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23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23B1
KR102378323B1 KR1020150123872A KR20150123872A KR102378323B1 KR 102378323 B1 KR102378323 B1 KR 102378323B1 KR 1020150123872 A KR1020150123872 A KR 1020150123872A KR 20150123872 A KR20150123872 A KR 20150123872A KR 102378323 B1 KR102378323 B1 KR 10237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unit
unit
regio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222A (ko
Inventor
카이호츠 와타루
김상호
윤인국
최명조
정희석
권상욱
심대현
이정석
정대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이동 경로의 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상의 문턱지점을 도과한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용이하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조물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기판에는 유리기판이 사용되지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이 부여된 것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고, 휘거나 굽힐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앞으로 그 활용이 무궁무진하다.
즉, 확장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축소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해상도 또는 포맷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확장 또는 축소함으로써, 컨텐츠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컨텐츠의 해상도 또는 포맷에 맞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을 조절하기는 번거로운 과정이며, 게다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을 컨텐츠의 해상도 또는 포맷에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이동 경로의 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동 경로 상의 문턱지점을 도과한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이동경로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이동하는 제2프레임의 이동경로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순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경사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문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는 제2프레임에 연결되는 슬라이더가 순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부의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가 가이드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는 이동완료상태인 때,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탄성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한 쌍의 제2문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경우까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절곡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될 때,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된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절곡된 영역에서부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영역까지 마련되어, 상기 절곡된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절곡된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가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딩부 및 가이드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을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을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확대 시, 제2슬라이딩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축소 시, 제2슬라이딩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딩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축소를 위한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축소를 위한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제1영역(21) 및 제2영역(3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0),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0) 및 제2영역을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슬라이드 형(Sliding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는 화면 자체가 마치 종이와 같이 둘둘 말거나 접을 수 있도록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함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다.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는 수만 번 이상 열고 닫아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성능에 변화가 없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할 수 있다.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또한,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로 TFT(Thin Film Transistor),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기술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특징으로 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를 용이하기 위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0) 및 제2영역(31)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영역(21)은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를, 제2영역(31)은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영역(31)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30)은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프레임(20) 또는 제2프레임(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프레임(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부(40)는 제1프레임(20)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과 제2프레임(30)의 양 측면 내부에 제1프레임(20)의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프레임(20)의 양 측면과 제2프레임(30)의 양 측면 사이에 엘엠 가이드(LM Guide)와 같은 부품을 삽입할 수도 있다. 안내부(40)는 제2프레임(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그 설치 위치도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프레임(20), 제2프레임(30), 탄성부(201)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30)과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30)은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20)과 결합한다.
탄성부(201)는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30)이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프레임(3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가이드부(300)는 제1프레임(20)에 대한 제2프레임(3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이 때, 가이드 홈은 폐순환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프레임(30)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부(300)의 폐순환경로를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00)는 제2프레임(30)이 순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폐순환경로 상에 문턱지점을 마련하여, 문턱지점을 도과한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프레임(20), 제2프레임(30), 탄성부(201)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는 제1슬라이딩부(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슬라이딩부(200)는 제1프레임(20), 제2프레임(30), 탄성부(201)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20)은 패널(2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널(205)은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한편, 탄성부(201) 및 가이드부(300)를 고정할 수 있다.
탄성부(201)는 스트럿(202), 스트럿(202)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제2프레임(30)의 본체(211)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03) 및 스트럿(202)의 일 단에 고정되어 탄성부재(203)를 지지하는 스트럿 마운트(20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202)은 제2프레임(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30)의 본체(211)를 관통할 수 있다.
탄성부재(203)는 디스플레이부(10)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제2프레임(30)이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제2프레임(30)의 본체(211)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다만, 탄성부재(203)가 코일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탄성부재(203)는 제2슬라이딩부(210)의 본체(211)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어떠한 타입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03)의 제2프레임(30)의 본체(211)가 아닌 스트럿 이동부(212)에 탄성력을 가할 수도 있다.
