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530A -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530A
KR20090051530A KR1020070117969A KR20070117969A KR20090051530A KR 20090051530 A KR20090051530 A KR 20090051530A KR 1020070117969 A KR1020070117969 A KR 1020070117969A KR 20070117969 A KR20070117969 A KR 20070117969A KR 20090051530 A KR20090051530 A KR 2009005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lash
color temperature
light
phot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우
류헌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530A/ko
Publication of KR2009005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는, 렌즈 유닛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을 구비하며 렌즈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와,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값에 따라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Camera with a flash for close-up photography}
본 발명은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되는 색온도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플래쉬는 사진 촬영을 할 때 광을 보충함으로써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피사체에 근접하여 촬영을 실시할 때에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close-up photography flash, macro photography flash)를 사용한다. 근접 촬영용 플래쉬는, 일반적인 카메라 촬영보다는 치과의 치아 촬영용이나, 육류 등의 제품을 촬영하여 제작하는 상품 카탈로그용 등, 피사체의 특정 색을 강조함으로써 상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특수한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
근접 촬영용 플래쉬는 복수 개의 플래쉬들을 렌즈 주위에 배치해야 하며, 전류 소비가 많아 별도의 전용 배터리를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카메라에 부착되는 장치의 크기가 크고, 고가이며, 제어하기가 복잡하고, 배터리 소모가 빨리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는 아르곤, 크립톤, 네온 및 크세논과 같은 가스가 채워진 전구를 사용한다. 전구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가스가 이온화되어 가스를 통해 전자가 흐른다. 전자는 가스의 원자를 여기시켜 광을 방출한다. 방출된 광의 파장 특성은 전구 내의 가스에 의존한다. 근접 촬영을 행할 때에는 특정 상품의 색상을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용도를 살리기 위해서, 플래쉬에 의해 연출되는 색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플래쉬는 가스와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의 특성에 의해 광의 파장과 색온도 특성이 결정되므로, 플래쉬 자체를 조절하여 색온도를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종래에는 근접 촬영을 위한 플래쉬의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렌즈 앞에 어댑터 렌즈를 장착하고, 색 필터를 삽입하여 색온도를 조정하는 기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설치가 번거롭고, 필터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색온도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고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배터리 소모가 적은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되는 색온도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는, 렌즈 유닛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을 구비하며 렌즈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와,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값에 따라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 소자들은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발광 유닛을 이루며,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이 렌즈 유닛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는, 서로 번갈아가며 렌즈 유닛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은,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예비적으로 발광시키는 예비 발광 단계와,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색온도 조정 단계와, 색온도 조정 단계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키는 본 발광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은 예비 발광 단계에서 발광된 광에 노출된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은,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미리 정하여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색온도를 설정하는 색온도 설정 단계와,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고 색온도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색온도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색온도 조정 단계와, 색온도 조정 단계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키는 본 발광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는 LED와 같이 전력 소모가 적은 발광 소자들을 이용하므로 플래쉬의 구동으로 인한 배터리의 소모가 적다. 또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동하기 위한 전용 배터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표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3은 도 1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는, 렌즈 유닛(10)와, 발광 소자들(21)을 구비하며 렌즈 유닛(10)의 측면에 배치되는 플래쉬(20)와, 플래쉬(20)의 광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카메라의 본체(1)에 장착되는 렌즈 유닛(10)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식 카메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요소로서, 복수 개의 렌즈들의 군으로 이루어져 피사체의 영상광을 필름이나 촬상 소자로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렌즈 유닛(10)의 측면에 배치되는 플래쉬(20)는 근접 촬영을 위해 제공되는 발광 장치로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21)을 구비한 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20)에는 발광 소자(21)에 엘이디(발광 다이오드; LED)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 소자들(21)은 적색 발광 소자(22)와, 녹색 발광 소자(23)와, 청색 발광 소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20)는 그 정면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21)을 덮어 발광 소자들(21)로부터 발산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확산판(25)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발광 소자들(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값에 따라 발광 소자들(21)의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발광 소자(21)인 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LED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적색 발광 소자(22)와, 청색 발광 소자(24)와, 녹색 발광 소자(23)에 서로 다른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여 플래쉬(20)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카메라와 플래쉬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신호를 처리하는 CPU(31)와, 플래쉬 구동부(32)를 포함한다. 