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851A -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851A
KR20090042851A KR1020097005491A KR20097005491A KR20090042851A KR 20090042851 A KR20090042851 A KR 20090042851A KR 1020097005491 A KR1020097005491 A KR 1020097005491A KR 20097005491 A KR20097005491 A KR 20097005491A KR 20090042851 A KR20090042851 A KR 2009004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ment
element group
sensor
conta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814B1 (ko
Inventor
사야 시게타
다로 이이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3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71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9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5850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전자 기기는, 표시부(ELD)와,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고 표시부의 주변을 따르도록 연속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L1-L4)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1 센서 소자군이 배치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와,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후보 항목을 복수 표시하여,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 및 상기 스위치 소자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선택 후보군의 선택 상태를 변경하여, 스위치 소자의 누름이 발생하면 선택 상태에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로서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마련한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입력부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나 구성이 개발되어 왔다. 예컨대, 휴대 전자 기기에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를 마련하여, 표시부 상에 표시된 커서를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따라 이동시키는 기술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물리적·기계적인 회전을 수반하는 「회전 다이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마모 등에 의해서 오동작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기 쉽고, 조작 입력부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거나, 내구성의 기간이 짧은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물리적·기계적인 회전을 수반하지 않는 조작 입력부로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3을 참조). 이 제안 기술은, 복 수의 터치 센서 소자를 환상으로 배치하여, 개개의 터치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출을 감시하고, 연속적인 접촉 검출을 검출한 경우는, 그 접촉 검출 개소의 이동에 따라, 표시 위치의 이동 지시가 생겼다고 판정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280792 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5-522797 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4-311196 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도 27, 도 28에, 종래의 센서 소자 및 그 제어예를 나타낸다. 도 27(a),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상으로 마련한,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 소자를, 예컨대, 도 27(a)의 화살표(AR)와 같이 손가락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에는, 도 27(b)의 표시부의 항목(LS1 ~ LS8) 중의 어느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조작 대상 영역(해칭으로 LS3 상에 나타내는 커서나 강조 표시 영역 등)을 아래쪽으로 스크롤하여, 도 28(b)의 화살표(AR)와 같이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에는, 도 28(b)와 같이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등의 「이동 룰」이 미리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룰」로는, 환상으로 마련한 센서 소자의 좌측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문지른 경우에, 예컨대, 표시부의 항목(LS1 ~ LS8) 중의 조작 대상 영역(LS3)이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는 것으로 되어, 유저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표시부의 항목의 스크롤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조작성에 위화감을 느끼는 유저가 많다. 일반적인 유저는, 자신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같이 표시 항목도 이동하는 것을 직감적으로 기대하지만, 이 제안 기술로서는, 자신의 기대와는 다른 반대측으로의 표시 동작으로 되어 유저는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즉, 이동을 지시하는 유저의 손가락의 물리적인 움직임(원 운동)과, 표시 항목의 스크롤 동작(상하 방향, 좌우 방향)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실제로 손가락을 움직이면서 화면을 보고 확인한 후가 아니면, 스크롤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이동을 지시하는 유저의 손가락의 물리적인 움직임(원 운동)과, 표시 항목의 스크롤 동작(상하 방향, 좌우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회전 다이얼식뿐만 아니라 센서 소자식에서도 여전히 문제이다. 따라서, 회전 다이얼식, 센서 소자식의 센서와 관계없이, 종래 기술의 센서는, 유저의 직감적인 동작으로 선택 항목을 이동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는 불충분했다.
또한, 터치 센서를 조작하여 표시부의 항목을 이동시킨 후, 항목 선택을 결정하는 경우에, 결정을 지시하기 위한 결정 입력부(키, 택트 스위치 등)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 기기는 소형이며, 그 하우징 외면의 실장 면적이 좁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정 입력부를 외면에 마련하면 디자인성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형이며 하우징 외면의 실장 면적이 좁은 휴대 전자 기기에, 조작성과 디자인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센서 소자와 표시부를 상기 하우징 외면에 탑재시키고 싶다. 그 경우, 센서 소자도 필연적으로 소형인 것으로 되어, 유저의 의도하는 위치의 센서 소자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없고,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나 조작 대상 영역이 생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해 버린다. 예컨대, 센서 소자 상에서 이동을 지시하는 유저의 손가락이 조금이라도 지나쳐 의도하지 않는 지시 동작으로 되는 센서 소자에 터치해 버린 경우 등에는, 유저의 의도하는 것과는 다른 표시부의 동작으로 된다. 이것도, 유저에게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될 수 있다. 특히, 유저가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을 때 현저하다. 따라서, 유저의 지시 동작에 충실히 따르면서, 유저의 부주의나 익숙하지 않음에 의해서 생겨 얻는 센서 소자의 오접촉을 회피·무효로 하도록 한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여러 과제를 해소하여 쾌적한 조작성 및 사용성을 주는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의 지시 동작에는 적절히 대응하면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서 행하는 조작(즉, 잘못된 지시 동작)에 의한 오동작을 회피하여, 유저에게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일없이 쾌적하고 직감적인 조작성 및 사용성을 주는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여러 과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기기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기 표시부의 주변을 따르도록(즉,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배열되는,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예컨대, 그 검지부를 기기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해 놓고,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근접을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배열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예컨대, 택트 스위치나 토글 스위치)와,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후보 항목(예컨대, 스크롤가능한 몇 개의 행이나 열)을 복수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 및 상기 스위치 소자의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선택 후보 항목의 선택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이 생기면 선택 상태에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검지한 경우,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지 않고서,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의 선택을 결정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 항목에 따른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적합하게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가 있더라도, 상기 검출 상태 변화가 연속하여 발생할 때까지,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는 제어를 보류한다. 또한,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하는 것은, 항목이나 영역을 포커스하는 것이고, 예컨대, 포커스된 영역/항목(즉, 현재의 조작 대상 항목·선택 대상 항목)인 것이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항목에 커서를 배치하고, 및/또는, 항목 자체를 반전 표시 등으로 강조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은, 예컨대, 상기 항목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동작이며, 항목이 곡명이나 영상 타이틀인 경우는, 상기 곡이나 상기 영상 타이틀에 대응한 소프트웨어 컨텐츠나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배치했을 때의 방향 성분이, 적어도 제 1 방향(전형적으로는 세로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전형적으로는 횡서의 행 표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선택 후보 항목을 변경하여(예컨대, 방향 성분이 아래 쪽인 경우에는 스크롤 다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스위치 소자가,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즉, 가상선)의 중앙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후보 항목의 하나가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반전 표시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입력)을 유효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의 하나의 센서 소자만이 접촉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하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예컨대, 표시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점대칭, 혹 중심을 지나는 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2 센서 소자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센서 소자군은, 제 1 센서 소자군과 같은 수의 소자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을 기기(장치)로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방법,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로서도 실현할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는 이들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싶다.
예컨대, 본 발명을 방법으로서 실현시킨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기 표시부의 주변을 따르도록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배열되는,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배열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후보 항목을 복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 및 상기 스위치 소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선택 후보 항목의 선택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이 생기면 선택 상태에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예컨대, 상기 항목에 관련지어진 동작이며, 항목이 곡명이나 영상 타이틀인 경우는 상기 곡명이나 상기 영상 타이틀의 재생)을 행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에 스위치 소자를 마련한 형태로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스위치 소자를 마련하지 않고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인접하고 또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은,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가 적어도 소정의 1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나열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하여(즉, 적어도 하나의 선택 후보 항목을 포커스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의 표시중에,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갖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의 수와 같은 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 하나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 상태로부터 인접하는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 상태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하나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와 같은 수의 센서 소자에 의해 구성한 제 2 센서 소자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이,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단부가,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의 단부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센서 소자군의 한쪽의 복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1 방향으로 변화시켜, 또한 연속하여 다른 쪽의 센서 소자군의 복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상기 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표시부에 인접하여 적어도 소정의 1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열하여,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나열하여 표시하여, 상기 검출한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의 휴대 전자 기기와 같은 좁은 실장 면적이더라도, 본 구성에 의해서 쾌적한 조작성 및 사용성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센서 소자를 하우징에 실장한 휴대 전화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터치 센서 기능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각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지의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은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간부(SP1)를 넘어서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이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센서 소자 검출 상태를 16개로 분할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16개의 검출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 확정 처리(즉, 보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흐름도의 처리를 도 11의 센서 소자 L1로부터 L4로의 접촉에 적용한 경우의 확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센서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센서 소자 및 서브 표시부의 레이아웃의 예의 도면이다.
