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581A -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581A
KR20090041581A KR1020070107178A KR20070107178A KR20090041581A KR 20090041581 A KR20090041581 A KR 20090041581A KR 1020070107178 A KR1020070107178 A KR 1020070107178A KR 20070107178 A KR20070107178 A KR 20070107178A KR 20090041581 A KR20090041581 A KR 20090041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inting
film
fabric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봉
Original Assignee
강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봉 filed Critical 강영봉
Priority to KR102007010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581A/ko
Publication of KR2009004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41M1/04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방수원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화섬) 조직과 거칠기에 따라 인쇄성이 좌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인쇄되는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Method of water-proof fabric printed a various pattern with various color and printing method used thereby}
본 발명은 투습방수원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에 대한 것이다.
투습방수원단은 스포츠 웨어, 등산복 및 스키웨어 등과 같이 비교적 가혹한 기상조건하에서 격렬한 운동을 할 때 착용하는 의류용 원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투습성과 방수기능이 부여된 원단을 말한다.
여기서 투습성이란 방수원단을 이용하여 의복 등을 제조하여 착용하였을 때 쾌적성을 부여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말하며, 통상 인체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는 평상시 350~600g/㎡/24hr이고, 운동시는 적어도 2500g/㎡/24hr 이상의 투습도가 필요하며, 스키나 등산 등과 같이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우의나 텐트 등의 장비 또는 기상조건이 매우 좋지 않을 때 착용하는 특수복 등의 투습도는 최소 4000g/㎡/24hr이다.
또한, 기상조건에 따라 내리는 이슬비는 입자크기가 100㎛, 보슬비는 500㎛, 비는 2000㎛, 소나기는 3000㎛이며,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수증기는 0.0004㎛이다.
따라서 투습과 방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원단이라면, 외부로 부터 물이나 바람의 침투가 방지되면서 인체에서 발산되는 땀 등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투습도를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공개특허 소 63-230337 호 및 일본 공개특허 평 2-47058호에 건식법 또는 습식법으로 미세다공질이나 친수무공형 폴리우레탄 막을 원단의 한쪽 면에 직접 형성시키거나 라미네이팅 하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고특허 96-4914 호에서는 유리전이 온도가 -20∼20℃이고 7.0 몰/Kg 이상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피막을 직물에 코팅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 특허 제611077호가 방수원단 또는 씸실링테잎의 표면 인쇄방법에 있어서, 고주파 방전에 의한 표면처리 단계 및 다이렉트 그라비아 방식의 인쇄 후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원단 또는 씸실링테잎의 인쇄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완성된 투습방수원단의 표면에 원하는 칼라를 인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지된 종래의 투습방수원단의 제조공정에 의하면, 투습방수원단을 구성하는 직물(원단) 자체의 조직과 거칠기에 따라 인쇄성이 좌우되 는 문제가 발생 되었고, 대체로 단색 칼라로만 인쇄되는 방식이어서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상당한 기술적인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에 알려진 투습방수원단의 인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완성된 투습방수원단의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투습방수원단을 구성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적층되는 필름에 먼저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한 후 인쇄된 필름을 원단에 적층하게 되면 완성된 투습방수원단의 인쇄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습방수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원단의 조직과 거칠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색상과 패턴이 고품질로 인쇄된 표면을 갖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인쇄할 때 적합한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적층되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필름과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하는 단계는 그라비어 인쇄방법 또는 플렉소 인쇄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하는 단계가 그라비어 인쇄방법으로 수행되는 경우,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0.01kgf 내지 10kgf이 되도록 언와인더에서만 장력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에 적층되는 투습방수성 필름은 폴리우레탄, T.P.U, 폴리에스테르, P.T.F.E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색잉크조성물은 유기안료 5 내지 2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색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20 내지 5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필름을 그라비어 인쇄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된 필름이 언와인더에서 장력조절되는 단계; 상기 장력조절된 필름이 가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인쇄부에서 인쇄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필름이 건조부에서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력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0.01kgf 내지 10kgf이 되도록 상기 언와인더에서만 장력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되는 단계는 50℃이하의 열풍 또는 냉풍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색잉크조성물은 유기안료 5 내지 2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색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20 내지 5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색잉크조성물과 무색잉크조성물은 색상에 따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단계에서 사용되는 잉크조성물은 잉크조성물 100중량부당 2 내지 20중량부의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투습방수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원단의 조직과 거칠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색상과 패턴이 고품질로 인쇄된 표면을 갖는 투습방수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방법에 의하면,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에 의하면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인쇄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쇄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플렉소 인쇄방법은 볼록판의 한가지로 탄성이 있는 수지 또는 고무 블록판을 사용하여 액체 잉크로 인쇄하는 방식으로 액상의 휘발성 잉크를 채용하여 잉크 전이롤인 화운티롤과 아니록스롤을 이용하여 인쇄판에 잉크를 묻혀서 인쇄를 한다.