플래쉬 구동부(32)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20) 및 CPU(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근접 촬영용 플래쉬(20)의 발광 소자들(21)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20)는 카메라 본체(1)에 장착된 일반 플래쉬(2)에 연결 라인(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본체(1)에 내장되는 제어부(30)로부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일반 플래쉬(2)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근접 촬영용 플래쉬(20)의 연결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근접 촬영용 플래쉬(20)는 카메라 본체(1)를 통해 제어 부(30)와 전원부(41)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원부(41)는 CPU(31) 및 플래쉬 구동부(32)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표시부(42)는 CPU(31)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4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셔터 버튼(3)이나 모드 다이얼(4)과 같은 기능 키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CPU(3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21)에 LED가 적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발광 소자(21)에는 LED 이외에도, 레이저 다이오드나,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등 전기 신호에 의해 광량이 제어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에서 플래쉬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은 각각 전류 가변 트랜지스터(27)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가변 트랜지스터들(27)의 베이스에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PWM R control, PWM G control, PWM B control)가 인가된다. 트랜지스터(27)의 이미터측은 접지되고 컬렉터측과 공급 전원(VIN)의 사이에 발광 소자(21)인 LED(22, 23, 24)가 연결된다. 제어부로부터 트랜지스터(27)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u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e)에 따라 컬렉터와 이미터의 사이에 흐르는 발광 소자 구동 전류가 가변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이나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된 값에 의해 제어부로부터 발광 소자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변화될 수 있다. 특별히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22)와, 녹색 발광 소자(23)와, 청색 발광 소자(24)의 각각에 신호의 듀티비가 다르게 인가되면, 플래쉬(20)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서는 색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어댑터 렌즈를 카메라에 장착하고, 색 필터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에서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단순한 구성만으로도 다양한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크세논과 같은 가스가 채워진 전구를 이용하는 종래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충전할 때에 필요한 소비 전류는 6V의 구동 전압에서 약 1A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플래쉬를 충전하는 데에 약 6W의 전력이 소모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LED를 구동하는 데에는 전압 3V에서 50 mA의 소비 전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녹색, 청색, 적색의 세 개의 LED가 하나의 발광 유닛을 구성하면, 하나의 발광 유닛을 구동하는 데 약 0.45 W의 전력이 소모된다(3V X 50mA X 3개). 따라서 녹, 청, 적의 3원색 LED가 한 조로 이루어지는 발광 유닛을 10개를 배치하여도, 종래의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필요한 전력보다 적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비 전력이 작으므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동하기 위한 전용 배터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동하기 위해, 카메라 본체의 전력을 사용하거나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는 일반 플래쉬의 충전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은, 예비 발광 단계(S100)와, 표시 단계(S110)와, 색온도 조정 단계(S120)와, 본 발광 단계(S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제어할 때 예비 발광과 본 발광으로 나누어서 발광시킨다. 사용자는 예비 발광을 통해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에 의한 효과를 눈으로 확인한 후,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색온도를 조정하여 플래쉬를 본 발광시킬 수 있다.
예비 발광 단계(S100)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예비적으로 발광시키는 단계이다. 예비 발광 단계(S100)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반셔터로 조작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제어부가 입력 받고,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색온도 설정으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킨다. 제어부에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플래쉬의 색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플래쉬의 색온도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정해진 모드에 따라 정해진 몇 가지 기본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예비적으로 발광시킬 때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값으로 플래쉬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킬 수 있다.
예비 발광 단계(S100)의 이후에 표시 단계(S110)가 실행될 수 있다. 표시 단계(S110)는 예비 발광 단계(S100)에서 발광된 광에 노출된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표시 단계(S110)에 의해 표시부에 피사체의 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를 통해 플래쉬에 의한 색온도 효과를 확인하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단계(S110)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예비 발광 단계(S100)에서 발광된 광에 노출된 피사체를 직접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의해 현재 구현되는 색온도 효과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다.