도 27은 종래의 센서 소자 및 그 제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종래의 센서 소자 및 그 제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이후, 여러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 전자 기기의 전형예로서 휴대 전화 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100)은, 제어부(110), 센서부(120), 표시부(130), 기억부(플래시 메모리 등)(140), 정보 처리부(150),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KEY), 스피커(SP), 또한, 도시하지 않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CO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복수의 센서 소자(예컨대, 그 검지부를 기기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해 놓고,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근접을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한 센서 소자군을, 용도에 따라 n개, 즉, 제 1 센서 소자군(G1), 제 2 센서 소자군(G2) 및 제 n 센서 소자군(G3)을 포함하고, 기억부(140)는 보존 영역(142), 외부 데이터 보존 영역(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0) 및 정보 처리부(150)는, CPU 등의 연산 수단 및 소프트웨어 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후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를 통해서 제어부(110)에 접속되는 RFID 모듈(RFID)이나 적외선 통신부(IR), 또한, 카메라(180)나 라이트(190)의 외, 마이크(MIC), 라디오 모듈(RM), 전원(PS), 전원 컨트롤러(PSCON) 등이 제어부(110)에 접속되지만,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1의 블록도에 있어서의 각 블록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 의해 유저의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여, 기억부(140)의 보존 영역(142)에 검출한 정보를 격납하고, 정보 처리 기능부(150)에 의해 격납한 정보의 처리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 결과에 따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상의 통화 기능을 위한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KEY), 및 스피커(SP)를 제어한다. 한편, 표시부(130)는, 서브 표시부(ELD) 및 도시하지 않는 메인 표시부(휴대 전화 단말(100)이 닫힌 상태에서 숨겨지는 위치와, 열린 상태에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센서 소자를 하우징에 실장한 휴대 전화 단말의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외에, 힌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함으로써, 열린 상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터치 센서부(170)는 닫힌 상태에 있어서도 조작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a)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터치 센서부(170)(외관상, 센서부(130), 즉 센서 소자군(G1, G2)을 덮는 도 6에서 후술하는 패널(PNL)이 보이고 있다), 카메라(180), 및 라이트(190)를 구비한다. 도 2(b)는, 터치 센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해, 패널(PNL)을 생략하고, 센서 소자와 서브 표시부(ELD) 주변만의 배치를 표시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센서 소자(L1-L4 및 R1-R4)가,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를 따라 병렬 배치되어 있다. 센서 소자(L1-L4, R1-R4)는, 각각 제 1 센서 소자군(G1),제 2 센서 소자군(G2)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과 제 2 센서 소자군은, 이간부(SP1, SP2)를 사이에 두고 병렬 배치되어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레이아웃에 대하여, 제 2 센서 소자군(G2)은,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선택 후보 항목의 병렬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중심선으로 하는 선대칭의 레이아웃을 가진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서브 표시부(ELD)에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지만, 예컨대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센서 소자로서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했지만, 박막 저항식의 접촉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있어서, 서브 표시부(ELD)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용도에 따른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100)을 음악 플 레이어로서 이용하는 경우, 서브 표시부(ELD)에는 재생할 수 있는 곡목이 표시된다. 곡명 및 아티스트명의 세트로 하나의 항목, 즉, 「선택 후보 항목」으로 된다. 유저는, 조작 입력부로서 터치 센서부(170)를 조작하여 센서 소자(R1-R4, L1-L4)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켜,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된 항목이나 조작 대상 영역을 이동시켜 곡목의 선택을 행한다. 이 때, 터치 센서는, 도 2과 같이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에 센서 소자를 병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소형인 휴대 전자 기기의 외부 하우징에 있어서의 실장 부분을 크게 점유하지 않게 되고, 또한, 유저는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를 보면서 센서 소자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도 3에 나타내는 각종 소프트웨어는, 기억부(140)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마찬가지로 기억부(140) 상에 워크 영역을 마련한 후에, 제어부(110)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동작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의 여러 기능은, 소프트웨어 블록과 하드웨어 블록으로 분리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플래그 기억부 FLG를 가지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잠금 보안 애플리케이션(AP2), 기타 애플리케이션(AP3), 및 라디오 애플리케이션(AP4)으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또한, 적외선 통신 애플리케이션(APIR) 및 RFID 애플리케이션(APRF)도 포함한다. 이들의 각종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 하드웨어 블록의 각종 하드웨어를 제어할 때에, 적외선 통신 드라이버(IRD), RFID 드라이버(RFD), 오디오 드라이버(AUD), 라디오 드라이버(RD), 및 프로토콜(PR)을 드라이버로서 사용한다. 예컨대, 오디오 드라이 버(AUD), 라디오 드라이버(RD), 및 프로토콜(PR)은, 각각, 마이크(MIC), 스피커(SP), 통신부(COM), 및 라디오 모듈(RM)을 제어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또한, 하드웨어의 조작 상태를 감시·검출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도 포함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 관련 검출, 키 검출, 접이식이나 슬라이드식 등의 휴대 전화 단말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이어폰 착탈 검출 등을 행한다.
하드웨어 블록은, 다이얼 키나 후술하는 택트 스위치(SW1-4)를 포함하는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하는 키 조작부(KEY), 힌지부의 동작 상황 등에 근거하여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디바이스(OCD), 기기 본체 부속의 마이크(MIC), 착탈가능한 이어폰(EAP), 스피커(SP), 통신부(COM), 라디오 모듈(RM),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및 전환 제어부(SWCON)로 구성된다. 전환 제어부(SWCON)는, 소프트웨어 블록의 해당 블록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적외선 통신부(IR), RFID 모듈(무선 식별 태그)(RFID), 터치 센서 모듈(TSM)(센서부(120)와 발진 회로 등의 센서부(120)를 구동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을 모듈화한 것)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신호를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가 픽업하도록, 선택 대상 하드웨어(IR, RFID, TSM)를 바꾼다. 전원(PS)은, 전원 컨트롤러(PSCON)를 통해서 선택 대상 하드웨어(IR, RFID, TSM)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터치 센서 기능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휴대 전화 단말(100)은,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록(TDB), 터치 센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블록( TSBA), 디바이스층(DL), 인터럽트 핸들러(IH), 큐(QUE), OS 타이머(CLK), 각종 애 플리케이션(AP)을 구비한다. 여기서 터치 센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블록(TSBA)은,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및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구비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록(TDB)은,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 및 결과 통지부(NTF)를 구비한다. 또한, 디바이스층(DL)은, 전환 제어부(SWCON), 전환부(SW),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적외선 통신부(IR), RFID 및 터치 센서 모듈(TSM)을 구비하고, 인터럽트 핸들러(IH)는,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 및 확인부(CNF)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블록의 기능을 설명한다. 터치 센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블록(TSBA)에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과,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사이에서는, 터치 센서를 기동하는지 여부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은, 서브 표시부용의 애플리케이션인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보안 보호용으로 휴대 전화 단말(100)에 잠금을 거는 애플리케이션인 잠금 보안 애플리케이션(AP2), 그 외의 애플리케이션(AP3)의 베이스로 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터치 센서의 기동이 요구된 경우에, 상기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터치 센서의 기동을 요구한다. 한편, 서브 표시부는, 각 도면에서 나타내는 서브 표시부(ELD)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있어서 센서 소자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부의 것을 가리킨다.
기동의 요구를 받아, 터치 센서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 스(API)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관리하는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터치 센서의 기동이 가능한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서브 표시부(ELD)의 점등, 또는 FM 라디오 외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부속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미리 터치 센서의 기동이 불가능하다고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나타내는 플래그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 결과, 터치 센서의 기동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터치 센서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는 상기 터치 센서 드라이버에 터치 센서 모듈의 기동을 요구한다. 즉, 실질적으로는 전원 컨트롤러(PSCON)를 통한 전원(PS)으로부터 터치 센서 모듈(TSM)로의 전원 공급을 시작한다.
기동이 요구되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디바이스층(DL) 내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요구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서의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와의 포트를 열도록 제어한다.
그 후,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터치 센서의 센싱 결과의 정보를 갖는 신호(이후, 접촉 신호라고 함)를, 터치 센서 모듈(TSM)이 갖는 내부 클록에 의한 20 ms의 주기로,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접촉 신호는, 상술한 각 센서 소자(R1-R4 및 L1-L4)의 8개의 센서 소자각각에 대응한 8 비트 신호로 출력되어 있다. 즉, 각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지했을 때에는, 이 접촉을 검지한 센서 소자에 대응하는 비트에, 접촉 검지를 나타내는 「플래그:1」를 설정한 신호이고, 이들의 비트열에 의해서 접촉 신호가 형성된다. 즉, 접촉 신호는 「어떤 센서 소자」가 「접촉/비접촉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 정 보가 포함된다.
인터럽트 핸들러(IH)에서의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출력된 접촉 신호를 취출한다. 여기서 확인부(CNF)가,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취출한 접촉 신호의 True/False의 확인을 행하고, True(진)인 신호의 데이터만을 큐(QUE)에 넣는다(신호의 True/False의 종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는, 택트 스위치의 누름의 발생 등의 터치 센서 기동중인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의 다른 인터럽트 사상의 감시도 행한다.
한편, 감시부(SIMON)는, 검출한 접촉이 최초의 접촉이던 경우에는 「프레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접촉 신호 전에 큐(QUE)에 넣는다(큐잉한다). 그 후, 오퍼레이션 시스템이 갖는 OS 타이머(CLK)에 의한 클록 45 ms 주기로 접촉 신호의 갱신을 행하고, 소정 회수 접촉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릴리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큐(QUE)에 넣는다. 이것에 의해, 접촉 개시부터 릴리스까지의 센서 소자 사이에서의 접촉 검출의 이동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초의 접촉」은, 큐(QUE)에 데이터가 없는 상태, 혹은, 가장 가까운 입력 데이터가 「릴리스」인 경우에 「플래그:1」를 갖는 신호가 발생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이들의 처리에 의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프레스」로부터 「릴리스」의 구간의 센서 소자의 검출 상태를 알 수 있다.
