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090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090A
KR20090046090A KR1020070112033A KR20070112033A KR20090046090A KR 20090046090 A KR20090046090 A KR 20090046090A KR 1020070112033 A KR1020070112033 A KR 1020070112033A KR 20070112033 A KR20070112033 A KR 20070112033A KR 20090046090 A KR20090046090 A KR 2009004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ing
output enable
enable signal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384B1 (ko
Inventor
신범주
윤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1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84B1/ko
Priority to US12/215,728 priority patent/US7813217B2/en
Publication of KR2009004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3Control signal output circuits, e.g. status or busy flags, feedback comman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L 클럭을 카운팅한 값과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을 카운팅한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과,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70112033
도메인 크로싱, 출력인에이블 신호, 카스레이턴시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과 같은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클럭(CLK_EXT)에 응답하여 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외부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하지만,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에서는 일반적으로 내부클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입장에서 보면 데이터에 동기되는 클럭이 변하는 것으로, 이를 일반적으로 "도메인 크로싱(domain crossing)"이라 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는 이러한 도메인 크로싱을 보장해 주기 위한 여러 가지 회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런 회로 중에는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가 있다.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는 내부클록에 동기되어 전달되는 데이터가 카스레 이턴시 이후 마치 외부클럭(CLK_EXT)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것을 보장해 주기 위한 회로이다.
도 1은 종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는 카운터 리셋신호 생성부(10)와, 초기화부(20)와, DLL클럭 카운팅부(30)와, 지연모델부(40)와, 외부클럭 카운팅부(50)와, 래칭부(60), 및 비교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카운터 리셋신호 생성부(10)는 외부명령(예컨대, /RAS, /CAS, /CS, /WE)에 대응하는 리셋신호(RST)와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리셋신호(RST_DLL)를 출력한다.
초기화부(20)는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응답하여 카스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초기 카운팅 값을 DLL클럭 카운팅부(30)에 제공한다. 아래 [표 1]에는 카스레이턴시(CL) 3에서 카스레이턴시(CL) 7에 대응하는 초기 카운팅 값과 그에 따라 초기화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S<0:2>)가 나타나 있다.
CL 초기 카운팅 값 S<2> S<1> S<0>
3 4 5 6 7 5 4 3 2 1 1 1 0 0 0 0 0 1 1 0 1 0 1 0 1
도 2는 도 1의 초기화부(2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기화부(20)는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응답하여 활성화(enable)되고, 카스레이턴시(CL)에 따라 DLL클럭 카운팅부(30)를 초기화하기 위한 출력신호(S<0:2>, R<0:2>)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스레이턴시(CL)는 모드레지스터 셋(Mode Register Set : 도시되지 않음)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읽기명령(RD, 도 4참조) 이후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까지의 외부클럭(CLK_EXT) 개수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DLL클럭 카운팅부(30)는 DLL 클럭(CLK_DLL)에 따라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카운팅하여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을 출력한다. 예컨데, 카스레이턴시(CL)에 따라 초기 카운팅 값이 4로 설정되어 있다면 DLL클럭 카운팅부(30)는 DLL 클럭(CLK_DLL)에 따라 4에서부터 카운팅을 시작한다.
지연 모델부(40)는 DLL 클럭(CLK_DLL)이 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의 지연요소를 모델링(modeling)한 것으로, 제1 리셋신호(RST_DLL)에 모델링한 지연시간을 반영하여 제2 리셋신호(RST_CLK)를 생성한다.
외부클럭 카운팅부(50)는 제2 리셋신호(RST_CLK)에 응답하여 외부클럭(CLK_EXT)을 카운팅하고, 래칭부(60)는 읽기명령(RD)에 응답하여 외부클럭 카운팅부(50)의 출력신호(CNT_CLK<0:2>)를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으로서 출력한다.
비교부(70)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을 비교하여 두 값이 동일한 경우 출력인에이블 신호(OE)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1의 비교부(7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부(70)는 3비트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과 3비트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을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이 동일한 경우 활성화되는 출력인에이블 신호(OE)를 출력한다. 참고적으로, 데이터는 출력인에이블 신호(OE)와 버스트 랭스(burst length) 정보에 대응하여 출력된다.