표시 단계(S110)의 이후에는 색온도 조정 단계(S120)가 실행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120)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적색 발광 소자, 청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의 각각의 발광량을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플래쉬에 의한 색온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120)에서는 사용자가 예비 발광 단계에서 발광된 광에 의해 구현되는 플래쉬의 색온도 효과를 확인하고 원하는 색온도가 연출되도록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사체를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관찰하며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120)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가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방법 이외에도, 제어부가 자동적으로 색온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근접 촬영용 플래쉬가 예비적으로 발광될 때의 피사 체를 촬상하거나 측광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가 이 센서의 감지 결과로부터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 효과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색온도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발광 센서들의 발광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120)의 이후에는 본 발광 단계(S130)가 수행된다. 본 발광 단계(S130)는 색온도 조정 단계(S120)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광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제어부에 의해 조정된 광량으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발광 소자들이 발광하므로 원하는 수준으로 플래쉬의 색온도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광 단계(130)에서는 카메라가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 단계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할 때,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색온도 조정용 필터를 갈아 끼우는 복잡한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필터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플래쉬에 의해 색온도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예비적으로 발광시키는 예비 발광 단계(S100)를 시행하고, 색온도 조정 단계(S120)를 통해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 효과를 확인하며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은, 색온도 설 정 단계(S200)와, 표시 단계(S210)와, 색온도 조정 단계(S220)와, 본 발광 단계(S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시행되던 예비 발광 단계가 수행되지 않고,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미리 설정된 색온도에 따라 표시부가 피사체의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통해 플래쉬에 의해 구현될 색온도를 미리 예측하고. 그에 맞추어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색온도 설정 단계(S200)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미리 정하여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색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색온도 설정 단계(S200)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가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발광 소자들의 광량에 관한 값을 설정하거나, 미리 정해진 모드에 따라 제어부가 자동적으로 발광 소자들의 광량에 관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색온도 설정 단계(S200)의 이후에는 표시 단계(210)가 수행될 수 있다. 표시 단계(S210)는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고, 색온도 설정 단계(S200)에서 설정된 색온도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이다.
표시부는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LCD(엘씨디)와 같은 표시부가 사용되므로,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미리 촬상하여 LCD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LCD는 색온도 설정 단계(S2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색온도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촬상 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카메라들에서는 표시부에 전자식 뷰 파인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전자식 뷰 파인더는 카메라의 렌즈 유닛과는 별도로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는 광학 장치들을 구비한다. 전자식 뷰 파인더에서도 색온도 설정 단계(S2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색온도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한다.
표시 단계(S210)의 이후에는 색온도 조정 단계(S220)가 실행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220)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적색 발광 소자, 청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의 각각의 발광량을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플래쉬에 의한 색온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가 표시 단계(210)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통해 플래쉬에 의해 구현될 색온도 효과를 예상하고 원하는 색온도가 연출되도록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가 적색 발광 소자, 청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각각 조정하는 방법으로 플래쉬의 색온도가 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복수 개의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제어부가 선택된 모드에 따라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자동 조정하는 방법으로 색온도가 조정될 수도 있다.
색온도 조정 단계(S220)의 이후에는 본 발광 단계(S230)가 수행된다. 본 발광 단계(S230)는 색온도 조정 단계(S220)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광 단계(S230)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조정된 광량으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발광 소자들이 발광하므로 플래쉬의 색온도가 원하는 수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광 단계(230)에서는 카메라가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 단계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할 때,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색온도 조정용 필터를 갈아 끼우는 복잡한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필터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플래쉬에 의해 색온도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색온도 설정 단계(S200)에서 미리 정해진 색온도에 기초하여 표시부가 피사체의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미리 표시하고, 색온도 조정 단계(S220)를 통해 플래쉬에 의해 구현될 색온도 효과를 확인하며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의해 구현되는 색온도를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플래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에 구비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렌즈 유닛(110)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발광 소자(121)의 배치 형태가 변형되었다.
