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053A -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053A
KR20090042053A KR1020070107931A KR20070107931A KR20090042053A KR 20090042053 A KR20090042053 A KR 20090042053A KR 1020070107931 A KR1020070107931 A KR 1020070107931A KR 20070107931 A KR20070107931 A KR 20070107931A KR 20090042053 A KR20090042053 A KR 2009004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ndroitin sulfate
meat
products
extract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하
이무하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2053A/ko
Publication of KR2009004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69Chondroitin-4-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A; Dermatan 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B or beta-heparin; Chondroitin-6-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C;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고온으로 가열한 후, 저온으로 냉각하여 탈지하는 단계와, 탈지된 식육부산물의 pH를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첨가하여 따뜻한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단계와,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등액을 농축시켜 에탄올을 첨가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는 단계와, 침전물을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의 순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황산은 인체에 안전한 식육부산물로부터 고수율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의약품분야 뿐만 아니라, 화장품분야에도 매우 유용하다.
식육부산물, 닭식도, 콘드로이틴황산

Description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Method for Extraction of Chondroitin Sulfate from the By-products of Edable Meat}
본 발명은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 및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고온으로 가열한 후, 저온으로 냉각하여 탈지(defatting)하는 단계와, 탈지된 식육부산물의 pH를 조정하여 엔도펩티다아제를 첨가하고 따뜻한 온도에서 2일 이내로 인큐베이션하는 단계와,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등액을 농축시켜 에탄올을 첨가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는 단계와, 침전물을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의 순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국내 축산업계는 고품질 식육생산을 추구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고 있으나, 식육은 항상 고품질의 것만 생산되는 것이 아니어서 닭고기는 노계육 생산 량이 년간 3만톤을 상회하고 있으며, 도축에 따른 부산물 생산량도 많아서 처리방안이 마땅하지 않은 실정이다.
과거 식품은 단순히 맛을 가진 어떤 것 또는 에너지와 필수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품이 생리활성 물질 혹은 기능성을 갖고 있는 식품, 즉 건강기능성 식품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건강기능성 식품은 2004년 국내에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건강증진 및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제품화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와 개발에 투자 수준을 높이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2003년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의 약 0.5% 점유율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경제여건의 향상에 따라 건강 지향의 식생활에 대한 관심과 질병의 예방 및 건강의 증진 측면에서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수 기능성 식품소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식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식품용을 비롯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까지 그 이용범위가 넓은 기능성 소재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콘드로이틴황산이다.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은 D-glucuronic acid, N-acetyl-D-galactosamine과 황산기로 결합되어 있는 점질성 뮤코다당류이다. 콘드로이틴황산은 포유동물을 비롯한 수산동물, 설치류와 조류 등의 연골, 장기, 피부, 건 및 각막 등 결합조직의 기질성분 및 체액으로서 생체 내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콘드로이틴황산의 생체 내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콜라겐과 함께 고분자 매트릭스(matrix)를 구성하여 실질 세포를 유지하여 각 기관의 특정구조를 유지, 구성하는 것으로 다른 뮤코다당과 함 께 분자량이나 함량 등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포유동물의 동일 조직에서는 동일한 형태 및 비율로 존재하며, 생체의 연령 변화에 따라 콘드로이틴황산류의 구성비가 변화하는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콘드로이틴황산의 분포 및 합성 형태가 변화하여 결국 조직 중의 콘드로이틴황산은 나이가 들면서 탈황, 저분자화,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며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겪는 피부의 탄력 저하나 관절의 유연성 감소 등 이른바 노화현상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수분대사 감소와 결합조직 중 기초물질로서 보수력이 뛰어난 콘드로이틴황산의 감소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콘드로이틴황산의 감소는 세포의 신진대사인 수분대사 조절에 영향을 주어 노화의 진행이 빨라지고, 각 조직 중의 수분함량을 감소시켜 결합조직의 원활함과 피부의 탄력도 없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콘드로이틴황산을 섭취하여 보충해 주면 노화가 저지되고 피부에 윤기와 탄력을 주게 된다.
