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039A - 제진 재료 - Google Patents

제진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039A
KR20090051039A KR1020097002383A KR20097002383A KR20090051039A KR 20090051039 A KR20090051039 A KR 20090051039A KR 1020097002383 A KR1020097002383 A KR 1020097002383A KR 20097002383 A KR20097002383 A KR 20097002383A KR 20090051039 A KR20090051039 A KR 2009005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damping material
component structural
polyester resin
structu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아키 무카사
다케오 하야시
사토시 요시나카
다쿠야 미네자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5Particles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와 디올 성분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을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진 재료로서, (1) 폴리에스테르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와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의 합계량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와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합계량의 비율[(A1+B1)/(A0+B0)]이 0.5∼1.0의 범위 내이고, 또한 (2)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의 중량 비율(X:Y:Z)이 15∼40:5∼30:30∼80의 범위 내인 제진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경량이고, 제진성이 높으며, 특히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한다. 또, 카본 분말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부터 다채로운 색조가 요구되는 용도나 개소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따라서, 차량, 철도, 항공기, 가전·0A 기기, 정밀 기기, 건축 기계, 토목 건축물, 구두, 스포츠 용품 등의 진동이 발생하는 개소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진 재료{VIBRATION-DAMPING MATERIAL}
본 발명은 고분자 재료를 주체로 한 제진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경량이고, 제진성이 높으며,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하고, 또한 범용성이 높은 제진 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철도, 항공기, 가전·OA 기기, 정밀 기기, 건축 기계, 토목 건축물, 구두, 스포츠 용품 등의 진동이 발생하는 개소에는 그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재료로서 제진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진재와 같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재료로서 염화비닐계 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한 연질의 염화비닐계 수지가 알려져 있다. 이 연질 염화비닐계 수지는 진동 에너지를 수지 내부에서 마찰열로 소비함으로써 그 감쇠가 도모되고 있으나, 충분한 진동의 흡수, 감쇠는 할 수 없다.
또, 제진 재료로는 가공성, 기계적 강도, 재료 비용의 면에서 뛰어난 부틸고무나 NBR 등의 고무 재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무 재료는 일반 고분자 재료 중에서는 가장 감쇠성(진동 에너지의 전달 절연 성능, 혹은 전달 완화 성능)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고무 재료 단독으로 제진 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제진성(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성질)이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건조물이나 기기류의 방진 구조에는 고무 재료와 강판을 적층한 적층체, 혹은 이것에 소성변형 하여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납 코어나 오일 댐퍼를 조합한 제진 구조체라고 하는 복합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진 재료로서의 고무 재료는 상기와 같이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못하여 복합화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방진 구조도 복잡한 것이 되는 것으로부터 제진 재료 자신, 고무 재료 자신의 높은 제진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 제진 재료로서 주쇄의 에스테르 결합 간의 탄소수가 홀수인 부분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개2006-052377호 공보).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실온 부근에서의 제진 성능이 뛰어나 제진 재료로서 유망한 재료이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도전성 재료인 카본 분말이 주로 이용되고, 운모 분말 등과 함께 분산시키기 때문에 제진 재료는 흑색이나 갈색이 되어, 제진 성능을 유지 향상시키면서 다채로운 색조가 요구되는 용도나 개소에는 사용하기 어려우면 문제가 있다. 또,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하는 제진 재료가 요망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부터 경량이고, 제진성이 높으며,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하고, 또한 범용성이 높은 제진 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검토한 결과, 주쇄의 에스테르 결합 간의 탄소수가 홀수인 부분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mica flake)을 분산시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제진 재료가 상기의 목적에 필적하는 것인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제진 재료를 제공한다.
1.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와 디올 성분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을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진 재료로서, (1)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와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의 합계량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와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합계량의 비율[(A1+B1)/(A0+B0)]이 0.5∼1.0의 범위 내이고, 또한 (2)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의 중량 비율(X:Y:Z)이 15∼40:5∼30:30∼8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재료.
