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544A -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544A
KR20090051544A KR1020070117993A KR20070117993A KR20090051544A KR 20090051544 A KR20090051544 A KR 20090051544A KR 1020070117993 A KR1020070117993 A KR 1020070117993A KR 20070117993 A KR20070117993 A KR 20070117993A KR 20090051544 A KR20090051544 A KR 2009005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event
installation point
advert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종
Original Assignee
(주)아이넥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넥스텍 filed Critical (주)아이넥스텍
Priority to KR102007011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544A/ko
Publication of KR2009005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간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은, 광고주의 광고 영상이 저장된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 광고 영상을 제공할 각 설치점에 복수 개 구비되며,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영상을 고객에게 노출시키고, 광고 영상을 시청한 고객으로 하여금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 및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광고 영상 및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수집하여 각 설치점별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편성 및 관리하고,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기초하여 광고 영상 및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설치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양방향, TV, 광고, 노출

Description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WO-WAY ADVERTISEMENT USING INTERNET IN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간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이하 'TV'라 약칭함) 방송사는 방송 콘텐츠의 방영에 앞서 혹은 방영 중에 광고를 삽입하여 방송함으로써 광고에 따른 수익을 중요한 수입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광고 노출에 의한 방법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구매 의욕을 증진시키는 등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어서 제품 판매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광고 노출을 위해 광고주들은 공중파방송국 또는 유선방송국에 의뢰하여 운영하기 때문에, TV광고는 많은 비용을 소요하여 경제적인 부담이 늘고 있다.
따라서, 광고주들에게는 TV를 통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시청자들의 집중도가 높은 상태에서 광고를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TV를 통한 광고시스템은 단순히 광고주의 광고요청에 따라 제작된 광고데이터와 광고 스케줄에 따라 편성된 순서대로 광고데이터를 송출하도록 광고를 집행하게 되므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광고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 시청자의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방송 시스템에서 하나의 관리 서버를 통해 광고에 대한 스케줄링, 송출, 데이터 수집 및 통계 정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확대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은, 광고주의 광고 영상이 저장된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 영상을 제공할 각 설치점에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영상을 고객에게 노출시키고, 상기 광고 영상을 시청한 고객으로 하여금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 및 상기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광고 영상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각 설치점별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 및 관리하고, 상기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영상 및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설치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실행시키는 구동 엔진; 및 상기 구동 엔진에서 실행한 광고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터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는, 채널별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TV튜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주의 회원 가입을 통해 상기 광고 영상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웹 서비스를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웹 서버; 상기 광고주,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구비한 설치점, 및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들을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 영상 정보를 설치점별,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관리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 또는 긴급 공지사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자막 제공 서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주에 관한 기본 정보, 상기 설치점에 관한 정보,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저장한 고객 정보 DB; 상기 설치점별 광고 영상 목록 및 상기 설치점별 광고 노출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 광고 정보 DB;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 이벤트 정보 D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 및 긴급 공지사항 정보를 저장한 실시간 자막 정보 D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주에 관한 기본 정보는 상기 광고주의 이름, 서비스 등급, 상기 광고주가 신청한 광고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설치점의 지역 위치, 업종, 규모, 상기 설치점에 구비된 설치점 단말기의 개수와 관련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고객의 핸드폰 번호, 이름,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또는 아이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은, (a) 광고주로부터 광고주 기본 정보, 광고 영상 정보, 상기 광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광고주가 원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하는 단계; (b)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편성된 광고 영상 정보와 상기 광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설치점 단말기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노출시키는 단계; (d) 상기 광고 영상이 노출되는 동안, 상기 설치점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응모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상기 설치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해당 광고주에 제공하여, 상기 고객에게 보상을 제공하도록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을 일(日)별로 구분하며,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구비한 설치점마다 별도로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설치점 단말기는 화면의 터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에서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체인점별 등에 따라 구비된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기대하는 한편, 광고와 함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고객이 능동적으로 광고를 시청하도록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설치점 단말기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함에 따라 이벤트에 대한 고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광고 시청률을 높일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방송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시스템은 광고주(1)와, 광고주(1)의 광고 영상을 노출시키기 위해 단말기가 설치된 복수의 설치점(3), 광고주(1)와 복수의 설치점(3)의 중간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통합적인 광고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자(2)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광고주(1)가 서비스 제공자(2)에게 회원 가입을 신청하고, 계약을 통해 일정 기간동안 광고 노출 서비스를 의뢰하면(①), 서비스 제공자(2)는 광고주(1)가 의뢰한 광고 영상을 각 설치점(3)에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한다(②). 이때, 광고 영상에 대한 이벤트 정보 또는 실시간 자막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들 정보를 광고 영상과 함께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설치점(3)에서 시청자들로부터 이벤트 응모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 참여 고객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2)에게 제공하여 고객의 반응(참여도)에 따라 광고 효과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③).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1)는 광고 활동을 하는 주체자로서, 광고 회사뿐만 아니라 광고 노출을 필요로 하는 개인 고객이 될 수 있다.