플렉소 인쇄방법에 사용되는 인쇄기는 스택형, 드럼형, 인라인형의 세가지로 구분되는 스택형은 인쇄를 쌓아올린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드럼형은 큰 지름의 압통 주위에 4-6개의 인쇄부를 배치한 것으로 주름이 생기기 쉬운 필름과 신축되기 쉬운 필름의 인쇄에 적합하다. 인라인형은 인쇄부를 가로로 배열한 것으로 두껍고 단단한 크라프트지, 판지, 라이너지, 골판지 등의 인쇄에 적합하다.
또한 그라비아 인쇄방식이란 사진제판에서 사용하는 스크린을 이용해서 판을 만드는 사진 오목판인쇄를 말한다.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제판에는 필름부식제판, 전자조각제판 및 레이저조각제판이 있다.
필름부식제판은 동을 도금한 실린더에 감광액을 도포한 후 필름을 현상하는 방식으로 15마이크론 심도에서도 충분한 농도와 그라데이션 표현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고농도 잉크를 사용하여 7~12마이크론 정도의 심도까지 인쇄를 실현할 수 있 다.
전자조각제판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전자자동 제어장치를 통해 동 도금이 된 실린더 표면에 쇄판의 쇄를 직접 조각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사진공정을 단축하고, 필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름부식제판 공정에서 필수적인 인쇄제판공정(감광재 도포, 노광, 현상, 부식)이 필요없다.
한편, 레이저조각제판은 필름부식제판과 전자조각제판의 장점만 취한 방식으로, 실린더 표면에 감광액을 도포한 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조각하고, 부식과정을 거쳐 제작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아 인쇄방법 중 특히 열전사 방식이 아니라 다이렉트 그라비아 방식을 사용하는데,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한 원단의 표면에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에 미리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인쇄하게 되므로 높은 열을 가하는 과정은 없어도 잉크전이가 불량하거나 잉크 부착력이 약하여 잉크가 번지거나 뜯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에서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사를 직조하여 나염 처리된 원단들 중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원단이 롤링된 상태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에 적층되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폴리우레탄, T.P.U, 폴리에스테르, P.T.F.E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상용의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여할 투습방수성 및 크기를 고려하여 준비한다.
그 후, 상기 준비된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상기 인쇄하는 단계는 제조된 투습방수성 원단의 사용처(스키웨어, 텐트, 골프웨어, 기타 스포츠웨어 등)에 따라 원하는 디자인을 결정하고, 상기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인쇄된 필름과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단계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필름과 준비된 원단을 공지된 라미네이팅기법과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준비된 필름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하는 단계는 그라비어 인쇄방법 또는 플렉소 인쇄방법에 의해 수행되는데, 특히 그라비어 인쇄방법으로 수행되는 경우,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0.01kgf 내지 10kgf이 되도록 언와인더에서만 장력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라비어인쇄장치는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가이드롤러 이외에 압동롤러를 구비하여 인쇄부에 인쇄대상물이 보다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장력제어를 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알려진 방식으로 장력제어를 하게 되면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이 늘어나서 원하는 인쇄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단계에 사용되는 그라비어인쇄장치는 압동롤러가 제거되고,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가이드롤러만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는 언와인더에 필름이 투입될 때 언와인더에서만 필름이 늘어나지 않는 적은 힘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언와인더의 장력제어방식은 기계식 밴드브레이크, 파우더 브레이크, AC 또는 DC모터 제어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AC 또는 DC모터 제어방식이 바람직하며 이 때 가해지는 장력제어값은 0.01kgf 내지 10kgf범위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kgf 내지 5kgf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최종적으로 제조될 투습방수원단이 구비할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한 후, 상기 디자인이 인쇄될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디자인에 따라 잉크조성물 및 압동롤러가 제거된 그라비어 인쇄장치를 준비한다.
그 후 준비된 필름을 언와인더와 인쇄부(즉 제판롤러) 사이의 압동롤러가 제거된 그라비어 인쇄장치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된 필름의 장력을 상술된 바와 같은 언와인더에서 장력조절되는 단계를 통해 제어한다.