동시에, 감시부(SIMON)는, 터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접촉 신호가 False로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신호인 경우에, 「릴리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의사적으로 생성하여 큐(QUE)에 넣는다. 여기서 False(거짓)으로 되는 조건으로서는, 「비연속인 2개의 센서 소자로 접촉을 검출한 경우」, 「터치 센서 기동중에 인터럽트가 생긴 경우(예컨대, 메일 착신 등의 통지로 서브 표시부(ELD)의 점등/소등 상태가 변경된 경우)」, 「터치 센서 기동중에 키 누름이 발생한 경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 소자군을 넘는 접촉을 검출한 경우」 등이 설정된다.
또한, 감시부(SIMON)는, 예컨대, 센서 소자(R2와 R3)로 한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로 동시에 접촉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일의 소자를 검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촉을 검출한 소자에 대응하는 비트에 플래그가 설정된 접촉 신호를 큐(QUE)에 넣는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45 ms 주기로 큐(QUE)로부터 접촉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한 접촉 신호에 의해서, 접촉을 검지한 소자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큐(QUE)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한 접촉 신호에 의해 판정한 접촉의 변화, 및, 검지한 소자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접촉 스타트의 소자」, 「접촉의 이동 방향(시계 회전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의 검출」, 및 「프레스로부터 릴리스까지 이동한 소자의 수(즉 이동 거리)」의 판정을 행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판정된 결과를 결과 통지부(NTF)에 공급함과 아울러,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결과를 갱신하도록 통지한다.
접촉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의 판정은, 인접하는 센서 소자의 검출 및 각 센서 소자의 검출의 조합에 의해 행하지만, 이것에는 여러 수법(판정 룰)을 적용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예컨대, 어떤 하나의 센서 소자(예컨대 R2)로부터 인접하는 센서 소자(이 예의 경우, R2 및 R3)로 접촉이 천이하면, 그 방향으로, 1 소자분(서브 표시부에서의 1 항목분) 이동한다고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의 갱신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의해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통지되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은 결과 통지부(NTF)를 확인하고, 결과 통지부(NTF)에 통지된 정보의 내용을, 보다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터치 센서 결과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서브 표시부에서의 메뉴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및 잠금 제어를 위한 잠금 보안 애플리케이션(AP2) 등)에 통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특히 터치 센서부(170)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작도 및 설명의 편의상, 일부의 구성 요소만을 도시 및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부(ELD)의 주위를 따라 도너츠 형상의 패널(PNL)이 배열되어 있다. 패널(PNL)은, 하부에 마련하는 센서 소자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얇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패널(PNL)의 하부에는, 인체의 손가락의 접촉/근접을 검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형의 8개의 센서 소자(L1-L4, R1-R4)를 거의 환상으로 배치해 놓는다. 좌측의 4개의 센서 소자(L1-L4)로 제 1 센서 소자군, 오른쪽의 4개의 센서 소자(R1-R4)로 제 2 센서 소자군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각 센서 소자군 내의 인접하는 센서 소자의 사이에는, 인접하는 센서 소자끼리 접촉 검출 기능에 간섭하지않도록, 틈새(간극)를 마련하여 배치해 놓는다. 한편, 간섭하지 않는 타입의 센서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틈새는 불필요하다. 제 1 센서 소자군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L4)와, 제 2 센서 소자군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R1) 사이에는, 상기 틈새보다 큰 틈새(예컨대, 2배 이상의 길이)인 이간부(SP1)를 마련한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L1)와, 제 2 센서 소자군(G2)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R4) 사이에도, 이간부(SP1)와 마찬가지로 이간부(SP2)를 마련한다. 이러한 이간부(SP1, SP2)에 의해서,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을 별개로 기능시킬 때에, 서로 손가락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각 센서 소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센서 소자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원호)의 중앙, 즉, 센서 소자(L2 및 L3)의 중간의 하부에, 택트 스위치(SW1)의 중심을 배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센서 소자군(G1)의 각 센서 소자의 거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의 중앙의 근방에, 택트 스위치(SW1)를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소자군(G2)의 각 센서 소자의 중심을 연결하는 원호(가상선)의 중앙, 즉, 센서 소자(R2 및 R3)의 중간의 하부에, 택트 스위치(SW2)의 중심을 배치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방향성을 연상시키지 않는 위치인, 센서 소자군의 각각의 거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도시하지 않음)의 거의 중앙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센서 소자상에 있어서의 유저에 의한 손가락의 방향성을 가진 이동 지시 조작에 의한 방향 지시와는 직접 관계하지 않는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인 것을, 유저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센서 소자군을 연결하는 선의 중앙에서는 없게 단부(예컨대 L1 이나 L4)의 근방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해 놓으면, 단부측 방향의 방향성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터치 센서에 의 한 이동 동작을 계속하는 등을 위해 길게 누르는 「스위치」라는 오해를 유저에게 주기 쉽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과 같이, 센서 소자군의 각각을 연결하는 선의 중앙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해 놓으면, 이러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 소자의 아래쪽으로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여 기기 외면에 노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기의 외관상도 노출하는 조작부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형태인 스마트한 인상으로 된다. 한편, 스위치를 패널(PNL) 하부 이외의 개소에 마련하는 경우에는, 기기 하우징에 별도의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있지만,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하우징 강도의 저하가 생길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패널(PNL), 및, 센서 소자의 아래쪽으로 택트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하우징 강도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유저가, 예컨대, 손가락으로 순차적으로 센서 소자(L1, L2, L3, L4)를 원호 형상으로 위쪽을 향하여 문지르면, 표시부(ELD)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이 경우는, 소리, 표시, 데이터, 카메라) 중 선택 대상 영역(즉, 포커스된 영역/항목이며, 예컨대, 반전 표시나 별도의 컬러를 이용한 강조 표시된 영역 등)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항목이 위쪽의 것으로 순차적으로 변화되거나, 선택 후보 항목이 위쪽으로 스크롤하거나 한다. 원하는 선택 후보 항목이 선택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는, 패널(PNL) 및 센서 소자(L2, L3) 너머로 택트 스위치(SW1)를 눌러 선택 결정을 하거나, 택트 스위치(SW2)를 눌러 표시 자체를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즉, 패널(PNL)은, 택트 스위치(SW1, SW2)를 누 르는데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거나, 혹은, 약간 경사지도록 기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택트 스위치(SW1, SW2)에 대한 푸셔(pusher)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도 6은, 도 2, 도 5에 나타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 요소의 특히 터치 센서부(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하우징의 외면을 이루는 제 1 층에는, 패널(PNL) 및 표시부(ELD)가 배치된다. 제 1 층의 패널(PNL)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층에는, 센서 소자(L1-L4, R1-R4)가 배치된다. 제 2 층의 센서 소자(L2, L3) 사이의 아래쪽, 및, 센서 소자(R2, R3) 사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3 층에는, 택트 스위치(SW1, SW2)가 각각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스위치 소자로서의 택트 스위치(SW1)는, 센서 소자(L2과 L3) 사이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게다가 제 1 센서 소자군(G1)보다도 아래(즉, 하우징 안쪽보다)에 배치되는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여기서, 제 1 센서 소자군(G1)에 대한 조작은, 제 1 센서 소자군(G1) 상에 마련되는 패널(PNL)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실시되지만, 이 패널(PNL)의 가압에 의해 택트 스위치(SW1)를 가압 가능하면 좋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SW1)의 배치 위치로서는 상술한 위치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상, 제 1 센서 소자군(G1)이 배치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즉, 택트 스위치(SW1)의 피가압 부분이 센서 소자(L2과 L3) 사이로 한정되지 않고, 각 센서 소자의 바로 아래에 있더라도, 패널(PNL)에서 센서 소자군과 마찬가지의 조작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으면 좋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각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지의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설명의 간이화를 위해, 센서 소자(R1- R4)에 대하여만 나타내고 있지만, 센서 소자(L1-L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센서 소자(R1-R4)의 각각에는, 고주파가 인가되어 있고, 부유 용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캘리브레이션하고, 이때의 고주파 상태를 기준으로서 설정한다. 전처리부(200)에 포함되는 R1용 전처리부(200a), R2용 전처리부(200b), R3용 전처리부(200c), R4용 전처리부(200d)에서, 각각, 손가락의 접촉 등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근거하는 고주파 상태의 변동을 검출하면, A/D 변환기(210)(R1용 A/D 변환기(210a), R2용 A/D 변환기(210b), R3용 A/D 변환기(210c), R4용 A/D 변환기(210d))에 송신되고, 접촉 검출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화된 신호는 제어부(220)로 송신되어 센서 소자군으로서의 종합된 신호의 집합으로서, 기억부(230)에 신호의 유지 정보를 격납한다. 그 후,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인터럽트 핸들러에 이 신호가 송출되고, 인터럽트 핸들러로, 터치 센서 드라이버가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후의 신호를 큐에 넣는다. 한편, 제어부(220)는, 기억부(230)에 격납한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한 센서 소자의 2개 이상에서 접촉을 검출한 시점에서 방향의 검출을 행한다. 도 7에서는, 센서 소자 검출 전용의 제어부(220) 및 기억부(230)를 마련한 예를 게시했지만, 이들의 각부는, 도 1의 제어부(110) 및 기억부(140)와 공용시키더라도 좋다.
