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534A - 구동축용 감속기 - Google Patents

구동축용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534A
KR20090051534A KR1020070117975A KR20070117975A KR20090051534A KR 20090051534 A KR20090051534 A KR 20090051534A KR 1020070117975 A KR1020070117975 A KR 1020070117975A KR 20070117975 A KR20070117975 A KR 20070117975A KR 20090051534 A KR20090051534 A KR 2009005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arrier
planetary gear
drive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518B1 (ko
Inventor
문형우
Original Assignee
세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5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축용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키도록 테이퍼베어링부가 닿는 하우징의 설치공간부와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을 상기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뒤틀림현상에도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를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베어링설치환을 지지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아답터와 캐리어를 이중으로 연결시켜 구동체의 방향전환에 따른 구동축의 뒤틀림에도 테이퍼베어링의 면 접촉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은 물론, 각 구성품 간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편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축, 감속기, 면접촉, 일체형 캐리어

Description

구동축용 감속기{Decelerator for driving shaft}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키도록 테이퍼베어링부가 닿는 하우징의 설치공간부와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을 상기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뒤틀림현상에도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를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베어링설치환을 지지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아답터와 캐리어를 이중으로 연결시켜 구동체의 방향전환에 따른 구동축의 뒤틀림에도 테이퍼베어링의 면 접촉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은 물론, 각 구성품 간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편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동축용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은 감속기에 의해 일정한 회전력을 피 구동축에 전달하게 되는데, 특히 자동차와 같은 자체 회전뿐 아니 라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 회전도 발생되는 구동축은 그에 맞는 감속기를 설치해야된다.
도 1은 종래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실시 예의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10)는 내부가 통공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는 캐리어(13), 하우징(11)의 내부 타단에 설치되어 캐리어(13)와 결합되는 아답터(12) 및 결합된 아답터(12)와 캐리어(13)가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14)으로 구성된다.
캐리어(13)는 일단부가 구동축과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축의 기어산과 연결되도록 다수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에는 다수의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가 형성된다.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13)의 유성기어가 회전하고, 유성기어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됨으로 하우징(11)이 아답터(12)와 캐리어(13) 결합체의 외측에서 회전하게 되며, 베어링(14)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용이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10)는 아답터(12)와 캐리어(13)의 결합부가 하우징(11) 내부에서 결합되어 자동차의 갑작스런 조향시 뒤틀림이 발생되어 아답터(12)와 캐리어(13)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틈에 의해 아답터(12)와 캐리어(13)의 중심축이 틀어져 베어링(14)과 닿는 면의 높이가 다르게 틀어지게 되면, 베어링(14)의 회전이 고르지 못해 소음이 발생되고, 부품 간의 마찰이 발생되어 편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20)는 내부가 통공된 하우징(21)과 하우징(21) 내부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어(23), 하우징(21)의 내부 타단에 내설되어 캐리어(23)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아답터(22) 및 아답터(22)가 하우징(21)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감속기(20)는 베어링(24)이 하나의 부품에만 닿도록 아답터(22)를 설치함으로 갑작스런 조향시 베어링(24)이 닿는 부위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 베어링(24)의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감속기(20)는 캐리어(23)에서 구동축(1)의 회전력을 일정하게 아답터(22)에 전달하지만, 아답터(22)가 구동축(1)과 별도의 니들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 자동차의 하중을 지탱하는 니들베어링의 하중 변화에 따른 진동 및 마모가 발생되고, 니들베어링의 진동 및 마모는 캐리어(23)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키도록 테이퍼베어링부가 닿는 하우징의 설치공간부와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을 상기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뒤틀림현상에도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를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베어링설치환을 지지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아답터와 캐리어를 이중으로 연결시켜 구동체의 방향전환에 따른 구동축의 뒤틀림에도 테이퍼베어링의 면 접촉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은 물론, 각 구성품 간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편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동축용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용 구동축 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키는 감속기에 있어서, 내부에 통공된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부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이 