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550A -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550A
KR20090049550A KR1020080112131A KR20080112131A KR20090049550A KR 20090049550 A KR20090049550 A KR 20090049550A KR 1020080112131 A KR1020080112131 A KR 1020080112131A KR 20080112131 A KR20080112131 A KR 20080112131A KR 20090049550 A KR20090049550 A KR 2009004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element unit
luminance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시 세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3Direct backlight 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가 분할되는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을 포함하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이 구비된 광원은 제1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는 jC×jR개(jC≤2, jR≤2)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i≤1)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 각 생상의 발광 소자들은 제1 및 제2 휘도값으로 분류된다. 분류 카테고리는, 제1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 간에 상이하다.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 컬러 필터, 오버코트층, 편광 필름, 리어 패널, 백라이트, 스페이서, 프리즘 시트

Description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SEMBLY}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7년 11월 13일에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JP 2007-294131과 관련된 기술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재료 그것 자체는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조명하는 직하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백라이트)를, 복수의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의 배면에 배치한다. 또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 1화소는 예를 들면, 적색 발광 부화소, 녹색 발광 부화소 및 청색 발광 부화소의 3종의 부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화소를 구성하는 액정 셀을, 일종의 광 셔터(라이트 밸브: light valve)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즉, 각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을 제어하고, 면형상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예를 들면, 백색 광)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서의 면형상 광원 장치는 표시 영역 전체를, 균일, 또한, 일정한 밝기로 조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면형상 광원 장치와는 다른 구성, 즉, 복수의 면형상 광원 유닛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유닛에서의 조도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갖는 면형상 광원 장치(부분 구동 방식 혹은 분할 구동 방식의 면형상 광원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5-258403로부터 주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면형상 광원 장치의 제어(면형상 광원 장치의 부분 구동 혹은 분할 구동이라고도 불림)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백 레벨의 증가, 흑 레벨의 저하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결과, 화상 표시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면형상 광원 장치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의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광원은 자주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진 적색 광, 녹색 광, 청색 광을 혼색함으로써 백색 광을 얻고, 이러한 백색 광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조명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면형상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으로서의 백색 광의 휘도 불균일을, 액정 표시 장치의 관찰자가 불쾌하게 되지 않을 정도까지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를 위해서는 각 면형상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최대 휘도가, 면형상 광원 유닛간에서 가능한 한 동일한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발광 강도 등),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발광 강도 등),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발광 강도 등)이 균일한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에는 제조되는 발광 다이오드에 발광 강도의 변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동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한편,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의 값이 면형상 광원 유닛간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선별한 것에서는 면형상 광원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극히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면형상 광원 장치의 생산에서, 예를 들면, 다수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다수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다수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각각을, 발광 강도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2개의 범주로 분류한다. 또한, 이러한 분류는 "비닝(BINNING)"이라고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자주 1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예를 들면, 1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2개의 녹색 발 광 다이오드 및 1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을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구성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이 경우, 도 14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1개의 고발광 강도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2개의 고발광 강도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 1개의 고발광 강도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남은 2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1개의 저발광 강도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2개의 저발광 강도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 1개의 저발광 강도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이들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도 14a 및 후술하는 도 14b에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동그라미 표시 안에 "R"을 배치한 기호로 나타내고,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동그라미 표시 안에 "G"를 배치한 기호로 나타내며,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동그라미 표시 안에 "B"를 배치한 기호로 나타낸다. 또한, 고발광 강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큰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내고, 저발광 강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작은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낸다. 또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점선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로 한 것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형상 광원 유닛간에서 짧은 주기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해 판명되었다. 또한, 도 15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Y방향(화면 수직 방향으로서, 제2 방향) 중앙에서의 X방향(화면 수평 방향으로서, 제1 방향)을 따른 휘도 불균일을 나타내고, 도 16은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최대 휘도로 규격화한 휘도의 값에서, 약 1% 를 초과하는 휘도 변화가 발생하면, 휘도 불균일로서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형상 광원 유닛간에서 짧은 주기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을 갖는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이러한 면형상 광원 장치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는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는,
(ⅰ)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 및
(ⅱ)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혹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서의 면형상 광원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이라고 부름)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그 P×Q개의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한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이 구비된 광원은 jC×jR개(단, jC 및 jR은 2 이상의 정 수)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며,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
(A)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E) 각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F)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G)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거나, 혹은 또한,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과 제3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거나, 혹은 또한, 그 이상의 수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된다. 또한, i의 수는 1 이상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1, 2, 3…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는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는,
(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 및
(ⅱ)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혹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서의 면형상 광원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이라고 부름)는, 제1 방향에 P×jC개, 제2 방향에 Q×jR개(단, P 및 Q는 양의 정수이며, jC 및 jR은 2 이상의 정수)의, 합계 P×Q×jC×jR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을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였을 때,
(a)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8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e)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f) 제1번째, 제2번째, 제3번째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g)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h)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jC, jR의 값으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2, 3, 4, 5를 예시할 수 있다. jC와 jR의 값은 동일한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jC=jR=2이고,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은 면형상 광원 유닛의 4코너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혹은 또한, jC=jR≥3이며,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배치상, 4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jC×jR개의 발광 소자 유닛에서의 이러한 2차원 매트릭스의 4코너에 배치된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은 면형상 광원 유닛의 4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또한, jC, jR중 어느 한 쪽이 3이상의 값이고, 게다가, jC≠jR인 경우에는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면형상 광원 유닛의 발광 상태는 개별로 제어되는 구성, 즉,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의 구동 방식으로서, 부분 구동 방식 혹은 분할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면형상 광원 유닛 혹은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동시에 서로 다른 구동 조건으로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한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 혹은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간단히, "본 발명의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R-1, 제2 휘도값을 IR-2로 하고,
녹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G-1, 제2 휘도값을 IG-2로 하고,
청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B-1, 제2 휘도값을 IB-2로 하였을 때,
0.4≤IR-2/IR-1≤0.9
0.4≤IG-2/IG-1≤0.9
0.4≤IB-2/IB-1≤0.9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R-1의 값과 IG-1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IG-1의 값과 IB-1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되며, IB-1의 값과 IR-1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IR-2의 값과 IG-2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IG-2의 값과 IB-2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되며, IB-2의 값과 IR-2의 값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상으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상기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면형상 광원 유닛 혹은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한층 더 균일한 백색 광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게 중심이 대략 일치한다는 것은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제1 방향을 따른 변의 길이가 L1, 제2 방향을 따른 변의 길이가 L2)의 면형상 광원 유닛 혹은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를 상정하였을 때, 이러한 면형상 광원 유닛 혹은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의 중심을 통과하고, 1변의 길이가 0.2L1, 다른 쪽의 변의 길이가 0.2L2인 크기의 직사각형의 영역 내에, 적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 녹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 및 청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이 수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jC=jR≥3인 경우,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배치상, 4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이 정방형인 경우에는 통상의 4회 회전 대칭으로 된다. 즉, 가우스 좌표계에서, 예를 들면, 제1 상한(象限, quadrant)(X0, Y0)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은 4회 회전 대칭 조작에 의해, 제2 상한(-Y0, X0)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 제3 상한(-X0, -Y0)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 제4 상한(Y0, -X0)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과 겹친다. 그러나,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이와 같이 공간적으로는 겹치지 않는다. 단,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이 임의의 배치 패턴에 의해 배열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배치 패턴에서의 회전 대칭 축의 주위를, 90도, 배치 패턴을 회전시켰을 때, 이러한 회전 후의 배치 패턴은 회전 전의 배치 패턴과, 배열 상태와 같은 관점에서는 일치한다. 180도, 배치 패턴을 회전시켰을 때, 270도, 배치 패턴을 회전시켰을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배치상", 4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 혹은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혹은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간단히, "본 발명"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예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색, 녹색, 청색 이외의 제4번째의 색, 제5번째의 색…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고 있어 도 된다.