이와 같이 장력조절된 필름을 가이드롤러를 통과시켜 인쇄부에서 준비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한 후, 인쇄된 필름을 건조부에서 건조시키는데 상기 인쇄된 필름의 건조는 50℃이하의 열풍 또는 냉풍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쇄된 필름이 노출되는 바람의 온도가 50℃보다 높게 되면 필름이 변성될 우려가 있고, 영하의 온도에서도 바람이 가해지기만 하면 인쇄된 필름이 건조될 수 있기는 하지만 인쇄된 잉크의 블록킹 현상이 나타날 수 있거나 필름의 물성이 변성될 우려가 있는 너무 낮은 온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냉풍은 영하 5℃에서 상온정도의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잉크조성물은 유색잉크조성물 또는 무색잉크조성물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잉크색상 및 내광성을 고려하여 유색잉크조성물과 무색잉크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색잉크조성물은 유기안료 5 내지 2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색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20 내지 5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유색잉크조성물 또는 무색잉크조성물에 함유되는 구성성분들 및 함량비는 필름에 인쇄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성을 수많은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확정한 것이고, 첨가제는 침전방지제, 블러킹방지제, 정전기방지제, 왁스, 분산제, 침투제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잉크조성물의 필요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용제는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을 사용하는데, 용제의 함량은 안료의 균일한 분산성, 잉크의 점도조정, 유동성 조정, 피인쇄물의 적정량 전이, 잉크의 건조속도에 따라 조절된다.
또한, 상기 인쇄단계에서 사용되는 잉크조성물은 잉크조성물 100중량부당 2 내지 20중량부의 경화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잉크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경화제 고형분 75%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바람직한 경화제는 활성 NCO기를 갖고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용액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인쇄된 필름의 준비
(1) 필름의 준비
원단에 투습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적층되는 상용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였다.
(2) 잉크의 준비
용제(MEK:톨루엔:EA=2:1:2로 혼합한 혼합용매)44중량%에 유기안료 5중량%, 비닐수지 10중량%, 우레탄수지 35중량%, 침전방지제0.5중량%, 블러킹방지제0.5중량%, 정전기방지제0.5중량%, 왁스0.5중량%, 분산제0.5중량%, 침투제0.5중량%를 넣고, 분말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잉크조성물100중량부당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3) 그라비어 인쇄장치의 준비
언와인더와 인쇄부(제판롤러) 사이의 압동롤러를 제거하고 가이드롤러만이 존재하도록 그 설비를 변경한 그라비어 인쇄장치를 준비하였다.
(4) 필름에 인쇄하는 단계
상기 설비가 변경된 그라비어 인쇄장치에 준비된 필름과 잉크조성물을 장착시킨 후 언와인더에서 투입된 필름에 0.05kgf의 힘이 가해지도록 장력조절된 후 인쇄부에서 인쇄되었다.
(5)인쇄된 필름의 건조
인쇄부에서 인쇄된 필름을 건조부에서 상온의 바람으로 건조시켜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을 완성하였다.
실시예2
(1) 원단의 준비
원사직조 및 나염 후 원단이 롤에 감긴 상태로 준비되었다.
(2) 필름의 준비
원단에 투습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코팅되는 상용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였다.
(3) 준비된 필름에 인쇄
준비된 필름에 실시예1의 방법대로 인쇄하여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을 완성하였다.
(4) 준비된 원단과 인쇄된 필름의 적층
Hot-melt dot coating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준비된 원단과 인쇄된 필름을 서로 적층하여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원사직조 및 나염 후 폴리우레탄필름을 적층하여 코팅처리한 방수원단을 롤에 감긴 상태로 준비하였으며, 이것을 안료백색(TiO2 )2.5kg, 유기안료 1kg, 우레탄 수지 4.0kg, 비닐수지 0.5kg, 대전방지제 0.1kg, 보조제 0.1kg, 소포제 0.1kg, 접착보강제 0.2kg, 발포제 0.1kg을 1.5L의 용매(MEK:톨루엔:EA=2:1:2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넣고, 분말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얻어진 잉크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존에 알려진 그라비어인쇄장치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하여,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2를 얻었다.
시험1 (인쇄된 상태 시각테스트)
동일한 디자인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1과 투습방수원단2를 50명에게 보여주고 인쇄상태를 일정기준(매우우수:5, 우수:4, 보통:3, 나쁨:2, 아주나쁨:1)을 주고 평가하게 한 후, 그 결과를 평균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투습방수원단1 투습방수원단2
4.9 2.9
표1로부터 원단의 재질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원단에 적층되기 전의 필름에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해 인쇄되어 제조된 투습방수원단1의 인쇄상태가 원단에 필름을 적층한 후 인쇄된 투습방수원단2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2 (잉크의 부착력 테스트-세탁)
투습방수원단1 및 투습방수원단2에 인쇄된 잉크의 부착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투습방수원단1 및 투습방수원단2를 물세탁(일반중성세제사용) 및 드라이클리닝(석유계용제사용)하였다.