형성된 링기어를 갖는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부 타단부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베어링설치환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리어설치공이 형성된 아답터, 상기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외주면에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의 내륜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부 내주면과 닿아 회전되는 테이퍼베어링부,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부 일단부를 통해 상기 아답터의 캐리어설치공에 대응되는 아답터설치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되어 상기 아답터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링기어에 외측으로 치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내측으로 치합되는 유성기어부,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아답터를 고정시키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은 상기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외주면과 면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는 상기 아답터 베어링설치환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답터의 캐리어설치공은 일단부 직경이 타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 설치방향을 따라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의 타단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홈이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어 상기 아답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는 세 개로 구성되어 상기 링기어와 구동축에 연결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를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유성기어축, 상기 유성기어축과 유성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베어링 및 상기 유성기어축을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축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는 세 개의 유성기어축이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성기어축에 상기 유성기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축의 단부가 설치되는 유성기어설치공과 중앙부에 구동축설치공이 형성되어 축고정핀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축와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유성기어부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 내부에는 플랜지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설치공에 대응되는 플랜지돌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플랜지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속기에 의하면,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뒤틀림현상에도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를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베어링설치환을 지지하여 테이퍼베어링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아답터와 캐리어를 이중으로 연결시켜 구동체의 방향전환에 따른 구동축의 뒤틀림에도 테이퍼베어링의 면 접촉이 유지되어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은 물론, 각 구성품 간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편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 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캐리어와 유성기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캐리어와 유성기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용 감속기(100)는 하우징(110)과 아답터(120), 테이퍼베어링부(130), 캐리어(140), 유성기어부(150) 및 플랜지(16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은 내부가 통공된 설치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설치공간부(112)의 일단부 내측에는 링기어(11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아답터(120)는 하우징(110)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베어링설치환(122)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공된 캐리어설치공(124) 이 형성된다.
테이퍼베어링부(130)는 아답터(120)의 베어링설치환(122)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설치공간부(112) 내주면과 닿아 아답터(1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베어링설치환(122)은 테이퍼베어링부(130)가 설치되도록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테이퍼베어링부(130)를 면 접촉시킴으로 갑작스런 조향시 뒤틀림에 의한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게 된다.
테이퍼베어링부(130)는 아답터(120) 베어링설치환(122)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제1테이퍼베어링(132)과 제2테이퍼베어링(134) 및 제1,2테이퍼베어링(132, 134) 사이에는 설치되는 베어링샤프트(136)로 구성되며, 베어링샤프트(136)에 의해 제1,2테이퍼베어링(132, 134)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140)는 일단부가 아답터(120)의 캐리어설치공(124)에 대응되도록 아답터설치돌기(145)가 형성되고, 아답터설치돌기(145)의 일단부 내측에 플랜지설치공(146)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공간부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41)가 형성된다.
아답터설치돌기(145)는 아답터(120)의 베어링설치환(122)보다 돌출길이가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답터(120)의 캐리어설치공(124)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플레이트(141)는 중앙부에 구동축설치공(14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유성기어축설치공(143)이 형성되며, 유성기어축설치공(143)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핀설치공(144)이 형성된다.
유성기어부(150)는 캐리어(14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캐리어(140)의 고정플레이트(141)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유성기어부(150)는 고정플레이트(141)에 형성된 유성기어축설치공(14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성기어부(150)가 세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유성기어부(150)는 유성기어(152)와 유성기어축(154), 니들베어링(156) 및 축고정핀(158)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유성기어(152)는 구동축(1)의 기어산과 내측으로 치합되고, 하우징(110)의 링기어(114)와 외측으로 치합된다.