<실시예 1>
이후, 도 8-10에 있어서, 센서 소자의 조작에 대한 표시부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10에 있어서, (a)는, 휴대 전화 단말에 실장한 표시부와, 그 주변 에 따라 병렬 배치한 센서 소자만을, 설명의 간이화를 위해 나타낸 개략도, (b)는 시간 추이에 따라 검지한 센서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c)은 검지한 센서 소자에 응한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의 (a)에 있어서, 센서 소자, 센서 소자군 및 이간부에는 도 2(b)과 같은 부호를 부가하고 있다. 또한 (c)의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에 있어서, TI는 표시부가 표시하는 항목 리스트의 타이틀, LS1 ~ LS4는 선택 후보 항목(예컨대, 스크롤가능한 몇개의 행)인 항목을 나타낸다. 또한 (c)의 표시부에서,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상태에 있는 항목은, 현재의 조작 대상 영역, 즉 포커스된 영역/항목인 것이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항목에 커서를 배치하거나, 혹은, 항목 자체를 반전 표시 등으로 강조 표시한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는 해칭을 실시하여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 대상」을 조작 대상 영역만으로 설명하지만, 항목 자체를 이동(스크롤)시키는 경우도 같은 원리로 서브 표시부는 동작한다.
도 8은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에 있어서 화살표(AR1)로 나타내는 위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예컨대 손가락 등의 접촉 수단을 이용하여 각 센서 소자상을 연속적으로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지 결과)는, 센서 소자(R1, R2, R3, R4)의 순이다. 이 검지한 R1로부터 R4까지의 연속한 접촉은, 인접한 센서 소자의 2개 이상에서 접촉을 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의 검출을 행하여,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회수와 그 방향에 따라, 조작 대상 영역이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한 리스트 상을 이동한다. 이 경우는,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은, 초기 위치의 항목(LS1)으로부터 항목(LS4)까지 아래쪽으로 항목을 3개분 이동한다. 한편, 조작 대상 영역은,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해칭 피치가 좁은 것이 초기 위치이며, 해칭 피치가 넓은 것이 이동 후의 위치이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아래쪽으로의 손가락의 지시 동작」과 같이, 표시부의 「조작 대상 영역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저는 마치 자신의 손가락으로 조작 대상 영역을 자유자재로 이동시키고 있는 것 같이 느끼게 된다. 즉, 유저의 의도한 바의 조작 감각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동도(a)에 있어서 화살표(AR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센서 소자를 문지르면, 이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L4, L3, L2, L1)가 이 순서로 접촉을 검지하고, 이 경우, 화살표(AR1)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을 위해, (c)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해 항목(LS1)으로부터 항목(LS4)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한다. 이 경우도 역시, 유저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의 손가락의 지시 동작」과 같이, 표시부의 「조작 대상 영역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저는 자기의 의도한 바의 조작을 직감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역방향, 즉 아래로부터 위로 센서 소자를 문지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AR1)의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R4, R3, R2, R1)가 이 순서로 접촉을 검출하여, 화살표(AR2)의 방향에서도 마찬가지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L1, L2, L3, L4가 이 순서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들의 경우, (c)에 있어서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LS4)이였다면, 둘다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센서 소자군(122)으로 조작을 하더라도, 제 2 센서 소자군(124)으로 조작을 하더라도, 각 센서 소자군에 있어서, 유저가 위쪽의 센서 소자로부터 아래 쪽의 센서 소자를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그것에 대응하여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선택 영역의 선택 항목도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유저가 아래 쪽의 센서 소자로부터 위쪽의 센서 소자를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서브 표시부(ELD)의 선택 항목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저는, 조작 대상 영역의 상하 이동과 대응한 손가락의 상하 동작을 틀리는 일없이, 직감적으로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의 항목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센서 소자군이 갖는 복수의 센서 소자의 개수와,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되는 선택 항목의 수를 같은 수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센서 소자군 전체를 위에서 아래로(또는 아래로부터 위로) 문지름으로써 그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또는 아래로부터 위로) 모든 선택 항목에 걸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동일 화면 상에 있는 항목 중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유저는, 하나의 센서 소자군 상에서 한번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하는 것만으로, 서브 표시부(ELD) 상의 임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이간부(SP1 또는 SP2)를 넘어 연속하여 양쪽의 센서 소자군을 문지르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저의 손가락이 일정한 원 운동을 하는 것에 근거하여, 서브 표시부(ELD) 상에서는, 조작 대상 영역의 이동을 되돌리게 하는 것이, 즉 조작 대상 영역을 왕복 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이간부(SP1)를 넘어서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과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 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L3, L4, R1)의 순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센서 소자군으로 접촉을 검출한 센서 소자의 수는 「2」이며, 제 2 센서 소자군의 경우는 「1」이다. 따라서, 제 1 센서 소자군으로 접촉을 검출한 센서 소자의 수의 쪽이, 제 2 센서 소자군의 경우의 수보다도 많기 때문에, 제 1 센서 소자군(G1)으로 검출한 「제 1 접촉은 유효」한 것으로 하고, 제 2 센서 소자군(G2)으로 검출한 「제 2 접촉은 무효」한 것으로 된다. 즉, 이 경우는,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회수와 그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리스트가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한 리스트 상을 이동하고,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은, 초기 위치인 항목(LS2)으로부터 항목(LS1)까지 위쪽을 향하여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도 11은 센서 소자 검출 상태를 단일 소자 검출 상태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2개의 소자를 더 검출하고 있는 복수 소자 검출 상태를 판정하도록 하여 16개로 분 할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구성과 거의 같지만,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 사이에도 택트 스위치를 마련한 구성이다. 즉, 센서 소자(L4)와 센서 소자(R1) 사이에 택트 스위치(SW3)와, 센서 소자(R4)와 센서 소자(L1) 사이에 택트 스위치(SW4)가 새롭게 마련되어 있다. 8개의 센서 소자의 검출 상태를 1개씩 관리하면, 8개의 검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8개의 검출 상태에서는, 상태의 수, 즉, 상태 변화가 적기 때문에, 그다지 정밀한 제어는 행할 수 없다. 예컨대, 센서 소자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SW1)의 경우에는, 택트 스위치(SW1)를 누를 때에, 먼저 센서 소자(L2, L3)에 접촉이 검출되기 때문에,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동작 지시로 되는 우려가 있다. 즉, 센서 소자(L2, L3)의 순서로 검출된 경우에는, 어떠한 결정 지시를 위한 택트 스위치(SW1) 누름 동작에도 불구하고, 위쪽으로의 이동 지시로 되어 버려, 조작 대상 영역이 위쪽으로 「하나만, 어긋난 후」에 택트 스위치(SW1) 누름에 의한 선택 동작이 확정되기도 하고,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항목이 결정 지시되거나 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도 11의 센서 소자의 구성 자체는, 도 6의 센서 소자의 구성과 거의 같다. 그러나, 그 접촉 검출의 구성을 상세하게 검출하도록 한다. 예컨대,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L1에만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L1의 접촉을 검출하지만, L1과 L2의 경계 부근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L1 및 L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검출한다. 접촉이 완전히 L2로 이행하여 L1로부터 벗어나고 나서, 그것은 L2만의 접촉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이번은 L2과 L3의 경계 부근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L2 및 L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검출한다. 이하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검출하는 구 성으로 함으로써, 8개의 센서 소자밖에 이용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6의 검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택트 스위치(SW1-4)의 누름 처리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서, 16개의 검출 상태로 2개 또는 3개의 검출 상태 변화(이동)를 검출할 때까지, 이동 지시의 확정을 보류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택트 스위치의 누름이 확정된 시점에서 그것까지의 센서 소자의 검출 상태(결과)를 파기하는 방법도 생각되며, 이후,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16개의 검출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 확정 처리(즉, 보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어느 1개의 검출 상태가 큐(QUE)에 발생하는 것이 검출될 때마다, 이 흐름도 처리를 터치 센서 드라이버(TSP)가 행한다. 릴리스된 상태로부터 최초에 검출한 위치(16개의 어느 하나의 검출 상태)를 최초의 기준점으로 한다. 이 기준점, 현재의 검출 위치(큐(QUE)에 새롭게 받아들인 검출 상태), 전회의 검출 위치(큐(QUE)에 남겨져 있는 하나 앞의 검출 상태)의 3개로부터, 이동 거리(검출 상태의 천이)를 판정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는, 전회의 위치가 릴리스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릴리스되어 있다고 판정된 (큐(QUE)에 남아 있는 전회의 데이터가 「릴리스」이다) 경우는, 단계 S12로 진행하여, 현재의 검출 위치가 릴리스되었는지 여부(즉, 새롭게 받아들인 데이터가 「릴리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의 검출 위치가 릴리스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기준점과 전회의 검출 위치를 현재의 검출 위치로 설정한다.