광원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소위 페이스 업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플립 칩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외부에 출사되는 구조로 해도 되며,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이 기판을 통과해서 외부에 출사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예를 들면 n형)을 갖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합물 반도체층, 제1 화합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예를 들면 p형)을 갖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합물 반도체층의 적층 구조를 갖고, 제1 화합물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극 및 제2 화합물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층은 발광 파장에 의존하여, 주지의 화합물 반도체 재료로 구성하면 된다.
발광 다이오드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방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직접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 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오로지 z축 방향을 따라서 광을 출사시킨 경우,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에 광 취출 렌즈를 부착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발광 다이오드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분이, 광 취출 렌즈의 정상면에서 전반사되고, 광 취출 렌즈의 수평 방향에 주로 출사되는 2차원 방향 출사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은 광 확산판, 나아가서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편광 변환 시트와 같은 광학 기능 시트군이나, 반사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광학 기능 시트군은 이격 배치된 각종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적층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 확산판이나 광학 기능 시트군은 면형상 광원 장치 등과 액정 표시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광 확산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스티렌계 수지(PS), 메타크릴 수지, 노르보넨계의 중합체 수지인 니혼제온 주식회사제 "ZEONOR" 등의 시클로 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면형상 광원 유닛과 면형상 광원 유닛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격벽에 의해,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투과가 제어되거나, 혹은 또한, 반사가 제어되거나, 혹은 또한, 투과 및 반사가 제어된다. 또한, 이 경우,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은 4개의 격벽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혹은 또한,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1개의 측면과 3개의 격벽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혹은 또한, 케이스의 2개의 측면과 2개의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격벽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BS 수지와 같은 면형상 광원 유닛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에 대하여 불투명한 재료를 들 수 있으며, 면형상 광원 유닛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에 대하여 투명한 재료로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MM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 PC), 폴리알릴레이트 수지(polyacrylate resin, PA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글래스를 예시할 수 있다. 격벽 표면에 광 확산 반사 기능을 부여해도 되고, 경면 반사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격벽 표면에 광 확산 반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샌드 블러스트법에 기초하여 격벽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요철을 갖는 필름(광 확산 필름)을 격벽 표면에 부착하면 된다. 또한, 격벽 표면에 경면 반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광반사 필름을 격벽 표면에 부착하거나, 예를 들면 도금에 의해 격벽 표면에 광반사층을 형성하면 된다.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 광원의 발광 상태(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광원의 휘도, 혹은 광원의 색도, 혹은 광원의 휘도와 색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광 센서를 배설할 수 있다. 광 센서의 수는 최저 1개이면 되지만,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 1개의 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의 발광 상태를 확실하게 측정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광 센서로서, 주지의 포토다이오드나 CCD 장치를 들 수 있다.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투명 제1 전극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 투명 제2 전극을 구비한 리어 패널 및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의 내면에 설치된 투명 제1 전극(공통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짐)과, 제1 기판의 외면에 설치된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1 기판의 내면에, 아크릴 수지나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 버코트층에 의해 피복된 컬러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컬러 필터는 일반적으로, 착색 패턴간의 간극을 차광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예를 들면, 크롬으로 이루어짐)와, 각 부화소에 대향한 예를 들면, 청색, 녹색, 적색의 착색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염색법, 안료 분산법, 인쇄법, 전착법 등에 의해 제작된다. 착색층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또한, 안료로서 착색되어 있다. 착색층의 패턴은 부화소의 배열 상태(배열 패턴)과 일치시키면 되고, 델타 배열, 스트라이프 배열, 다이애거널 배열, 렉탱글 배열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은 또한, 오버코트층 상에 투명 제1 전극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투명 제1 전극 상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 패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2 기판과, 제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투명 제2 전극(화소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짐)과, 제2 기판의 외면에 설치된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체면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액정 재료는 주지의 부재,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로서, 단결정 실리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MOS형 FET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3단자 소자나, MIM 소자, 바리스터 소자, 다이오드 등의 2단자 소자를 예시할 수 있다. 액정 재료의 구동 방식은 사용하는 액정 재료에 적합한 구동 방식으로 하면 된다.
제1 기판이나 제2 기판으로서, 글래스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 석영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석영 기판,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반 도체 기판을 들 수 있지만, 제조 코스트 저감의 관점으로부터는 글래스 기판, 혹은 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 기판으로서, 고왜곡점 글래스, 소다 글래스(soda-lime glass)(Na2O·CaO·SiO2), 붕규산 글래스(borosilicate glass)(Na2O·B2O3·SiO2), 폴스테라이트(forsterite)(2MgO·SiO2), 납 글래스(lead glass)(Na2O·PbO·SiO2), 무알카리 유리를 예시할 수 있다. 혹은 또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PMMA)나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 페놀(polyvinyl, PVP),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에 예시되는 유기 폴리머(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필름이나 플라스틱·시트,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고분자 재료의 형태를 가짐)를 들 수 있다.
투명 제1 전극과 투명 제2 전극의 중복 영역으로서 액정 셀을 포함하는 영역이, 1부화소(서브 픽셀)에 해당한다. 그리고,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픽셀)를 구성하는 적색 발광 부화소(부화소[R]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이러한 영역을 구성하는 액정 셀과 적색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녹색 발광 부화소(부화소[G]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이러한 영역을 구성하는 액정 셀과 녹색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청색 발광 부화소(부화소[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이러한 영역을 구성하는 액정 셀과 청색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화소[R], 부화소[G] 및 부화소[B]의 배치 패턴은 상술한 컬러 필터의 배치 패턴과 일치한다. 또한, 화소는 부화소[R], 부화소[G] 및 부화소[B]의 3종의 부화소[R, G, B]를 1조로 해서 구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들 3종의 부화소[R, G, B]에 다시 1종류 혹은 복수 종류의 부화소를 부가한 1조(예를 들면, 휘도 향상을 위해 백색 광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부가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 보색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부가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 옐로를 발광하는 부화소를 부가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 마젠타를 발광하는 부화소를 부가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 옐로 및 시안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부가한 1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색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부화소를 부가한 경우,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도 그것에 맞추어, 제4 발광 소자, 제5 발광 소자를 부가해도 된다.
분할 구동 방식에서는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이라고도 불림) Lt, 부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의 부분의 휘도(표시 휘도) y 및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광원 휘도) Y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Y1:광원 휘도의, 예를 들면 최고 휘도이며, 이하, 광원 휘도·제1 규정 값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Lt1: 표시 영역 유닛에서의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의, 예를 들면 최대값이며, 이하, 광 투과율·제1 규정값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Lt2: 광원 휘도가 광원 휘도·제1 규정값 Y1일 때에, 표시 영역 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의 값 중의 최대값인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부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이며, 이하, 광 투과율·제2 규정값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0≤Lt2≤Lt1
y2: 광원 휘도가 광원 휘도·제1 규정값 Y1이며,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이 광 투과율·제2 규정값 Lt2라고 가정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표시 휘도로서, 이하, 표시 휘도·제2 규정값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Y2: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부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고, 게다가, 이 때의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이 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로 보정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부화소의 휘도를 표시 휘도·제2 규정값(y2)로 하기 위한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 휘도. 단, 광원 휘도 Y2에는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 휘도가 다른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 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보정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의 분할 구동 시,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화소의 휘도(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에서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얻어지도록,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광원의 휘도를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을, 예를 들면 광 투과율 제1 규정값 Lt1로 하였을 때에 표시 휘도 y2가 얻어지도록,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예를 들면, 감소시키면 된다). 즉, 예를 들면,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에서의 프레임(편의상, 화상 표시 프레임이라고 부름)마다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Y2≤Y1의 관계에 있다.
