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608A -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608A
KR20090050608A KR1020070117158A KR20070117158A KR20090050608A KR 20090050608 A KR20090050608 A KR 20090050608A KR 1020070117158 A KR1020070117158 A KR 1020070117158A KR 20070117158 A KR20070117158 A KR 20070117158A KR 20090050608 A KR20090050608 A KR 2009005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ase
cam
hole
ligh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김경호
정호영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0608A/ko
Publication of KR2009005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렌즈보호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보호장치는 중앙에 제2 관통홀을 갖고 휴대폰에 설치된 렌즈유닛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중앙에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케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카메라, 렌즈보호, 스냅결합, 회전각, 셔터, 블레이드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Lens protecting apparatus for camera of cellphone}
본 발명은 렌즈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소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설치되는 렌즈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휴대폰은 통화기능뿐 아니라 카메라 기능을 함께 구비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폰은 카메라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등 오염물질에 의해 렌즈가 오염됨에 따라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2006-35340호에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렌즈보호장치는, 렌즈로 피사체 및 빛을 투사시키기 위한 광투과홀을 개폐하기 위해서, 한쌍의 블레이드와 연결된 손잡이부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밀어서 광투과홀을 폐쇄하고 있는 한쌍의 블레이드를 선회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렌즈보호장치가 설치되는 휴대폰용 카메라의 경우, 렌즈유닛 이 초소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렌즈보호장치도 초소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실제로 손잡이부를 선회시킬 때 손가락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작동감은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사용자는 렌즈보호장치의 작동여부를 다시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초소형 카메라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폰 등에 설치되는 렌즈보호장치를 통해 광투과홀을 개방 시, 회동부재의 충분한 회전각도를 확보함에 따라 사용자가 렌즈보호장치의 조작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렌즈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제2 관통홀을 갖고 휴대폰에 설치된 렌즈유닛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중앙에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케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캠홀이 형성되며, 상 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는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캠홀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캠홀은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캠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부재의 회전각을 실제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각도보다 더 많은 회전각을 확보함으로써, 노브의 회전각도를 늘려 렌즈보호장치의 조작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렌즈보호장치는 베이스(100), 회동부재(200),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 가이드부재(400), 및 후방커버(5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휴대폰(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100) 주변을 따라 플랜지(110)가 연장 형성되고, 이 플랜지(110)에는 나사가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홀(1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0)는 전면에 전방커 버(130)가 안착되고 후면에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레이트부(120)는 중앙에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후방커버(500)의 광투과홀(50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2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제2 관통홀(121)에 인접한 부분에 한쌍의 제1 및 제2 연장부가이드홀(123a,123b)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가이드홀(123a,123b)은 후술하는 회동부재(200)의 제1 및 제2 연장부(210,220)가 회동부재(20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홀(hole)이다.
또한, 플레이트부(120)는 후면에 제2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힌지돌기(125a,125b,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힌지돌기(125a,125b)에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가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전방커버(130)는 제2 관통홀(121)의 중심과 일치하는 제1 관통홀(131)이 형성되며, 이 경우 제1 관통홀(131)은 그 지름이 제2 관통홀(121)의 지름과 같거나 작고, 후방커버(500)의 광투과홀(5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커버(130)는 베이스(100)에 설치 시, 회동부재(120)의 제1 및 제2 연장부(210,220)가 제1 및 제2 연장부가이드홀(123a,123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연장부가이드홀(123a,123b)의 전면을 폐쇄한다.
회동부재(200)는 대략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관통홀(121)에 동축방향으로 베이스(10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원형돌기부(12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 착된다. 이때, 플레이트부(120)는 원형돌기부(127) 보다 높게 돌출됨으로써, 회동부재(200)의 선회 작동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부재(200)는 내측으로 중심을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된 제1 및 연장부(210,220)가 대칭 형성되며, 제1 및 연장부(210,220)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회동부재(200)는 전면 일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회동부재(200)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노브(230)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는 회동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선회하면서 제2 관통홀(121)을 개폐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는 각각 플레이트부(120)의 제1 및 제2 힌지돌기(125a,125b)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홀(311,32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는 제1 및 제2 힌지홀(311,321)에 인접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의 일측에 각각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캠홀(313,323)이 형성되고, 이 경우, 제1 및 제2 캠홀(313,323)에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는 제2 관통홀(121)을 폐쇄할 경우 상호 맞닿는 모서리(315,325)가 서로 선접촉하도록 직선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400)는 중앙에 제2 관통홀(121)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제3 관통홀(401)이 형성되며, 제3 관통홀(401)은 제2 관통홀(121)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부재(400)는 베이스(100)의 제1 및 제2 힌지돌 기(125a,125b)가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홀(411,412)이 형성된다. 더욱이 가이드부(400)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의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421,422)이 제3 관통홀(401)과 동심으로 상호 대칭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421,422)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적어도 노브(230)의 최대회전각(θ, 도 5 참고)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후방커버(500)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00) 후방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후방커버(500)는 베이스(100)에 설치 시 베이스(100)의 제2 관통홀(121)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광투과홀(501)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렌즈보호장치의 초기상태는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에 의해 광투과홀(501)이 폐쇄된 비촬영모드로 정의한다.
사용자는 비촬영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광투과홀(501)을 개방하도록 도 4와 같은 비촬영모드에서 노브(230)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회동부재(200)를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회전각(θ) 만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는 각각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421,422)을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의 제1 및 제2 캠홀(313,323)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의 슬라이딩 작용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는 각각 제1 및 제2 힌지돌기(125a,125b)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광투과홀(501)을 개방한다.
이때, 제1 또는 제2 캠팔로워(211,221)는 후방커버(500)로부터 돌출되도록 의 그 길이를 좀 더 길게 형성하여, 제1 또는 제2 캠팔로워(211,221)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또는 제2 캠팔로워(211,221)의 끝단에 의해 렌즈유닛(미도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광투과공(501)을 개방하는 경우, 제1 또는 제2 캠팔로워(211,221)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가압하여 광투과홀(501)이 개방되었다는 개방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촬영모드임을 알리는 자막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러한 자막표시와 동시에 휴대폰의 렌즈유닛(미도시)을 촬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보호장치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211,221)와 제1 및 제2 캠홀(313,323)을 통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310,320)를 선회시킴에 따라 노브(230)의 최대회전각(θ)을 확보하고, 이에 따라, 노브(230) 회전 시 사용자로 하여금 충분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을 마치고 노브(230)를 작동하여 광투과홀(501)을 폐쇄하는 경우, 상술한 광투과홀(501)의 개방과정의 역순으로 노브(230)를 최대회전각(θ)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광투과홀(501)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투과홀(501)을 폐쇄하게 되면, 제1 또는 제2 캠팔로워(211,221) 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가압 해제함으로써 리미트스위치(미도시)로부터 광투과홀(501) 폐쇄신호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비촬영모드임을 알리는 자막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러한 자막표시와 동시에 렌즈유닛(미도시)을 비촬영모드로 전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에 의해 광투과공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에 의해 광투과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베이스 120: 플레이트부
130: 전방커버 200: 회동부재
211: 제1 캠팔로워 221: 제2 캠팔로워
310: 제1 블레이드 313: 제1 캠홀
320: 제2 블레이드 323: 제2 캠홀
400: 가이드부재 421: 제1 캠팔로워가이드홀
422: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 500: 후방커버
501: 광투과홀