2.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가 이소프탈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운데칸2산, 브라실산 및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카르복시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3.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가 이소프탈산 및/또는 아젤라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4.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 중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의 비율이 0.5∼1.0의 범위 내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5.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가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메타크실릴렌 글리콜 및 1,3-시클로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6.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가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7.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 중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비율이 0.5∼1.0의 범위 내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8.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1) 트리클로로에탄/페놀의 중량비 40/60인 혼합 용매 중, 25℃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2∼2.0 dL/g이고, 또한 (2)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강(降)온도 결정화 발열 피크의 열량이 5 J/g 이하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9. 두께 1.0 ㎜의 시트를 0∼80℃에서 중앙 가진법에 의해 500 Hz 반공진점에서 측정된 손실 계수의 최대값이 0.27 이상이고, 또한 상기 손실 계수가 0.1을 초과하는 온도 폭이 35℃ 이상인 상기 1의 제진 재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경량이고, 제진성이 높으며, 특히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을 첨가하는 것이고, 카본 분말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부터, 다채로운 색조가 요구되는 용도나 개소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차량, 철도, 항공기, 가전·0A 기기, 정밀 기기, 건축 기계, 토목 건축물, 구두, 스포츠 용품 등의 진동이 발생하는 개소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와 디올 성분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을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진 재료의 수지 성분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대해서는,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와 디올 성분 구성단위로 이루어지고,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와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의 합계량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와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합계량의 비율[(A1+B1)/(A0+B0)]이 0.5∼1.0의 범위 내인 것을 요건으로 한다.
여기서,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또는 디올 성분 구성단위)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란 하나의 에스테르 결합[-C(=O)-O-]과 다음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끼워진 모노머 단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주쇄를 따른 최단 경로상에 존재하는 탄소 원자 수이다. 또한, 각 성분의 구성단위 수는 후술하는 1H-NMR 스펙트럼 측정 결과의 적분값의 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와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의 합계량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와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합계량의 비율[(A1+B1)/(A0+B0)]이 0.5∼1.0의 범위이고, 0.7∼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 및 디올 성분 구성단위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는 홀수인 1, 3, 5, 7, 9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가 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의 예로는 이소프탈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운데칸2산, 브라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등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및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바람직하고, 이소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상기 디카르복시산에서 유래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2종 이상의 구성단위를 포함할 때에는 이소프탈산 및 아젤라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의 예로는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3-펜탄디올, 1-메틸-1,3-부탄디올, 2-메틸-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헥산디올, 3-메틸-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메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5-헥산디올, 2-에틸-1,5-펜탄디올, 2-프로필-1,5-펜탄디올, 메타크실렌글리콜, 1,3-시클로헥산디올, 1,3-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등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메타크실렌글리콜 및 1,3-시클로헥산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바람직하고,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상기 디올에서 유래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의 비율(A1/A0)이 0.5∼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율(A1/A0)이 0.7∼1.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에 대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 수(B1)의 비율(B1/B0)이 0.5∼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율(B1/B0)이 0.7∼1.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1) 트리클로로에탄/페놀의 중량비 40/60인 혼합 용매 중, 25℃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2∼2.0 dL/g이고, 또한 (2)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강온시 결정화 발열 피크의 열량이 5 J/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및 (2)를 만족함으로써 보다 높은 제진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상기한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및 디올 성분 구성단위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정도로 다른 구성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디카르복시산 및 그 에스테르(이것을 「다른 디카르복시산류」라고 말함), 디올(이것을 「다른 디올류」라고 말함) 혹은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및 그 에스테르(이것을 「히록시카르복시산류」라고 말함)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디카르복시산류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신산, 도데칸2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데칼린디카르복시산, 노르보르난디카르복시산, 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복시산, 펜타시클로도데칸디카르복시산, 이소포론디카르복시산, 3,9-비스(2-카르복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디카르복시산 혹은 