현재 동물실험을 포함한 임상시험 결과 밝혀진 콘드로이틴황산의 대표적인 생리적 기능 특성은 다음과 같다. 즉 이온과의 결합능 및 보수력에 의한 세포 외액의 무기이온과 체내 수분량의 조절, 칼슘이온 등과의 친화력에 의한 뼈형성, 관절조직 보호 및 윤활작용에 의한 관절염 예방 및 치료, 전이한 암 세포가 정착하고 계속해서 성장해 가는 열쇠가 되는 신생 혈관 생성 억제능에 의한 항종양 및 항암 활성, 콜레스테롤 저하와 지혈 청징 작용에 따른 동맥경화의 억제 및 예방, 항염증 및 진통효과, 트롬빈의 활성 억제를 통한 항혈액 응고작용, 각막의 투명도 유지 및 팽화 억제로 인한 각막 보호작용, 세균 감염 억제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이 밖에 중추신경의 발생과정에서 신경성장 및 분화와 관련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임상결과에 의하며 현대인에 많은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야기되는 불쾌감, 어깨결림, 두통 등의 심신장해에도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되고 있는데, 실제 의약품에서는 신경통, 요통, 관절통 등 비교적 고령자에 많은 질병에 사용되는 예가 많다. 콘드로이틴황산은 이와 같은 독특한 생리기능 특성에 의해 향후 더욱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콘드로이틴황산은 급성 경구 독성시험 결과 LD50이 9,800mg/kg으로 독성이 낮아 경구 투여로도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개발이 적당한 소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드로이틴황산의 다양한 기능성에 따라 의학분야에서는 내과, 외과, 안과, 이비인후과 등의 임상분야에서 의약품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화장품업계에서는 피부미용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 널리 이용하고 있으며, 식품으로는 최근에 건강음료로도 개발되어 있는, 시장성이 대단히 큰 기능성물질의 하나이다.
한국건강보조·특수영양식품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건강보조식품 매출이 IMF이후 급격히 감소되었던 98년도 6,200억원 매출이 99년도 8,700억원, 2000년도 1조원으로 10%이상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 2001년도에는 소비자가격으로 1조천억원 이상의 매출을 보였다. 국내에서는 1999년도를 전후로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황산 및 콜라겐의 콤비네이션 상품이 시장에 많이 진출하여 콘드로이틴황산 원료가 부족한 현상도 있었는데, 소연골 유래의 제품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큰 혼란을 보이지 않았지만 근래의 소연골 유래 제 품을 비롯한 육상포유동물 유래의 경우, 광우병, 구제역, 대장균 O-157 등의 오염 등으로 소비자의 기피가 우려되며, 상어 유대제품의 경우 상어의 포획량이 줄어드는 등 콘드로이틴황산 원료에 공급에 난관이 예상되어 관련 업계는 보다 원활한 제품의 확보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바이오기능성식품 소재인 콘드로이틴황산을 매년 엄청난 량이 폐기되는 닭식도 등과 같은 식육 부산물로부터 추출하고 정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黃酸)은 연골, 혈관 벽, 힘줄 따위의 결합 조직에 널리 들어 있는 황산화 뮤코 다당류(muco多糖類)로서 생체 안에서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콜라겐과 함께 세포 간 물질의 주성분을 이루며, 질긴 힘과 탄력의 원인이 되고 이온 투과에 관여한다. 한편 뮤코다당(mucopolysaccharide)은 동물점질물의 성분으로 아미노당을 함유하는 다당으로 뮤코다당체, 뮤코다당질의 약칭이며 점질다당이라고도 하는데 생체내에서 주로 결합조직에 존재한다. 넓은 뜻으로는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을 포함한 총칭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해삼추출물 및 가오리류 등과 같은 해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기술이 있으나, 본 기술은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기술로 종래기술은 본 발명과는 기술적구성이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산 식육부산물의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병원균의 오염으로부터 안전성이 있는 식육부산물을 확보하는 것과, 이들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고온으로 가열한 후, 저온으로 냉각하여 탈지(defatting)하는 단계와, 탈지된 식육부산물의 pH를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첨가하여, 따뜻한 온도에서 2일 이내로 인큐베이션하는 단계와,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등액을 농축시켜 에탄올을 첨가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는 단계와, 침전물을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의 순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드로이친황산의 수율 및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식육부산물의 지방을 제거한 후, pH를 조절하여 효소분해하고,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제거하고, 콘드로이틴황산이 함유되어 있는 상등액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이 23.5% 이상으로써 상어연골 유래의 콘드로이틴황산 보다 매우 우수한 소재로서, 가축 질병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콘드로이틴황산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고온으로 가수분해시킨 후, 저온으로 냉각하여 탈지하는 단계와, 탈지된 식육부산물의 pH를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첨가하여 인큐베이션하는 단계와,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은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와, 농축한 상등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켜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식육부산물을 12,000∼14,000rpm으로 균질화하고, 7∼10배(w/v)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30∼120분 동안 가수분해시키고, 0∼4℃로 방냉한 후 여과하여 탈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탈지시킨 식육부산물의 pH를 4.5∼9.0으로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식육부산물 대비 2∼6% 첨가하여, 25∼60℃에서 18∼30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백분해효소는 알칼라제, 브로멜라인 또는 트립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2∼6%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은 분해시킨 식육부산물의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40∼50% 에탄올 용액에서 0∼4℃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2,000∼3,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잔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한 상등액 중의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80∼90%의 에탄올 용액에서 0∼4℃,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0℃∼4℃에서 2,000∼3,000rpm으로 10∼60분간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식육부산물은 소, 돼지 또는 닭의 내장, 머리 또는 다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얻은 콘드로이틴황산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 자 한다.