Claims (4)

  1. 중앙에 제2 관통홀을 갖고 휴대폰에 설치된 렌즈유닛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중앙에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케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투과홀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캠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는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캠홀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캠홀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보호장치.
KR1020070117158A 2007-11-16 2007-11-16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KR20090050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158A KR20090050608A (ko) 2007-11-16 2007-11-16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158A KR20090050608A (ko) 2007-11-16 2007-11-16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608A true KR20090050608A (ko) 2009-05-20

Family

ID=4085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158A KR20090050608A (ko) 2007-11-16 2007-11-16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0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9751A4 (en) * 2016-07-20 2020-04-15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PROJECTION HOUSING AND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9751A4 (en) * 2016-07-20 2020-04-15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PROJECTION HOUSING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22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805903B1 (en) Camera rotat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EP221438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ng function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US8625024B2 (en)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US20080205879A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KR20070009322A (ko) 카메라조립체 및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488088B2 (ja) スチルカメラ
EP1855157B1 (en)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EP2011244A1 (en) A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KR20090050608A (ko)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CN101356738A (zh) 小型摄像机用保护装置
US7369178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EP184358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JP5528237B2 (ja) 電子機器用の防水ケース
JP4825175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502789B2 (ja) 被操作部材を具えた機器
TWI505065B (zh) 電子裝置
JP2007286084A (ja) カメラ一体型携帯端末機器
TWM628151U (zh) 外露式攝影機
KR101012368B1 (ko) 반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6676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JP2008067114A (ja) 携帯通信端末
JP2016133678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