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트리카르바릴산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시산, 혹은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디올류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2-메틸-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5-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 화합물류;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류;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1,3-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1,4-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1,5-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1,6-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2,7-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메탄올, 테트라린디메탄올, 노르보르난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5-메틸올-5-에틸-2-(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1,3-디옥산, 펜타시클로도데칸디메탄올, 3,9-비스(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지환족 디올류;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메틸렌비스페놀(비스페놀 F), 4,4'-시클로헥실리덴비스페놀(비스페놀 Z), 4,4'-술포닐비스페놀(비스페놀 S) 등의 비스페놀류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히드로퀴논, 레조르신, 4,4'-디히드록시비페닐, 4,4'-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디페닐벤조페논 등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카르복시산류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벤조산, 디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이소프탈산, 히드록시아세트산, 2,4-디히드록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헥사데칸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4-히드록시프탈산, 4,4'-비스(p-히드록시페닐)펜탄산, 3,4-디히드록시신남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원료인 모노머를 중축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르 교환법, 직접 에스테르화법 등의 용융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촉매, 에스테르화 촉매, 에테르화 방지제, 또 중합에 이용하는 중합 촉매, 열안정제, 광안정제 등의 각종 안정제, 중합 조정제 등도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망간, 코발트, 아연, 티탄, 칼슘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망간, 코발트, 아연, 티탄, 칼슘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 에테르화 방지제로서 아민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중축합 촉매로는 게르마늄, 안티몬, 주석, 티탄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게르마늄(Ⅳ); 산화안티몬(Ⅲ), 트리페닐스티빈, 아세트산안티몬(Ⅲ); 산화주석(Ⅱ); 티탄(Ⅳ) 테트라부톡시드, 티탄(Ⅳ) 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티탄(Ⅳ) 비스(아세틸아세토나이트)디이소프로폭시드 등의 티탄산 에스테르류가 예시된다. 또, 열안정제로서 인산, 아인산, 페닐포스폰산 등의 각종 인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유효하다. 그 외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 원료로 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은 상기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가 유래하는 디카르복시산 외에 그들의 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디카르복시산 염화물, 활성아실 유도체, 디니트릴 등의 디카르복시산 유도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진동 에너지 흡수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을 분산시킨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분산시키는 이산화티탄(Y)의 형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루틸형만이나 아나타제형만을 포함하는 이산화티탄, 루틸형 및 아나타제형이 혼합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산화티탄이 갖는 광촉매 활성을 억제하기 위한 표면 피복 처리제로는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등의 표면 처리제를 들 수 있다. 또, 도전성 분말을 포함함으로서 도전성을 갖는 이산화티탄도 본 발명의 제진 재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티탄(Y)은 평균 입자 지름이 0.01∼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산화티탄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제진 성능을 갖는 제진 재료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제진 성능을 갖는 온도 범위가 넓어진다는 예기치 않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분산시키는 운모 인편(Z)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진동 에너지 흡수 효과가 높은 인편 형상의 운모인 흰색 운모가 바람직하다. 또, 분산시킨 운모가 제진 재료 내부에서 배향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진 재료 중의 운모의 평균 입자 지름이 25∼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의 중량 비율(X:Y:Z)은 15∼40:5∼30:30∼8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15∼25:15∼25:50∼70의 범위이다.
제진 재료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상기 중량 비율을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성형성을 잃는 일 없이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에 의한 제진성 향상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상기 중량 비율을 40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을 잃는 일 없이 제진성 향상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함유량의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진 재료에서의 이산화티탄(Y)의 상기 중량 비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산화티탄에 의한 제진성의 향상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산화티탄(Y)의 상기 중량 비율이 30을 초과하면 이산화티탄의 함유량이 많은 것에 비해 제진성이 별로 향상하지 않는다.
또한, 제진 재료에서의 운모 인편(Z)의 상기 중량 비율을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진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중량 비율을 80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을 잃는 일 없이 운모 함유량의 증가에 의해 제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 이외의 다른 무기 충전재나, 1종 이상의 첨가제, 예를 들면, 분산제, 상용화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난연제, 가교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내후제, 내열제, 가공조제, 광택제, 발포제, 발포조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수지와의 블렌드 또는 성형 후의 표면 처리 등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혼합 방법은 기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롤, 밴베리 믹서, 2축 혼련기, 압출기 등의 장치를 이용해 용융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제에 용해 혹은 팽윤시키고,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을 혼입시킨 후에 건조하는 방법, 각 성분을 미분말 형상으로 혼합하는 방법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운모 인편, 첨가제 등의 첨가 방법, 첨가 순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두께 1.0 ㎜의 시트를 0∼80℃에서 중앙 가진법에 의해 500 Hz 반공진점에서 측정된 손실 계수의 최대값이 0.27 이상이고, 또한 상기 손실 계수가 0.1을 초과하는 온도 폭이 35℃ 이상인 제진 재료로 된다.