광고주(1)는 개인 고객이나 광고대행사로부터 광고에 대한 컨설팅 및 수주를 수행하고, 서비스 제공자(2)에게 한 광고 신청을 관리한다. 또한, 광고를 노출하고자 하는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등에 따라 광고 영상을 분류하는 등의 관리를 담당할 수 있으며, 광고 의뢰시 원하는 설치점을 지정하여 의뢰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2)는 상기한 광고주(1) 및 설치점(3)을 관리하고, 광고주(1)가 요청한 일정에 따라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하며,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관련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광고 영상과 관련한 실시간 자막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를 처리 및 관리한다.
복수의 설치점(3)은 광고 노출이 가능한 장소를 의미한다. 특히,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망을 통해 시청자의 이벤트 참여 서비스가 가능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역별, 업종별, 체인점별, 규모별 등에 따라 설치점을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청자의 이벤트 참여 서비스가 가능한 표시 장치라 함은 광고 영상이 상영되는 설치점의 현장에서 고객이 바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이를 테면, 광고 영상을 상영한 후 이벤트 참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이 구현되거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를 구비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설치점(3)은 광고 영상을 상영하여 불특정 다수 또는 동일 업종의 다수에게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고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고객이 능동적으로 광고를 시청하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광고 노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100)와, 인터넷망(200)에 통해 서로 연결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 및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이동통신망(600)과 연계될 수 있다.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100)는 유무선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광고 노출 서비스를 의뢰하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광고주의 신청에 따라 인터넷망(200)을 통해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400)로 광고 영상을 전송하는 한편,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400)로부터 고객들(5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이벤트가 실행되도록 한다. 즉,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고객들(500)에게 이벤트 참여에 상응하는 상품으로 문자 쿠폰을 발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시스템은 단지 고객들(500)에게 광고 노출을 통해 제공하였던 단방향의 서비스와는 달리, 고객들(500)에게 광고를 제공함은 물론 고객들(500)로부터 하여금 이벤트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고객들(500)의 반응을 반영하는 양방향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100)는 광고주에 따라 구분되며, 광고주의 광고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각 광고주 단말기(100)에 저장된 광고 영상은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또는 설치점별 등에 따라 분류/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400)는 지정된 설치점에 구비되며,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설치점 단말기(400)에는 불특정 고객들(500)이 연계된다. 여기서, 불특정 고객들(500)은 설치점 단말기(400)를 통해 광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을 의미한다.
예컨대,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400)는 지역에 따라 양재동, 역삼동, 서초동 등의 설치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업종에 따라 삼성전자 디지털 프라자가 위치된 지점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점 단말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각 설치점 단말기(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TV 튜너(420), 구동 엔진(430), 데이터베이스(440), 표시부(4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과 설치점 단말기(400)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즉, 인터넷망(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한다.
TV 튜너(420)는 지상파나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구동 엔진(43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광고 영상을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실행한다. 이를 위한 구동 엔진(430)은 광고 영상을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실행하고, 이에 상응하는 사 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4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저장하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서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 및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표시부(450)는 구동 엔진(430)에서 실행한 광고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50)는 화면의 터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거나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를 구비한 장치이다.
이에 따라, 고객들(500)은 설치점 단말기(400)를 통해 상영되는 광고 영상을 시청한 후, 광고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에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응모함으로써 고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웹 서버(310)와 고객 관리 서버(320), 광고 관리 서버(330), 이벤트 관리 서버(340), 실시간 자막 서버(350), 데이터베이스로 고객 정보 DB(360), 광고 정보 DB(370), 이벤트 정보 DB(380), 실시간 자막 DB(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인터넷망(도 2의 200)에 접속하기 위한 라우터(300a)와 각각 연결되어, 통신망 내의 여러 경로 중 가장 효 율적인 경로가 선택되어 패킷을 보내게 된다.
웹 서버(310)는 웹 서비스를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광고주의 로그인, 광고 신청, 광고 영상 등록, 광고 노출 스케쥴 편성 등의 서비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고객 관리 서버(320)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고려했을 때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으로서, 광고주, 설치점, 이의 세부적으로 설치점별 설치점 단말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들을 고객 정보 DB(360)에 저장하고 통합 관리한다.