도 4와 도 5는 도 1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카스레이턴시(CL)가 4인 경우로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카스레이턴시(CL)가 4이기 때문에 초기화부(20)의 초기 카운팅 값은 표 1에 따라 4로 설정된다. 제1 리셋신호(RST_DLL)가 논리'로우'가 되면 DLL클럭 카운팅부(30)는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초기 카운팅 값인 4에서부터 카운팅하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을 출력한다.
한편,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지연모델부(40)의 지연시간이 반영된 이후 제2 리셋신호(RST_CLK)가 논리'로우'가 되면 외부클럭 카운팅부(50)는 외부클럭(CLK_EXT)에 응답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
이때, 읽기명령(RD)이 입력되면 래칭부(60)는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 한 값(CNT_CLK<0:2>)인 2를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으로 출력한다. 비교부(70)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즉,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이 2가 되면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출력한다. 데이터(D0, D1, D2, D3)는 이렇게 생성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이용하여 출력단(DQ)으로 출력된다.
도 5는 카스레이턴시(CL)가 5인 경우로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카스레이턴시(CL)가 5이기 때문에 초기화부(20)의 초기 카운팅 값은 표 1에 따라 3으로 설정된다. 제1 리셋신호(RST_DLL)가 논리'로우'가 되면 DLL클럭 카운팅부(30)는 초기 카운팅 값인 3에서부터 카운팅하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을 출력한다.
한편,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지연모델부(40)의 지연시간이 반영된 이후 제2 리셋신호(RST_CLK)가 논리'로우'가 되면 외부클럭 카운팅부(50)는 카운팅을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이때, 읽기명령(RD)이 입력되면 래칭부(60)는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 한 값(CNT_CLK<0:2>)인 2를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으로 출력한다. 비교부(70)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2>)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즉,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2>)이 2가 되면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출력한다. 데이터(D0, D1, D2, D3)는 이렇게 생성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이용하여 출력단(DQ)으로 출력된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이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취약점 및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카스레이턴시(CL)는 모드 레지스터 셋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때문에, 초기화부(20)는 모드 레지스터 셋이 설정을 마친 이후에나 비로소 초기 카운팅 값을 설정해야만 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으며,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뀔 때마다 DLL클럭 카운팅부(30)를 리셋(reset)시켜 초기 카운팅 값을 바꿔줘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요즈음 회로의 빠른 동작을 요구하는 추세에서 점점 고주파수의 외부클럭(CLK_EXT)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카스레이턴시(CL) 역시 점점 늘어나고 있다. 때문에, DLL클럭 카운팅부(30)와 외부클럭 카운팅부(50)는 카스레이턴시(CL)에 맞게 카운팅 능력을 확장해 주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DLL클럭 카운팅부(30)와 외부클럭 카운팅부(50)가 예컨대, 3비트 카운터(counter)로 구성되는 경우 카스레이턴시(CL)는 최대 7까지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카스레이턴시(CL)가 더 늘어나게 되면 DLL클럭 카운팅부(30)와 외부클럭 카운팅부(50)를 구성하는 카운터의 능력도 3비트 이상으로 확장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늘어난 비트 수에 의해 늘어나는 카운터의 구성은 액티브 동작시나 스텐바이 동작시 더 많은 전류소모를 유발시킨다.
