즉, 전면 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테두리상의 필터 누름(43)이 그 상연 측(上緣側, 위 가장자리 측)을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외면 측에는, 상기 일방(一方)의 측벽부(15)의 가이드 홈(15a)과 중간 벽부의 가이드 홈(16a)의 사이, 및 타방(他方)의 측벽부(15)의 가이드 홈(15a)과 중간 벽부(16)의 가이드 홈(16a)의 사이의 각각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박판상의 필터(13)가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만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이 필터(13)는,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전면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 누름(43)에 의하여 들려 올라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터(1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 체(25)(구체적으로는, 이동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 테두리(25A)와 이동 방향 전후에 위치하는 전후 테두리(25B))와 당해 테두리 체(25)에 가설(架設)된 격자살(26)과, 당해 격자살(26)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 필터재(2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측 테두리(25A)에는, 이동 방향으로 등간격 늘어선 다수의 돌기(28)가 일체로 돌설(突設, 튀어나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3)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전면 부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평행 배치된 제1 풀리(pulley)(11)와 제2 풀리(12)의 사이에 걸어 돌려진 무단(無端) 벨트(10)에 계지되고, 당해 무단 벨트(10)의 주행에 수반하여 이와 일체적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필터(13)의 무단 벨트(10)로의 계지는, 당해 무단 벨트(10)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된 다수의 계합 구멍(29)과 상기 돌기(28)의 계합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계합 구멍(29)의 형상은, 이동 방향에 장축을 가지는 타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돌기(28)를 계합 구멍(29)에 계합시킬 때의 자유 도가 커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계합 구멍(29)의 간격은, 돌기(28)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기(28)의 간격을, 계합 구멍(29)의 간격의 n배로 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모터(31, 32)는 제1 풀리(11) 및 제2 풀리(12)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다.
그런데, 상기 무단 벨트(10)와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 12)는, 무단 벨트(10)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10a)과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 12)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요철(11a 및 12a)의 맞물림에 의하여 동기 구동하도록 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 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13) 측의 돌기(28)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기 요철(11a 및 12a)을 절제하여 이루어지는 돌기 놓침부(11b 및 12b)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구동축(33)은 좌우의 제1 풀리(11)를 동기 구동시키고, 구동축(34)은 좌우의 제2 풀리를 동기 구동시킨다.
그런데, 상기 필터(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13a)이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에 위치하고, 그 하단(13b)이 상기 제1 풀리(11)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배치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이 배치 상태는, 통상의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의 위치이며, 이하에 있어서는 「제1 필터 위치」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필터(13)의 청소를 행하는 청소 운전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 12)가 정전(正轉, 정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하고, 상기 무단 벨트(10)가 화살표 a 방향(도 2 및 도 5 참조)으로 주행하며, 상기 필터(13)는, 도 7에 쇄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단 벨트(10)와 함께 상기 「제1 필터 위치」 로부터 상기 제1 풀리(11)의 외측을 우회하여 상기 제2 풀리(12) 측까지 끌어내진다. 이때의 필터(13)의 위치를, 이하에 있어서는 「제2 필터 위치」라고 한다. 또한, 청소 종료 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 12)가 역전하고, 상기 무단 벨트(10)가 화살표 b 방향(도 2 및 도 5 참조)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필터(13)는, 무단 벨트(10)와 함께 상기 「제2 필터 위치」로부터 「제1 필터 위치」까지 되돌려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터(13)가 「제1 필터 위치」와 「제2 필터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후술의 브러시 기구(Q)에 의하여 필터(13)의 표면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가 긁어 떨어져, 필터(13)의 먼지 포집 기능이 재생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 기구(Q)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의 저면 벽(1C)의 전단(前端) 부분에 설치한 수납부(30)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이며, 제1 박스체(21)와 제2 박스체(22)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박스(20) 내에 청소 브러시(23)를 장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당해 청소 브러시(23)는, 도시하지 않는 브러시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13)는, 「제1 필터 위치」와 「제2 필터 위치」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제1 필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공조 운전이 실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이때, 필터(13)는, 정확하게 「제1 필터 위치」에 위치하도록 될 필요가 있다. 즉, 필터(13)의 상단(13a)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에 형성된 수납 위치에 확실히 도달하고, 열교 환기(7) 측으로 필터(13)를 바이패스(bypass)한 공기가 유입하는 일 없이, 필터(13)를 통과한 공기만이 유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필터(13)를 왕복 이동시킬 때의 어긋남이나 구동 오차에 기인하여 필터(13)의 상단(13a)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않고, 약간 바로 앞에서 멈추어 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유저(user)가 필터(13)의 메인터넌스를 한 후에, 취부한 상태라도, 필터(13)의 상단(13a)이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않는 일이 있다. 그러면, 필터(13)의 상단(13a)과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의 사이에 흡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間隙)이 형성되고, 필터(13)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열교환기(7) 측으로 유입하여 버려, 열교환기(7)의 더러움이나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의 하부(즉, 열교환기(7) 측)에는, 필터(13)의 메인터넌스 후의 취부 시, 또는 상기 필터(13)의 복귀 동작 시에, 당해 필터(13)의 복귀 작동에 있어서만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7) 측으로 빨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유입 저지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방해판(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방해판(35)은,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의 상단부(14a)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열교환기(7)에 있어서의 굴곡 접속부(7a)를 실(seal)하기 위한 실 부재(36)의 기단부(基端部)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당해 실 부재(36)는, 상기 굴곡 접속부(7a)에 압접(壓接)될 수 있도록 하향 압박력을 가지고 있다. 