또,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 이산화티탄 및 운모 인편을 주체로 하고 있으므로 경량이고, 높은 제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특히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제진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수지 성분에 운모 인편과 함께 이산화티탄을 첨가함으로써, 높은 제진 성능을 갖는 제진 재료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진 성능을 갖는 온도 범위가 넓어진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제진 재료의 분야에서는 「온도-주파수 환산칙」이 성립된다고 전해지고 있어, 온도 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이 넓어지는 것이 된다.
이 「온도-주파수 환산칙」이란 「제진 재료로 이용되는 고분자 재료나 고무 등의 점탄성체의 복소탄성 계수(종탄성, 횡탄성 모두)는 온도 T와 주파수 f의 함수이다. 어느 온도 T0을 규준 온도로 설정하고, 온도 T1에서의 복소탄성 계수를 종축에, 주파수를 횡축(대수축)에 두고, 이것을 횡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하면, 기준 온도 T0에서의 복소탄성 계수와 일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주파수를 낮게(시간을 길게)하는 것과 대응하고, 온도를 낮게 하는 것이 주파수를 높게(시간을 짧게)하는 것과 대응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온도의 변화를 주파수의 변화로 환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온도 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높은 제진 성능을 갖는 주파수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제진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사용할 수 있는 용도가 확대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수지 성분에 운모 인편과 함께 이산화티탄을 첨가하는 것이고, 카본 분말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부터, 다채로운 색조가 요구되는 용도나 개소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은 것이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사출 성형품, 시트, 필름, 섬유, 용기, 발포체, 접착제, 도료, 구속형 제진 시트, 비구속형 제진 시트 등으로 성형 또는 가공되어서, 차량, 철도, 항공기, 가전·0A 기기, 정밀 기기, 건축 기계, 토목 건축물, 구두, 스포츠 용품 등에 적응되는 방진재, 제진재, 흡차음재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진 재료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랐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각 구성단위의 몰비: [(A1+B1)/(A0+B0)], (A1/A0), (B1/B0):
400 MHz-1H-NMR 스펙트럼 측정 결과의 적분값의 비로부터 산출하였다.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η]):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η])는 트리클로로에탄/페놀=40/60(중량비)인 혼합 용매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시켜 25℃로 유지하고, 캐논 펜스케형 점도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3)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온시 결정화 발열 피크의 열량(ΔHc):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온시 결정화 발열 피크의 열량(ΔHc)은 시마즈 제작소제 DSC/TA-50WS형 시차주사열량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시료 약 10 ㎎을 알루미늄제 비밀봉 용기에 넣고, 질소 가스 기류 중(30 ㎖/분), 승온 속도 20℃/분으로 280℃까지 승온, 280℃에서 1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강온 속도로 강온했을 때에 나타나는 발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하였다.
(4) 제진 재료의 손실 계수:
제진 재료를 열프레스에 의해 성형하여 두께 약 1 ㎜의 시트로 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10 ㎜×150 ㎜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하고, 두께 1 ㎜의 기판(알루미늄 합금 5052재) 상에 열프레스에 의해 열압착 혹은 2액 경화형 에폭시계 접착제(세메다인 주식회사제, 상품명: 세메다인 SG-EPO, EP008)로 접착시켜 비구속형 제진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비구속형 제진재를 손실 계수 측정 장치(주식회사 오노 속키제)를 이용하여, 측정 온도 범위가 0∼80℃인 조건에서 중앙 가진법에 의해 500 Hz 반공진점에서의 손실 계수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측정 온도 범위에 있어서 얻어진 손실 계수의 최대값 및 손실 계수가 0.1을 초과하는 온도 폭을 비교함으로써 제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손실 계수가 클수록 제진성이 높다.