이어서, 카스레이턴시(CL)가 늘어남에 따라 DLL클럭 카운팅부(30)와 외부클럭 카운팅부(50)에서 출력되는 비트 수가 늘어나게 되면, 비교부(70)에서의 동작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원하지 않는 추가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원하는 시점에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초기 카운팅 값과 카운팅되어 출력되는 비트 수를 늘리지 않고도 원하는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메인 크로싱을 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전류소모와 최소한의 지연시간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DLL 클럭을 카운팅한 값과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을 카운팅한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과,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제1 카운팅 값을 출력하는 제1 카운팅 단계;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을 카운팅하여 제2 카운팅 값을 출력하는 제2 카운팅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운팅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 기 DLL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하여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쉬프팅 단계; 및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초기 카운팅 값을 가지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하여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한 다음,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대응하여 이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초기 카운팅 값이 카스레이턴시에 따라 변하면서 발생하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카스레이턴시가 바뀌더라도 일정한 초기 카운팅 값을 이용함으로써, 카운터의 확장설계를 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류소모 및 원하지 않는 지연시간 없이도 원하는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클럭과 내부클럭의 도메인 크로싱을 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전류소모와 지연시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는 예정된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DLL 클럭(CLK_DLL)을 카운팅한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읽기명령(RD)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한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0)와, 카스레이턴시(CL)에 응답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쉬프팅(shifting)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OE1, OE2, ... ,OEn, 여기서, n은 자연수)와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로서 출력하기 위한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100)는 예정된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카운팅값 출력부(110)와, 읽기명령(RD)이 입력되기까지 외부클럭(CLK_EXT)을 카운팅하여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카운팅값 출력부(130), 및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명령(예컨대, /RAS, /CAS, /CS, /WE)에 대응하는 리셋신호(RST)와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리셋신호(RST_DLL)를 생성하는 카운터 리셋신호 생성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운팅값 출력부(110)는 카운터 리셋신호 생성부(170)에서 출력되는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응답하여 DLL클럭 카운팅부(114)에 초기 카운팅 값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부(112)와,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DLL 클럭(CLK_DLL)에 따라 카운팅하여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을 출력하기 위한 DLL클럭 카운팅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DLL클럭 카운팅부(114)는 초기화부(112)의 출력신호(S<0:1>, R<0:1>)에 응답하는 2비트의 카운터(counter)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초기에 설정될 수 있는 최대 카운팅 값에 대응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예와 같이 초기 카운팅 값의 최대값이 4인 경우에 4까지 카운팅 할 수 있는 2비트의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초기화부(112)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초기화부(112)는 제1 리셋신호(RST_DLL)가 논리'하이'일 때(모드 레지스터 셋이 설정되기 전에도 가능) DLL클럭 카운팅부(114)의 초기 카운팅 값을 1로 설정하기 위한 출력신호(S<0:1>, R<0:1>)를 생성한다. 초기 카운팅 값을 2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은 도 7을 참고하여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그 회로구성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카운팅 값이 카스레이턴시(CL)에 따라 바뀌지 않더 라도 원하는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뀌더라도 DLL클럭 카운팅부(114)를 리셋하지 않아도 되며, 에에 대한 자세한 동작 설명은 도 9와 도 10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리셋신호(RST_DLL)에 DLL 클럭(CLK_DLL)의 지연요소를 반영하여 제2 카운팅값 출력부(13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리셋신호(RST_CLK)를 생성하는 지연 모델부(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카운팅 값 출력부(130)는 지연 모델부(190)에서 출력되는 제2 리셋신호(RST_CLK)에 응답하여 외부 클럭(CLK_EXT)에 따라 카운팅하기 위한 외부클럭 카운팅부(132)와, 읽기명령(RD)에 응답하여 외부클럭 카운팅부(132)의 출력 값(CNT_CLK<0:1>)을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래칭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클럭 카운팅부(132)는 2비트의 카운터를 사용하였다. 외부클럭 카운팅부(132)는 DLL클럭 카운팅부(114)와 동일한 비트수의 카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DLL클럭 카운팅부(114)에서 출력되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외부클럭 카운팅부(132)의 출력 값(CNT_CLK<0:1>), 및 래칭부(134)에서 출력되는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은 다수의 비트신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비교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2비트의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의 값이 동일한 경우 활성화 되는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출력한다. 비교부(150)의 구성 역시 입력되는 비트 수에 따라 그 설계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300)는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쉬프팅시키기 위한 다수의 쉬프팅부(310, 330, 350, 370)와, 카스레이턴시(CL)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인에이블 신호(OE0, OE1, ... , OEn)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 다중화부(39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쉬프팅부(310, 330, 350, 370) 각각을 디 플립플롭(D Flip-Flop : DFF)으로 구성하였지만, 다른 구성의 플립플롭이나 이외의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쉬프팅부(310, 330, 350, 370)는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가 DLL 클럭(CLK_DLL)에 동기되어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OE1, OE2, OE3, ... , OEn)로 출력되기 위한 구성이면 된다. 그리고, 신호 다중화부(390)는 일반적인 멀티플렉서(multiplexer)의 구성이면 된다.
도 9와 도 10은 도 6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카스레이턴시(CL)가 4인 경우로 도 6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카운팅 값을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뀔 때마다 바꿔 줄 필요가 없음으로, 예컨대, 초기 카운팅 값을 1로 설정하기로 한다.