유성기어축(154)은 유성기어(152)를 캐리어(140) 고정플레이트(14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141)의 유성기어축설치공(143)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유성기어축(154)의 일단부에는 통공된 핀고정공(155)이 형성되고, 핀고정공(155)은 고정플레이트(141)의 핀설치공(144)과 대응되도록 유성기어축(154)을 유성기어축설치공(143)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핀고정공(155)과 핀설치공(144)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축고정핀(158)을 이용하여 유성기어축(154)을 고정플레이트(141)에 고정시킴으로, 유성기어(152)를 캐리어(14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유성기어(152)와 고정플레이트(141) 사이에는 스러스트와셔(159)를 각각 설치하여 유성기와(152)의 양단부 마모를 감소시킴으로,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40')는 다수의 유성기어축(154')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유성기어축(154')의 단부에는 고정플레이트(141')가 결합되어 유성기어부(15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 킬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41')는 가장자리를 따라 유성기어축(154')과 대응되도록 유성기어축설치공(143')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구동축(1)이 설치되는 구동축설치공(142')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축고정핀(158')이 설치되는 핀설치공(144')이 유성기어축설치공(143')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캐리어(140') 유성기어축(154')의 단부 일측에는 축고정핀(158')이 고정되는 핀고정공(155')이 핀설치공(144')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축고정핀(158')이 일직선상에 위치된 핀설치공(144')과 핀고정공(155')에 고정됨으로 고정플레이트(141')와 유성기어축(154')을 고정시키게 된다.
유성기어부(150')는 유성기어(152')와 니들베어링(156')으로 구성되며, 니들베어링(156')이 유성기어축(154')에 설치되고, 니들베어링(156') 외측에 유성기어(152')가 설치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유성기어부(150')의 양단부에 스러스트와셔(159')가 각각 설치되어 유성기어부(150')와 캐리어(140') 및 고정플레이트(141') 사이에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더욱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랜지(160)는 아답터(12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캐리 어(140, 140')의 플랜지설치공(145)에 대응되는 플랜지돌기(162)가 형성되어 캐리어(140, 140')와 고정되게 된다.
이때, 플랜지(160)는 캐리어(140)와 고정됨과 동시에 아답터(120)와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캐리어(140)와 아답터(12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고정시키게 되어 테이퍼베어링부(130)를 양측에서 가압함으로 테이퍼베어링부(130)의 유동을 방지하여 더욱 용이하게 캐리어(140)와 아답터(120)의 결합체가 하우징(110)의 설치공간부(112)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플랜지(160)와 캐리어(140)가 견고하게 고정되면, 사이에 있는 아답터(120)를 양단측에서 가압함과 동시에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플랜지(160)와 아답터(120)가 고정됨으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랜지(160)의 플랜지돌기(16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홈은 플랜지돌기(162)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캐리어(140)의 플랜지설치공(145)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답터(120)와 캐리어(140) 사이에 설치된 테이퍼베어링부(130)를 양단측에서 가압하여 아답터(1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함으로, 테이퍼베어링부(130)가 아답터(120) 베어링설치돌기(122)의 외주면과 하우징(110) 설치공간부(112)의 내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되어 아답터(120)가 하우징(110) 설치공간부(112)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아답터(120)의 캐리어설치공(124)은 일단부 직경이 타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캐리어(140) 설치방향을 따라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성됨으로, 캐리어(140)와 아답터(12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140)의 타단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홈(146)이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어 아답터(120)와의 결합시 캐리어설치공(124) 내주면에 억지끼움됨으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회전시 아답터(120)와 캐리어(140)의 회전방향 위치변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구동축(1)의 회전에 의해 유성기어부(150)가 하우징(110)의 링기어(114)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 유성기어부(150)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140)가 회전됨으로, 아답터(120)와 플랜지(160)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유성기어부(150)는 구동축(1)의 회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캐리어(140)에 전달시키지만, 조작자의 급가속에 의해 급회전에 전달되어 캐리어(140)와 아답터(120) 사이에 회전방향 변위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캐리어(140) 타단부에 회전방지홈(146)을 형성하여 이를 해소시 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실시 예의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캐리어와 유성기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용 감속기의 캐리어와 유성기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감속기 110 : 하우징
112 : 설치공간부 114 : 링기어
120 : 아답터 122 : 베어링설치환
124 : 캐리어설치공 130 : 테이퍼베어링부
132 : 제1테이퍼베어링 134 : 제2테이퍼베어링
136 : 베어링샤프트 140, 140' : 캐리어
141, 141' : 고정플레이트 142, 142' : 구동축설치공
143, 143' : 유성기어축설치공 144, 144' : 핀설치공
145 : 아답터설치돌기 146 : 플랜지설치공
147 : 회전방지홈 150, 150' : 유성기어부
152, 152' : 유성기어 154, 154' : 유성기어축
155, 155' : 핀고정공 156, 156' : 니들베이링
158, 158' : 축고정핀 159, 159' : 스러스트와셔
160 : 플랜지 162 : 플랜지돌기