스트럿 마운트(204)는 패널(205) 상에 형성되어, 스트럿(202)의 일 단을 패널(205)에 고정할 수 있다. 스트럿 마운트(204)는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프레임(30)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203)의 일 단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2프레임(30)의 본체(211)와 함께 탄성부재(203)가 스트럿(20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프레임(30)은 탄성부(201)의 탄성력을 받아 이동할 수 있는 제2슬라이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210)는 본체(211), 본체(211)의 일 면에 제1프레임(20)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스트럿(202)을 따라 이동하는 스트럿 이동부(212), 본체(211)의 일 면에 제1프레임(20)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장부(213), 연장부(213)와 회전핀(214)으로 결합되어 회전핀(21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며 가이드부(3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연결부(215) 및 연결부(215)에 연결되어 연결부(215)의 압축에 의해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216)를 포함한다.
본체(211)는 제2프레임(3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프레임(30)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제2프레임(30)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211)는 탄성부재(203)를 사이에 두고 스트럿 마운트(204)와 마주보도록 구성되므로, 본체(211)는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제2프레임(30)을 제1프레임(10) 쪽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탄성부(201)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스트럿 이동부(212)는 본체(211)의 일 면에 제1프레임(20)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스트럿(20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럿 이동부(212)의 내주면은 스트럿(20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213)는 본체(211)의 일 면에 제1프레임(20)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213)는 회전핀(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핀(214)은 연결부(215)를 연장부(213)에 연결시키고, 연결부(215)가 회전핀(21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연결부(215)는 슬라이더(216)가 가이드부(300)의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부(213)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5)는 슬라이더(216)가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216)에 대해 가이드부(30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16)는 연결부(215)의 회동에 의해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홈을 따라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제2슬라이딩부(2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딩부(210) 및 가이드부(300)에 대한 확대도이다.
가이드부(300)는 제2슬라이딩부(210)의 연결부(215)에 결합된 슬라이더(216)를 수용하며, 슬라이더(216)가 제2슬라이딩부(21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제2슬라이딩부(210)의 슬라이더(216)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완료 문턱부(310, 330), 이동준비 홈(320, 340) 및 이동완료 문턱부(310, 330)과 이동준비 홈(320, 340) 사이를 순차적으로 잇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315, 325, 335, 3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완료 문턱부(310, 33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완료 문턱부(330), 확장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준비 홈(320) 및 수축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준비 홈(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연결부(215)의 슬라이더(216)를 수용하기 위해서, 슬라이더(2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폭과 깊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315, 325, 335, 345)은 슬라이더(216)가 수축완료 문턱부(310)와 확장준비 홈(320)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1레일(315), 확장준비 홈(320)과 확장완료 문턱부(330)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2레일(325), 확장완료 문턱부(330)과 수축준비 홈(340)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3레일(335) 및 수축준비 홈(340)과 수축완료 문턱부(310)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4레일(345)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홈은 수축완료 문턱부(310), 제1레일(315), 확장준비 홈(320), 제2레일(325), 확장완료 문턱부(330), 제3레일(335), 수축준비 홈(340), 제4레일(345) 및 수축완료 문턱부(310)로 구성되는 폐순환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16)는 제2프레임(30)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의 폐순환경로를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가이드부(300)의 복수의 레일(315, 325, 335, 345)은, 슬라이더(216)가 순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지만,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이동제한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각 이동제한부는 슬라이더(216)가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부(316, 326, 336, 346)와, 슬라이더(216)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저지하는 단차부(317, 327, 337, 34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축완료 문턱부(310)와 확장준비 홈(320)의 사이를 잇는 제1레일(315)은, 제1경사부(316) 및 제1문턱부(317)를 포함하는 제1이동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있던 슬라이더(216)가 확장준비 홈(320)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216)는 제1경사부(316) 및 제1단차부(317)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는 있어도, 제1단차부(317)로 되돌아 갈 수 없다. 따라서, 슬라이더(216)는 확장준비 홈(320)에서 수축완료 문턱부(310)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레일(325)은 제2경사부(326) 및 제2단차부(327)를 포함하는 제2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216)는 확장준비 홈(320)에서 확장완료 문턱부(330)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 확장준비 홈(320)으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이동제한부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A-A'를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제2이동제한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경사부(326) 및 제2단차부(327)를 포함한다. 