1) 가수분해 및 지방의 제거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에 사용한 식육부산물 원료는 소나 돼지의 간, 기관지, 위 또는 닭의 식도 등으로서 도축장으로부터 냉장 운반하여 전처리한 후 -20℃에 보관한다.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원료를 균질기로 12,000∼14,000rpm에서 균질화한다.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기 위하여 원료를 균질화한다. 효소반응의 매질로서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의 7∼10배(w/v)에 해당하는 양의 정제수 를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30∼120분 동안 가열시킨다. 이때 결합조직을 연화시키기 위해 고압 (15 lb/in2) 처리를 한다. 더불어 고온, 고압과정을 통해 살균하는 효과를 얻기도 한다. 0∼4℃로 방냉하여 응고된 지방을 분리하여 탈지(defatting)시킨다. 응고된 지방을 분리하기 위하여 여과지 (No.6-7)를 사용한다.
2) 효소분해
탈지시킨 식육부산물에 산 또는 알칼리를 가하여 pH를 4.5∼9.0으로 조정하고, 단백분해효소인 엔도펩티다아제(alcalase, bromelain, trypsin)를 식육부산물 건물 중량 대비 2%∼6% 첨가하여, 25∼60℃에서 18∼30시간 동안 쉐이킹 인큐베이션(shaking incubation)한다. 상기 엔도펩티다아제들의 작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pH를 4.5∼9.0으로 조정하며, 25∼60℃에서 가수분해과정을 수행한다. 시료에 대한 효소의 비율은 2% 일 때가 효율성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3)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
식육부산물을 충분히 분해시킨 후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최종 용액의 에탄올 농도(40∼50%)에서 0∼4℃,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 침전물을 0℃∼4℃에서 2,000∼3,000rpm,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불용성 잔사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80∼100℃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되는 결과를 갖는다.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최종 용액의 에탄올 농도 (80∼90%)에서 0∼4℃,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콘드로이 틴황산 침전물을 0℃∼4℃에서 2,000∼3,000rpm, 10∼60분간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의 순도를 향상시킨다.
추출물(시료)의 수율은 식육부산물(원시료)에서 추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불용성 잔사를 제외한 양을 원시료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즉 열처리한 후 가수분해한 시료의 원심분리 결과 남은 불용성 잔사와 원 시료의 무게 차를 구함으로써 추출물의 양을 구하여 추출 전·후 시료의 무게 백분율로써 추출물의 수율로 나타내었다.
4) 콘드로이틴황산 정량
식품공전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량하였다. 시험관에 5ml의 붕산나트륨황산 시약(sodium borate 1.0g/ sulfuric acid 200ml)을 넣고 얼음 위에서 10분간 냉각시켰다. 시료 1ml을 조심해서 가하여 혼합하고 얼음 위에서 2분간 냉각시킨 후, 비등수에서 10분간 가열하고 다시 빙수에서 5분간 냉각시켰다. 카바졸 시약 (carbazol 0.125 g/ethanol 100ml) 0.2ml을 시험관에 가하여 혼합하고, 비등수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다시 실온이 되게 빙수에서 2분간 냉각한 후, 증류수를 대조로하여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은 측정한 흡광도치를 글루쿠론산 표준곡선에 외삽하여 시료의 글루쿠론산 양을 구하고, 아래의 식에 따라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을 결정하였다.