그 결과, 투습방수원단1 은 물세탁 및 드라이클리닝 후에도 인쇄상태에 변화가 없었으나, 투습방수원단2는 약간의 잉크의 탈락은 물론, 인쇄상태가 상당히 불량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 시험2를 참조하면, 원하는 디자인을 필름에 실시예1의 방법으로 인쇄한 후 원단에 인쇄된 필름을 적층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잉크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잉크의 부착력이 상당부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그라비어인쇄법에 의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플렉스 인쇄벙법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적층되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필름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필름과 원단을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하는 단계는 그라비어 인쇄방법 또는 플렉소 인쇄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하는 단계가 그라비어 인쇄방법으로 수행되는 경우,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0.01kgf 내지 10kgf이 되도록 언와인더에서만 장력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 적층되는 투습방수성 필름은 폴리우레탄, T.P.U, 폴리에스테르, P.T.F.E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색잉크조성물은 유기안료 5 내지 2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색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20 내지 5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7.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필름을 그라비어 인쇄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된 필름이 언와인더에서 장력조절되는 단계;
    상기 장력조절된 필름이 가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인쇄부에서 인쇄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필름이 건조부에서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언와인더에서 인쇄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0.01kgf 내지 10kgf이 되도록 상기 언와인 더에서만 장력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되는 단계는 50℃이하의 열풍 또는 냉풍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색잉크조성물은 유기안료 5 내지 2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색잉크조성물은 무기안료 20 내지 50중량%, 비닐수지 10 내지 30중량%, 우레탄수지 5-40중량%, 첨가제 0.5 내지 4중량%, 용제 3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잉크조성물과 무색잉크조성물은 색상에 따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에서 사용되는 잉크조성물은 잉크조성물 100중량부당 2 내지 20중량부의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투습방수기능을 부여하는 필름의 인쇄방법.
KR1020070107178A 2007-10-24 2007-10-24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KR20090041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78A KR20090041581A (ko) 2007-10-24 2007-10-24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78A KR20090041581A (ko) 2007-10-24 2007-10-24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581A true KR20090041581A (ko) 2009-04-29

Family

ID=4076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178A KR20090041581A (ko) 2007-10-24 2007-10-24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5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47B1 (ko) * 2014-05-27 2014-12-1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표면마찰항력이 감소된 고신축 투습방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포츠 웨어용 원단
WO2016182144A1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영우티피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10291483A1 (en) * 2017-11-10 2021-09-23 Chen-Cheng Huang Composite clo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47B1 (ko) * 2014-05-27 2014-12-1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표면마찰항력이 감소된 고신축 투습방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포츠 웨어용 원단
WO2016182144A1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영우티피 통기성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다층 투습방수필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10291483A1 (en) * 2017-11-10 2021-09-23 Chen-Cheng Huang Composite cl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9581A (en) Leather-like sheet
KR100944767B1 (ko) 건조감 및 의장성이 우수한 내마모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방수의류 및 의류봉제용 심실링 테이프의 제조방법
EP2202352B1 (en) Cloth waterproofed with vegetable component
DE60217003T2 (de)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KR20090041581A (ko) 다양한 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쇄방법
CA2632592C (en) Conductive ink formulations
KR950011185B1 (ko) 수증기 투과율 및 유연성이 우수한 가죽상 재료
KR101426118B1 (ko) 피혁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6513330A (ja) プリント合成スエード革及びその製造方法
EP0965681B1 (en) Polyester fabric for ink jet record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58782A (ja) 皮革様シート
US20110162789A1 (en) Transfer paper for print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103695A (ko) 엠보 무늬가 인날된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US4487642A (en) Method of producing moisture-permeable artificial leather
JPS61275485A (ja) 異色可変性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86878A (ja) 積層プリント合成皮革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102359888B1 (ko) 메쉬 원단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합성피혁의 제조 방법
CN105970661A (zh) 一种超疏水超细纤维合成革的生产方法
KR100555214B1 (ko) 건식무공형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KR100611077B1 (ko) 방수원단 또는 씸실링테잎의 인쇄방법, 상기 방법의실시에 사용되는 인쇄기, 상기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잉크, 상기 방법으로 인쇄된 방수원단 또는 씸실링테잎
KR20200116214A (ko) 통기성과 신장회복율이 우수한 은면형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JPS6354833B2 (ko)
KR20200001057A (ko) 나일론 원단용 열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EP0994214A1 (en) Process for printing on cloth with watersensitive colors
KR100450626B1 (ko) 통기성 방수원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