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216A -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216A
KR20090051216A KR1020097005041A KR20097005041A KR20090051216A KR 20090051216 A KR20090051216 A KR 20090051216A KR 1020097005041 A KR1020097005041 A KR 1020097005041A KR 20097005041 A KR20097005041 A KR 20097005041A KR 20090051216 A KR20090051216 A KR 2009005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yonet
extraction chamber
pad holder
ridg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비스 엠. 베스트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5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64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bayonet-type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제조장치(1)는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10)를 수납하고 지지하는 패드 홀더(30)를 갖고, 이 홀더는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커피 제조장치의 추출실 상단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모두는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하고, 이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접촉 표면들(51, 61)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52, 53, 62, 63, 64)을 구비한다. 패드 홀더의 추출실 상단부에 대한 체결이나 이와 같은 체결의 분리를 행할 때, 패드 홀더가 추출실 상단부에 대해 회전하고, 이 동안에 패드 홀더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접촉 표면(51)의 부분(53)은 패드 홀더를 안내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추출실 상단부에 대한 패드 홀더의 높이가 자동으로 변화하도록 한다.
음료 제조장치, 베이어넷 연결, 패드 홀더, 추출실 상단부, 베이어넷 리지

Description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BEVERAGE MAKER COMPRISING A PAD HOLDE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BREW CHAMBER TOP PORTION THROUGH A BAYONET CONNECTION}
본 발명은, 추출가능한 재료와 이 추출가능한 재료를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지는 물로부터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일정량의 상기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도록 의도된 추출실(brew chamber) 공간을 둘러싸는 추출실 케이스를 갖는 추출실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실 케이스는 베이어넷(bayonet)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케이스 부분들은 이격된 베이어넷 리지(ridge)들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어넷 리지들이 서로 접촉하고 상기 케이스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2개의 케이스 부분들의 상기 베이어넷 리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각각의 베이어넷 리지가 다른 베이어넷 리지와 접촉하는데 적합한 표면을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언급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특히 에스프레스 기계 분야에서 일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를 수납하고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은 흔한 일이며, 이때 이 홀더는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다른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가 제 위치에 놓이고 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분쇄된 커피 열매가 존재하는 공간이 밀폐된다.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을 강제로 이 공간을 통해 밀어넣음으로써 에스프레소 커피가 제조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홀더는 2개의 베이어넷 리지들을 구비한 금속 부분이다. 에스프레소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고려하면, 홀더의 재료의 강도 및 강성이 상당히 높은 것이 요구되므로, 홀더를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구나, 기존장치에서 홀더를 제 위치에 놓고 이것을 올바르게 고정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렵고 불편한데, 이 기계를 조작하기 위해 숙련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장치에서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해 베이어넷 연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특히 가정용으로 의도된 음료 제조장치에는 아직 적용되지 않았다. 그 대신에, 홀더를 수납하는 칸막이가 이와 같은 음료 제조장치에서는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거나 서랍(drawer)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음료 제조장치의 문제점은, 이들 음료 제조장치가 상당한 수의 움직이고 있는 무거운 부품들을 구비하고 홀더를 수납하는 칸막이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들 부품이 정확하게 규정된 치수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음료 제조장치가 부품치수의 편차에 민감하며, 음료 제조장치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든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어넷 연결을 사용하여 홀더가 음료 제조장치의 다른 부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단순하여 음료 제조장치가 가전제품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하는 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상기 베이어넷 리지의 상기 접촉 표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구비하는,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량의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고 유지하는 홀더와 추출실의 상단부일 수 있는 추출실 케이스의 부분들의 베이어넷 리지들이 특수한 형상을 가져,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때, 추출실 케이스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할 때의 축이 되는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접촉 표면의 부분들 중에서 한 개가 뻗으며, 다른 표면, 즉 케이스 부분들의 회전 운동과 관련된 평면에 대해 경사진 평면에서 접촉 표면의 부분들 중에서 다른 한 개가 뻗는 베이어넷 리지들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간략을 기하기 위해, 케이스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할 때 축이 되는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뻗는 접촉 표면의 부분을 수평 부분이라고 부르는 한편, 접촉 표면의 나머지 부분을 경사 부분으로 부른다.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이 전술한 것과 같은 수평 부분과 경사 부분을 가질 때, 나사산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어넷 연결이 이루어진다. 특히, 모든 베이어넷 리지들이 유사하게 놓인다고 가정하면, 베이어넷 리지들 중에서 한 개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이 먼저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를 따라 미끌어지게 함으로써, 제 1 베이어넷 리지가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에 대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2개의 베이어넷 리지들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첫 번째 베이어넷 리지의 저촉 표면의 수평 부분이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수평 부분 바로 위의 높이에 위치하는 즉시,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들의 경사 부분들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들의 상기한 부분들이 서로를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에 따르면, 서로에 대한 베이어넷 리지들의 이동이 접촉 표면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명확해진다.