제2경사부(326)는 슬라이더(216)를 제1높이에서 제2높이로 이동시키는 한편, 제2단차부(327)는 슬라이더(216)를 제2높이에서 제1높이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더(216)는 제2경사부(326) 및 제2단차부(327)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는 있어도, 제2단차부(327)를 지나 제2경사부(326)로 이동할 수는 없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3이동제한부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B-B'을 절단한 절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C-C'을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의 제3이동제한부는 제3경사부(336)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경사부(336)는 슬라이더(216)를 제1높이에서 제2높이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3이동제한부는 제3단차부(337)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단차부(337)는 슬라이더(216)를 제2높이에서 제1높이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더(216)는 제3경사부(336) 및 제3단차부(337)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는 있어도, 제3단차부(337)를 지나 제3경사부(336)로 이동할 수는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 확대 시, 제2슬라이딩부(21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제2슬라이딩부(210)의 수축완료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의 변환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축완료 상태에서는 탄성부(201)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210)의 슬라이더(216)가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강제 수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더(216)가 수축완료 문턱부(310)에서 확장준비 홈(320)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203)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힘에 의해 수축완료 문턱부(310)에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더(216)는 제4레일(345)의 제4단차부(347)에 의해 제4레일(345)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제1레일(315)로의 이동이 강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축완료 문턱부(310)에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더(216)는 제1레일(315)의 제1경사부(316) 및 제1단차부(317)를 지나 확장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준비 홈(320)에 임시 수납된다.
여기서, 슬라이더(216)가 강제 수납된다는 것은, 수축완료 문턱부(310) 및 확장완료 문턱부(330)가 탄성부(201)의 탄성력 방향으로는 슬라이더(216)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레일(315) 및 제3레일(3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수축완료 문턱부(310) 및 확장완료 문턱부(330)에 수납된 슬라이더(216)는 이동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슬라이더(216)가 임시 수납된다는 것은, 확장준비 홈(320) 및 수축준비 홈(340)은 탄성부(201)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216)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 탄성력의 방향으로는 제2레일(325) 및 제4레일(34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확장준비 홈(320) 및 수축준비 홈(340)에 임시 수납된 슬라이더(216)는 탄성력에 의해 제2레일(325) 및 제4레일(345)을 지나 확장완료 문턱부(330) 및 수축완료 문턱부(310)으로 각각 강제 수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확장준비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의 변환은,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준비 홈(320)을 바로 탈출하기 때문에,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가능하다. 탄성부(201)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준비 홈(320)을 바로 탈출한 슬라이더(216)는 제2레일(325)을 지나,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완료 문턱부(330)에 강제 수납되어 고정된다. 슬라이더(216)가 확장완료 문턱부(330)에 수납될 때, 탄성부(201)의 탄성력을 유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216)가 확장완료 문턱부(330)에 강제 수납될 수 있는 것은, 확장완료 문턱부(330)는 슬라이더(216)가 탄성력의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제2슬라이딩부(210)는 수축완료 상태에서 확장준비 상태를 거쳐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도 확대될 수 있다.
즉, 제2슬라이딩부(210)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슬라이더(216)가 수납되어 있을 때, 제2프레임(30)에 탄성부(201)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더(216)를 확장완료 문턱부(330)로 이동 시킬 수가 있고, 제2프레임(30)을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의 화면비율이 16:9인 지점에 대응하도록 수축완료 문턱부(310)을 형성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비율이 21:9인 지점에 대응하도록 확장완료 문턱부(33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축완료 상태에서 화면비율이 16:9인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화면비율이 21:9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제2프레임(30)을 당겨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21:9의 화면비율로 맞출 필요없이, 제2프레임(30)이 제1이동제한부를 지나도록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의 화면비율을 21:9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축소 시, 제2슬라이딩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제2슬라이딩부(210)의 확장완료 상태에서 수축완료 상태로의 변환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슬라이딩부(210)의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탄성부(20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216)가 확장완료 문턱부(330)에 강제 수납되어 고정된다. 이후, 수축완료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더(216)는 제2레일(325)의 제2단차부(327)에 의해 제2레일(325)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제3레일(335)로의 이동이 강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더(216)는 제3레일(335)의 제1경사부(336) 및 제3단차부(337)를 지나 수축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준비 홈(340)에 임시 수납된다.