실시예 1
충전탑식정류탑, 교반날개, 분축기, 전축기, 콜드 트랩, 온도계, 가열 장치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내용적 30리터(L)의 폴리에스테르 제조 장치에, 이소프탈산(에이·지·인터내셔널·케미컬 주식회사제) 9,950 g(60.3 몰), 아젤라인산(코그니스사제, 상품명: EMEROX1144, 본 상품은 아젤라인산을 93.3 몰% 포함하고, 디카르복시산의 합계량은 99.97%임) 5,376 g(29.7 몰), 2-메틸-1,3-프로판디올(대련화학공업 주식회사제) 14,600 g(162 몰)을 첨가하고, 상압, 질소 분위기하에서 225℃까지 승온하여 3.0시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증류제거되는 축합수의 양을 모니터하면서 이소프탈산 및 아젤라인산의 반응 전화율이 85 몰% 이상이 된 후, 티탄(Ⅳ) 테트라부톡시드·모노머(와코우순약 주식회사제) 14.3 g(총 공급 원료 중량으로부터 축합수 중량을 제외한 초기 축합 반응 생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티탄의 농도가 70.5 ppm)를 첨가하고, 승온과 감압을 서서히 수행하여, 2-메틸-1,3-프로판디올을 계외로 뽑아내면서, 최종적으로 240∼250℃, 0.4 kPa 이하에서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서서히 반응 혼합물의 점도와 교반 토크값이 상승하여, 적당한 점도에 도달한 시점 혹은 2-메틸-1,3-프로판디올의 유출(distillation)이 정지한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상은 [η]=0.71(dL/g), ΔHc=0(J/g), 1H-NMR[400 MHz, CDCl3, 내부 표준 TMS): δ(ppm)=7.5∼8.9(Ph-H, 4H); 3.5∼4.6(-CH 2- CH(CH3)-CH 2-, 6H); 1.0∼2.6(-CH2CH(CH3)CH2-, -CH2CH(CH 3)CH2-, -CO(CH 2)7CO-, 13H]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A1+B1)/(A0+B0)=1.0; (A1/A0)=1.0; (B1/B0)=1.0] 1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이시하라산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타이페이크 CR-80) 15 중량% 및 운모 인편(야마구치 운모 주식회사제, 상품명: CS-060DC) 7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25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5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20 중량% 및 황화아연 분말(사카이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RAK-S) 5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5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 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이시하라산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타이페이크 CR-60)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사카이화학공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SR-1)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SICHUAN LOMON TITANIUM INDUSTRY CO.제, 상품명: R-996)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39.6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0.4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36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4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36 중량%, 황화아연 분말(RAK-S) 4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중량%, 황화아연 분말(RAK-S) 25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50 중량%를 2축 혼련를 이용하여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중량% 및 이산화티탄 분말(타이페이크 CR-80)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중량% 및 황화아연 분말(RAK-S)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중량% 및 산화아연 분말(사카이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산화아연 1종)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75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규산칼슘 분말(NYCO Minerals제, 상품명: 나이그로스 4)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이산화규소 분말(와코우순 약공업 주식회사제, 상품명: 이산화규소)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탄산칼슘 분말(마루오 칼슘 주식회사제, 상품명: WHISSCAL A) 20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36 중량%, 도전성 카본 분말(케첸블랙 인터내셔널 주식회사제, 상품명: 케첸블랙 EC) 4 중량% 및 운모 인편(CS-060DC) 60 중량%를 2축 혼련기를 이용해 200℃에서 혼련하였다. 얻어진 제진 재료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제진 재료의 배합량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X) 15 20 25 25 20 20 20
이산화티탄(Y)
CR80 15 20 25 20
CR60 20
SR-1 20
R996 20
황화아연 5
산화아연
규산칼슘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도전성 카본 (케첸블랙)
운모 인편(Z) 70 60 50 50 60 60 60
측정·평가 결과
(1) 최대 손실 계수 0.27 0.31 0.31 0.37 0.32 0.33 0.29
최대 손실 계수가 되는 온도(℃) 25 25 25 25 25 25 25
(2) 손실 계수가 0.1이 되는 온도
저온측(℃) 9.6 9.6 9.4 10.2 9.7 9.8 9.4
고온측(℃) 48.7 50.5 45.8 45.4 52.3 48.9 48.6