공기 유통 구멍(37)은 실 부재(36)에 형성된 구멍이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 케이싱(14)에는, 상기 필터(13)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리밋 스위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리밋 스위치(38)는, 상기 필터(13)의 복귀 작동 방향 단부(즉, 상단(13a))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진 위치를 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필터(13)에 있어서의 복귀 작동 측만의 단부(즉, 상단(13a))가, 방해판(35)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필터(13)의 복귀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한 복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후의 필터(13)의 취부 시에도, 확실히 취부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필터(13)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 풀리(11, 12)와 무단 벨트(10)로 이루어지는 구동 수단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랙&피니언(rack & pinion) 형식의 구동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케이싱(1)의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상면 측에 걸쳐 형성된 흡입구(3)로부터 상기 케이싱(1)의 하면 측에 형성된 취출구((吹出口, 4)에 이르는 통풍로(5) 내에, 열교환기(7)와 팬(8)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조 기구(X)와,
    상기 흡입구(3)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박판(薄板) 형상의 필터(13)를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면서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한 후 상기 소정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청소 기구(Y)와,
    상기 필터(13)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후의 필터 장착 후, 또는 상기 필터(13)의 복귀 동작 시에, 상기 필터(13)의 복귀 작동에 있어서만 상기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7) 측으로 빨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유입 저지 수단(35)
    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저지 수단(35)을, 상기 필터(13)의 상단(上端, 13a)부가 수납되는 부위에 설치된 방해판에 의하여 구성한,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을, 상기 청소 기구(Y)를 구성하는 청소 유닛 케이싱(14)과 일체로 형성한,
    공기 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기구(Y)에는, 상기 필터(13)의 복귀 작동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38)을 설치한,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38)을, 상기 필터(13)의 복귀 작동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진 위치를 검지하는 것으로 한,
    공기 조화기.
KR1020097007777A 2006-09-25 2007-09-21 공기 조화기 KR101049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9142A JP4254832B2 (ja) 2006-09-25 2006-09-25 空気調和機
JPJP-P-2006-259142 2006-09-25
PCT/JP2007/068351 WO2008038582A1 (en) 2006-09-25 2007-09-2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396A true KR20090052396A (ko) 2009-05-25
KR101049775B1 KR101049775B1 (ko) 2011-07-19

Family

ID=3923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77A KR101049775B1 (ko) 2006-09-25 2007-09-2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72928A4 (ko)
JP (1) JP4254832B2 (ko)
KR (1) KR101049775B1 (ko)
CN (1) CN101517334B (ko)
WO (1) WO2008038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209B2 (ja) * 2006-10-19 2009-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掃除ユニット付空気調和機
EP2408221B1 (en) * 2010-07-16 2016-09-28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JP5696838B2 (ja) * 2011-01-19 2015-04-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GB2491123A (en) * 2011-05-23 2012-11-28 Agco As Air filtration system
CN106475345B (zh) * 2016-11-03 2019-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清洁空调室内机的滤网的清洁装置和空调室内机
JP7297472B2 (ja) * 2019-03-07 2023-06-2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962B2 (ja) 2002-09-11 2008-02-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20060050921A (ko) * 2004-09-02 2006-05-1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공기조화기
JP4586969B2 (ja) 2004-11-26 2010-11-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4586973B2 (ja) * 2005-01-17 2010-11-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2928A4 (en) 2012-12-19
JP4254832B2 (ja) 2009-04-15
KR101049775B1 (ko) 2011-07-19
JP2008076024A (ja) 2008-04-03
WO2008038582A1 (en) 2008-04-03
CN101517334A (zh) 2009-08-26
CN101517334B (zh) 2011-04-13
EP2072928A1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775B1 (ko) 공기 조화기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KR10095225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384115B2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686290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72829A (ko)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공기 조화기
JP2006145208A (ja) 空気調和機
JP5163495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49619A (ko) 공기 조화기
JP5720611B2 (ja) 空調室内機
JP4119453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
JP5556679B2 (ja) 空気調和機
JP2008122074A (ja) 空気調節装置
JP4843479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
JP5696838B2 (ja) 空気調和機
JP5569695B2 (ja) 空気調和機
JP4600378B2 (ja) 空気調和機
JP2007218576A (ja) フィルタ清掃装置
JP2008089254A (ja) 空気調和機
JP2008122073A (ja) 空気調節装置
JP5569694B2 (ja) 空気調和機
JP5569696B2 (ja) 空気調和機
JP2011117726A (ja) 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節装置
KR101327465B1 (ko) 공기조화기
JP200614520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