발광 소자(121)는 적색 발광 소자(122)와, 녹색 발광 소자(123)와, 청색 발광 소자(124)를 포함한다. 적색, 녹색, 청색 발광 소자들(122, 123, 124)은 서로 번갈아가며 렌즈 유닛(110)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121)가 변형된 방식으로 배치되지만, 발광 소자(121)의 적색, 녹색, 청색 발광 소자들(122, 123, 124)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이나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된 값에 의해 제어부로부터 발광 소자들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변화될 수 있다. 특별히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122)와, 녹색 발광 소자(123)와, 청색 발광 소자(124)의 각각에 신호의 듀티비가 다르게 인가되면, 플래쉬(120)에 구현되는 색온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구성 요소들을 표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에서 플래쉬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플래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본체 32: 플래쉬 구동부
2: 일반 플래쉬 41: 전원부
3: 셔터 버튼 42: 표시부
4: 모드 다이얼 43: 조작부
20, 120: 근접 촬영용 플래쉬 10, 110: 렌즈 유닛
25: 확산판 21, 121: 발광 소자
26: 연결 라인 22, 122: 적색 발광 소자
27: 전류 가변 트랜지스터 23, 123: 녹색 발광 소자
30: 제어부 24, 124: 청색 발광 소자
31: CPU

Claims (7)

  1. 렌즈 유닛;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 및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들의 광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발광 유닛을 이루며, 복수 개의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렌즈 유닛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와, 청색 발광 소자와, 녹색 발광 소자는, 서로 번갈아가며 상기 렌즈 유닛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카메라.
  5.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예비적으로 발광시키는 예비 발광 단계;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색온도 조정 단계; 및
    상기 색온도 조정 단계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발광시키는 본 발광 단계를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발광 단계에서 발광된 광에 노출된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
  7.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미리 정하여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색온도를 설정하는 색온도 설정 단계;
    피사체의 상을 포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색온도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색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색상을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색온도 조정 단계; 및
    상기 색온도 조정 단계에서 조정된 발광량에 의해 상기 근접 촬영용 플래쉬 를 발광시키는 본 발광 단계를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플래쉬의 제어 방법.
KR1020070117969A 2007-11-19 2007-11-19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KR20090051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69A KR20090051530A (ko) 2007-11-19 2007-11-19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969A KR20090051530A (ko) 2007-11-19 2007-11-19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530A true KR20090051530A (ko) 2009-05-22

Family

ID=4085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969A KR20090051530A (ko) 2007-11-19 2007-11-19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15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38B1 (ko) * 2012-09-19 2013-04-02 최광순 차량의 도색상태 검사장치
CN106376123A (zh) * 2016-08-28 2017-02-01 浙江三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控多色温智能驱动电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38B1 (ko) * 2012-09-19 2013-04-02 최광순 차량의 도색상태 검사장치
CN106376123A (zh) * 2016-08-28 2017-02-01 浙江三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控多色温智能驱动电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3985C (zh) 摄像装置
US20140340573A1 (en) Light Emitting Mobile Device Case
TWI223123B (en) Flash device, camera apparatus having the flash device, method of causing the flash device to emit colored rays of light therefro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to control the flash device so as to emit desired colored rays of light is stored
US20060133061A1 (en) Image taking apparatus with flash device
EP2544444B1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80232079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taking
JP3584355B2 (ja) 撮影用照明装置
JP4168617B2 (ja) 撮像装置用閃光装置、閃光装置付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597842B2 (ja) 撮影装置
CN106793932A (zh) 摄像系统
US10645303B2 (en) Imaging device
JP2002148686A (ja) 撮影用照光装置
KR20090051530A (ko) 근접 촬영용 플래쉬를 구비하는 카메라
JP4586211B2 (ja) 撮影装置
JP2009284079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生成方法
JP200612681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59043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20050212684A1 (en) Indicating apparatus combined with flash
JP2007165411A (ja)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発光制御方法
JP2009284078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生成方法
JP2006259407A (ja) 撮影装置及び照明装置の制御方法
JP2004219687A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06308773A (ja) 発光装置及びカメラ
CN111712010B (zh) 一种led灯光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0220110A (ja)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