케이스 부분들 중에서 한 개가 착탈가능한 홀더인 경우에는, 홀더의 필요한 이동이 베이어넷 리지들의 특정한 형상에 의해 좌우되므로, 사용자가 홀더를 음료 제조장치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놓아 음료 제조장치의 이 홀더를 올바르게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을 사용하여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편, 접촉 표면의 수평 부분을 사용하여 홀더를 고정한다. 베이어넷 연결을 이루기 위해 사용자가 행할 필요가 있는 모든 것은 음료 제조장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홀더를 삽입하고, 이 홀더를 규정된 길이만큼 회전시키는 일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이한 조작을 위해 홀더에 핸들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부분들 중에서 한 개의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부분을 구비하여, 케이스 부분들이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부분들 중에서 한 개가 케이스 부분들 중에서 다른 한 개의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의 일부에 대해 거의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한다. 특히, 첫번째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이 1개의 수평 부분과 2개의 경사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경사 부분은 수평 부분의 양쪽에 놓인다. 이와 같은 경우에,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이 첫번째 베이어넷 리지를 따라 활주할 때,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이 첫번째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나머지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이 첫번째 베이어넷 리지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따라 활주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방지된다. 사실상, 첫번째 베이어넷 리지의 접촉 표면의 경사 부분은 경사로(ramp)로서의 역할을 한다. 더구나, 베이어넷 리지들의 접촉 표면들의 경사 부분의 거의 평행한 배향은 경사 부분들이 서로 접촉하고 있을 때 케이스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기 쉬운 위험성을 없앤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케이스 부분이 적어도 3개의 베이어넷 리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베이어넷 리지들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분들은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베이어넷 연결이 적어도 3개의 베이어넷 리지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통상적인 음료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압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연결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가능한 재료와 이 추출가능한 재료를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지는 물로부터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상기 부품이 음료 제조장치의 추출실의 케이스의 일부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정량의 상기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도록 의도된 추출실 공간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부품은 베이어넷 리지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베이어넷 리지는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반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표면을 구비한 부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부품은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일정량의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고 유지하는 착탈가능한 홀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커피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추출실을 구비하고, 이 추출실이 패드 홀더와 상단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장치의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제조장치의 패드 홀더와 추출실 상단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피 제조장치의 패드 홀더와 추출실 상단부의 부분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제조장치의 패드 홀더와 추출실 상단부의 폐쇄 이동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제조장치의 패드 홀더와 추출실 상단부의 폐쇄 위치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피 제조장치의 패드 홀더와 추출실 상단부의 개방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장치(1)의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커피 제조장치(1)는 온수와 분쇄된 커피 열매로 채워진 패드(10)에서 커피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도 1에는 커피 제조장치(1)에서 커피를 받는 컵 등의 용기(11)가 더 도시되어 있다.