이를 위한 고객 정보 DB(360)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광고주 DB(362), 설치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설치점 DB(364), 이벤트 참여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이벤트 참여 고객 DB(366)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주에 대한 정보는 광고주의 이름, 서비스 등급, 광고주가 신청한 광고 영상 목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점에 대한 정보는 설치점의 지역 정보, 업종 정보, 규모 정보, 각 설치점에 구비된 설치점 단말기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 대한 정보는 고객의 핸드폰 번호, 이름,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또는 아이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관리 서버(330)는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 영상 목록을 광고 정보 DB(370)에 저장 및 수집하여 설치점별, 또는 미리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관리한다.
광고 노출 스케쥴은 광고주가 원하는 시간대 및 광고비를 고려하여 편성되며, 같은 광고주라 하더라도 설치점에 따라 스케쥴을 다르게 편성할 수 있다.
미리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은 광고 정보 DB(370)의 스케쥴 정보 DB(374)에 저장될 수 있으며, 광고 영상은 광고 정보 DB(370)의 광고 영상 수집 정보 DB(372)에 저장된다.
이벤트 관리 서버(340)는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정보 DB(380)에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해당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등의 이벤트 정보 관련하여 전반적인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실시간 자막 제공 서버(350)는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 또는 긴급 공지사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실시간 자막 정보 DB(39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광고 영상 및 광고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수집하여 각 설치점마다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 및 관리하고, 상기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기초하여 광고 영상 및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설치점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고객 정보 DB(360)와 광고 관리 DB(370), 이벤트 정보 DB(380), 실시간 자막 정보 DB(3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버(320, 330, 340, 35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각 서버(320, 330, 340, 350)에 탑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시스템을 적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간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광고 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주(100)가 광고 컨설팅이나 문의를 통해 회원 가입을 하여 광고주(100)에 대한 기본 정보를 등록한다(①).
이후, 광고주(100)가 서비스 제공자 측에 광고 서비스를 신청하고, 아울러 광고주(100)가 원하는 시간대 및 광고비 등을 고려하여 광고 노출이 가능한 스케쥴(또는 일정)을 요청한다(②).
이때, 광고주(100)가 원하는 지역 및 업종 설치점을 선별적으로 등록하여 요청할 수도 있다.
광고 신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광고주(100)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 영상을 서비스 제공자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③).
그러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광고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광고 영상과 관련한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수집해 둔다(④, ⑤).
그리고, 수집한 광고 영상에 대한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하고,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을 광고 관리 정보 DB에 저장한다(⑥).
이후,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광고 영상을 설치점의 단말기(400)로 원격 전송한다(⑦).
그리고, 광고 영상과 관련하여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정보를 광고 영상과 함께 전송한다.
전송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일일처리 방식으로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당일 또는 해당일의 광고 영상을 전송하거나, 또는 일괄적으로 일정 기간의 광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점 단말기(400)에서는 일정 기간의 광고 영상을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다음 광고 영상을 수신하게 되면, 기저장된 광고 영상을 삭제하여 한정적인 저장 공간을 활용한다.
이후, 설치점에서는 광고 영상, 이벤트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치점 단말기(400)를 통해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해당 광고 영상을 실행한다(⑧, ⑨).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점 단말기에 광고 영상이 노출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로, 이벤트 정보나 자막 정보없이 순수하게 광고 영상이 노출된 화면(450a)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영상과 함께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로, 이벤트 정보(450b)는 광고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일 수 있고, 또는 광고 영상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정해진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노출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화면(450a)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벤트 정보(450b)가 노출된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현장에서 바로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450a)에 디스플레이된 이벤트 정보(450b)에서 "이벤트 참여하기" 와 같은 메뉴 항목(touch)을 터치하면 고객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 바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이 별도의 응모권에 기록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응모하는 방식과는 달리, 고객이 현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이벤트의 참여율을 높여 고객의 반응을 얻을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영상과 함께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로, 자막 정보(450c)가 존재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부에 자막 내용을 크롤(crawl)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자막 정보(450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영상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자막 정보(450c)는 일 예로 표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자막 정보(450c)의 내용은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광고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 당첨 정보이거나 긴급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후,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설치점 단말기(400)를 통해 고객(500)이 이벤트에 참여하고자 설문이나 고객 정보 입력 입력하면, 설치점 단말기(400)는 입력된 고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광고주(100)에게 전송한다(⑩, ⑪, ⑫).
