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52B1 -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 Google Patents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52B1
KR101401552B1 KR1020120082440A KR20120082440A KR101401552B1 KR 101401552 B1 KR101401552 B1 KR 101401552B1 KR 1020120082440 A KR1020120082440 A KR 1020120082440A KR 20120082440 A KR20120082440 A KR 20120082440A KR 101401552 B1 KR101401552 B1 KR 10140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lectronic screen
screen
telescopic mechanism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964A (ko
Inventor
임춘택
최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8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개시된다.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3);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 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복층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받쳐주는 받침부(400)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Flexi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플렉서블 액정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펼침으로써 대형화면(디스플레이)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컨텐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이 융합된 형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정보는 사용자 중심의 유저인터페이스 기반을 통해 이해하기 쉽고 조작이 편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데스크 탑, 노트북, PDA, DMB폰, 휴대폰(이하, 총칭하여 '무선단말기'라 함)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무겁고 휴대하기 불편한 독립적인 형태에서 점차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화, 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브라운관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차 LCD, PDP, OLED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은 접혀지거나 말아지지 않는 등 유연하지 않는 구조여서 무선단말기의 본체 크기 이상으로는 넓어질 수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의 크기 역시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 이 하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애플사의 아이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키패드 없이 무선단말기의 거의 전체 면적을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디스플레이의 넓이가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보다 더 넓어질 수 없는 구조여서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따라서, 길이는 길고 넓비는 짧은 무선단말기의 구조 때문에 좌우로 길쭉한 화면구조를 가지는 것이어서 전체 화면을 한번에 볼 수 없고, 불안정적인 화면형태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내부로 말아져 있는 플렉서블 수납통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로서, 평판을 갖는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전자 수납통(3)과; 말아져 보관되는 상기 전자화면(2)을 계단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도록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의 내부로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41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410) 내부로 상기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방지하는 받침부재(42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3);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 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복층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받쳐주는 받침부(400)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전자화면(2)을 연장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410); 상기 수납공간(41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에만 돌출되어 접하는 받침부재(420); 상기 수납공간(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20)를 돌출하는 탄성부재(4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400)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받침부재(420)의 양측 단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 간섭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화면(2)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420)의 재질은 자성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기재되어 있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복수개 이용하여 일측은 입력단자로 사용하고 타측은 출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재되어 있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복수개 이용하여 일측은 입력단자로 사용하고 타측은 출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기재되어 있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개의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중 하나는 입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내부로 말아져 있는 플렉서블 수납통의 전자화면을 연장이 가능한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통에서 원하는 전자화면의 크기를 조절이 가능한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도 2에 대한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의 텔레스코픽 기구가 펼쳐진 예시도.
도 4 는 도 3에 대한 A-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도 3에 대한 B-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 단면 형상에 따른 제1 변형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 단면 형상에 따른 제2 변형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예시단면도.
도 9 는 도 8에 대한 A 부분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받침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3 변형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예시도.
도 12 는 도 21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접은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1)는, 동영상 및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전자화면(2)과 전자화면(2)을 외부의 충격으로 보관하는 전자수납통(3)과 전자수납통(3)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평행으로 연장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와 전자화면(2)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한다.
전자화면(2)은 플라스틱 등 휠 수 있는 기판에 만들어진 평판 디스플레이다. 이는, 전자화면(2)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전자화면(2)은 키보드, 스피커, 터치패드, 터치 디스플레이, 단순 디스플레이 등 플렉서블한 평판구조를 갖는 모든 전자장치가 될 수도 있다. 전자화면(2)을 통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및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와 전기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자화면(2)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2)의 모양을 직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말아서 보관한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일정곡률로 유지하면서 말아서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수납통(3)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말아서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전자수납통(3)에 전자스위치를 설치하여 전자동으로 전자화면(2)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자수납통(3)에 호신기능을 갖는 고압전류 및 가스 분사기 등이 설치되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분사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2의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의 텔레스코픽 기구가 펼쳐진 예시도, 도 4 는 도 3의 A-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도 3에 대한 B-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텔레스코픽 기구(4)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사용한다. 텔레스코픽 방식은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늘였다 줄였다 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늘였다 줄였다 하거나 망원경의 렌즈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펼쳐진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화면(2)을 길게 연장시켜 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3 가로지지대(40)에 삽입되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되는 제1 가로지지대(44)를 포함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용이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수납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ㄷ"의 안쪽 면에 제1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텔레스코픽 방식인 홈을 이용해서 다음 텔레스코픽 요소를 연장하는 하나의 방식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하나의 예시이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요소의 양측면에 장홀을 형성하여 장홀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텔레스코픽 요소의 양측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결해 준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형성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1 탤레스코픽의 "ㄷ"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ㄷ"의 외부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돌출부(미도시)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0)는 "ㄷ"의 안쪽 면에 제2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텔레스픽 요소(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배치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된다. 이때, 제3텔레스코픽 요소(44)의 길이는 ≤ 제2 가로지지대(42) ≤ 제3 가로지지대(40) 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돌출을 막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손잡이(6)와 연결된다. 이는, 손잡이(6)를 잡아당겨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장하면 전자화면(2)도 함께 연장한다. 즉 제1 가로지지대(44)가 제3 가로지지대(40)에서 연장되는 만큼 전자화면(2)의 길이도 함께 연장한다.
