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456A -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456A
KR20090041456A KR1020070106932A KR20070106932A KR20090041456A KR 20090041456 A KR20090041456 A KR 20090041456A KR 1020070106932 A KR1020070106932 A KR 1020070106932A KR 20070106932 A KR20070106932 A KR 20070106932A KR 20090041456 A KR20090041456 A KR 2009004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ain body
display
ima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169B1 (ko
Inventor
최영완
송경근
임승섭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PDA, MP3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소영역으로부터 대영역으로 확장가능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본 발명은 핸드폰, MP3, PDA, DMB 단말기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이터 전송 등 디지털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통적인 기술영역에 대한 구분은 모호해지고, 유선과 무선, 방송과 통신, 통신과 컴퓨터 등 이종의 기술이 서로 융합된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이른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라고 한다.
디지털 컨버전스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폰을 들 수 있다. 휴대폰은 전통적 의미의 이동전화의 기능은 물론, 디지털카메라와 MP3, 게임, 방송 시청, 금융 업무의 기능을 한데 갖추는 등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휴대폰 이외에도, 유선의 광대역성과 무선의 이동성을 겸비한 와이브로(WiBro)나 통신·방송이 융합된 형태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도 디지털 컨버전스의 중요한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현상은 하나의 제품으로 복합적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needs) 및 휴대용 전자제품의 주요 수요자인 젊은층을 중심으로 영화, 음악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대한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점차 가속화될 전망이며,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개선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 수요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품에 복합적인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요구함과 동시에 제품의 휴대성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복합기능에 대한 요구와 휴대성에 대한 요구는 서로 상반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휴대폰(1)은 버튼부(5)가 구비된 본체(2)와 LCD가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위 슬라이딩 부재(3)는 90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동전화 기능을 수행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가 본체(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높이며, 영화, 방송, 사진 등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때는 슬라이딩 부재(3)가 본체(2)와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종래의 휴대폰에 비하여 큰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1)에서도 일정 크기 이상의 화상 형성을 통한 디스플레이 기능의 강화와 휴대성의 강화라는 두 가지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능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창에 부착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제1보호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디스 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 및 확장위치로 위치변경시 함께 위치변경 가능한 제2보호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보호창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이 제2보호창의 상면과 상기 제1보호창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벨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삽입 및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호창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인출홈부와, 상기 인출홈부에 끼워져 이 인출홈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상기 인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1돌기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이 가이드홈부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 의 크기를 소영역으로부터 대영역으로 자유롭게 확장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10), 제1디스플레이 패널(80), 제2디스플레이 패널(90)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핸드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이른바 폴더형 핸드폰(10)으로서 버튼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부(11)와 메인부(1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부(12)에는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화상을 볼 수 있도록, 이 폴더부(12)의 상면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창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의 제1보호창(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1보호 창(14)은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이 원치 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폴더부(12)의 측면에는 후술할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디스플레이 패널(80)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모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LCD 패널, OLED 패널 및 PDP는 모두 주지의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당업계에서 자명한 기술적 사항이므로 구체적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은 본체(10)의 내측 즉, 제1보호창(14)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은 상기한 위치에서 고정되며 위치변경되지 않는다.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상면이 제1보호창(14)과 대면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투명한 제1보호창(14)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상면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된다. 여기서, 기본위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더욱 상세하게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후방에 놓이는 위치이며, 확장위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토출구를 통하여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측부에 나란하게 놓이는 위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디스플레이 패널(90)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원치않는 외력으로부터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을 구비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2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의 Ⅴc-Ⅴ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보호창과 보호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의 Ⅶa-Ⅶ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Ⅶb-Ⅶ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2보호창(31)은 제1보호창(14)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지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호창(31)의 후방에는 보호프레임(40)이 결합된다.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이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에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상면이 제2보호창(31)과 대면하게 배치됨으로써,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돌출된 확장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투명한 제2보호창(14)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의 상면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프레임(40)에 고정되는 설치되지만, 보호프레임(40)의 이동에 의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즉, 상기 제2보호창(31)과 보 호프레임(40)은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될 때 각각 삽입상태(기본위치와 동일함, 이하 삽입상태로 설명함)와 돌출상태(확장위치와 동일함, 이하 돌출상태로 설명함) 사이에서 위치변경된다. 즉,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도 4a, 도 5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은 본체(10)의 내측 더욱 상세하게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후방에 삽입되어 있으며, 확장위치에 있을 때, 도 4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토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외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호창(31)은 삽입상태에 있을 때 제1보호창(14)의 하측에 배치되지만, 돌출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보호창(14)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1보호창(14)과 제2보호창(31)이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높이가 다른 보호창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90)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보아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보호창(31)이 돌출상태에 있을 때 제1보호창(14)과 제2보호창(31)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시키기 위한 레벨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인출부재(60)와, 한 쌍의 인출홈부(580)와 한 쌍의 제1돌기(53,54),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와 한 쌍의 제2돌기(55,56)를 구비한다.
상기 인출부재(60)는 본체(10)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인출부재(60)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63,64)와 결 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토출구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장홈(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홈(68)은 본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재(60)의 가이드부재(63,64)는 각각 상기 장홈(68)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출부재(60)는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 본체(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6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6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인출홈부(580)는 디스플레이 창을 사이에 두고 본체(10)의 내측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길게 배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인출홈부(58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582)과 상기 수평홈(582)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58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1돌기(53,54)는 각각 보호프레임(4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각 인출홈부(580)에 끼워짐으로써, 보호프레임(40)이 토출구를 통해 돌출상태 및 삽입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될 때 이 인출홈부(58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대이동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는 본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인출부재(6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다. 또한, 이 가이드홈부(61,62)의 입구부(e)는 돌기수용부(r)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서 보호프레임(40)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호프레 임(40)이 토출구를 통해 돌출상태 및 삽입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될 때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이 가이드홈부(61,6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대이동한다. 또한, 이 제2돌기(55,56)의 머리부는 가이드홈부(61,62)의 돌기수용부(r)에 끼워지는데 그 직경이 제2돌기(55,56)의 입구부(e)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홈부(61,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한 쌍의 제1돌기(53,54)는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인출홈부(580)는 본체(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인출홈부(580)가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며, 제1돌기(53,54)가 본체(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돌기(53,54)는 인출홈부(580) 내에서 상대이동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2가이드홈부(61,62)는 인출부재(6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위치를 서로 교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제1돌기(53,54)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홈(582)의 끝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확장위치에 있을 때 제1돌기(53,54)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홈(58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보호프레임(40)에 부착된 제2보호창(31)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창(14)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인데, 이러한 상태에서 인출부재(60)를 당기면 제2보호창(31)이 수평홈(582)을 따라 수평 홈(582)의 단부까지 높이변화 없이 이동되며, 다시 보호프레임(40)을 본체(10)의 상면 측으로 밀어주면 제2보호창(31)은 수직홈(581)을 따라 이동되어 제1보호창(14)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제2보호창(31)이 수직홈(581)을 따라 이동될 때, 제2돌기(55,56)는 인출부재(6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부(61,62) 내에서 이동된다. 제2돌기(55,56)는 가이드홈부(61,62) 내에서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제1돌기(53,54)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는 모드변환부(910), 화상형성부(920) 및 제어부(930)를 구비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는 모드변환부(910), 화상형성부(920) 및 제어부(930)를 구비한다.
모드변환부(910)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20)에 화상을 출력하는 기본모드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화상을 출력하는 확장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대한 정보인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모드변환부(910)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모드선택 스위치의 형태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20)의 인출방식에 대응하는 스위칭방식으로 구현된다. 일예로,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예컨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확 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모드변환버튼이 모드변환부(910)로 기능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인출부재(60)를 이용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인출부재(60)와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절환스위치(미도시)가 모드변환부(910)로 기능한다.
제어부(920)는 모드변환부(910)로부터 입력된 모드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화면크기, 화면출력방향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정보를 화상형성부(9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920)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예컨대 모터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기본위치 또는 확장위치로 위치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920)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에 화상이 출력되거나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모두 이용하여 화상이 출력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기본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920)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20)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을 구성하는 소자(예컨대 액정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달리 확장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920)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80,90)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화상형성부(93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크기 및 출력방향을 갖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의 크기 및 출력방향은 모드에 따라 달라진다. 화상은 기본모드의 경우에 세로방향으로 출력되고, 확장모드의 경우에는 가로방향으로 출력된다. 또한 화상의 크기는 기본모드일 경우에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0×800(픽셀)로, 확장 모드일 경우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067×800(픽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화상형성부(930)가 기본모드 및 확장모드에 대응하여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생성한 화상의 출력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의 크기를 소화면으로부터 대화면까지 선택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능 및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한 참조번호 518과 519는 인출홈부(51,52)에 형성된 스토퍼로서, 제1돌기(53,54)가 인출홈부(51,52)의 일측 끝과 타측 끝에 위치하였을 때 원치않는 외력에 의하여 인출홈부(51,5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의 Ⅴc-Ⅴ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보호창과 보호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의 Ⅶa-Ⅶ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Ⅶb-Ⅶ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의 출력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확장위치에 있을 때의 출력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 본체
14 ... 제1보호창 31 ... 제2보호창
40 ... 보호프레임 60 ... 인출부재
70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 80 ... 제1디스플레이 패널
90 ... 제2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8)