Claims (7)

  1. 주행용 구동축 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시키는 감속기에 있어서,
    내부에 통공된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부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이 형성된 링기어를 갖는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부 타단부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베어링설치환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캐리어설치공이 형성된 아답터;
    상기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외주면에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의 내륜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부 내주면과 닿아 회전되는 테이퍼베어링부;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부 일단부를 통해 상기 아답터의 캐리어설치공에 대응되는 아답터설치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되어 상기 아답터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링기어에 외측으로 치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내측으로 치합되는 유성기어부; 및
    상기 캐리어와 상기 아답터를 고정시키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베어링부의 한 쌍의 테이퍼베어링은 상기 아답터의 베어링설치환의 외주면과 면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는 상기 아답터 베어링설치환의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의 캐리어설치공은 일단부 직경이 타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 설치방향을 따라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타단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홈이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어 상기 아답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세 개로 구성되어 상기 링기어와 구동축에 연결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를 상기 캐리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유성기어축, 상기 유성기어축과 유성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니들베어링 및 상기 유성기어축을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축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축용 감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는 세 개의 유성기어축이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성기어축에 상기 유성기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축의 단부가 설치되는 유성기어설치공과 중앙부에 구동축설치공이 형성되어 축고정핀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축와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유성기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아답터설치돌기 내부에는 플랜지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설치공에 대응되는 플랜지돌기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플랜지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용 감속기.
KR1020070117975A 2007-11-19 2007-11-19 구동축용 감속기 KR10090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75A KR100907518B1 (ko) 2007-11-19 2007-11-19 구동축용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75A KR100907518B1 (ko) 2007-11-19 2007-11-19 구동축용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534A true KR20090051534A (ko) 2009-05-22
KR100907518B1 KR100907518B1 (ko) 2009-07-14

Family

ID=4085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975A KR100907518B1 (ko) 2007-11-19 2007-11-19 구동축용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083A (zh) * 2013-08-07 2013-10-23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大型风电齿轮箱用行星架
KR101419911B1 (ko) * 2012-02-20 2014-07-16 주식회사 지유전자 라미네이터용 부싱 마모 방지장치
KR101983058B1 (ko) * 2018-03-20 2019-05-29 우림기계(주) 굴삭기용 주행 감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594B1 (ko) 2011-10-19 2013-03-25 주식회사 삼양감속기 유성기어 트레인 모듈
KR101281826B1 (ko) 2012-04-06 2013-07-03 신중호 발전기용 증속기
KR102432618B1 (ko) * 2015-11-05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037A (en) 1983-02-10 1985-0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l arrangement for disengageable reduction drive unit
KR100493536B1 (ko) 1997-05-26 2005-11-28 오꾸보 하구루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감속기장치
JP3481875B2 (ja) * 1998-12-01 2003-12-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のドラム駆動装置
US6811514B2 (en) 2002-01-23 2004-11-02 Axletech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Electronic drive unit assembly for heavy duty vehic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911B1 (ko) * 2012-02-20 2014-07-16 주식회사 지유전자 라미네이터용 부싱 마모 방지장치
CN103363083A (zh) * 2013-08-07 2013-10-23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大型风电齿轮箱用行星架
CN103363083B (zh) * 2013-08-07 2016-08-24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大型风电齿轮箱用行星架
KR101983058B1 (ko) * 2018-03-20 2019-05-29 우림기계(주) 굴삭기용 주행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518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518B1 (ko) 구동축용 감속기
US9333843B2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WO2009139217A1 (ja) 回転軸の軸受潤滑構造
WO2014045531A1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2012154370A (ja) 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828847B2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6021694B2 (ja) 車輪駆動装置のシリーズ
US7399253B2 (en) Washer and planetary gear set having the same
KR101505414B1 (ko) 감속기 엔드커버
JP2012137113A (ja) シャフト装置
JP5259428B2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4646831B2 (ja) 減速機
JP2015052374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潤滑構造
JP2008223866A (ja) 車両の終減速装置
JP5262838B2 (ja) ドライブシャフトの支持構造
KR200247094Y1 (ko) 수동 변속기용 베어링 및 베어링 리테이너
KR20130061925A (ko) 주행 모터
KR100729040B1 (ko) 차량용 허브 어셈블리 장치
JP2020046059A (ja) 支持機構及び等速自在継手
JP5550033B2 (ja) 駆動装置および駆動装置と相手機械との組み付け構造
KR100405352B1 (ko) 수동변속기의스피드드라이브기어의체결구조
KR20080010488A (ko) 차량 전륜의 드라이트 샤프트 구조
KR200238171Y1 (ko) 베어링이 취부된 기어
JP2024070029A (ja) 減速装置
KR10069213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차동기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