단계 S10에서 전회의 위치가 릴리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즉, 그 외에 검출이 생기고 있고, 이번의 검출이 그것에 뒤따르는 것인 경우)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검출 위치가 릴리스되었는지 여부(즉, 새롭게 받아들인 신호가 「릴리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의 검출 위치가 릴리스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기준점과 전회의 검출 위치를 초기화(클리어)하여 처리를 끝낸다(단계 S18). 단계 S16에서 현재의 검출 위치가 릴리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는, 전회의 검출 위치와 현재의 검출 위치와의 거리를 계산하여(단계 S20), 계산한 거리가 1 또는 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2). 계산한 거리가 1 또는 2가 아니라고 (즉, 3 이상) 판정된 경우는, 센서 소자를 스킵하여 불연속인 검출 상태라고 판정하고(단계 S24), 기준점을 현재의 검출 위치로 설정하고,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계산한 거리가 1 또는 2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현재의 검출 위치와 기준점과의 거리를 계산한다(단계 S28). 한편, 거리의 계산은, 큐(QUE)에 받아들이는 신호에 의해, 센서 소자마다의 검출 위치를 알기 때문에, 전회의 검출 위치와, 현재의 검출 위치와의 사이에, 16개의 검출 상태 중의 몇개분의 차이가 있는 것인지를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가 판단해야 한다.
또한, 단계 S28에서 계산된 거리가, 2 또는 3인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30),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즉, 4 이상)는 단계 S36에서 에러로서 진행하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거리가 2 또는 3인 경우)는, 이동을 확정한다(단계 S32). 즉, 최초에 접촉한 위치가 「기준점」으로 되어, 그 후 「릴리스」되는 일없이 잇따라 접촉이 검출되기를 계속하면 「전회 위치」가 갱신되어, 최종적으로, 최신의 검출 위치인 「현재의 위치」가 기준점에 대하여 「2 또는 3 이동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처음으로, 「이동 있음」으로 판정하고 있다. 또한, 단일 소자 검출 상태 및 복수 소자 검출 상태를 연속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2의 이동」인 것으로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센서 소자 상에서는, 상기 「2의 이동」에 의해 처음으로 센서 소자 하나만큼 손가락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다음 기준점을 앞의 기준점으로부터 이동 방향으로 2개 이동한 위치에 설정하고(단계 S34),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6에서는, 다음번의 처리를 위해 「전회의 검출 위치」를 「현재의 검출 위치」로 설정하여, 처리를 끝낸다.
또한, 택트 스위치(SW1-SW4)가 눌린 경우는, 누름 검출시에 설정되어 있는 전회의 검출 위치와 기준점을 초기화(클리어)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흐름도의 이동 확정 처리를 이용하여, 도 11의 택트 스위치(SW1, SW2)가 눌린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택트 스위치(SW1)를 누른 경우에, 「L2 검출 상태」, 「L2-L3 검출 상태」의 순서로 검출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는 하나밖에 검출 상태가 천이(이동/변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동은 확정하지 않는다. 택트 스위치(SW1)를 누른 후에, 손가락을 뗄 때에, 「L2-L3 검출 상태」, 「L3 검출 상태」의 순서로 검출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 때, 택트 스위치 누름까지의 검출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L2 검출 상태」, 「L2-L3 검출 상태」, 「L3 검출 상태」의 순서로 검출 상태가 2개 천이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이 확정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SW1)의 누름을 검출한 시점에서, 과거의 검출 결과를 파기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뗄 때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어, 택트 스위치의 릴리스시에 센서 소자의 이동 지시인 것으로 오인식하는 일이 없다.
혹, 택트 스위치(SW1)를 뗄 때에, 「L2 검출 상태」, 「L2-L3 검출 상태」의 순서로 검출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가 있다. 택트 스위치 누름전의 검출 결과를 파기하더라도, 택트 스위치를 뗄 때에, 재차, 센서 소자에 접촉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이더라도, 도 12의 흐름도의 처리에 따르면, 검출 상태는 하나밖에 천이하지 않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의 릴리스시에 센서 소자의 이동 지시인 것으로 오인식하는 일이 없다.
도 13은 도 12의 흐름도의 처리를 도 11의 센서 소자 L1로부터 L4에의 접촉에 적용한 경우의 확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상태 변화는, 「L1 검지」, 「L1-L2 검지」, 「L2 검지」, 「L2-L3 검지」, 「L3 검지」, 「L3-L4 검지」, 「L4 검지」로 된다. 즉, 단일 소자 검출 상태와 복수 소자 검출 상태와 L1로부터 L4까지 반복 검지한다. 우선, 처음의 「L1 검지」가 기준점(BP1)으로 설정된다(S14). 다음으로 「L1-L2 검지」가 생기면, 전회의 위치가 릴리스가 아니라 「L1 검지」이기 때문에, 전회의 위치와 이번 검출된 현재 위치를 비교한다(S20). 여기서는 L1로부터 「L1-L2」에의 1 콤마의 이동이기 때문에 유효로 되고, 이번은 기준점과 현재 위치를 비교한다(S28). 여기서는, 기준점도 전회 위치도 같은 L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이동량은 1 콤마이며, 이 단계에서는 이동은 확정하지 않고, 현재 위치의 L1-L2 검지 상태를 전회 위치(PP1)로 한다(S36).
또한 「릴리스」가 도중에서 생기는 일없이 「L2 검지」가 생기면, 전회의 위치가 「L1-L2 검지」이기 때문에, 전회의 위치와 이번 검출된 현재 위치(CP1)를 비교한다(S20). 이것은 L1-L2로부터 L2에의 1 콤마의 이동이며, 「1 또는 2 인가?」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유효로 되고, 이번은, 기준점과 현재 위치를 비교한다(S28). 이번도 기준점은 L1 검지때와 변하지 않고 같은 L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L2과의 위치 관계는 2 콤마이기 때문에, 이동량은 2 콤마로 판정된다(S30). 그리고, 여기서 처음으로 이동이 확정한다(S32). 그리고, 다음 판정을 위해, 기준점(BP2)을 「L1 검지」로부터 이동 방향으로 2 콤마 천이시킨 점, 즉 「L2 검지」로 설정(S34)함과 아울러, 전회 위치를 현재 위치 「L2 검지」로 재차 설정한 값으로, 확정 처리 1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 드라이버는, 2 콤마의 검지 상태의 천이를 검출함으로써 이동 「1」이 결정된다. 즉, 단계 S32에 있어서 이동이 확정되면, 결과 통지부(NTF)에 이동 방향 성분(L1으로부터 L4로 향하는 시계 회전 방향, 즉 SP2으로부터 SP1로 향하는 방향) 및 「1」의 이동을 격납하는 동시에,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기억 내용의 갱신을 통지하고,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이 갱신 내용을 추출하여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등에 통지하게 된다.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이 사용중이면, 이동 방향 성분에 근거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1」의 이동량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적당한 처리로서,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스트 표시를 행하고 있고, 조작 대상 영역이 LS4에 위치하고 있 는 경우에는, 확정 처리 1에 근거하여 조작 대상 영역(포커스된 영역)은 LS3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이 확정 처리 1와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소자군인 R1-R4에 대하여, 「R4 검지」 상태로부터 연속하여 「R4-R3 검지」, 「R3 검지」로 계속하여 검지 상태가 천이했을 때에도 터치 센서로부터는 이동 방향 성분에 근거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 및, 「1」의 이동량의 부여의 정보가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경유로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에 주어져, 리스트 표시의 화면 표시 상은 제 1 센서 소자부에서의 조작과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4로부터 LS3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확정 처리 1에 계속해서, 「릴리스」가 생기는 일없이 손가락의 이동이 계속된 경우를 설명한다. 확정 처리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3의 확정 처리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상태가 기준점(BP2)으로부터 「L2-L3 검지」를 전회의 위치(PP2)로 하고, 「L3 검지」가 현재의 위치(CP2)로 되었을 때, 기준점(BP2)과 현재의 위치(CP2)와의 거리가 2 콤마로 되기 때문에, 추가로 이동 「1」이 확정된다. 즉, 확정 처리 1에 잇따른 확정 처리 2의 양쪽에 의해, 합계 「2」의 이동이 확정된다. 그리고, 추가로 잇따르는 처리를 위해, 기준점 BP2「L2 검지」로부터 2 콤마 앞의 「L3 검지」를 새로운 기준점(BP3)으로서 기준점을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도 13의 확정 처리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상태가, 기준점(BP3)으로부터 2 콤마 진행하여, 「L3-L4 검지」를 전회의 위치(CP3)로서 「L4 검지」가 현재의 위치(CP3)로 된 시점에서, 거리가 2 콤마로 되기 때문에, 추가로 「1」 이동이 확정되어, 확정 처리 1·2와 합쳐서 합계 「3」개의 이동이 확정된다. 이렇게 하여, 합계 「3」의 이동이 애플리케이션에 통지되는 것으로 된다.