커피 제조장치(1)는, 물을 수납하는 물 탱크(12)와, 물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14)과 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15)를 갖는 보일러(13)와, 물 탱크(12)에서 보일러(13)로 물을 펌핑하는 펌프(16)와,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10)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밀폐가능한 추출실(2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커피 패드(10)는 점선을 사용하여 표시하였는데, 이것은 커피 패드(10)가 추출실(20)의 케이스(22)에 의해 둘러싸인 추출실(20)의 내부 공간(21) 내부에 놓인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커피 제조장치(1)를 사용하여 커피를 제조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추출실(20) 내부에 커피 패드(10)를 삽입하고 커피 제조장치(1)를 구동한다.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에서의 최초 스텝으로서, 보일러(13) 내부의 물을 가열부재(15)를 사용하여 가열한다. 물의 온도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펌프(16)가 구동되어, 냉수가 물 탱크(12)에서 보일러(13)로 이송되고, 온수가 보일러(13)에서 추출실(20)로 이송된다.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의 두 번째 스텝에서는, 온수와 커피 패드(10) 내부에 존재하는 소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 사이에 상호작용이 추출실(20) 내부에서 일어난다. 그 결과, 뜨거운 커피가 얻어지며, 이것은 추출실(20)에서 컵(11)으로 흘러간다.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사용되는 분쇄된 커피 열매들의 양에 맞추어 변형된다. 도 1에서는, 커피 제조장치(1)를 통과하는 물의 경로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커피 제조장치(1)는, 다양한 부품들, 특히 가열장치(15)와 펌프(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절한 제어수단(17)을 구비한다. 제어수단(17)을 도 1에 개략적으로 표시하였으며, 커피 제조장치(1)의 작동중에 제어수단(17)에 의해 가열부재(15)와 펌프(16)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임의의 적절한 제어수단(17)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수단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커피 제조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피 제조장치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제어수단(17)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보일러(13)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원하는 온도와 물의 실제 온도의 비교에 근거하여, 가열부재(15)를 온 및 오프로 전환할 수도 있다. 더구나, 제어수단(17)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보일러(13)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펌프(16)를 자동으로 전원을 켜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펌핑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추출실(20)의 케이스(22)는, 2개의 부분, 즉 패드 홀더(30)와 상단부(40)를 구비한다. 패드 홀더(30)는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10)를 수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패드 홀더(30)는, 커피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10)를 추출실(20)의 내부 공 간(21)에 삽입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가 행할 필요가 있는 모든 것은 패드 홀더(30)를 잡고, 커피 패드(들)(10)를 패드 홀더(30)에 배치한 후, 패드 홀더(30)를 커피 제조장치(1)의 제 위치에 놓은 것 뿐이다.
커피 제조장치(1)의 작동중에 커피 제조장치(1)를 통해 물을 변위시키기 위해 펌프(16)를 작동하면, 온수가 추출실(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밀어넣어져, 내부 공간(21)에 압력이 축적된다. 따라서, 추출실(20)이 밀폐가능하고, 패드 홀더(30)가 추출실 상단부(40)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2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추가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이때, 도 2에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 2 및 도 3에는, 추출실 상단부(40)가 물 유입 부재(40)를 갖고 호스(42)가 이 물 유입 부재(4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호스(42)는 보일러(13)의 물 출구(18)에 연결되어, 펌프(16)가 가동될 때 보일러(13)에서 추출실(20)로 물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추출실 상단부(40)는 컵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커피 제조장치(1)의 정상적인 위치에서는 추출실 상단부(40)의 개방측이 추출실 상단부(40)의 하측에 위치한다. 추출실 상단부(40)의 상측에는, 살수기부재(43)가 배치되는데, 이 부재는 물을 수납하는 살수기 공간(44)과 물이 살수기 공간(44)을 벗어나게 할 수 있는 구멍들(45)을 구비한다. 살수기 부재(43)는 물 유입 부재(41)가 살수기 공간(44)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펌핑 동작 중 에, 살수기 공간(44)이 물로 채워지고, 이 물이 구멍들(45)을 통해 살수기 공간(44)을 벗어날 때 이 물이 커피 패드(들)(10) 위에 살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패드 홀더(30)가 2개의 부분, 즉 패드 지지부(31)와 핸들부(32)를 구비한다. 패드 지지부(31)는 컵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그것의 저면에서 중공형 실린더가 뻗는다. 커피 제조장치(1)의 정상 위치에서는, 패드 지지부(31)의 개방측이 패드 지지부(31)의 상측에 위치한다. 중공형 실린더의 형상을 갖는 패드 지지부(31)의 부재는 물 출구부재(33)이다. 커피 패드(들)(10)를 지지하는 스터드(stud)들(35)이 패드 지지부(30)의 저면(34)에 배치된다.