Y2·Lt1=Y1·Lt2(1)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픽셀)의 수 M0×N0을 (M0, N0)로 표기하였을 때, (M0, N0)의 값으로서, 구체적으로는 VGA(640, 480), S-VGA(800, 600), XGA(1024, 768), APRC(1152, 900), S-XGA(1280, 1024), U-XGA(1600, 1200), HD-TV(1920, 1080), Q-XGA(2048, 1536) 외, (1920, 1035), (720, 480), (1280, 960) 등, 화상 표시용 해상도의 몇개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 값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분할 구동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M0, N0)의 값과 (P, Q)의 값의 관계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표 1에 예시할 수 있다. 1개의 표시 영역 유닛을 구성하는 화소의 수로서, 20×20 내지 320×240,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200×200을 예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유닛에서의 화소의 수는 일정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P의 값 Q의 값
VGA(640, 480) 2~32 2~24
S-VGA(800, 600) 3~40 2~30
XGA(1024, 768) 4~50 3~39
APRC(1152, 900) 4~58 3~45
S-XGA(1280, 1024) 4~64 4~51
U-XGA(1600, 1200) 6~80 4~60
HD-TV(1920, 1080) 6~86 4~54
Q-XGA(2048, 1536) 7~102 5~77
(1920, 1035) 7~64 4~52
(720, 480) 3~34 2~24
(1280, 960) 4~64 3~48
액정 표시 장치 및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연산 회로, 기억 장치(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 및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 및 타이밍 컨트롤러 등의 주지의 회로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영역의 부분의 휘도(표시 휘도) 및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광원 휘도)의 제어는 1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행하여진다. 또한, 구동 회로에 전기 신호로서 1초간에 보내지는 화상 정보의 수(매초 화상)가 프레임 주파수(프레임 레이트)이며, 프레임 주파수의 역수가 프레임 시간(단위:초)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에서는 각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 원 장치 등에서는 제1번째, 제2번째, 제3번째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를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면형상 광원 유닛간에서 짧은 주기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분할 구동 방식(부분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화소의 휘도(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에서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얻어지도록,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광원의 휘도를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하면, 면형상 광원 장치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 레벨의 증가나 흑 레벨의 저하를 도모하여, 높은 콘트라스트비(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표면에서의, 외광 반사 등을 포함하지 않는 전체 흑 표시부와 전체 백 표시부의 휘도비)를 얻을 수 있어, 원하는 표시 영역의 밝기를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상 표시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기초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는 도 7에 개념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ⅰ)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11)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실시예 1에서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 및
(ⅱ) 액정 표시 장치(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을 따라서 M0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N0개의, 합계 M0×N0개의 화소가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영역(1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11)을, P×Q개(P 및 Q는 각각 2 이상의 정수이며, 동일한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되며,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사양에 의함)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12)으로 분할하였다고 상정한다. 각 표시 영역 유닛(12)은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화상 표시용 해상도로서 HD-TV 규격을 충족시키는 것이고,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픽셀)의 수 M0×N0을 (M0, N0)으로 표기하였을 때, 예를 들면, (1920, 1080)이다. 또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11)(도 7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냄)이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12)(경계를 점선으로 나타냄)으로 분할되어 있다. (P, Q)의 값은 예를 들면, (19, 12)이다. 단,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도 7에서의 표시 영역 유닛(12)(및 후술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수는 이 값과 상이하다. 각 표시 영역 유닛(12)은 복수(M×N)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고, 1개의 표시 영역 유닛(12)을 구성하는 화 소의 수는 예를 들면, 약 1만이다. 각 화소는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부화소를 1조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화소는 적색 발광 부화소(부화소[R]), 녹색 발광 부화소(부화소[G]) 및 청색 발광 부화소(부화소[B])의 3종의 부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는 선순차 구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교차하는 주사 전극(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음)과 데이터 전극(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음)을 갖고, 주사 전극에 주사 신호를 입력해서 주사 전극을 선택, 주사하고, 데이터 전극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제어 신호에 기초한 신호임)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시키고, 1화면을 구성한다.
분할 구동 방식의 직하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백라이트)(40)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11)을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12)으로 분할하였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이들 P×Q개의 표시 영역 유닛(12)에 대응한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은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 유닛(12)을 배면으로부터 백색 광으로 조명한다. 여기서,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발광 상태는 개별로 제어된다. 또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쪽에 면형상 광원 장치(40)가 위치하고 있지만, 도 7에서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와 면형상 광원 장치(40)를 따로따로 표시하였다. 광원은 펄스 폭 변조(PWM)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발광 소자(발광 다이오드)(51)로 이루어진다.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휘도의 증감은 면형상 광원 유닛(42)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발광 다이오드)(51)의 펄스 폭 변조 제어에서의 듀티 비의 증감 제어에 의해 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의 표현에 따라 실시예 1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구비된 광원은 jC×jR개(단, jC 및 jC는 2 이상의 정수)의 발광 소자 유닛(50)을 갖는다. 그리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50)은 적어도 제1 발광 소자 유닛(50A)과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으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50)은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와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의 2개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jC=jC=2로 하였다. 또한, 각 발광 소자 유닛(50)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적색 발광 다이오드) 51R,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녹색 발광 다이오드)(51G)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청색 발광 다이오드)(51B)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i=1이며, 각 발광 소자 유닛(50)은 1개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적색 발광 다이오드)(51R), 2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녹색 발광 다이오드)(51G) 및 1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청색 발광 다이오드)(5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A) 적색 발광 소자(51R)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51R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51R2)로 분류되고,
(B) 녹색 발광 소자(51G)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2)로 분류되고,
(C) 청색 발광 소자(51B)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51B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51B2)로 분류된다.
또한, (D)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E) 각 발광 소자 유닛(50A, 50B)을 구성하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녹색 발광 소자(51G)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1)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2)로 구성되고,
(F)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다.
그리고,
(G) 제1 발광 소자 유닛(50A)과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은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항목 (A)~(G)를, 규칙 (A)~(G)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을 구성하는 적 색 발광 소자(51R)는 제1 휘도값을 갖고, 청색 발광 소자(51B)는 제1 휘도값을 갖는다. 한편,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는 제2 휘도값을 갖고, 청색 발광 소자(51B)는 제2 휘도값을 갖는다. 도 1a에 9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각각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도 1b에,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 나아가서는 이들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a에서, 면형상 광원 유닛(42)과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경계를 실선으로 도시하고, 도 1b에서,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점선의 정방형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1 발광 소자 유닛(50A)과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은 실시예 1에서는 jC=jR=2이므로, 교대로, 또한,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4개의 발광 소자 유닛(50A, 50B)의 각각은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4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 편의상, 좌측 상부에 배치된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을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우측 상부에 배치된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 우측 하부에 배치된 제1 발광 소자 유닛(50A)을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 좌측 하부에 배치된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을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을 구성하는 4개의 발광 소자(51G1, 51G2, 51R1, 51B1)의 배치 상태는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을 구성하는 4개의 발광 소자(51G1, 51G12, 51R1, 51B1)의 배치 상태와, 2회 회전 대칭이며,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을 구성하는 4개의 발광 소자(51G1, 51G2, 51R2, 51B2)의 배치 상태는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을 구성하는 4개의 발광 소자(51G1, 51G2, 51R2, 51B2)의 배치 상태와, 2회 회전 대칭이지만, 회전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혹은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의 표현을 따라서 실시예 1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실시예 1의 면형상 광원 장치는 제1 방향에 P×jC개, 제2 방향에 Q×jR개(단, P 및 Q는 양의 정수이고, jC 및 jC는 2 이상의 정수이며, 실시예 1에서는 jC=jR=2)의, 합계 P×Q×jC×jR개의 발광 소자 유닛(50)을 갖는다. 그리고, 각 발광 소자 유닛(50)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51G)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i의 값은 "1"이다.
여기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을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 닛(501)으로 하고, 이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으로 하고, 이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으로 하고, 이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으로 한다. 또한, 도 1a에서, 임의의 조의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임)을 점선으로 둘러싸고, 다른 조의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역시,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임)을 일점 쇄선으로 둘러쌌다.