서브 표시부(ELD)에서의 표시로서는,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에, 확정 처리 1에 잇따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에 「1」의 이동 확정이 2회 통지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 대상 영역이 LS3로부터 위방향으로 「2」 이동한 LS1에까지 변화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단일 소자 검출 상태의 검출뿐만이 아니라, 복수 소자 검출 상태도 검출하도록 구성하여 검출 상태를 세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태 천이 2 콤마의 이동에 의해 확정하는 이동량을 「1」로 한 것에 의해, 결국, 예로 든 4개의 센서 소자로 구성되는 센서 소자일 때의 경우에는 최대 「3」의 이동 확정을 행하도록 했다. 즉, 센서 소자수 4개의 경우에 단일 소자 검출에 의해서만 이동 확정을 하는 경우와, 최종적으로 본 눈의 이동량은 매우 근사한 것으로 되지만, 정확히 단일의 소자의 바로 위만을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최대 「3」의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어, 유저의 부정확한 조작에도 무반응 등으로 되는 일없이, 유저의 희망에 따르는 모양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터치 센서에 의해 항목이 선택되고, 잇따라 택트 스위치를 누를 때, 터치 센서 조작 중에 당접하고 있었던 도너츠 형상의 패널을 그대로 누르는 것에 의해 키 검출 드라이버에 의해 결정의 지시를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경유로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등의 사용중 애플리케이션에 줄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있어서 손가락의 이동량이 적고 또한 쾌적한 유저 인터페이스로 된다.
또한, 센서 소자수가 「4」개로 구성되는 센서 소자군의 경우, 처음에 당접 하는 센서 소자분 「1」을 뺀 「3」이 최대 이동 확정량으로 된다. 따라서, 서브 표시부(ELD)에 선택 항목을 리스트 표시시킬 때,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은, 센서 소자수 「4」개와 같은 수인 「4」행의 선택 항목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함으로써, 최하부(SP1측)의 센서 소자(L1 또는 R4)에 초기에 접촉 검출되어, 최상부(SP2측)에까지 연속하여 접촉 검출이 계속되면, 「3」의 이동 확정이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에 공급되기 때문에, 최하단(LS4)으로부터 최상단(LS1)으로 선택 대상 영역이 이동하게 된다. 즉,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의 최대 이동이, 표시상에서도 최하단으로부터 최상단으로의 최대 이동으로 되기 때문에, 터치 센서에의 이동 조작과 서브 표시부(ELD)에서의 이동 표시가 일치하기 때문에, 유저에 있어서 매우 조작 내용을 파악하기 쉬운 유저 인터페이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 소자군과 제 2 센서 소자군이 서브 표시부(ELD)를 사이에 두고, 대칭인 형태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을 조작하더라도 같은 조작 지시를 줄 수 있다. 또한, 서로의 단부를, 인접하여 배치해 놓기 때문에, 예컨대, 센서 소자(L1)로부터 시계 회전 방향으로 접촉 검출 상태를 천이시켜, 센서 소자(R4) 검지 상태에까지 이를 때, 서브 표시부(ELD) 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시의 변화가 생긴다. 즉, L1 검출로부터 L4 검출 시점까지로 최하단(LS4)으로부터 최상단(LS1)에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이동하고, 계속해서 R1 검지하여 R4까지 검지 상태가 천이하면 최상단(LS1)으로부터 최하단(LS4)으로 조작 대상 영역이 되돌아가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한번도 손가락을 떼지 않더라도, 선택 항목의 선택시에 상하 방향을 부여할 수 있거나, 조작 대상 영역을 최초의 위치로 되돌리거나 할 수 있어, 유저에 있어서 쾌적성이 높은 조작감을 줄 수 있다.
한편,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는 유저가, 진동이 생기기 쉬운 장소에서 조작을 했을 때에, 외부 진동에 의해서 손가락의 이동 중에 한 순간 터치 센서로부터 손가락이 벗어난 경우 등이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 소자수만큼에 대해서만 검지한다고 하는 단일 소자 검출만을 행하여 이동 검출하는 러프(rough) 검지 방식이면, 검지 누출이 생기기 어렵지만, 단일 소자 검출뿐만 아니라 복수 소자 검출 상태도 검지하는 급세밀한 검지 방식으로 한 경우, 순간적으로 손가락이 떨어진 것만이라도 손가락은 회전 동작을 계속중에 있기 때문에 검지 상태를 하나 스킵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그러나, 단계 S22에서 「전회 위치와 현재 위치의 거리가 1인지 2인가?」로 함으로써, 전회 위치로부터 2 이동하고 있는 경우, 즉 전회 위치로부터 하나 스킵하더라도 연속 이동 검출 상태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하에 있더라도 유저가 희망한 동작에 매우 가까이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에 있어서 거리 2 콤마뿐만 아니라 3 콤마에 관해서도 유효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 등으로 손가락이 한 순간 빠지거나, 민첩한 조작으로 검출 상태가 스킵되어 검출되거나 한 경우 등에도 이동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3 콤마의 이동량 검출에도, 다음의 2 콤마일 때와 마찬가지로 「1」의 이동량 확정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음번 검출을 위한 기준점의 설정은 2 콤마 이동의 때와 마찬가지로 전회 기준점에 대하여 2 콤마만 이동시키는 것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3 콤마 검출에 의한 이동 확정을 한 경우에도, 센서 소자수 n에서 1을 뺀 「n- 1」의 이동 확정하는 양을 확보할 수 있어, 유저에 있어서는 어떠한 접촉 방법을 하더라도 같은 동작으로 하면 안정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14은 이간부(SP1)를 넘어서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을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로부터 우의 방향으로 2개의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L4, R1)의 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은, 센서 소자의 접촉의 검출이 이간부를 넘는 경우, 이 이간부를 넘기 전후의 센서 소자의 접촉의 검출이, 각각, 각 센서 소자군(G1 또는 G2) 내에서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걸친 경우에는 그 이동은 유효로 한다. 이간부를 넘는 전후의 센서 소자의 접촉이, 이간부를 넘기 전 또는 후의 센서 소자군(G1 및 G2) 내에서 하나만의 센서 소자로만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간부를 넘는 하나분의 이동은 무효로 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제 1 센서 소자군에서의 센서 소자(L4) 한 개의 검출 후, 이간부(SP1)를 넘고 이것과 인접하는 제 2 센서 소자군 내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의 검출은, 센서 소자(R1)에 의한 하나만의 접촉이기 때문에, 제 1 센서 소자군(G1)으로 검출한 제 1 접촉(L4)으로부터 제 2 센서 소자군(G2)으로 검출한 제 2 접촉(R1)에의 이동은 무효로 된다. 그 때문에,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은 이동하 지 않는다.
도 15도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적으로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R2, R1)의 순이다. 도 9의 경우와 같이, 이 경우는, 센서 소자 상에 있어서의 유저의 손가락 등의 움직임이 이간부(SP1)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접촉 검출의 이동은 유효가 되고,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였다고 하면, 조작 대상 영역(포커스된 영역)은 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도 16은, 도 14와 마찬가지로, 이간부(SP1)를 넘어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을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R1, L4)의 순이다. 도 14와 마찬가지의 방식에 의해,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제 2 센서 소자군(G2)에 있어서의 제 1 접촉은 한 개의 센서 소자(R1)뿐이며, 또한 이간부(SP1)를 넘은 후의 제 1 센서 소자군(G1)에 있어서의 제 2 접촉도 한 개의 센서 소자(L4)뿐이기 때문에, R1로부터 L4로의 이동은 무효로 되고,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에서 조작 대상 영역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17 ~ 도 22는, 인접하는 3개의 센서 소자를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에 대하 여, 이간분(SP1)을 넘는 경우와 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17은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 상을 연속적으로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L2, L3, L4)의 순이다. 도 8의 경우와 같이, 이 경우는, 이간부(SP1)를 넘는 이동이 아니기 때문에, L2 ~ L4의 접촉의 검출은 유효가 되고,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3였다고 하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1)까지 아래에서 위로 항목을 2개분 이동한다.
도 18은, 이간부(SP1)를 넘어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과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L3, L4, R1)의 순이다. 이 경우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센서 소자군으로 2개의 접촉을 검출한 후에, 이간부(SP1)를 넘어서 제 2 센서 소자군으로 접촉을 검출한 센서 소자의 수는 하나이다. 따라서, 제 1 센서 소자군(G1)으로 검출한 제 1 접촉(L3으로부터 L4)은 유효로 되지만, 제 2 센서 소자군(G2)으로 검출한 제 2 접촉에의 이동(L4로부터 R1)은 무효로 된다. 따라서, 도 17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회수와 그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리스트가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 한 리스트 상을 이동하고,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2였다고 하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도 19도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L4, R1, R2)의 순이다. 이 경우는,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제 1 접촉의 검출은 센서 소자 한 개만(L4만)이기 때문에, L4로부터 이간부(SP1)를 넘는 R1에의 접촉 검출의 이동은 무효이다. 그러나, R1로부터 R2에의 이동은, 이간부(SP1)를 넘은 후에 2개분의 접촉의 검출이 되기 때문에, 그 이동은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2였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3까지 위에서 아래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도 20은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 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R3, R2, R1)의 순이다. 도 17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이 경우도 이간부(SP1)를 넘지 않는 이동이기 때문에,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3였 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2개분 이동한다.