핸들부(32)는 패드 지지부(31)를 운반하는 역항을 하며 커피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핸들(36)을 갖는다. 핸드(36)의 존재는 사용자가 패드 홀더(30)를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만든다. 이때,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패드 홀더(30)가 1개보다 많은 수의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추출실(20)을 폐쇄하기 위해, 패드 홀더(30)가 추출실 상단부(40)에 일부가 삽입될 필요가 있다. 추출실(2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추출실(20)로부터 물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 링(46)이 설치되는데, 이 밀폐 링은 추출실 상단부(40)의 물 유입부재(41)가 존재하는 측에 배치되고 살수기부재(43)를 둘러싼다. 패드 홀더(30)의 상부 테투리(37)가 밀폐 링(46)과 접촉하고 있을 때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사이의 연결이 완전하게 밀폐된다.
패드 홀더(30)는 베이어넷 연결에 의해 추출실 상단부(40)에 연결될 수 있 다. 이를 위해,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는 이격된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하고,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사이의 연결은 다음과 같은 스텝이 행해질 때 달성된다:
1)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 아래에 배치하는 스텝,
2) 패드 홀더(30)의 상부 테두리(37)가 밀폐 링(46)에 접촉할 때까지 패드 홀더(3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 및
3) 패드 홀더(30)를 회전시키는 스텝.
패드 홀더(30)가 상향으로 움직일 때,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부분들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이동하도록, 패드 홀더(30)가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배치된다. 따라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을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을 넘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후 패드 홀더(30)를 회전시키면,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 바로 위의 위치에 놓인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얻어진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되면, 추출실(20)이 밀폐되어 압력을 받고 있는 온수의 제공에 적합하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형상과, 이들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이 이동하여 서로에 대해 배치되는 방식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접촉 표면(51, 61)의 형상, 즉 다른 베이어넷 리지(50, 60)의 표면(51, 61)과 접촉하는데 적합한 베이어넷 리지(50, 60)의 표면(51, 61)의 형상을 특히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2개의 부분들(52, 53)을 갖는 접촉 표면(51)을 구비한다. 2개의 부분들(52, 53) 중에서 한 개는, 패드 홀더(30)가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회전할 때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뻗는다. 베이어넷 리지 50의 접촉 표면 51의 이와 같은 부분 52는 이하에서는 수평 부분(52)으로 부르는 한편, 베이어넷 리지 50의 접촉 표면 51의 나머지 부분 53은 경사 부분(53)으로 부른다.
더구나, 도 4 내지 도 6에는,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이 3개의 부분들(62, 63, 64)을 갖는 접촉 표면(61)을 구비한다.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접촉 표면(51)과 마찬가지로,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의 접촉 표면(61)은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거울상과 다소 유사하게 수평 부분(62)과 경사 부분(63)을 구비한다. 경사 부분(63)이 수평 부분(62)에 연결되는 측 이외의 수평 부분(62) 측에, 또 다른 경사 부분(64)이 배치된다. 간략을 기하기 위해 이와 같은 경사 부분 64를 이하에서는 경사로 부분(64)으로 부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가 서로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경사로 부분(64)이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경사 부분(53)에 거의 평행하게 뻗는다.
이때, 접촉 표면 51과 반대쪽에 있는 베이어넷 리지들(50)의 다른 측에 놓이는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상부 표면(54)은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의 접촉 표면(61)의 형상을 닮는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따라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상부 표면(54)은 경사로 부분(55)을 더 구비한다. 더구나, 접촉 표면 61의 반대쪽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의 다른 측에 놓이는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의 저면(65)은 특히 수평 부분(66)과 경사 부분(67)을 구비한다.
도 4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폐쇄 이동을 예시한 것이다. 특히,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이동을 2개의 화살표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먼저,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상부 표면(54)의 경사로 부분(55)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저면(65)의 경사 부분(67)에 접촉할 때까지 패드 홀더(30)를 위로 움직인다. 둘째, 패드 홀더(30)를 회전시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가 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상부 표면(54)의 경사로 부분(55)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저면(65)의 경사 부분(67)을 따라 활주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경사 부분(53)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경사로 부분(64)을 따라 활주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정한 순간에,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지리(60)의 접촉 표면(61)의 경사로 부분(64)을 따른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경사 부분(53)의 활주 운동이 유지 되는 동안,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상부 표면(54)의 경사로 부분(55)과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저면(65)의 경사 부분(67) 사이의 접촉을 잃어버린다.