그리고,
(a) 4개의 발광 소자 유닛(501, 502, 503, 504)을 구성하는 4i개(구체적으로는 4개)의 적색 발광 소자(51R)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적색 발광 소자(51R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적색 발광 소자(51R2)로 분류되고,
(b) 4개의 발광 소자 유닛(501, 502, 503, 504)을 구성하는 8i개(구체적으로는 8개)의 녹색 발광 소자(51G)는 제1 휘도값을 갖는 4i개(구체적으로는 4개)의 녹 색 발광 소자(51G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4i개(구체적으로는 4개)의 녹색 발광 소자(51G2)로 분류되고,
(c) 4개의 발광 소자 유닛(501, 502, 503, 504)을 구성하는 4i개(구체적으로는 4개)의 청색 발광 소자(51B)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청색 발광 소자(51B1)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청색 발광 소자(51B2)로 분류된다.
또한,
(d)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e)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다.
또한,
(f) 제1번째, 제2번째, 제3번째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502, 503, 504)의 각각을 구성하는 2i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녹색 발광 소자(51G)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1)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51G2)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g)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h)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1)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3)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2)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504)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다.
또한, 이상의 항목 (a)~(h)를, 규칙 (a)~(h)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적색 발광 소자(51R)에서의 제1 휘도값을 IR-1, 제2 휘도값을 IR-2로 하고, 녹색 발광 소자(51G)에서의 제1 휘도값을 IG-1, 제2 휘도값을 IG-2로 하고, 청색 발광 소자(51B)에서의 제1 휘도값을 IB-1, 제2 휘도값을 IB-2로 하였을 때, IR-2/IR-1, IG-2/IG-1, IB-2/IB-1의 평균값은 각각 이하와 같다.
IR-2/IR-1=0.63
IG-2/IG-1=0.56
IB-2/IB-1=0.63
또한,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51G)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51B)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혹은 또한, 4개의 발광 소자 유닛(501, 502, 503, 504)에 의해 구성되는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51G)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51B)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실시예 1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을 채용하였을 때의 휘도 불균일을 시뮤레이션한 결과(단주기 휘도 불균일의 최대 변화 비율)를, 도 3에 검은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낸다. 아울러, 비교예 1-A로서, 도 14a에 도시하는 배치를 채용하였을 때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휘도 불균일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예 1-B로서 도 3에 검은 사각 표시로 나타낸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하는 배치를 채용하였을 때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휘도 불균일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3에 애스터리스크(*) 표시로 나타낸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하는 배치에서는 모든 발광 소자 유닛이, 제1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제1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의 횡축은 후술하는 반사 시트(75)로부터 광 확산판(71)까지의 거리를, 발광 소자 유닛의 피치로 나눈 값이다.
도 3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휘도 불균일은 비교예 1-B에서의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 불균일(즉, 동일한 발광 휘도를 갖는 발광 소자로 구성된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 불균일)과 거의 동등하며, 비교예 1-A에서의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 불균일보다도 매우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 1의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을 서로 다르게 해서, 식별역(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케이스 1" 및 "케이스4"로 도시한다. 또한, 비교예 1-A의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을 서로 다르게 해서, 식별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케이스2" 및 "케이스5"로 도시한다. 또한, 비교예 1-B의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을 서로 다르게 해서, 식별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케이스3" 및 "케이스6"으로 도시한다. 또한, "케이스1", "케이스2", "케이스3"에서는 적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 녹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 및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은 모두, "짧은 발광 파장"으로 분류되고, "케이스4", "케이스5", "케이스6"에서는 적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 및 녹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은 "짧은 발광 파장"으로 분류되고,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은 "긴 발광 파장"으로 분류된다. 도 4로부터, 발광 파장을 변화시켜도, 면형상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식별역에 차는 확인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케이스에서의 막대 그래프의 좌측은 1000대의 면형상 광원 장치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우측은 (평균값+6α)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식별역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쿄 전기 대학 출판국 발행의 "색채 공학"(오오타 노보루 저), 제2판의 제80페이지나 제116페이지를 참조.
도 2a~도 2p에, 예를 들면, 발광 소자 유닛(501)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1, 51R2), 녹색 발광 소자(51G1, 51G2) 및 청색 발광 소자(51B1, 51B2)의 배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남은 발광 소자 유닛(502, 503, 504)에 관해서는 도 2a~도 2p에 도시한 발광 소자 유닛으로부터, 상술한 규칙 (A)~(G) 혹은 규칙 (a)~(h)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변형이다. 실시예 2에서는 jC=jR=3으로 하였다. 도 5a에 4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각각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 2에서는 jC×jR의 값은 "9"의 홀수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대칭축 상에 발광 소자 유닛이 존재한다. 이 회전 대칭축 상에 존재하는 발광 소자 유닛은 발광 소자 유닛(50A)이어도 되고, 발광 소자 유닛(50B)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2의 발광 소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1, 51R2), 녹색 발광 소자(51G1, 51G2) 및 청색 발광 소자(51B1, 51B2)의 배열은 도 2a~도 2p에 도시한 배열 및 이러한 배열에 기초하여, 상술한 규칙 (A)~(G) 혹은 규칙 (a)~(h)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선택된 배열로 하면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도 실시예 1의 변형이다. 실시예 2에서는 jC=3,jR=2로 하였다. 도 5b에 6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각각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 3에서는 jC, jR 중 어느 한 쪽이 3 이상의 값이고, 게다가, jC≤jR이기 때문에, 제1 발광 소자 유닛(50A)과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은 교대로, 또한,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3의 발광 소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1, 51R2), 녹색 발광 소자(51G1, 51G2) 및 청색 발광 소자(51B1, 51B2)의 배열은 도 2a~도 2p에 도시한 배열 및 이러한 배열에 기초하여, 상술한 규칙 (A)~(G) 혹은 규칙 (a)~(h)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선택된 배열로 하면 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도 실시예 1의 변형이다. 실시예 4에서는 jC=jR=4로 하였다. 도 6a에 4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각각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50B)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 4의 발광 소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1, 51R2), 녹색 발광 소자(51G1, 51G2) 및 청색 발광 소자(51B1, 51B2)의 배열도, 도 2a~도 2p에 도시한 배열 및 이러한 배열에 기초하 여, 상술한 규칙 (A)~(G) 혹은 규칙 (a)~(h)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선택된 배열로 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 1~실시예 4에서 설명한 면형상 광원 장치를 조립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면형상 광원 장치(40)에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 등의 배치, 배열 상태를 도 9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 및 면형상 광원 장치(40)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9b에 도시한다. 여기서, 도 9a에서는 면형상 광원 유닛(42)과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경계(41)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경계(41) 상에 격벽을 설치해도 된다.
도 9b에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형상 광원 장치(40)는 외측 프레임(63)과 내측 프레임(64)을 구비한 케이스(6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는 외측 프레임(63)과 내측 프레임(64)에 의해, 스페이서(65A , 65B)를 통해서 사이에 끼워지도록 유지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63)과 내측 프레임(64)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66)가 배치되어 있고, 외측 프레임(63)과 내측 프레임(64)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가 어긋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케이스(61)의 내부로서 상부에는 광 확산판(71)이, 스페이서(65C), 브래킷 부재(67)를 통하여, 내측 프레임(64)에 부착되어 있다. 광 확산판(71) 상에는 확산 시트(72), 프리즘 시트(73), 편광 변환 시트(74)와 같은 광학 기능 시트군이 적층되어 있다. 케이스(61)의 내부로서 하부에는 반사 시트(7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 반사 시트(75)는 그 반사면이 광 확산판(7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케이스(61)의 저면(62A)에 도시하지 않는 부착용 부재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반사 시트(75)는 예를 들면, 시트 기재 상에,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MCPET)이나 은 반사막, 저굴절률막, 고굴절률막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은 증가 반사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반사 시트(75)는 복수의 발광 소자(51)로부터 출사된 광이나, 케이스(61)의 측면(62B)에 의해 반사된 광을 반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51G)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51B)로부터 출사된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이 혼색되고, 색 순도가 높은 백색 광을 조명광으로서 얻을 수 있다. 이 백색 광의 조명광은 면형상 광원 유닛(42)으로부터 광 확산판(71)을 통해서 출사되고, 확산 시트(72), 프리즘 시트(73), 편광 변환 시트(74)과 같은 광학 기능 시트군을 통과하여,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한다.