슬라이더(216)는 수축준비 홈(340)에 임시 수납되기 때문에,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부터 가해진 탄성부(201)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제거하더라도, 슬라이더(216)는 수축준비 홈(340)에 고정되지 않고, 제3이동제한부의 제3단차부(337)에 의해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216)가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 수축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준비 홈(340)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핀(214)에 의해 연장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215)는 슬라이더(216)의 이동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수축준비 상태에서 수축완료 상태로의 변환은, 제1슬라이딩부(200)의 확장완료 상태 수축준비 상태로의 변환에 의해, 슬라이더(216)가 수축준비 홈(340)에 임시 수납된 후,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준비 홈(340)을 바로 탈출하기 때문에,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외력이 없어도 가능하다.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준비 홈(340)을 바로 탈출한 슬라이더(216)는 제4레일(345)의 경사(346) 및 단차(347)를 지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강제 수납되어 고정된다. 슬라이더(216)가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수납될 때, 탄성부재(203)의 탄성력을 유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216)가 수축완료 문턱부(310)에 고정 수납될 수 있는 것은, 수축완료 문턱부(310)은 슬라이더(216)가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딩부(21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가이드부(300)는 제2슬라이딩부(210)의 슬라이더(216)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홈은 슬라이더(216)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 확장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준비 홈(320),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완료 문턱부(330) 및 수축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준비 홈(3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축완료 문턱부(310)와 확장준비 홈(320)의 사이를 잇는 제1레일(315), 확장준비 홈(320)과 확장완료 문턱부(330)의 사이를 잇는 제2레일(325), 확장완료 문턱부(330)과 수축준비 홈(340)의 사이를 잇는 제3레일(335) 및 수축준비 홈(340)과 수축완료 문턱부(310)의 사이를 잇는 제4레일(34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부(210)의 슬라이더(216)는 순방향인 수축완료 문턱부(310), 제1레일(315), 확장준비 홈(320), 제2레일(325), 확장완료 문턱부(330), 제3레일(335), 수축준비 홈(340), 제4레일(345) 및 수축완료 문턱부(310)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프레임(20)에 대해서 제2프레임(3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제1슬라이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프레임(20) 및 제2프레임(30) 내부에 마련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프레임(20)에 대한 제2프레임(30)의 상대적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2슬라이딩부(210)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한 화면비율, 예를 들면, 16:9의 화면비율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수축완료 상태에서 제2프레임(30)은 제1프레임(20)과 제1갭(g1)만큼 떨어져 있게 되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16:9의 화면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 제1갭(g1)은 제2프레임(30)의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완료 문턱부(310)에서 확장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준비 홈(320)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1갭(g1)은 가이드부(300)의 수축완료 문턱부(310) 중심과 확장준비 홈(320) 중심 간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확대하기 위해, 제2프레임(30)을 제1프레임(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갭(g1)만큼 압축하면, 제2프레임(30)은 제1갭(g1)만큼 제1프레임(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1갭(g1)만큼 축소될 수 있다. 이 때, 16:9의 화면비율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1갭(g1)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이어서, 탄성부(201)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프레임(30)은 제1프레임(20)과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갭(g2)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2갭(g2)만큼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갭(g2)은 가이드부(300)의 확장준비 홈(320) 중심과 확장완료 문턱부(330) 중심 간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제1갭(g1)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2갭(g2)만큼 확대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비율, 예를 들면, 21:9의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축소를 위한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확장완료 상태에서 제2프레임(30)은 제1프레임(20)과 제2갭(g2)만큼 떨어져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비율, 예를 들어 21:9의 화면비율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2갭(g2)은 제2프레임(30)의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확장완료 문턱부(330)에서 수축준비 상태에 대응하는 수축준비 홈(340)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2갭(g2)은 가이드부(300)의 확장완료 문턱부(330) 중심과 수축준비 홈(340) 중심 간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축소하기 위해, 제2프레임(30)을 제1프레임(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갭(g2)만큼 압축하면, 제2프레임(30)은 제2갭(g2)만큼 제1프레임(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2갭(g2)만큼 축소될 수 있다. 