이에 따라, 광고주(100)는 이벤트의 추첨을 통해 당첨된 고객(500)에게 소정의 이벤트 상품을 제공한다(⑬, ⑭). 예컨대,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고객(500)의 휴대폰 단말기로 문자 쿠폰을 발송하여, 고객이 문자 쿠폰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의 서비스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설치점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점 단말기에 광고 영상이 노출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영상과 함께 이벤트 정보가 노출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영상과 함께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고주 or 개인고객 2: 서비스 제공자
3: 설치점 100: 광고주 단말기
200: 인터넷망 3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400: 설치점 단말기 500: 고객
310: 웹 서버 320: 고객 관리 서버
330: 광고 관리 서버 340: 이벤트 관리 서버
350: 실시간 자막 제공 서버 360: 고객 정보 DB
362: 광고주 DB 364: 설치점 DB
366: 이벤트 참여고객 DB 370: 광고 정보 DB
372: 광고 영상 수집 DB 374: 스케쥴 정보 DB
380: 이벤트 정보 DB 390: 실시간 자막 정보 DB
4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20: TV 튜너
430: 구동 엔진 440: 데이터베이스
450: 표시부

Claims (18)

  1. 광고주의 광고 영상이 저장된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 영상을 제공할 각 설치점에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영상을 고객에게 노출시키고, 상기 광고 영상을 시청한 고객으로 하여금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 및
    상기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광고 영상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각 설치점별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 및 관리하고, 상기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영상 및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설치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게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을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치점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편성된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실행시키는 구동 엔진; 및
    상기 구동 엔진에서 실행한 광고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터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채널별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TV튜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주의 회원 가입을 통해 상기 광고 영상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웹 서비스를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웹 서버;
    상기 광고주,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구비한 설치점, 및 상기 이벤트에 참여 한 고객들을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 영상 정보를 설치점별,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관리하는 광고 관리 서버;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 또는 긴급 공지사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자막 제공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광고주에 관한 기본 정보, 상기 설치점에 관한 정보,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저장한 고객 정보 DB;
    상기 설치점별 광고 영상 목록 및 상기 설치점별 광고 노출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 광고 정보 DB; 및
    상기 광고 영상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 이벤트 정보 DB
    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에 관한 기본 정보는 상기 광고주의 이름, 서비스 등급, 상기 광고주가 신청한 광고 영상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설치점의 지역 위치, 업종, 규모, 상기 설치점에 구비된 설치점 단말기의 개수와 관련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고객의 핸드폰 번호, 이름,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또는 아이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벤트 상품으로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휴대폰으로 문자 쿠폰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시스템.
  12. (a) 광고주로부터 광고주 기본 정보, 광고 영상 정보, 상기 광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광고주가 원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광고 노출 스케쥴을 편성하는 단계;
    (b)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에 따라 편성된 광고 영상 정보와 상기 광고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설치점 단말기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이벤트 정보 또는 자막 정보를 동기화하여 노출시키는 단계;
    (d) 상기 광고 영상이 노출되는 동안, 상기 설치점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응모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상기 설치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정보를 해당 광고주에 제공하고, 상기 고객에게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도록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광고 노출 스케쥴을 일(日)별로 구분하며,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구비한 설치점마다 별도로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점 단말기는 화면의 터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정보는 핸드폰 번호, 이름,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또는 아이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 기본 정보는 상기 광고주의 이름, 서비스 등급, 상기 광고주가 신청한 광고 영상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이벤트 상품으로 상기 고객의 휴대단말기로 문자 쿠폰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 방법.
KR1020070117993A 2007-11-19 2007-11-19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1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93A KR20090051544A (ko) 2007-11-19 2007-11-19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93A KR20090051544A (ko) 2007-11-19 2007-11-19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544A true KR20090051544A (ko) 2009-05-22

Family

ID=4085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993A KR20090051544A (ko) 2007-11-19 2007-11-19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15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19B1 (ko) * 2010-04-20 2012-03-23 한국과학기술원 양방향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지속적 참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19B1 (ko) * 2010-04-20 2012-03-23 한국과학기술원 양방향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지속적 참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380168T3 (en) Affinitetsmarkedsføring to interactive media systems
US20090106084A1 (en) Market surveying
US20030196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based interactive programming
US200900436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market research
US20020055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advertising using user responses
JP2013062787A (ja) ザッピング広告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00083949A (ko)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2366B1 (ko)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693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16091B2 (ja) 分析システム
US20080097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JP6206773B2 (ja) 番組連動広告システム及び番組連動広告サーバ
US8738447B2 (en) Banner advertisement transfer server and banner advertisement transfer program
KR20090051544A (ko) 방송 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매개로 한 양방향 광고 노출시스템 및 방법
KR100928624B1 (ko)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KR20130021244A (ko) 방송 채팅 시스템
JP4778271B2 (ja) バナー広告配信装置
KR20120112296A (ko)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JP2008293059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広告クイズ
JPH11341182A (ja) テレ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
JP2015198313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5044287A (ja) 広告宣伝効果把握システム
JP2003228649A (ja) 双方向放送を利用した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4030897A1 (ko)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JP2007172208A (ja) 成果報酬型広告システム、成果報酬型広告方法および成果報酬型広告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