표면 부분들 53, 64가 서로를 따라 활주한다는 사실로 인해 회전운동 중에 패드 홀더(30)가 들어올려진다.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수평 부분(52)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수평 부분(62)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이와 같은 들어올려짐 과정이 계속된다. 이 순간부터 계속해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경사 부분(53)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경사 부분(63)에 접할 때까지 수평 부분들 52, 62가 서로를 따라 활주한다. 이에 따라 얻어진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상호 위치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상호 배치에서는,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연결이 완벽하며 커피 제조처리와 관련된 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다.
패드 홀더(30)를 추출부 상단부(40)에서 분리하려면, 추출실 상단부(40)에 패드 홀더(30)의 연결을 행하는 전술한 과정의 스텝들이 역순으로 행해진다. 이것을 도 6에 도시하였는데, 이때에는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이동을 2개의 화살표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먼저, 패드 홀더(30)를 회전시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가 도 6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수평 부분(52)이 추출 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수평 부분(62)을 따라 활주한다. 그후의 단계에서, 회전운동 중에,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수평 부분(52)과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수평 부분(62) 사이의 접촉을 잃어버리고,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접촉 표면(51)의 경사 부분(53)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접촉 표면(61)의 경사로 부분(64)을 따라 활주를 시작한다. 그 결과, 패드 홀더(30)는 회전할 뿐만 아니라, 하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후의 단계에서 회전운동 중에,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의 추가적인 안내가 구현되는데, 즉 상부 표면 54의 경사로 부분(55)이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의 저면(65)의 경사 부분(67)과 접촉한다. 특정한 순간에,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60) 위에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50) 부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 패드 홀더(30)가 자유롭게 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에 부착하거나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에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할 때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필요한 상호 운동이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표면들 51, 54, 61, 65의 특정한 형상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사이에 연결을 행해가 위해서는, 커피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패드 홀더(30)를 정확한 초기 위치에 놓고, 바람직하게는, 핸들(36)을 잡고서,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회전시키면 된다. 패드 홀더(30)가 회전운동의 결과로써 자동으로 들어올려지므로, 패드 홀더(30)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베이어넷 연결을 행하는 처리는 나사산 연결을 행하는 처리와 유사하다. 추출실 상단부(40)에서 패드 홀더(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피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것과 관련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패드 홀더(30)를 회전시키면 된다.
전술한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사용하는 중요한 이점은,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에 연결하거나 패드 홀더(30)를 추출실 상단부(40)에서 분리할 때 커피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어떤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는 것이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이 서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이 단지 1가지만 존재한다. 사용자는 단지 패드 홀더(30)의 핸들(36)을 잡고 이 패드 홀더(3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모두가 6개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한다. 이것은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수가 6개보다 작거나 6개보다 많은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변경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수는 최소한 3개인데, 이와 같은 경우에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포함하는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가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연결이 커피 제조처리와 관련된 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하기 때문이다.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 각각이 적어도 4개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 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하고 기술하였지만, 이와 같은 예시와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커피 제조장치(1)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는 사실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분야가 배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사실상, 본 발명은,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상호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한 적어도 2개의 부분들(30, 40)을 구비한 추출실(20)을 갖는 다른 종류의 음료 제조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더구나, 음료를 제조하는 처리에서 사용되며 추출실(20)의 내부 공간(21)에 놓이는 추출가능한 재료가 패드(10) 내부에 수납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가 첨부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연구하여 특허청구된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특정한 구성이 반복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구성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의 참조번호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위에서는, 적어도 1개의 커피 패드(10)를 수납하고 지지하는 패드 홀더(30)를 갖는 커피 제조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다. 패드 홀더(30)는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커피 제조장치(1)의 추출실 상단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는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한다.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접촉 표면들(51, 61)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구비한다.
패드 홀더(30)의 추출부 상단부(40)에 대한 체결 또는 이와 같은 체결의 분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패드 홀더(30)는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해 회전하고,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은 추출실 상단부(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을 따라 활주한다. 패드 홀더(30)가 회전할 때 축이 되는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뻗는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접촉 표면들(51, 61)의 수평 부분들(52, 62)이 서로의 위에 놓일 때, 패드 홀더(30)와 추출실 상단부(40)가 상호 연결된다. 수평 부분 52에 대해 경사진 패드 홀더(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의 접촉 표면(51)의 부분(53)이 패드 홀더(30)의 회전 운동 중에 패드 홀더(30)를 안내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때 추출실 상단부(40)에 대한 패드 홀더(30)의 높이는 이 부분 53의 경사진 방향으로 인해 자동으로 변동된다.