케이스(61)의 저면(62A) 근방에는 광 센서인 포토다이오드(43R, 43G, 43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43R)는 적색 광의 광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적색 필터가 부착된 포토다이오드이고, 포토다이오드(43G)는 녹색 광의 광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녹색 필터가 부착된 포토다이오드이며, 포토다이오드(43B)는 청색 광의 광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청색 필터가 부착된 포토다이오드이다. 여기서,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1조의 광 센서(포토다이오드(43R, 43G, 43B))가 배치되어 있다. 광 센서인 포토다이오드(43R, 43G, 43B)에 의해, 발광 소자(51R, 51G, 51B)의 휘도 및 색도가 측정된다.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는 도 10에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제1 전극(24)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20), 투명 제2 전극(34)을 구비한 리어 패널(30) 및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13)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패널(20)은 예를 들면, 글래스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21)과, 제1 기판(21)의 외면에 설치된 편광 필름(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판(21)의 내면에는 아크릴 수지나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트층(23)에 의해 피복된 컬러 필터(22)가 설치되고, 오버코트층(23) 상에는 투명 제1 전극(공통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짐)(24)이 형성되고, 투명 제1 전극(24) 상에는 배향막(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 패널(30)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글래스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판(31)과, 제2 기판(31)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구체적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32)와, 스위칭 소자(32)에 의해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투명 제2 전극(화소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짐)(34)과, 제2 기판(31)의 외면에 설치된 편광 필름(36)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제2 전극(34)을 포함하는 전체면에는 배향막(35)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패널(30)은 그들의 외주부에서 밀봉재(도시 생략)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32)는 TFT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MIM 소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 37은 스위칭 소자(32)와 스위칭 소자(32) 사이에 설치된 절연층이다.
이들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액정 재료는 주지의 부재,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디스플레이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면형상 광원 장치(40) 및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펄스 폭 변조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면형상 광원 장치(40)를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 녹색 발광 소자(51G) 및 청색 발광 소자(51B)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 및 면 형상광원 유닛 구동 회로(90) 및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로 구성되어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는 연산 회로(81) 및 기억 장치(메모리)(8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는 연산 회로(91), 기억 장치(메모리)(92), 발광 소자 구동 회로(93), 포토다이오드 제어 회로(94), FE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95R, 95G, 95B), 발광 소자 구동 전원(정전류원)(96)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 및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을 구성하는 이들 회로 등은 주지의 회로 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는 타이밍 컨트롤러(101)와 같은 주지의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에는 액정 셀을 구성하는 TF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32)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소스 드라이버 등(이들은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화상 표시 프레임에서의 발광 소자(51R, 51G, 51B)의 발광 상태는 포토다이오드(43R, 43G, 43B)에 의해 측정되고, 포토다이오드(43R, 43G, 43B)로부터의 출력은 포토다이오드 제어 회로(94)에 입력되며, 포토다이오드 제어 회로(94), 연산 회로(91)에서, 발광 소자(51R, 51G, 51B)의 예를 들면 휘도 및 색도로서의 데이터(신호)로 되고, 이러한 데이터가 발광 소자 구동 회로(93)에 보내져, 다음의 화상 표시 프레임에서의 발광 소자(51R, 51G, 51B)의 발광 상태가 제어된다고 하는 피드백 기구가 형성된다.
발광 소자(51R, 51G, 51B)의 하류에는 전류 검출용의 저항체 rR, rG, rB가, 발광 소자(51R, 51G, 51B)와 직렬로 삽입되어 있고, 저항체 rR, rG, rB를 흐르는 전류가 전압으로 변환되고, 저항체 rR, rG, rB에서의 전압 강하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발광 소자 구동 회로(93)의 제어 하에서, 발광 소자 구동 전원(96)의 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도 8에는 발광 소자 구동 전원(정전류원)(96)을 1개로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발광 소자(51R, 51G, 51B)의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발광 소자 구동 전원(96)이 배치되어 있다.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 4i개의 적색 발광 소자(51R)(51R1, 51R2)는 직렬로 접속되고, 8i개의 녹색 발광 소자(51G)(51G1, 51G2)는 직렬로 접속되며, 4i개의 청색 발광 소자(51B)(51B1, 51B2)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11)이 P×Q개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이 상태를, "행" 및 "열"로 표현하면, Q행×P열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 유닛(12)은 복수(M×N)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상태를, "행" 및 "열"로 표현 하면, N행×M열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 부화소(부화소[R]), 녹색 발광 부화소(부화소[G]) 및 청색 발광 부화소(부화소[B])를 일괄해서 통합하여 "부화소[R, G, 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고, 부화소[R, G, B]의 동작의 제어(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광 투과율(개구율)의 제어)를 위해 부화소[R, G, B]에 입력되는 적색 발광 부화소·제어 신호, 녹색 발광 부화소·제어 신호 및 청색 발광 부화소·제어 신호를 일괄해서 통합하여 "제어 신호[R, G, 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표시 영역 유닛을 구성하는 부화소[R, G, B]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 회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색 발광 부화소·구동 신호, 녹색 발광 부화소·구동 신호 및 청색 발광 부화소·구동 신호를 일괄해서 통합하여 "구동 신호[R, G, 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각 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발광 부화소(적색 발광 서브 픽셀, 부화소[R]), 녹색 발광 부화소(녹색 발광 서브 픽셀, 부화소[G]) 및 청색 발광 부화소(청색 발광 서브 픽셀, 부화소[B])의 3종의 부화소(서브 픽셀)를 1조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부화소[R, G, B]의 각각의 휘도의 제어(계조 제어)를 8비트 제어로 하고, 0~255의 28단계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각 표시 영역 유닛(12)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서의 부화소[R, G, B]의 각각을 구동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의 각각은 28단계의 값을 취한다. 또한,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 녹색 발광 소자(51G) 및 청색 발광 소자(51B)의 각각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 SR, SG, SB도, 0~255의 28단계의 값을 취한다. 단,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10비트 제어로 하고, 0~1023의 210단계에서 행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8비트의 수치에서의 표현을, 예를 들면 4배하면 된다.
부화소의 각각에, 부화소의 각각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부화소[R, G, B]의 각각에, 부화소[R, G, B]의 각각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R, G, B]가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로부터 공급된다. 즉,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서는 입력된 구동 신호[R, G, B]로부터 제어 신호[R, G, B]가 생성되고, 이 제어 신호[R, G, B]가 부화소[R, G, B]에 공급(출력)된다. 또한,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휘도인 광원 휘도 Y2를 1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변화시키므로, 제어 신호[R, G, B]는 예를 들면,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를 2.2승한 값에 대하여, 광원 휘도 Y2의 변화에 기초하는 보정(보상)을 행한 값 XR-corr, XG-corr, XB-corr을 갖는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를 구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1)로부터,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에, 제어 신호[R, G, B]가 주지의 방법으로 송출되고, 제어 신호[R, G, B]에 기초하여 각 부화소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32)가 구동되고, 액정 셀을 구성하는 투명 제1 전극(24) 및 투명 제2 전극(34)에 원하는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각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 Lt가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 신호[R, G, B]의 값 XR-corr, XG-corr, XB-corr가 클수록, 부화소[R, G, B]의 광 투과율(개구율) Lt가 높아지고, 부화소[R, G, B]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의 부분의 휘도(표시 휘도 y)의 값이 높아진다. 즉, 부화소[R, G, B]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통상적으로, 일종의 점 형상임)은 밝다.