도 21은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접촉(검출 결과)은, 센서 소자(R2, R1, L4)의 순이다. R2로부터 R1에의 이동은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2개분의 이동이기 때문에 유효로 되지만, R1으로부터 L4에의 이동은 이간부(SP1)를 넘은 후의 접촉의 검출이 하나만이기 때문에 무효로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2였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도 22는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R1, L4, L3)의 순이다. 이 경우는, 제 1 접촉은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검출은 한 개만(R1만)이기 때문에, R1로부터 L4에의 접촉 검출의 이동은 무효이다. 한편, L4로부터 L3에의 이동은, 이간부(SP1)를 넘고 나서 2개분의 접촉이 검출되기 때문에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 치가 항목 LS2였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3까지 위에서 아래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이상, 이간부(SP1)를 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이간부를 넘지 않는 경우와 함께 설명했지만, 이간부(SP2)를 넘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가 조작을 개시할 때에, 손가락의 위치가 엄밀하게 각 센서 소자군의 단부에 있는 센서 소자로부터 조작을 개시하지 않아도, 그 단부를 약간 넘어서, 또 한 쪽의 센서 소자군을 형성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 중 인접하는 하나의 센서 소자로부터 조작을 개시하더라도, 조작 개시점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은 무효화된다.
따라서, 유저는, 조작의 개시점에서도, 조작의 종료점에서도, 매우 엄밀한 손가락의 조작을 요구되는 것은 없어지기 때문에, 쓰기가 현저히 향상된다.
도 23은 센서 소자 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한바퀴 문지른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도(a)의 화살표(A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제 1 터치 센서군(G1)의 센서 소자(L1)를 개시단으로서, L2, L3, L4의 순서로 문지르고, 그대로 이간부(SP1)를 넘어 R1에 도달하고, 계속하여 R2, R3, R4의 순서로, 제 2 터치 센서 소자군(G2)의 센서 소자(R4)를 종단으로서 문지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간 추이로 접촉이 검출된다. 즉, L1, L2, L3, L4, R1, R2, R3, R4의 순서로 접촉이 검출된다. 센서 소자군(G1)에 있어서의 L1로부터 L4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도 9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제어로 되고, 도 23(c)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LS4)이라고 하면,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LS4)으로부터 항목(LS1)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한다. 다음으로 센서 소자(L4)로부터 이간부(SP1)를 넘어 센서 소자(R1)의 검출이 된 순간에는, 도 1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가 되어, 그 검출은 무효로 되기 때문에,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1)대로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의 센서 소자(R2)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가 되어, 센서 소자(R1)로부터 센서 소자(R2)에의 검출이 유효로 되기 때문에,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1로부터 LS2까지 하나분 이동한다. 이하, 센서 소자 R2로부터 R3를 지나서 R4까지의 연속 검출은, 이간부(SP1 또는 SP2)를 넘지 않기 때문에 유효로 된다. 결과적으로는, 센서 소자군(G2)에 있어서의 R1로부터 R4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도 8에서 설명한 경우와 외관상으로는 마찬가지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즉, 도 2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소자(R1)가 검출된 시점에서 항목(LS1)에 있던 조작 대상 영역은, 센서 소자의 검출이 R2와 R3를 지나서 R4에 도달하는 시점에서는, 항목(LS1)으로부터 항목(LS4)까지 위에서 아래로 3개분 이동한다.
따라서, 이 경우,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센서부(170) 상을 한바퀴 문지르는 동작을 하면, 서브 표시부(ELD) 상의 조작 대상 영역의 항목은, 1 왕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23에 있어서는,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센서 소자 상을 화살표(AR)의 방향을 따라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화살표(AR)는 역방향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이더라도, 센서 소자의 검출의 순서가 상기의 경우와 역전할 뿐이고, 결과적으로는, 센서 소자군(G2)에 있어서의 R4로부터 R1까지의 검출에 의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4로부터 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고, 센서 소자군(G1)에 있어서의 L4로부터 L1까지의 검출에 의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1로부터 LS4까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다.
또한,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제 2 터치 센서군(G2)의 센서 소자(R1)를 개시단으로서, R2, R3, R4의 순서로 문지르고, 그대로 이간부(SP2)를 넘어 L1에 도달하고, 계속하여 L2, L3, L4의 순서로, 제 1 터치 센서 소자군(G1)의 센서 소자(L4)를 종단으로서 문지르는 경우에는, 센서 소자군(G2)에 있어서의 R1로부터 R4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LS1)이라고 하면, 위에서 아래로 항목(LS4)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하고, 더욱이 센서 소자군(G1)에 있어서의 L1로부터 L4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항목(LS4)으로부터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3개분 이동한다.
또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제 1 터치 센서군(G1)의 센서 소자(L4)를 개시단으로서, L3, L2, L1의 순서로 문지르고, 그대로 이간부(SP2)를 넘어 R4에 도달하고, 계속하여 R3, R2, R1의 순서로, 제 2 터치 센서 소자군(G2)의 센서 소자(R1)를 종단으로서 문지르는 경우에도, 센서 소자군(G1)에 있어서의 L4로부터 L1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LS1)이라고 하면, 위에서 아래로 항목(LS4)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하고, 더욱이 센서 소자군(G2)에 있어서의 R4로부터 R1까지의 접촉의 검출에 관해서는, 항목(LS4)으로부터 항목(LS1)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3개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손가락을 센서로부터 떼는 일없이 환상으로 이동시켰다고 해도, 원래의 위치로 손가락이 되돌아왔을 때는, 최초에 선택했던 항목과 같은 항목이 선택되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실시예 3>
이상, 센서 소자군이 2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센서 소자군은 2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도 24는 제 1 센서 소자군(G1)(L1 ~ L3), 제 2 센서 소자군(G2)(R1 ~ R3) 및 제 3 센서 소자군(G3)(M1 ~ M3)의 3개의 센서 소자군이, 이간부(SP1 ~ SP3)를 사이에 두고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를 따라 병렬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4에 대하여 설명한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각 센서 소자상을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L2, L3, R1)의 순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센서 소자의 접촉의 검출은 2개(L2로부터 L3)이며, 이 이동은 유효로 된다. 또한 이간부(SP1)를 넘은 후의 센서 소자의 검출은 하나(R1만)이기 때문에, 이간부(SP1)를 넘는 전후의 이동(L3으로부터 R1)은 무효로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LS4)이였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3)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여기서,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는 화면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화면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도록 할 수도 있 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센서 소자군(G1) 및 센서 소자군(G2)에 관해서는, 각각의 센서 소자군상에서 유저가 R1로부터 R3으로, 또는 L3로부터 L1을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며, 또한 R3으로부터 R1로, 또는 L1로부터 L3로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이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센서 소자군(G3)에 관해서는, 유저가 M1으로부터 M3으로, 또는 M3으로부터 M1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어느 쪽의 경우도 하나 아래로 이동하고 나서 하나 위로 되돌아가도록 제어하면, 유저의 직감적인 조작에 대응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25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각 센서 소자군이 일렬로 병렬 배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제 2 및 제 3 센서 소자군(G1 ~ G3)은, 이간부(SP1, SP2)를 사이에 두고 일렬로 직선 형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서브 표시부(ELD)((a)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센서 소자군의 열의 위 또는 아래 등, 적당한 장소에 배치한다. 또한, 유저가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즉, 유저의 지시 동작의 방향과, 표시부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도록), 센서 소자군의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에는,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하는 선택 항목의 배열도 가로 방향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a)에 있어서 화살표(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 측의 방향으로 센서 소자상을 연속하여 문지르면, 제어부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L3, R1, R2)의 순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간부(SP1)를 넘기 전의 센서 소자의 검출은 하나(L3만)이기 때문에, 이간부(SP1)를 넘기 전후의 이동(L3으로부터 R1)은 무효로 된다. 또한 이간부(SP1)를 넘은 후의 센서 소자의 접촉의 검출은 2개(R1로부터 R3)이며, 이 이동은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8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5였다고 하면, 이 경우,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LS4)까지 아래로부터 위로 항목을 하나분 이동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 소자군의 배열은 가로로 일렬로 했지만, 변형예로서, 서브 표시부(ELD)의 선택 항목이 세로로 병렬 배치하는 것에 대응시켜, 센서 소자군의 배열도 세로 일렬로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당연 가능하고, 필요한 기능,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서브 표시부(ELD)의 좌우, 상하 등으로 일렬씩 배치하는 구성으로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센서 소자군의 사이에 이간부(SP1 및 SP2)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이간부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한 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간부를 완전히 마련하지 않고서, 한 개의 센서 소자군만으로 세로 또는 가로 일렬의 센서 소자군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간부를 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본 발명을 여러 도면이나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해 왔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근거하여 여러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에 주의하고 싶 다. 따라서, 이들의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유의하고 싶다. 예컨대, 각 부재,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하지 않도록 재배치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 분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환상으로 마련한 센서 소자 레이아웃으로 설명했지만,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센서 소자군을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센서 소자군은 좌우의 배치의 실시예로 설명했지만, 상하 2군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해지만, 전화 단말 이외의 휴대 무선 단말,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 휴대 게임기,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 전자 사전, 휴대 전자 서적 뷰어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폭넓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소자로서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를 들었지만, 상술한 박막 저항식, 또한, 수광량의 변동에 의해서 접촉을 검지하는 광학 방식, 표면 탄성파의 감쇠에 의해서 접촉을 검지하는 SAW 방식, 유도 전류의 발생에 의해서 접촉을 검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센서의 타입에 따라서는, 손가락 이외의 전용펜 등의 지시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이러한 접촉 센서를 탑재한 휴대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센서 소자군을 환상으로 배치하고, 또한 서브 표시부(ELD)에서의 표시 항목의 배치는 가로로 병렬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그와 같이 할 필요는 없고, 휴대 전화 단말에 필요한 기능, 및 디자인에 따라 여러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 상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표시 항목의 배열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의 센서 소자군(G1)을 서브 표시부(ELD)의 우측 또는 좌측만큼 배치하는 구성이나, (b)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 상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표시 항목의 배열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의 센서 소자군(G1)을 서브 표시부(ELD)의 상측 또는 하측만, 또는 상하로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브 표시부(ELD)의 외주 및 센서 소자군(G1)의 형상은 반드시 원 형상이 아니더라도 좋고, 필요한 기능 및 디자인에 따라, (c)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를 육각형상으로 하여 그 우측 또는 좌측 또는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센서 소자군(G1)이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도, 또한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상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센서 소자군(G1)이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도 당연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서브 표시부(ELD)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그 위측 또는 하측 또는 상하 양측에 대칭적으로,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U자형이나 V자형으로 센서 소자군(G1)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센서 소자군(G1) 및 그 센서 소자군(G1)을 구성하는 각 센서 소자는 기능 및 디자인에 따라 임의의 수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센서 소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했지만, 그 배열 방향은, 표시 항목이 배치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제 1 방향, 제 1 방향 성분과 직교하는 제 2 방향 성분의 2개의 직교 벡터 성분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즉, 벡터 성분으로 나눠, 손가락의 이동을 생각하면, 예컨대, 센서 소자(L1로 부터 L4)를 시계 회전 방향(혹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문지른 경우에는, 제 1 방향 성분에 대해서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혹 위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제 2 방향 성분에 관하여는 센서 소자 L1·L2의 단계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센서 소자 L3·L4의 단계에서는 좌측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제 1 방향 성분에 대하여는,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표시 항목의 배열 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제 1 방향 성분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표시 항목의 선택 위치 변경 방향이 일치하는 것으로 되어, 유저에 있어서는 표시 항목의 선택이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다고 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브 표시부(ELD)가 보다 다채로운 표시를 할 수 있으면, 표시 항목의 배열을 세로 혹은 가로의 방향만이 아니라, 센서 소자의 배치되는 방법과 일치하도록, 원 형상, 혹은 원형에 구애되지 않는 환상으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센서 소자의 검출 위치의 변동의 거동(즉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을 포함한, 손가락의 종합적인 동작)과, 표시 항목의 선택 위치의 변동의 거동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어, 보다 한층 유저가 직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활용도가 더욱 향상된다.