Claims (9)

  1. 추출가능한 재료와 이 추출가능한 재료를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지는 물로부터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일정량의 상기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도록 의도된 추출실 공간(21)을 둘러싸는 추출실 케이스(22)를 갖는 추출실(20)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실 케이스(22)는 베이어넷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30, 40)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케이스 부분들(30, 40)은 이격된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이 서로 접촉하고 상기 케이스 부분들(30, 40)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2개의 케이스 부분들(30, 40)의 상기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각각의 베이어넷 리지(50, 60)가 다른 베이어넷 리지(50, 60)와 접촉하는데 적합한 표면(51, 61)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52, 53, 62, 63, 6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넷 리지(50, 60)의 상기 접촉 표면(51, 61)의 부분들(52, 53, 62, 63, 64) 중에서 1개(52, 62)는, 상기 케이스 부분들(30, 40)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할 때의 축이 되는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분들(30, 40) 중에서 한 개(40)의 베이어넷 리지들(60)의 접촉 표면(61)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부분(62, 63, 64)을 구비하고, 케이스 부분들(30, 40)이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부분들(62, 63, 64) 중에서 한 개(64)가 케이스 부분들(30, 40) 중에서 다른 한 개(30)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의 접촉 표면(51)의 일부(53)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분들 중에서 1개는 상기 음료 제조장치(1)에서 착탈가능하고 일정량의 상기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고 유지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분(30)은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조작을 위한 핸들(3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스 부분(30, 40)은 적어도 3개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포함하는 각각의 케이스 부분(30, 40)은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장치(1).
  8. 추출가능한 재료와 이 추출가능한 재료를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지는 물로부터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1)에 사용되는 부품(30, 40)으로서, 상기 부품(30, 40)이 음료 제조장치(1)의 추출실(20)의 케이스(22)의 일부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케이스(22)는 일정량의 상기 추출가능한 재료를 수납하도록 의도된 추출실 공간(21)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부품(30, 40)은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하고, 각각의 베이어넷 리지(50, 60)는 서로에 대해 경사진 반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52, 53, 62, 63, 64)을 포함하는 표면(51, 6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9. 제 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베이어넷 리지들(50, 6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30, 40).
KR1020097005041A 2006-08-14 2007-08-09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KR20090051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879 2006-08-14
EP06118879.3 2006-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216A true KR20090051216A (ko) 2009-05-21

Family

ID=3875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41A KR20090051216A (ko) 2006-08-14 2007-08-09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62900A1 (ko)
EP (1) EP2053948A1 (ko)
JP (1) JP2010500145A (ko)
KR (1) KR20090051216A (ko)
CN (1) CN101500456A (ko)
WO (1) WO2008020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5949B2 (en) 2010-02-12 2013-07-30 Keurig, Incorporated Apparatus for beverage formation with automated water delivery to heating tank
EP2747607B1 (en) * 2011-12-29 2015-09-30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solvent and ingredients
JP6125207B2 (ja) * 2012-11-15 2017-05-1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容器
JP2014097831A (ja) * 2012-11-15 2014-05-29 Zojirushi Corp 飲料容器
US9844293B2 (en) 2015-03-06 2017-12-19 Spectrum Brand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74079A (fr) * 1923-12-03 1924-07-04 Dispositif d'accouplement de la coupe amovible au raccord du groupe générateur dans les machines pour la préparation instantanée du café
DE440854C (de) * 1925-04-30 1927-02-17 Henschel & Sohn G M B H Verschluss fuer die abnehmbare Bruehvorrichtung von Kaffeebereitern mit Wasser- und Dampfbenutzung
FR666825A (fr) * 1928-04-04 1929-10-07 Filtre pour la préparation pratiquement instantanée d'infusions de café et autres substances
DE1107912B (de) * 1954-02-11 1961-05-31 Willi Brandl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uszuegen aus Kaffee, Tee usw.