이 때, 21:9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2갭(g2)만큼 수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탄성부(201)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프레임(30)은 제1갭(g1)만큼 제1프레임(20)과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1갭(g1)만큼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갭(g1)은 가이드부(300)의 수축준비 홈(340) 중심과 수축완료 문턱부(310) 중심 간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제2갭(g2)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1갭(g1)만큼 확대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비율, 예를 들면, 16:9의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1220) 및 제2프레임(1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20)은 제2슬라이딩부(1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프레임(1230)는 탄성부(1201) 및 가이드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1210)는 본체(1211), 본체(1211)의 일 면에 제2프레임(1230)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스트럿(1202)을 따라 이동하는 스트럿 이동부(1212), 본체(1211)의 일 면에 제2프레임(1230)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장부(1213), 연장부(1213)와 회전핀으로 결합되어 회전핀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며 가이드부(13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연결부(1215) 및 연결부(1215)에 연결되어 연결부(1215)의 압축에 의해 가이드부(1300)의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체(1211)는 제2프레임(123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프레임(1220)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제1프레임(1220)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211)는 탄성부재(1203)를 사이에 두고 스트럿 마운트(1204)와 마주보도록 구성되므로, 본체(1211)는 탄성부재(1203)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제2프레임(1230)을 제1프레임(1220) 쪽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탄성부(1201)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스트럿 이동부(1212)는 본체(1211)의 일 면에 제2프레임(1230)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스트럿(120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럿 이동부(1212)의 내주면은 스트럿(120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213)는 본체(1211)의 일 면에 제1프레임(20)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1213)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핀은 연결부(1215)를 연장부(1213)에 연결시키고, 연결부(1215)가 회전핀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연결부(1215)는 슬라이더가 가이드부(1300)의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부(1213)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15)는 슬라이더가 가이드부(1300)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에 대해 가이드부(130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는 연결부(1215)의 회동에 의해 가이드부(1300)의 가이드 홈을 따라 폐순환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프레임(30)이 제2슬라이딩부(210)를 포함하는 반면에,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1220)이 제2슬라이딩부(1210)를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5의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의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220)과, 제1프레임(1220)의 양 단에 마련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중앙영역을 제외한 양 단의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각각 지지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향으로 제1프레임(1220)에 대해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220)은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에 각각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1201, 1231)와; 제1프레임(1220)에 대한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이 이동 경로의 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 경로 상의 문턱지점을 도과한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1300, 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1220)에 대해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을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의 확대 및 축소의 차이가 크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제2프레임(1230)을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하는 반면에, 제3프레임(1260)을 수축완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3프레임(1260)을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하는 반면에, 제2프레임(1230)을 수축완료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제2프레임(1230) 및 제3프레임(1260)을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최대로 확대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8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8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820)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지지하며, 제1프레임(18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1830)과, 제2프레임(18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슬라이딩부(18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800)는 제1영역(21) 및 제2영역(31)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될 때, 제2프레임(1830)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제1영역(21)을 절곡할 수 있는 제1절곡부(1845)와,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제1영역(21)을 수납할 수 있는 제1수납부(1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영역(31)이 제2프레임(18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프레임(183)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제1영역(21)은 제1절곡부(1845)를 지나 제1수납부(1840)에 출입하게 된다.
슬라이딩부(1801)가 수축완료 상태에서 확장준비 상태로 변환되면, 제2프레임(1830)이 제1프레임(182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프레임(1830)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은 제1갭(g1)만큼 제1수납부(1840)에 수납된다. 이어서, 슬라이딩부(1801)가 확장준비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되면, 제2프레임(1830)이 제1프레임(1820)를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프레임(18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은 제2갭(g2)만큼 제1수납부(1840)에서 나오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9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900)는 슬라이딩부(1901)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1920) 및 제2프레임(1930)을 포함하며, 제2프레임(1930)은 슬라이딩부(1901)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절곡할 수 있는 제2절곡부(1955)와, 절곡된 제2영역(31)을 수납할 수 있는 제2수납부(1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영역(21)이 제1프레임(19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프레임(1930)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제2영역(21)은 제2절곡부(1955)를 지나 제2수납부(1950)에 출입하게 된다.