(관련 출원에의 교차 참조)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23381 호(2006년 8월 18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229511 호(2006년 8월 25일 출원)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Claims (14)

  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기 표시부의 주변을 따르도록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는,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배치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후보 항목을 복수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 및 상기 스위치 소자의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선택 후보 항목의 선택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이 발생하면 선택 상태에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배치했을 때의 방향 성분이, 적어도 제 1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가,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중앙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후보 항목의 하나가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유효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의 하나의 센서 소자만이 접촉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하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2 센서 소자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여, 상기 표시부의 주변을 따르도록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는,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배치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후보 항목을 복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 및 상기 스위치 소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검출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후보 항목 및/또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경하여 선택 후보 항목의 선택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누름이 발생하면 선택 상태에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의 실행을 행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8. 인접하고 또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은,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가 적어도 소정의 1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에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나열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의 표시중에,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이 갖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의 수와 같은 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 하나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 상태로부터 인접하는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 상태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하나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와 같은 수의 센서 소자에 의해 구성한 제 2 센서 소자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은,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의 단부가,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의 단부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센서 소자군의 한쪽의 복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1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또한 연속하여 다른쪽의 센서 소자군의 복수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상기 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4. 표시부에 인접하여 적어도 소정의 1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의 위치의 천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열하여,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선택 후보 항목을 나열하여 표시하여, 상기 검출한 천이에 따라,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097005491A 2006-08-18 2007-07-26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35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3381 2006-08-18
JP2006223381A JP4657171B2 (ja) 2006-08-18 2006-08-18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6-229511 2006-08-25
JP2006229511A JP5355850B2 (ja) 2006-08-25 2006-08-25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51A true KR20090042851A (ko) 2009-04-30
KR101035814B1 KR101035814B1 (ko) 2011-05-20

Family

ID=3908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491A KR101035814B1 (ko) 2006-08-18 2007-07-26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04771B2 (ko)
KR (1) KR101035814B1 (ko)
WO (1) WO2008020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451B2 (ja) * 2006-09-15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4725587B2 (ja) * 2008-03-18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
JP5083178B2 (ja) * 2008-11-10 2012-11-28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8570284B2 (en) 2009-12-23 2013-10-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nnular bar graph and multi-segment display
US8730185B2 (en) * 2009-12-23 2014-05-2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interface with annular touch sensor array
JP5646915B2 (ja) 2010-08-25 2014-12-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385886B (zh) * 2010-08-27 2014-10-01 联想(北京)有限公司 传感器、控制装置和检测方法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GB201223230D0 (en) * 2012-12-21 2013-02-06 R & D Core Ltd Contact sensor
US10133636B2 (en) 2013-03-12 2018-11-20 Formulus Black Corporation Data storage and retrieval medi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304703B1 (en) 2015-04-15 2016-04-05 Symbolic I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e hyper IO digital retention
US9817728B2 (en) 2013-02-01 2017-11-14 Symbolic Io Corporation Fast system state cloning
US9170659B2 (en) *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JP2015066352A (ja) * 2013-09-30 2015-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
JP2015066354A (ja) * 2013-09-30 2015-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
US9671828B2 (en)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002932B1 (en) * 2014-09-19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cover
US10061514B2 (en) 2015-04-15 2018-08-28 Formulus Bla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e hyper IO digital retention
WO2019126072A1 (en) 2017-12-18 2019-06-27 Formulus Black Corporation Random access memory (ram)-based compute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0725853B2 (en) 2019-01-02 2020-07-28 Formulus Blac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failure prevention, management, and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695A (ja) 1992-09-29 1994-04-22 Pioneer Electron Corp ジョグダイヤル状スイッチ
JPH11194863A (ja) 1998-01-06 1999-07-21 Poseidon Technical Systems:Kk タッチ入力検知方法及びタッチ入力検知装置
US6535200B2 (en) * 1999-01-25 2003-03-18 Harald Philipp Capacitive position sensor
US6504530B1 (en) * 1999-09-07 2003-01-07 Elo Touchsystems, Inc. Touch confirming touchscreen utilizing plural touch sensors
NO20003974L (no) * 2000-02-18 2001-08-20 Ziad Badarneh Manöverinnretning
KR20000064177A (ko) * 2000-05-01 2000-11-06 권용순 이동 단말기
GB0114458D0 (en) * 2001-06-14 2001-08-08 Lucas Industries Ltd An in-vehicle display system
WO2003030092A1 (en) * 2001-09-04 2003-04-10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JP4035418B2 (ja) * 2001-10-31 2008-01-23 株式会社本田電子技研 近接スイッチおよび物体検出装置
US7009599B2 (en) * 2001-11-20 2006-03-07 Nokia Corporation Form factor for portable device
GB0201074D0 (en) * 2002-01-18 2002-03-06 3G Lab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data processing device
DE60305662T2 (de) * 2002-03-08 2007-04-05 Revelations in Design, LP, Austin Steuerkonsole für elektrische geräte
GB2386707B (en) * 2002-03-16 2005-11-23 Hewlett Packard Co Display and touch screen
JP3975799B2 (ja) 2002-03-25 2007-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ダイアル式操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印刷装置
US7466307B2 (en) 2002-04-11 2008-12-16 Synaptics Incorporated Closed-loop sensor on a solid-state object position detector
GB0208655D0 (en) * 2002-04-16 2002-05-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anel and user input function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20050168441A1 (en) * 2002-11-05 2005-08-04 Fujitsu Limited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 product
JP2004355606A (ja) * 2003-02-14 2004-12-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005129275A (ru) * 2003-02-20 2006-01-27 Симане Префекче (Jp)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набженное защит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JP2004311196A (ja) 2003-04-07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20030036586A (ko) * 2003-04-23 2003-05-09 김홍경 스피드 키 패드
WO2005008444A2 (en) *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JP2005122271A (ja) 2003-10-14 2005-05-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電子装置
JP2005250595A (ja) * 2004-03-01 2005-09-15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KR100675181B1 (ko) 2005-05-09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US7728818B2 (en) * 2005-09-30 2010-06-01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er input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7122326A (ja) * 2005-10-27 2007-05-1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および前記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US7825797B2 (en) * 2006-06-02 2010-11-02 Synaptics Incorporated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adjustment selection tabs
US20080036595A1 (en) * 2006-08-11 2008-02-14 Trident Security Concepts, Llc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814B1 (ko) 2011-05-20
WO2008020538A1 (fr) 2008-02-21
US8704771B2 (en) 2014-04-22
US20100164871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14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8441B1 (ko) 휴대 전자 기기
JP4741673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069072B1 (ko) 전자기기
JP5064395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入力操作判定方法
JP5214126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95488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57171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57174B2 (ja) 表示機器
JP5046802B2 (ja) 携帯電子機器
JP5355850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
JP5536019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21986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058256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JP2008052567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操作検出方法
JP4907264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89148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258241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08052575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