우선, 제1 리셋신호(RST_DLL)가 논리'로우'가 되면 DLL클럭 카운팅부(114)는 초기 카운팅 값인 1에서부터 카운팅하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을 출력 한다.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지연모델부(190)의 지연시간이 반영된 이후 제2 리셋신호(RST_CLK)가 논리'로우'가 되면 외부클럭 카운팅부(132)는 카운팅을 시작한다.
이때, 읽기명령(RD)이 입력되면 래칭부(134)는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한 값(CNT_CLK<0:1>)인 2를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으로 출력한다. 비교부(150)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즉,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이 2가 되면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출력한다.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300)의 다수의 쉬프팅부(310, 330, 350, 370)는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쉬프팅 시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OE1, OE2, ... , OEn)를 생성하고, 신호 다중화부(390)는 카스레이턴시(CL)에 응답하여 원하는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출력한다.
여기서는 카스레이턴시(CL)에 따라 제2 출력인에이블 신호(OE1)를 선택하였으며, 데이터(D0, D1, D2, D3)는 이렇게 선택된 제2 출력인에이블 신호(OE1)를 이용하여 출력단(DQ)으로 출력된다.
도 10은 카스레이턴시(CL)가 5인 경우로 도 6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처럼 초기 카운팅 값을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뀔 때마다 바꿔 줄 필요가 없음으로, 동일하게 초기 카운팅 값을 1로 설정하였다.
우선, 제1 리셋신호(RST_DLL)가 논리'로우'가 되면 DLL클럭 카운팅부(114)는 초기 카운팅 값인 1에서부터 카운팅하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을 출력한다. 제1 리셋신호(RST_DLL)에 지연모델부(190)의 지연시간이 반영된 이후 제2 리셋신호(RST_CLK)가 논리'로우'가 되면 외부클럭 카운팅부(132)는 카운팅을 시작한다.
이때, 읽기명령(RD)이 입력되면 래칭부(134)는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한 값(CNT_CLK<0:1>)인 2를 래칭하고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으로 출력한다. 비교부(150)는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즉,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이 2가 되면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출력한다.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300)의 다수의 쉬프팅부(310, 330, 350, 370)는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쉬프팅 시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OE1, OE2, ... , OEn)를 생성하고, 신호 다중화부(390)는 카스레이턴시(CL)에 응답하여 원하는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출력한다.
여기서는 카스레이턴시(CL)에 따라 제3 출력인에이블 신호(OE2)를 선택하였으며, 데이터(D0, D1, D2, D3)는 이렇게 선택된 제3 출력인에이블 신호(OE2)를 이용하여 출력단(DQ)으로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예정된 초기 카운팅 값(도 9와 도 10에서는 본 명세서에서는 초기 카운팅 값으로 1을 설정함)에서부터 DLL 클럭(CLK_DLL)에 따라 카운팅한 2비트의 DLL클럭 카운팅 값(CNT_DLL<0:1>)과 읽기명령(RD)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CLK_EXT)을 카운팅한 외부클럭 카운팅 값(CNT_RD<0:1>)을 비교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생성된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는 이미 DLL 클럭(CLK_DLL)에 동기된 신호가 된다.