US2881692A (en) * 1956-09-25 1959-04-14 Volcov Vittorio Electric apparatus of automatically pulsating action for preparing infusions through distillation
IT1151641B (it) * 1982-06-11 1986-12-24 Alfredo Cavalli Struttura di gruppo partafiltro,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da caffe' di tipo famiglia
DE3400567C3 (de) * 1984-01-10 1994-07-28 Krups Fa Robert Elektrisch betriebene Espressomaschine
DE3415204A1 (de) * 1984-04-21 1985-10-31 Poccino-Espresso Import- und Export GmbH, 4000 Düsseldorf Espresso-kaffeemaschine
DE8535291U1 (de) * 1985-12-14 1986-02-06 Melitta-Werke Bentz & Sohn, 4950 Minden Kaffeemaschine
US5267506A (en) * 1993-01-13 1993-12-07 Zhihua Cai Apparatus for automatic coffee brewing
EP0634128B1 (de) * 1993-07-16 1996-10-23 Eugster/Frismag AG Einführhilfe für den Siebhalter einer Espressomaschine
US5443175A (en) * 1994-04-19 1995-08-22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Resealable closure device
FR2730621B1 (fr) * 1995-02-21 1997-05-09 Levi Mario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oupe porte-filtre sous le porte-coupe d'une machine a cafe
IT1288773B1 (it) * 1996-10-22 1998-09-24 Essegielle Srl Macchina per caffe' espresso.
ES2151226T3 (es) * 1997-07-14 2000-12-16 Nestle Sa Dispositivo para la confeccion de bebidas.
GB2330133B (en) * 1997-10-10 2001-11-07 Beeson & Sons Ltd Closure assembly for pressurized containers
US6016740A (en) * 1997-11-25 2000-01-25 Hilbrich; Daniel A. Filtering device for an espresso-type coffee maker
US6155462A (en) * 1999-05-04 2000-12-05 Owens-Illinois Closure Inc. Bayonet-type finish for a container
GB2409200B (en) * 2003-12-19 2007-01-17 Beeson & Sons Ltd Bottle and closure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elements
US7198170B2 (en) * 2004-01-07 2007-04-03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 closure on a container
US7273005B2 (en) * 2004-06-18 2007-09-25 Saeco Ipr Limited Coffee grinder assembly for a coffee machine
WO2006000775A1 (en) * 2004-06-23 2006-01-05 Dubois Limited Beverage container
FR2885288B1 (fr) * 2005-05-04 2007-06-22 Seb Sa Porte-filtre pour dosette et machine a cafe comprenant un tel porte-filt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2900A1 (en) 2010-07-01
WO2008020371A1 (en) 2008-02-21
JP2010500145A (ja) 2010-01-07
EP2053948A1 (en) 2009-05-06
CN101500456A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6732C2 (ru) Выдачной узел кофемашины эспрессо с фронтальной вставкой фильтродержателя
RU26754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RU2663405C2 (ru) Заварочный модуль
US7617763B2 (en) Motorized and remote-controlled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espresso machines
EP1878368B1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 with functional block and support base
KR101433602B1 (ko) 회전식 추출챔버를 구비한 음료생성장치
US20130213240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CN112167982A (zh) 滴滤咖啡制作装置
US20050132891A1 (en)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coffee machines
JP2015535720A (ja) シフト可能な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受け器を有する抽出ユニット
US20130247771A1 (en) Simple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JP2015533565A (ja) 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空洞を有する抽出ユニット
KR20090051216A (ko) 베이어넷 연결을 통해 추출실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패드 홀더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JP4652450B2 (ja) 抽出装置の閉鎖機構
KR20070019971A (ko) 압축된 에스프레소 장치를 위한 필터 홀더의 캐비넷 디자인
RU2489956C2 (ru) Набор изделий, которые являются пригодны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роцесс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5231918A (en)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or tea
US3978778A (en) Beverage-making apparatus
CN108478011A (zh) 具有打奶功能的胶囊咖啡机
RU2670863C9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JPS608811B2 (ja) コ−ヒ−等の浸出装置
US20210345820A1 (en) Coffee maker
JP2023530162A (ja) フィルタ・ホルダの自動ロック付きコーヒー・マシン
EP4273069A1 (en) Anti-drip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for electric appliance
JP2016202325A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