표시 휘도 y 및 광원 휘도 Y2의 제어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화상 표시에서의 1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표시 영역 유닛마다, 면형상 광원 유닛마다 행하여진다. 또한, 1화상 표시 프레임 내에서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10)의 동작과 면형상 광원 장치(40)의 동작은 동기시켜진다. 또한, 구동 회로에 전기 신호로서 1초간에 보내지는 화상 정보의 수(매초 화상)가 프레임 주파수(프레임 레이트)이며, 프레임 주파수의 역수가 프레임 시간(단위:초)이다.
이하,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구동 방법(분할 구동 방식의 면형상 광원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 7,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분할 구동 방식의 면형상 광원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흐름도의 좌측(스텝 S100~S140)은 광원의 방사 상태를 제어하는 흐름이고, 흐름도의 우측(스텝 S150~S180)은 부화소의 개구율을 제어하는 흐름이다.
여기서, 부화소의 각각에, 부화소의 각각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화소를 구성하는 부화소[R, G, B]의 각각에, 부화소[R, G, B]의 각각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R, G, B]가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로부터 공급된다. 그리고,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각각에서, 각 표시 영역 유닛(12)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부화소[R, G, B])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 회로(80, 90, 10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 중의 최대값인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부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화소(부화소[R, G, B])의 휘도(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에서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얻어지도록, 이 표시 영역 유닛(12)에 대응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42)을 구성하는 광원의 휘도를,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 및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을, 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로 하였을 때에 표시 휘도 y2가 얻어지도록,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예를 들면, 감소시키면 된다). 즉, 예를 들면,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Y2≤Y1의 관계에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1
스텝 S100에서, 스캔 컨버터 등의 주지의 디스플레이 회로로부터 송출된 1화상 표시 프레임 분의 구동 신호[R, G, B] 및 클럭 신호 CLK는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 및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된다(도 7 참조). 또한, 구 동 신호[R, G, B]는 예를 들면 촬상관에의 입력 광량을 y'로 하였을 때, 촬상 관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이며, 예를 들면 방송국 등으로부터 출력되고, 부화소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도 입력되는 구동 신호이며, 입력 광량 y'의 0.45승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에 입력된 1화상 표시 프레임 분의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는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를 구성하는 기억 장치(메모리)(82)에 일단 기억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된 1화상 표시 프레임 분의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도,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를 구성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에 일단 기억된다.
다음으로, 스텝 S110에서,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를 구성하는 연산 회로(81)에서는 기억 장치(82)에 기억된 구동 신호[R, G, B]의 값을 읽어내고, 제(p, q)번째[단, 우선, p=1, q=1]의 표시 영역 유닛(12)에서, 이 제(p, q)번째의 표시 영역 유닛(12)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에서의 부화소[R, G, 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 중의 최대값인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를, 연산 회로(81)에서 구한다. 그리고,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를, 기억 장치(82)에 기억한다. 이 스텝을, m=1, 2,…, M, n=1, 2, …, N의 모두에 대하여, 즉, M×N개의 화소에 대하여 실행한다.
예를 들면, xR이 "110"에 상당하는 값이고, xG가 "150"에 상당하는 값이며, xB가 "50"에 상당하는 값인 경우, xU-max는 "150"에 상당하는 값이다.
이 조작을, (p, q)=(1, 1)로부터 (P, Q)까지 반복하고, 모든 표시 영역 유닛(12)에서의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를, 기억 장치(82)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스텝 S120에서,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R, G, B]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R, G, B]가 부화소[R, G, B]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휘도(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에서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의해 얻어지도록, 표시 영역 유닛(12)에 대응하는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광원 휘도 Y2를,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의 제어 하에서 증감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1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1면형상 광원 유닛마다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 휘도 제어 함수 g(xnol-max)인 수학식 3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51)의 휘도를 제어하고, 또한,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광원 휘도 Y2를 제어하면 된다. 이러한 제어의 개념도를,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영향에 기초한 보정을, 광원 휘도 Y2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 휘도 Y2의 제어에 관한 이들 관계, 즉,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 이 최대값 xU-max와 동 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의 값, 이러한 제어 신호가 부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 이 때의 각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광 투과율·제2 규정값 Lt2], 각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을 광 투과율·제1 규정값 Lt1로 하였을 때에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얻어지는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휘도 제어 파라미터의 관계 등을 미리 구해 두고, 기억 장치(82) 등에 기억해 두면 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3
여기서, 화소를 구성하는 부화소[R, G, B]의 각각을 구동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구동 신호[R, G, B])의 최대값을 xmax로 하였을 때,
xnol-max≡xU-max/xmax
이며, a1, a0은 상수이고,
a1+a0=1
0<a0<1, 0<a1<1
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1=0.99
a0=0.01
로 하면 된다. 또한,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의 각각은 28단계의 값을 취하므로, xmax의 값은 "255"에 상당하는 값이다.
그런데, 면형상 광원 장치(40)에서는 예를 들면, (p, q)= (1,1)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휘도 제어를 상정한 경우, 다른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으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면형상 광원 유닛(42)이 다른 면형상 광원 유닛(42)으로부터 받는 영향은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발광 프로파일에 의해 미리 판명하고 있으므로, 역산에 의해 차분을 계산할 수 있고, 그 결과, 보정이 가능하다. 연산의 기본형을 이하에 설명한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의 요청에 기초하는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요구되는 휘도(광원 휘도 Y2)를 행렬 [LPxQ]로 나타낸다. 또한, 임의의 면형상 광원 유닛만을 구동하고, 다른 면형상 광원 유닛은 구동하지 않고 있을 때에 얻어지는 임의의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를,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대하여 미리 구해 둔다. 이러한 휘도를 행렬 [L'PxQ]로 나타낸다. 또한, 보정 계수를 행렬 [αPxQ]로 나타낸다. 그러면, 이들 행렬의 관계는 이하의 수학식 4-1로 표현할 수 있다. 보정 계수의 행렬[αPxQ]은 미리 구해 둘 수 있다.