손실 계수가 0.1 이상인 온도 폭(℃) 39.1 40.9 36.4 35.2 42.6 39.1 39.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제진 재료의 배합량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X) 39.6 36 36 25 40 40 40
이산화티탄(Y)
CR80 0.4 4 60
CR60
SR-1
R996
황화아연 4 25 60
산화아연 60
규산칼슘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도전성 카본 (케첸블랙)
운모 인편(Z) 60 60 60 50 - - -
측정·평가 결과
(1) 최대 손실 계수 0.32 0.32 0.30 0.32 0.13 0.11 0.12
최대 손실 계수가 되는 온도(℃) 20 20 20 17.5 17.5 15.0 15.0
(2) 손실 계수가 0.1이 되는 온도
저온측(℃) 7.9 8.0 9.2 9.8 11.0 10.7 11.0
고온측(℃) 35.3 35.4 37.2 36.1 22.0 18.9 19.5
손실 계수가 0.1 이상인 온도 폭(℃) 27.4 27.4 28.0 26.3 11.0 8.2 8.5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제진 재료의 배합량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X) 40 25 20 20 20 36
이산화티탄(Y)
CR80
CR60
SR-1
R996
황화아연
산화아연
규산칼슘 20
이산화규소 20
탄산칼슘 20
도전성 카본 (케첸블랙) 4
운모 인편(Z) 60 75 60 60 60 60
측정·평가 결과
(1) 최대 손실 계수 0.12 0.30 0.27 0.27 0.26 0.27
최대 손실 계수가 되는 온도(℃) 17.5 20 20 20 20 20
(2) 손실 계수가 0.1이 되는 온도
저온측(℃) 6.3 8.2 9.2 9.1 9.1 10.5
고온측(℃) 35.5 39.0 37.2 37.8 35.9 42.3
손실 계수가 0.1 이상인 온도 폭(℃) 29.2 30.8 28.0 28.7 26.8 31.8
표 1∼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상온 부근(25℃)에서 최대 손실 계수를 얻을 수 있고, 손실 계수가 높으며, 제진성이 뛰어나고, 또 손실 계수가 0.1 이상이 되는 온도 범위가 35℃ 이상이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의 제진 재료에서는 최대 손실 계수가 0.3 이상인 것이 있지만(비교예1∼3, 9), 손실 계수가 0.1 이상이 되는 온도 범위가 대부분 30℃ 이하이고, 32℃를 초과하는 것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특히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경량이고, 제진성이 높으며, 특히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보다 뛰어난 제진성을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에 운모 인편과 함께 이산화티탄을 첨가하는 것이고, 카본 분말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부터, 다채로운 색조가 요구되는 용도나 개소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진 재료는 차량, 철도, 항공기, 가전·0A 기기, 정밀 기기, 건축 기계, 토목 건축물, 구두, 스포츠 용품 등의 진동이 발생하는 개소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와 디올 성분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mica flake)(Z)을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진 재료로서, (1)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와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의 합계량에 대한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와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합계량의 비율[(A1+B1)/(A0+B0)]이 0.5∼1.0의 범위 내이고, 또한 (2)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산화티탄(Y) 및 운모 인편(Z)의 중량 비율(X:Y:Z)이 15∼40:5∼30:30∼8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가 이소프탈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운데칸2산, 브라실산 및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카르복시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제진 재료.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가 이소프탈산 및/또는 아젤라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제진 재료.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0) 중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카르복시산 성분 구성단위 수(A1)의 비율(A1/A0)이 0.5∼1.0의 범위 내인 제진 재료.
  5.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가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메타크실렌글리콜 및 1,3-시클로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제진 재료.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가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제진 재료.
  7.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전체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0) 중의 주쇄 중의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디올 성분 구성단위 수(B1)의 비율(B1/B0)이 0.5∼1.0의 범위 내인 제진 재료.
  8.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1) 트리클로로에탄/페놀의 중량비 40/60인 혼합 용매 중, 25℃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2∼2.0 dL/g이고, 또한 (2)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강(降)온도 결정화 발열 피크의 열량이 5 J/g 이하인 제진 재료.
  9. 청구항 1에 있어서,
    두께 1.0 ㎜의 시트를 0∼80℃에서 중앙 가진법에 의해 500 Hz 반공진점에서 측정된 손실 계수의 최대값이 0.27 이상이고, 또한 상기 손실 계수가 0.1을 초과하는 온도 폭이 35℃ 이상인 제진 재료.