슬라이딩부(1901)가 수축완료 상태에서 확장준비 상태로 변환되면, 제2프레임(1930)이 제1프레임(192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프레임(1930)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은 제1갭(g1)만큼 제2수납부(1950)에 수납된다. 이어서, 슬라이딩부(1901)가 확장준비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 변환되면, 제2프레임(1930)이 제1프레임(1920)를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프레임(19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은 제2갭(g2)만큼 제2수납부(1950)에서 나오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두 개의 슬라이딩부(2001, 2002)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0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지지하며, 제1슬라이딩부(2001)의 탄성력에 의해 제1프레임(20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2프레임(203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3영역(61)을 지지하며, 제2슬라이딩부(2002)의 탄성력에 의해 제1프레임(20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3프레임(20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2030)은 제1슬라이딩부(2001)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절곡할 수 있는 제2절곡부(2055)와, 절곡된 제2영역(31)을 수납할 수 있는 제2수납부(20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프레임(2060)은 제2슬라이딩부(2002)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3영역(61)을 절곡할 수 있는 제3절곡부(2075)와, 절곡된 제3영역(61)을 수납할 수 있는 제3수납부(2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이 제1프레임(2020)에 고정되어 있고, 제2프레임(2030) 및 제3프레임(2060)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제2영역(31) 및 제3영역(61)이 제2수납부(2050) 및 제3수납부(2070)을 출입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001, 2002)의 수축완료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의 변환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의 확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100)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의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은 제1프레임(2120)과 각각 제1갭(g1)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는 수축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비율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갭(g1)은 수축완료 상태인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이 확장준비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00)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확장하기 위해,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을 제1프레임(21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갭(g1)만큼 각각 압축하면,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은 각각 제1갭(g1)만큼 제1프레임(212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확장준비 상태가 된다. 확장준비 상태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1갭(g1)의 2배만큼 축소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제1갭(g1)의 2배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은 각각 제2갭(g2)만큼 제1프레임(2120)과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확장완료 상태가 된다.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2갭(g2)의 2배만큼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갭(g2)은 제2프레임(2130) 및 제3프레임(2160)이 확장준비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 때, 제1갭(g1)의 2배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2갭(g2)의 2배만큼 확장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200)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 축소를 위한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완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200)의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은 제1프레임(2220)과 각각 제2갭(g2)만큼 떨어져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확장완료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비율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200)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축소하기 위해,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를 제1프레임(22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갭(g2)만큼 각각 압축하면,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은 각각 제2갭(g2)만큼 제1프레임(222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2갭(g2)의 2배만큼 축소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제2갭(g2)의 2배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은 각각 제1갭(g1)만큼 제1프레임(20)과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은 제1갭(g1)의 2배만큼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갭(g1)은 제2프레임(2230) 및 제3프레임(2260)이 확장준비 상태에서 확장완료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제2갭(g2)의 2배만큼 축소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한 화면비율로 재생되던 컨텐츠는 제1갭(g1)의 2배만큼 확대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비율로 재생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 확대를 위한 제2프레임(2330)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3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3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영역(31)을 지지하며, 제1프레임(2320)에 대해 상대적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2330)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300)는 제1프레임(2320)의 제1절곡부에 의해 절곡되고, 제1수납부에 의해 수납되는 제1영역(21)을 보호하는 투명커버(2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곡부는 제1프레임(2320)의 일 단에 마련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가 디스플레이 장치(2300)의 하면에 마련된 제1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를 절곡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는 제1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영역과 제1수납부에 의해 수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영역(21)이 절곡되는 영역부터 제1수납부에 의해 수납된 영역까지를 커버하는 투명재질의 투명커버(2380)를 마련함으로써, 투명커버(2380)와 제1절곡부 사이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제1절곡부 및 제1수납부에 있는 제1영역(21)도 표시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축완료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300)의 상면 및 하면, 그리고 제1절곡부에 놓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영역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확장준비 상태에서는, 제2프레임(2330)의 이동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이 제1수납부로 좀더 수납되고,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가 제1수납부에서 전부 나와서 디스플레이 장치(2300)의 상면 및 제1절곡부에 놓이게 된다.