[수학식 4-1]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4
따라서, 수학식 4-1로부터 행렬[L'PxQ]을 구하면 된다. 행렬[L'PxQ]은 역행렬의 연산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수학식 4-2]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5
를 계산하면 된다. 그리고, 행렬[L'PxQ]로 나타낸 휘도가 얻어지도록, 각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구비된 광원(발광 소자(51))을 제어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조작, 처리는 기억 장치(메모리)(82)에 기억된 정보(데이터 테이블)를 이용해서 행하면 된다. 또한, 발광 소자(51)의 제어에서는 행렬[L'PxQ]의 값은 음의 값을 취할 수 없으므로, 연산 결과는 양의 영역에 한정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수학식 3-2의 해는 엄밀해가 아니라, 근사해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를 구성하는 연산 회로(81)에서 얻어진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의 값에 기초하여 얻어진 행렬[LPxQ], 보정 계수의 행렬 [αPxQ]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면형상 광원 유닛을 단독으로 구동하였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휘도의 행렬[L'PxQ]을 구하고, 나아가서는 기억 장치(82)에 기억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0~255의 범위 내의 대응하는 정수(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해서,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를 구성하는 연산 회로(81)에서, 면형상 광원 유닛(42)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51R)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SR, 녹색 발광 소자(51G)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 SG, 청색 발광 소자(51B)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 SB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30에서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80)를 구성하는 연산 회로(81)에서 얻어진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 SR, SG, SB는 면형상 광원 유닛(42)에 대응해서 설치된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의 기억 장치(92)에 송출되고, 기억 장치(92)에서 기억된다. 또한, 클럭 신호 CLK도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90)에 송출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스텝 S140에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의 값 SR, SG, SB에 기초하여, 면형상 광원 유닛(42)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의 온 시간 tR-ON 및 오프 시간 tR-OFF, 녹색 발광 소자(51G)의 온 시간 tG-ON 및 오프 시간 tG-OFF, 청색 발광 소자(51B)의 온 시간 tB-ON 및 오프 시간 tB-OFF를 연산 회로(91)는 결정한다. 또한,
tR-ON+tR-OFF=tG-ON+tG-OFF=tB-ON+tB-OFF=일정값tConst
이다. 또한, 발광 소자의 펄스 폭 변조에 기초하는 구동에서의 듀티비는,
tON/(tON+tOFF)=tON/tConst
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면형상 광원 유닛(42)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51R), 녹색 발광 소자(51G), 청색 발광 소자(51B)의 온 시간 tR-ON ,tG-ON ,tB-ON에 상당하는 신호가, 발광 소자 구동 회로(93)에 보내지고, 이 발광 소자 구동 회로(93)로부터, 온 시간 tR-ON, tG-ON, tB-ON에 상당하는 신호의 값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95R, 95G, 95B)가, 온 시간 tR-ON ,tG-ON ,tB-ON만큼 온 상태로 되며, 발광 소자 구동 전원(96)로부터의 LED구동 전류가, 각 발광 소자(51R, 51G, 51B)에 흐른다. 그 결과, 각 발광 소자(51R, 51G, 51B)는 1화상 표시 프레임에서, 온 시간 tR-ON, tG-ON, tB-ON만큼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표시 영역 유닛(12)을, 소정의 조도로 조명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상태를, 도 12a 및 도 12b에 실선으로 도시하지만, 도 12a는 부화소를 구동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의 값을 2.2승한 값(x'≡x2.2)과 듀티비 (=tON/tConst)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부화소의 광 투과율 Lt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값 X와 표시 휘도 y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스텝 S150에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에 입력된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는 타이밍 컨트롤러(101)에 보내지고, 타이밍 컨트롤러(101)에서는 입력된 구동 신호[R, G, B]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R, G, B]를, 부화소[R, G, B]에 공급(출력)한다.
이제, 발광 소자 유닛(42)의 광원 휘도 Y2는 각각의 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변경되고, 스텝 S160에서, 2.2번째 전력에 대한 구동 신호 [R, G, B] 값이, 광원 휘도 Y2에 기초하여, 보정(보상)된다.
스텝 S170에서 타이밍 제어기(101)는 입려 구동 신호 [R, G, B]에 따라 제어 신호 [R, G, B]를 생성하고, 이는 스텝 S180에서 부화소 [R, G, B]에 공급된다.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01)에서 생성되고,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0)로부터 부화소[R, G, B]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R, G, B]의 값 xR, xG, xB와, 구동 신호[R, G, B]의 값 xR, xG, xB는 이하의 수학식 5-1, 수학식 5-2 및 수학식 5-3의 관계에 있으며, 여기서, b1_R, b0_R, b1_G, b0_G, b1_B, b0_B는 상수이다. 또한, 면형상 광원 유닛(42)의 광원 휘도 Y2를 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변화시키므로, 제어 신호[R, G, B]는 기본적으로, 구동 신호[R, G, B]의 값을 2.2승한 값에 대하여, 광원 휘도 Y2의 변화에 기초한 보정(보상)을 행한 값을 갖는다. 즉, 실시예에서는 1화상 표시 프레임마다 광원 휘도 Y2변화하므로, 광원 휘도 Y2(≤Y1)에서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얻어지도록 제어 신호[R, G, B]의 값 xR, xG, xB를 결정, 보정(보상)하고, 부화소의 광 투과율(개구율) Lt를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수학식 5-1, 수학식 5-2, 수학식 5-3의 함수 fR, fG, fB는 이러한 보정(보상)을 행하기 위한 미리 구해진 함수이다.
[수학식 5-1]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6
[수학식 5-2]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7
[수학식 5-3]
Figure 112008078205318-PAT00008
이와 같이 해서, 1화상 표시 프레임에서의 화상 표시 동작이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나 면형상 광원 장치, 면형상 광원 유닛,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구동 회로의 구성, 구조는 예시이고, 이들을 구성하는 부재, 재료 등도 예시이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을,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의 면형상 광원 유닛의 변형예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 6b에 도시하지만,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은 제1 발광 소자 유닛(50A), 제2 발광 소자 유닛(50B) 및 제3 발광 소자 유닛(50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3×3=9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배열에서의 4코너를 차지하는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은 면형상 광원 유닛의 4코너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발광 소자 유닛(50A)과 제2 발광 소자 유닛(50B)과 제3 발광 소자 유닛(50C)은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 등의 요건은 만족하고 있지 않다.
또한, 발광 소자의 온도를 온도 센서에서 감시하고, 그 결과를,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에 피드백함으로써, 면형상 광원 유닛의 휘도 보상(보정)이나 온도 제어를 행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하였다고 상정해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P×Q개의 실제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면형상 광원 장치의 구동 방식으로서 부분 구동 방식(분할 구동 방식)을 채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면형상 광원 유닛 혹은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동시에 다른 구동 조건으로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제조 시,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의 특성 평가 시험을 행하고, 면형상 광원 장치 전체로서 일정한 균일한 휘도가 얻어지도록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고,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통상의 표시 동작 시, 이러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정상적으로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동함)을 채용해도 된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 조합, 부조합, 대체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한, 디자인 요구 또는 다른 요소들에 따라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 1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1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 또한, 이들 제1 발광 소자 유닛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a~도 2p는 1개의 발광 소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의 배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면형상 광원 유닛을 채용하였을 때의 휘도 불균일 및 비교예 1-A, 비교예 1-B에서의 휘도 불균일을 시뮤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A 및 비교예 1-B의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을 서로 다르게 해서, 식별역(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하는 막대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실시예 4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 및 제2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실시예 2의 면형상 광원 유닛의 변형예에서의 제1 발광 소자 유닛, 제2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및 면형상 광원 장치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개념도.
도 8은 실시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구동 회로의 일부분의 개념도.