*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시료의 글루쿠론산량/시료량}×2.593×100]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식육부산물중의 하나인 닭식도로부터 콘드로이틴 황산을 추출한 결과 글루쿠론산 정량치로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을 계산하였을 때 시료 대비 콘드로이틴황산 함량이 23.5%의 결과를 얻은 바도 있다.
이상의 결과는 콘드로이틴황산 소재로서 닭 식도가 현재의 주류를 이루는 상어연골 유래의 것보다 매우 우수한 소재임을 의미하며 닭 식도는 현재 광우병, 구제역, 대장균 O-157 감염 문제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이므로 향후 콘드로이틴황산 소재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육부산물로 돼지와 소의 간(liver), 기관지(trachea), 위(stomach)을 대상으로 100∼120℃의 온도, 15 lb/in2 의 고압에서 30∼120분 동안 가열처리 후 가수분해하여 원심분리한 후, 남은 불용성 잔사와 원 시료의 무게 차를 구한 추출물의 수율을 처리조건 및 가수분해 효소(알칼라제(Alcalase), 브로멜라인(Bromelain), 트립신(Trypsin)) 농도 2∼6%에 따라 비교한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식육부산물의 수율%(30분 열처리, 2% alcalase로 분해)
구분 Alcalase Bromelain Trypsin
수율 수율 수율
75.8 73.4 67.4
기관지 68.3 70.9 62.8
71.4 69.1 68.5
돼지 77.8 78.8 75.5
기관지 71.3 60.1 63.2
63.3 65.5 60.2
표 2. 식육부산물의 수율%(60분 열처리, 2% alcalase로 분해)
구분 Alcalase Bromelain Trypsin
수율 수율 수율
69.1 69.1 67.3
기관지 76.4 67.3 61.8
71.8 66.4 65.5
돼지 76.4 71.8 76.4
기관지 81.8 50.9 68.2
59.1 65.5 58.2
표 3. 식육부산물의 수율%(120분 열처리, 2% alcalase로 분해)
구분 Alcalase Bromelain Trypsin
수율 수율 수율
77.7 74.2 69.8
기관지 85.3 63.9 64.4
69.7 64.2 61.0
돼지 78.4 70.5 74.8
기관지 79.6 60.2 70.1
63.1 64.9 60.3
표 4. 식육부산물의 수율(60분 열처리, 6% alcalase로 분해)
구분 Alcalase Bromelain Trypsin
수율 수율 수율
72.7 69.1 67.3
기관지 86.4 67.3 61.8
86.4 66.4 65.5
돼지 61.8 71.8 76.4
기관지 81.8 50.9 68.2
68.2 65.5 58.2
<실시예 2>
소의 간을 건물 중량 대비 엔도펩티다아제(alcalase)를 2% 첨가하여, 55℃에서 48시간 동안 10 배(v/w)의 완충용액 (pH 9.0)에서 배양하여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도 2에 나타냈다. 그 결과 24시간에서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율이 17.5% 이상이었다.
<실시예 3>
소의 간을 건물 중량 대비 엔도펩티다아제(bromelain)를 2% 첨가하여, 45℃에서 48시간동안 10 배(v/w)의 완충용액 (pH 4.5)에서 배양하여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도 3에 나타냈다. 그 결과 24시간에서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율이 15% 이상이었다.
<실시예 4>
소의 간을 건물 중량 대비 엔도펩티다아제(trypsin)를 2% 첨가하여, 25℃에서 48시간동안 10 배(v/w)의 완충용액 (pH 7.5)에서 배양하여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도 4에 나타냈다. 그 결과 24시간에서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율이 14% 이상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콘드로이틴황산 소재로서 닭 식도 이외에 소나 돼지의 간, 기관지, 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어연골을 사용한 것 보다 매우 우수한 소재이고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향후 콘드로이틴황산 원료를 대체할 수 있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얻기 위한 공정도의 일예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소의 간으로부터 얻은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소의 간으로부터 얻은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의 소의 간으로부터 얻은 가수분해 수율(○) 및 콘드로이틴황산 추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균질화한 식육부산물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고온으로 가수분해시킨 후, 저온으로 냉각하여 탈지하는 단계와,
    탈지된 식육부산물의 pH를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첨가하여 인큐베이션하는 단계와,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은 에탄올 처리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와,
    농축한 상등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켜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식육부산물을 12,000∼14,000rpm으로 균질화하고, 7∼10배(w/v)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30∼120분 동안 가수분해시키고, 0∼4℃로 방냉한 후 여과하여 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탈지시킨 식육부산물의 pH를 4.5∼9.0으로 조정하고, 엔도펩티다아제를 식육부산물 대비 2∼6% 첨가하여, 25∼60℃에서 18∼30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단백분해효소는 알칼라제, 브로멜라인 또는 트립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2∼6%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의 정제 및 추출은 분해시킨 식육부산물의 수용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40∼50% 에탄올 용액에서 0∼4℃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2,000∼3,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잔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농축한 상등액 중의 콘드로이틴황산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80∼90%의 에탄올 용액에서 0∼4℃,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0℃∼4℃에서 2,000∼3,000rpm으로 10∼60분간 원심분리하여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식육부산물은 소, 돼지 또는 닭의 내장, 머리 또는 다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 방법.