KR1020097002383A 2006-08-09 2007-08-07 제진 재료 KR20090051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6939 2006-08-09
JPJP-P-2006-216939 2006-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039A true KR20090051039A (ko) 2009-05-20

Family

ID=3903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383A KR20090051039A (ko) 2006-08-09 2007-08-07 제진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0388B2 (ko)
EP (1) EP2050983B1 (ko)
JP (1) JP5262716B2 (ko)
KR (1) KR20090051039A (ko)
CN (1) CN101495772B (ko)
TW (1) TW200817470A (ko)
WO (1) WO2008018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0175B2 (ja) * 2007-11-13 2014-03-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制振材料
EP2452966A1 (en) * 2009-07-06 2012-05-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Vibration-damping film
US20130012641A1 (en) * 2009-12-03 2013-01-1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olding material having vibration-damping property and molded article
JP6168731B2 (ja) * 2011-06-02 2017-07-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制振性を有する成型材料および成型品
US10513591B2 (en) 2017-02-10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 cost high heat polymer with improved sound deadening properties made with recycled plastic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063A (ja) 1989-10-03 1991-05-21 Nippon Steel Corp 制振材料用粘弾性樹脂組成物
JPH03122144A (ja) * 1989-10-04 1991-05-24 Bando Chem Ind Ltd 防振ゴム組成物
GB9321184D0 (en) * 1993-10-14 1993-12-01 Ici Plc Polymeric film
JP3119063B2 (ja) 1994-01-11 2000-12-18 富士通株式会社 符号情報処理方式並びにその符号装置及び復号装置
JP3554627B2 (ja) * 1996-03-05 2004-08-18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6291574B1 (en) * 1999-08-27 2001-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 molded articles
WO2001016231A1 (en) 1999-08-27 2001-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Sound damping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JP4458231B2 (ja) * 2002-10-08 2010-04-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および樹脂組成物
EP1408075A1 (en) * 2002-10-10 2004-04-14 Titecs Japan Corporation Vibration damping material composition
JP2004143257A (ja) * 2002-10-23 2004-05-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高損失樹脂組成物
EP1571176A1 (en) 2004-03-01 2005-09-0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with high vibration damping ability
JP2006052377A (ja) 2004-03-01 2006-02-23 Mitsubishi Gas Chem Co Inc 高制振性樹脂組成物
JP5087242B2 (ja) * 2005-07-29 2012-12-05 参天製薬株式会社 ゲル状組成物を用いた後眼部組織への非侵襲性ドラッグ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5028765B2 (ja) * 2005-08-23 2012-09-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音響機器用制振材料ならびにシートおよび音響機器用支持台
JP5028766B2 (ja) 2005-08-23 2012-09-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成形材料および成形品
JP4951897B2 (ja) * 2005-08-24 2012-06-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高制振性靴ソール
JP5440175B2 (ja) * 2007-11-13 2014-03-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制振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0388B2 (en) 2011-10-04
EP2050983A4 (en) 2010-11-17
JP5262716B2 (ja) 2013-08-14
EP2050983A1 (en) 2009-04-22
JPWO2008018444A1 (ja) 2009-12-24
TW200817470A (en) 2008-04-16
WO2008018444A1 (fr) 2008-02-14
EP2050983B1 (en) 2012-11-28
US20100179267A1 (en) 2010-07-15
CN101495772A (zh) 2009-07-29
CN101495772B (zh)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3789A (ko) 제진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86755B1 (ko) 고제진성 수지 조성물
JP2006052377A (ja) 高制振性樹脂組成物
JP5440175B2 (ja) 制振材料
KR20090051039A (ko) 제진 재료
KR20120135191A (ko) 제진성을 갖는 성형재료 및 성형품
JP2007045904A (ja) 床材用制振シート及び床材
JP5028766B2 (ja) 成形材料および成形品
JP5733207B2 (ja) 制振フィルム
JP2008189854A (ja) 制振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5217081B2 (ja) ディスク型記録媒体用制振部材
JP2011068722A (ja) 成形材料
JP4951897B2 (ja) 高制振性靴ソール
JP2012236907A (ja) 制振遮音材料
JP2011074244A (ja) 成形材料
JP2007051735A (ja) 配管用制振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