즉,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이 제1수납부에서는 전부 나오게 되나, 일부는 절곡부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300)의 상면 및 제1절곡부에 놓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영역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투명커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4는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프레임의 이동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료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영역(21)은 투명커버(2480)와 제1절곡부 및 제1수납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수축완료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상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측면 및 후면까지 확대될 수 있다.
반면에,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상면 및 제1절곡부에 한정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500)는 제1영역(21) 및 제2영역(31)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 제1영역(2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520), 제2영역(31)을 지지하며, 제1프레임(2520)에 대해 상대적 이동 가능한 제2프레임(2530), 제1영역(21)을 절곡하는 제1절곡부(2540), 제1절곡부(2540)에 의해 절곡된 제1영역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2545)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500)는 제1영역(21)이 제1절곡부(2540) 및 제1수납부(2545)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투명재질의 투명커버(2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축완료 상태에서 제1절곡부(2540) 및 제1수납부(2545)에 놓여 있는 제1영역(21)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500)의 확장완료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가 투명커버(2580) 및 제1수납부(2545)에서 나와서 투명커버(2580) 및 제1절곡부(2540)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50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화면을 활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
20: 제1프레임
30: 제2프레임
200: 제1슬라이딩부
201: 탄성부
202: 스트럿
203: 탄성부재
204: 스트럿 마운트
205: 패널
210: 제2슬라이딩부
211: 본체
212: 스트럿 이동부
213: 연장부
214: 회전핀
215: 연결부
216: 슬라이더
300: 가이드부

Claims (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영역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 이격 또는 접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 상기 접근을 저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이격 및 상기 접근에 각각 대응하도록 폐순환경로로 마련되는 가이드 홈과,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폐순환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표시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문턱지점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고정되도록 하는 굴곡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문턱지점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순환경로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바닥 높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폐순환경로의 순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경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이격 및 상기 접근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이격 및 상기 접근에 따라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절곡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절곡된 영역에서부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영역까지 마련되어, 상기 절곡된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50123872A 2015-09-01 2015-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72A KR102378323B1 (ko) 2015-09-01 2015-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72A KR102378323B1 (ko) 2015-09-01 2015-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22A KR20170027222A (ko) 2017-03-09
KR102378323B1 true KR102378323B1 (ko) 2022-03-24

Family

ID=5840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872A KR102378323B1 (ko) 2015-09-01 2015-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417A (ko) 2019-08-27 2021-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CN111683166B (zh) 2020-05-28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20240080383A1 (en) * 2021-01-25 2024-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2799470A (zh) * 2021-01-28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922A (ja) 1999-01-28 2000-08-11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36501A (ja) * 2007-03-22 2008-10-02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KR101027813B1 (ko) * 2009-12-09 2011-04-12 정현기 탄성체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그리고 슬라이딩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JP2011176513A (ja) * 2010-02-24 2011-09-08 Nec Corp 情報表示端末装置
JP4875518B2 (ja) 2007-03-06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5B1 (ko) * 2008-07-25 2010-05-11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922A (ja) 1999-01-28 2000-08-11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75518B2 (ja) 2007-03-06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08236501A (ja) * 2007-03-22 2008-10-02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KR101027813B1 (ko) * 2009-12-09 2011-04-12 정현기 탄성체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그리고 슬라이딩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JP2011176513A (ja) * 2010-02-24 2011-09-08 Nec Corp 情報表示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22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32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0223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1558966B2 (en) Suppor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50866B1 (en) Mobile terminal
KR101848891B1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102477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S2857717T3 (es) Montaje de pantalla de visualización y terminal móvil
US10321583B2 (en) Display device
US1111953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886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609833B (zh) 可撓性顯示裝置
CN106601131B (zh) 柔性显示装置
KR20170116551A (ko)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KR2017005750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08363458B (zh) 一种柔性显示设备
KR10221004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4618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111837090A (zh) 可伸缩显示装置
US20150233162A1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18263B1 (ko) 신축성 표시 장치
KR10107714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9468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7953773A (zh)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US11576270B2 (en) Display apparatus
KR101524921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