도 9a는 실시예의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의 발광 소자 등의 배치, 배열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실시예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및 면형상 광원 장치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10은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a는 부화소를 구동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의 값을 2.2승한 값(x'≡x2.2)과 듀티비(=tON/tConst)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부화소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값 X와 표시 휘도 y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표시 영역 유닛 내·구동 신호 최대값 xU-max와 동일한 값을 갖는 구동 신호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었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표시 휘도·제2 규정값 y2가 면형상 광원 유닛에 의해 얻어지도록, 면형상 광원 유닛의 광원 휘도 Y2를,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의 제어 하에서 증감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a 및 도 14b는 비교예 1-A 및 비교예 1-B의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Y방향(화면 수직 방향으로서, 제2 방향) 중앙에서의 X방향(화면 수평 방향으로서, 제1 방향)을 따른 휘도 불균일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6은 종래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컬러 액정 표시 장치
11 : 표시 영역
12 : 표시 영역 유닛
13 : 액정 재료
20 : 프론트 패널
21 : 제1 기판
22 : 컬러 필터
23 : 오버코트층
24 : 투명 제1 전극(공통 전극)
25 : 배향막
26 : 편광 필름
30 : 리어 패널
31 : 제2 기판
32 : 스위칭 소자
34 : 투명 제2 전극
35 : 배향막
36 : 편광 필름
37 : 절연층
40 : 면형상 광원 장치(백라이트)
41 : 면형상 광원 유닛과 면형상 광원 유닛의 경계
42 : 면형상 광원 유닛
43, 43R, 43G, 43B : 포토 다이오드(광 센서)
50, 50A, 50B : 발광 소자 유닛
51, 51R, 51G, 51B : 발광 소자
61 : 케이스
62A : 케이스의 저면
62B : 케이스의 측면
63 : 외측 프레임
64 : 내측 프레임
65A, 65B, 65C : 스페이서
66 : 가이드 부재
67 : 브래킷 부재
71 : 광 확산판
72 : 확산 시트
73 : 프리즘 시트
74 : 편광 변환 시트
75 : 반사 시트
80 :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
81 : 연산 회로
82 : 기억 장치(메모리)
90 : 면형상 광원 유닛 구동 회로
91 : 연산 회로
92 : 기억 장치(메모리)
93 : 발광 소자 구동 회로
94 : 포토 다이오드 제어 회로
95R, 95G, 95B : 스위칭 소자
96 : 발광 소자 구동 전원(정전류원)
100 :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01 :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11)

  1.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하였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그 P×Q개의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한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
    을 포함하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이 구비된 광원은 jC×jR개(단, jC 및 jR은 2 이상의 정수)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
    (A)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 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E) 각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F)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G)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jC=jR=2이고,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은 면형상 광원 유닛의 4코너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2회 회전 대칭으 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jC=jR≥3이고,
    면형상 광원 유닛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교대로, 또한, 배치상, 4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면형상 광원 유닛의 발광 상태는 개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R-1, 제2 휘도값을 IR-2로 하고,
    녹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G-1, 제2 휘도값을 IG-2로 하고,
    청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B-1, 제2 휘도값을 IB-2로 하였을 때,
    0.4≤IR-2/IR-1≤0.9
    0.4≤IG-2/IG-1≤0.9
    0.4≤IB-2/IB-1≤0.9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7.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로서,
    제1 방향에 P×jC개, 제2 방향에 Q×jR개(단, P 및 Q는 양의 정수이고, jC 및 jR은 2 이상의 정수)의, 합계 P×Q×jC×jR개의 발광 소자 유닛
    을 포함하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을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 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였을 때,
    (a)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8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e)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 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f) 제1번째, 제2번째, 제3번째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g)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h)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적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R-1, 제2 휘도값을 IR-2로 하고,
    녹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G-1, 제2 휘도값을 IG-2로 하고,
    청색 발광 소자에서의 제1 휘도값을 IB-1, 제2 휘도값을 IB-2로 하였을 때,
    0.4≤IR-2/IR-1≤0.9
    0.4≤IG-2/IG-1≤0.9
    0.4≤IB-2/IB-1≤0.9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면형상 광원 유닛 최소 단위에서의 적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녹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과, 청색 발광 소자에 기초하는 휘도 프로파일의 무게 중심은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10. (ⅰ)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 및
    (ⅱ)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면형상 광원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P×Q개의 가상의 표시 영역 유닛으로 분할하였다고 상정하였을 때의 그 P×Q개의 표시 영역 유닛에 대응한 P×Q개의 면형상 광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이 구비된 광원은 jC×jR개(단, jC 및 jR은 2 이상의 정 수)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의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으로 분류되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각 면형상 광원 유닛에서:
    (A)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E) 각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F) 제1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 와 상이하고,
    (G) 제1 발광 소자 유닛과 제2 발광 소자 유닛은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11. (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로 구성된 표시 영역을 갖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 및
    (ⅱ)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로서,
    상기 면형상 광원 장치는,
    제1 방향에 P×jC개, 제2 방향에 Q×jR개(단, P 및 Q는 양의 정수이고, jC 및 jR은 2 이상의 정수)의, 합계 P×Q×jC×jC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갖고,
    각 발광 소자 유닛은 i개(단, i는 1 이상의 정수)의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 2i개의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i개의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유닛을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고, 그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인접한 발광 소자 유닛을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으로 하였을 때,
    (a)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적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적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b)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8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4i개의 녹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c) 그 4개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4i개의 청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와, 제1 휘도값보다도 낮은 제2 휘도값을 갖는 2i개의 청색 발광 소자로 분류되고,
    (d)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e)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적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하고,
    (f) 제1번째, 제2번째, 제3번째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의 각각을 구성하는 2i개의 녹색 발광 소자는 제1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제2 휘도값을 갖는 녹색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g)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동일한 분류 범주에 속하고,
    (h) 제1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3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는 제2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 및 제4번째의 발광 소자 유닛을 구성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갖는 휘도값의 분류 범주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KR1020080112131A 2007-11-13 2008-11-12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KR20090049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4131 2007-11-13
JP2007294131A JP4395801B2 (ja) 2007-11-13 2007-11-13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550A true KR20090049550A (ko) 2009-05-18

Family

ID=4062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31A KR20090049550A (ko) 2007-11-13 2008-11-12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1235B2 (ko)
JP (1) JP4395801B2 (ko)
KR (1) KR20090049550A (ko)
CN (1) CN101435953B (ko)
TW (1) TW2009235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4150A4 (en) * 2007-11-29 2011-02-23 Sharp Kk IMAGE DISPLAY DEVICE
JP5000479B2 (ja) * 2007-12-27 2012-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面光源、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9592B1 (ko) * 2008-07-09 2013-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의 엘이디 백라이트 구성방법
US8143791B2 (en) * 2008-12-12 2012-03-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rol system for light-emitting device
WO2011030587A1 (ja) * 2009-09-09 2011-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5263788B2 (ja) * 2009-10-22 2013-08-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A2782037A1 (en) * 2009-11-30 2011-06-03 Zoll Medical Corporation Display for dual-mode medical device
CN102128360A (zh) * 2010-01-18 2011-07-20 奥斯兰姆有限公司 照明装置
CN102404953A (zh) * 2010-09-17 2012-04-04 瀚斯宝丽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的外壳装置
CN101943343B (zh) * 2010-09-24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色混光led点光源装置
CN101943344B (zh) * 2010-09-24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三色混光led点光源装置
CN101936478B (zh) * 2010-09-24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ed点光源装置
JP5950520B2 (ja) * 2011-09-05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
JP5474134B2 (ja) * 2011-09-26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
KR101881065B1 (ko) 2011-12-21 2018-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닛
JP6139323B2 (ja) * 2013-08-06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22116B (zh) * 2013-12-31 2015-12-0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光源模组及发光控制方法
JP2015141764A (ja) * 2014-01-27 201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6837255B2 (ja) 2016-09-06 2021-03-03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エリアにおける各発光ツールの発光制御の設定方法、および発光制御方法
US10366674B1 (en) 2016-12-27 2019-07-30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calibration in electronic displays
CN111665679B (zh) * 2019-03-06 2022-08-12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
KR20210144983A (ko) * 2020-05-21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536Y2 (ko) * 1986-10-01 1991-06-07
JPH0817086B2 (ja) * 1989-05-17 1996-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52579B1 (ko) * 2003-03-31 2008-08-1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면 조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4628770B2 (ja) 2004-02-09 2011-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照明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305850B2 (ja) 2004-05-24 2009-07-2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95801B2 (ja) 2010-01-13
CN101435953B (zh) 2010-09-08
US20090122232A1 (en) 2009-05-14
TW200923517A (en) 2009-06-01
JP2009123417A (ja) 2009-06-04
CN101435953A (zh) 2009-05-20
US7651235B2 (en)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9550A (ko)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US10923050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4640264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組立体
EP1768083B1 (en) Optical correction for high uniformity panel lights
US7868969B2 (en) Area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ssembly
JP2008003220A5 (ko)
JP4935258B2 (ja) 液晶表示装置組立体の駆動方法
KR10136104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732290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01027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white pixel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2008123847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2008140653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5162885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US20220036838A1 (en) Display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JP4631805B2 (ja) 面状光源装置
JP2008153014A (ja) 面状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組立体、発光素子組立体、及び、発光素子・光センサー組立体
JP4622935B2 (ja) 面状光源装置
JP4760620B2 (ja) 面状光源装置
JP2008059863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547226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894508B2 (ja) 面状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組立体、導光部材、光検出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