그리고,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DLL 클럭(CLK_DLL)에 응답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OE0)를 쉬프팅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OE1, OE2, ... , OEn)를 생성하고, 제1 출력 인에이블 신호(OE0)와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OE1, OE2, ... , OEn) 중 카스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로서 출력한다. 이렇게 생성된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출력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뀔 때마다 초기 카운팅 값을 바꾸지 않더라도 원하는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때문에,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 여부와 상관없이 초기화부(112)에서 출력되는 초기 카운팅 값을 설정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카스레이턴시(CL)가 바뀌더라도 DLL클럭 카운팅부(114) 역시 카스레이턴시(CL)에 따른 리셋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DLL클럭 카운팅부(114)와 외부클럭 카운팅부(134)는 카스레이턴시(CL)에 따른 카운터의 확장 설계를 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래칭부(134)와 비교부(150) 역시 추가 설계가 필요 없게 된다. 결국, 액티브 동작시나 스텐바이 동작시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지연시간 없이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OE_FIN)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DLL 클럭(CLK_DLL)과 외부 클럭(CLK_EXT)의 도메인 크로싱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클럭간의 도메인 크로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초기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도 1의 비교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와 도 5는 도 1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초기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은 도 6의 비교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9와 도 10은 도 6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110 : 제1 카운팅값 출력부
112 : 초기화부 114 : DLL클럭 카운팅부
130 : 제2 카운팅값 출력부 132 : 외부클럭 카운팅부
134 : 래칭부 150 : 비교부
170 : 리셋신호 생성부 190 : 지연 모델부
300 :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310, 330, 350, 370 : 디 플립플롭(DFF) 390 : 신호 다중화부

Claims (17)

  1. DLL 클럭을 카운팅한 값과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을 카운팅한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과,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한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제1 카운팅 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카운팅값 출력수단;
    상기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상기 외부 클럭을 카운팅하여 제2 카운팅 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카운팅값 출력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팅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와 상기 DLL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운팅값 출력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리셋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팅값 출력수단은,
    상기 제1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초기 카운팅 값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부와,
    상기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상기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상기 제1 카운팅 값을 출력하기 위한 DLL클럭 카운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LL클럭 카운팅부는 상기 초기 카운팅 값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셋신호에 상기 DLL 클럭의 지연요소를 반영하여 상기 제2 카운팅값 출력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지연 모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운팅값 출력수단은,
    상기 제2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기 위한 외부클럭 카운팅부와,
    상기 읽기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럭 카운팅부의 출력 값을 래칭하고 상기 제2 카운팅 값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래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클럭 카운팅부는 상기 초기 카운팅 값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팅 값과 상기 제2 카운팅 값은 다수의 비트 신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DLL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쉬프팅부와,
    상기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 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쉬프팅부 각각은 디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제1 카운팅 값을 출력하는 제1 카운팅 단계;
    읽기명령이 입력되기까지 외부 클럭을 카운팅하여 제2 카운팅 값을 출력하는 제2 카운팅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운팅 값을 비교하여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DLL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팅하여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쉬프팅 단계; 및
    카스레이턴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다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최종 출력인에이블 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외부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와 상기 DLL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운팅 단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팅 단계는,
    상기 제1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초기 카운팅 값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카운팅 값에서부터 상기 DLL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여 상기 제1 카운팅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셋신호에 상기 DLL 클럭의 지연요소를 반영하여 제2 카운팅 단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운팅 단계는,
    상기 제2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에 따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읽기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카운팅한 값을 래칭하고 상기 제2 카운팅 값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팅 값과 상기 제2 카운팅 값은 다수의 비트 신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70112033A 2007-11-05 2007-11-05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90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3A KR100903384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US12/215,728 US7813217B2 (en) 2007-11-05 2008-06-3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3A KR100903384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90A true KR20090046090A (ko) 2009-05-11
KR100903384B1 KR100903384B1 (ko) 2009-06-23

Family

ID=4085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033A KR100903384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22B1 (ko) 2010-02-04 2011-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레이턴시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96B1 (ko) * 2004-12-30 2006-09-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주파수 동작을 위한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레이턴시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384B1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18016B (zh) 用于存储器装置中的命令路径的改进的计时电路
US6812799B2 (en) Synchronous mirror delay (SMD) circuit and method including a ring oscillator for timing coarse and fine delay intervals
JP5309286B2 (ja) クロックジェネレータ
US7394707B2 (en) Programmable data strobe enable architecture for DDR memory applications
US729295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bility to adjust impedance of data output driver
US8427892B2 (en) Write strobe generation for a memory interface controller
KR20190032638A (ko) 커맨드 신호 경로의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00052739A1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evice
US794477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enable signal
CN111418015B (zh) 用于存储器装置中的命令同步的技术
US814453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enable signal
US20080101140A1 (en) Cas latency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60764B2 (en) Buffer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7688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loop synthesis of output clock signals having a selected phase relative to an input clock signal
US8483005B2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59157B1 (ko) 라이트 명령어 레이턴시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90338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US781321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668829B1 (ko) 메모리 장치용 데이타 출력 제어 회로
KR100929833B1 (ko)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 회로와 생성 방법
KR10100468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20060075611A (ko)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
KR10090442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US20060117201A1 (en) Variable pipelin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