  8.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얻은 콘드로이틴황산.
KR1020070107931A 2007-10-25 2007-10-25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KR20090042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31A KR20090042053A (ko) 2007-10-25 2007-10-25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31A KR20090042053A (ko) 2007-10-25 2007-10-25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53A true KR20090042053A (ko) 2009-04-29

Family

ID=4076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31A KR20090042053A (ko) 2007-10-25 2007-10-25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0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5874A (zh) * 2012-12-08 2013-06-12 青岛九龙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提高硫酸软骨素含量的方法
CN103319628A (zh) * 2013-07-02 2013-09-25 淮北市恒通生物科技有限公司 超高压微射流超滤制备硫酸软骨素的方法
KR102033501B1 (ko) * 2019-03-06 2019-11-29 ㈜바이오션 콘드로이친황산 함량이 증가된 녹용 가수분해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200018952A (ko) 2018-08-13 2020-02-21 송혜연 축산물 식육부산물로부터 동물성 단백질 추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5874A (zh) * 2012-12-08 2013-06-12 青岛九龙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提高硫酸软骨素含量的方法
CN103319628A (zh) * 2013-07-02 2013-09-25 淮北市恒通生物科技有限公司 超高压微射流超滤制备硫酸软骨素的方法
KR20200018952A (ko) 2018-08-13 2020-02-21 송혜연 축산물 식육부산물로부터 동물성 단백질 추출방법
KR102033501B1 (ko) * 2019-03-06 2019-11-29 ㈜바이오션 콘드로이친황산 함량이 증가된 녹용 가수분해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180B2 (en) Hyaluronic acid and chondroitin sulfate based hydrolyzed collagen type II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23319B1 (en) Method of making hydrolyzed collagen type II
US11884953B2 (en) Method for preparing protein peptide based on connective tissue and prepared protein peptide and use thereof
CA2435392C (en) Desiccated avian sternal cartilage powder
AU2012226975B2 (en) Skin-beautifying agent
US20190292242A1 (en) Hydrolyzed Jellyfish Collagen Types I, II, and V and Use Thereof
KR20090042053A (ko) 식육부산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의 추출방법
KR100733081B1 (ko) 닭발로부터 콘드로이틴 황산을 제조하는 방법
NZ578722A (en) Skin-beautifying agent
Kim et al. Marine fisheries by-products as potential nutraceuticals: an overview
JP7428480B2 (ja) 睡眠改善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WO2016129174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RU2388350C1 (ru) Белково-пептидны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одуктов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и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го питания для лиц, подверженных интенсивным физическим нагрузкам
WO2013164992A1 (ja) 軟骨形成促進剤
AU2010307691B2 (en) Fat accumulation suppressor
JP3155746B1 (ja) Ii型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
KR20040098738A (ko) 닭식도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을 추출하는 방법
RU2366263C2 (ru) Бульон с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содержащий белковый гидролизат,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того белкового гидролизата
Sandhu et al. Conversion of Bone to Edible Products
JP2019041696A (ja) 経口用組成物
CZ305300B6 (cs) Způsob výroby kolagenního a želatinového želé pro farmaceutické, potravinářské a kosmetické účely
Elavarasan Marine functional proteins & their application
KR100996247B1 (ko) 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개선용조성물
JP2004321095A (ja) 飲食品組成物
CN116098201A (zh) 营养组合物在改善骨密度和骨代谢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