  1.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창에 부착되어 상기 제1디 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제1보호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 및 확장위치로 위치변경시 함께 위치변경 가능한 제2보호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위치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삽입 및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호창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창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이 제2보호창의 상면과 상기 제1보호창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벨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삽입 및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호창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인출홈부와,
    상기 인출홈부에 끼워져 이 인출홈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상기 인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이 가이드홈부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출력하는 기본모드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화상을 출력하는 확장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대한 정보인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변환부;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크기 및 출력방향을 갖는 화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및
    상기 모드선택신호가 기본모드이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모드선택신호가 확장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06932A 2007-10-24 2007-10-24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ko) 2007-10-24 2007-10-24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ko) 2007-10-24 2007-10-24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56A true KR20090041456A (ko) 2009-04-29
KR101406169B1 KR101406169B1 (ko) 2014-06-13

Family

ID=4076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ko) 2007-10-24 2007-10-24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674B2 (en) 2015-04-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48B1 (ko) * 2003-12-3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동엘시디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10317944B2 (en) 2011-05-03 2019-06-11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10409330B2 (en) 2011-05-03 2019-09-10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11416031B2 (en) 2011-05-03 2022-08-16 DISH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with an expandable screen
US9733674B2 (en) 2015-04-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169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742B2 (e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KR20210118850A (ko) 이동 단말기
US6873315B2 (en) User interface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050248501A1 (en) Multi display device
US20020104769A1 (en) Case for portable display devices
KR101077146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7928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70048232A (ko)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KR202100414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9027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113206905B (zh) 一种电子设备、扬声器声道配置方法及装置
CN117953773A (zh)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KR102255710B1 (ko) 이동단말기
KR102429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41456A (ko)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32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1401552B1 (ko)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456442B1 (ko)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5821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mera device
KR2016012441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401550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100724942B1 (ko)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