손잡이(6)는 전자화면(2)과 연결되고 제1 가로지지대(44)의 끝단에 연결된다. 손잡이(6)는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면적을 갖는게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4)에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두께와 같은 것이 좋다.
본체(5)는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5)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에 배치되고 손잡이(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직사각형상을 만드는 것이 좋다. 이는, 블랙서블 전자의 전체 적인 모양을 직사각형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블랙서블 전자소자(1) 두 개를 서로 연결하여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중 하나는 동영상 및 영상만 나오게하는 출력단자로 사용하고 나머지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입력역할만 수행하는 키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 단면 형상에 따른 제1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제1 변형예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전자화면이 텔레스코픽 기구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텔레스코픽 기구가 펼쳐진다. 이는 마치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제1 가로지지지대의 중앙 부근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안내홈을 따라 전자화면이 펼쳐지게 된다.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는 마치 "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 단면 형상에 따른 제2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제2 변형예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전자화면이 텔레스코픽 기구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텔레스코픽 기구가 펼쳐진다. 이는 마치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제1 가로지지지대의 중앙 부근에 동일 높이의 안내홈이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안내홈을 따라 전자화면이 펼쳐지게 된다.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는 마치 "ㅁ"형태가 평면을 갖는 바닥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의 바닥면이 일정하중을 갖고 있으면서 외부로부터의 흔들림을 감소시켜주기 위함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예시단면도, 도 9 는 도 8에 대한 A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받침부(40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 전자화면, 전자수납통, 손잡이, 본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3 가로지지대(40)에 삽입되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되는 제1 가로지지대(44)와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 중을 받쳐주는 다수개의 받침부(400)를 포함한다.
받침부(400)은 전자화면의 처짐을 받쳐주면서 수평을 유지시킨다. 받침부(400)는 텔레스코픽 기구(4)가 접을 때 간섭을 피하게 하는 수납공간(410)과 수납공간(410)으로부터 올라와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받침부재(420)를 포함한다.
수납공간(410)은 텔레스코픽 기구(4)의 내부에 형성된다. 수납공간(410)은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가 서로 겹쳤을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다수개가 배치된다.
수납공간(410)은 받침부재(420)와 탄성부재(430)를 수납한다. 이는, 텔레스코픽 기구가 서로 접울 때 접히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수납공간(410)은 받침부재(420)와 탄성부재(4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방지한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타 측면에서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을 터치시 발생되는 터치하중을 받쳐준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과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은 텔레스코픽 기구(4)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두께폭이
받침부재(420)는 사용자의 터치시 전자화면(2)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고무, 및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겹치게 하거나 연장할 때 걸리지 않도록 양 끝단을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4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30)는 탄성력을 갖는 용수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부재(430)의 재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받침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3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와 동일구조를 갖는다.
다수개의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방지한다. 받침부재(420)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2)가 받침부재(420)에 접하여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받침부재(420)의 간격의 거리는 최대한 밀착되는 것이 좋다. 이때,받침부재(420)의 배치는 N극과 S극을 서로 번갈아 가는 것이 좋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타 측면에서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을 터치시 발생되는 터치하중을 받쳐준다. 받침부재(420)는 전자화면(2)과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는 사용자의 터치시 전자화면(2)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재질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42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겹치게 하거나 연장할 때 걸리지 않도록 양 끝단을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가 서로 겹쳤을 때에 받침부재(420)와 받침부재(420)의 간섭을 피하는 효과도 있다.
받침부재(420)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4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30)는 탄성력을 갖는 용수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부재(430)의 재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예시도, 도 12 는 도 22를 접은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인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대칭방향으로 배치시켜 하나는 입력역할을 하는 단자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출력단자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배치를 대칭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렬과 병렬로 연결이 가능하다. 더욱이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여러개의 출력단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입력단자에 다수개의 출력단자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자소자
2: 전자화면
3: 전자수납 통
4: 텔레스코픽 기구
40: 제3 가로지지대
42: 제2 가로지지대
44: 제1 가로지지대
400: 받침부
410: 수납공간
420: 받침부재
430: 탄성부재
440: 가로부재
5: 본체
6: 손잡이

Claims (10)

  1.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로서,
    평판을 갖는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전자 수납통(3)과;
    말아져 보관되는 상기 전자화면(2)을 계단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도록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410)과, 상기 수납공간(41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에만 돌출되어 접하는 받침부재(420) 및 상기 수납공간(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20)를 돌출하는 탄성부재(430)를 구비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2. 삭제
  3.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 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복층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받쳐주는 받침부(400)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410);
    상기 수납공간(41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에만 돌출되어 접하는 받침부재(420);
    상기 수납공간(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20)를 돌출하는 탄성부재(430)를 구비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전자화면(2)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00)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420)의 양측 단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 간섭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면(2)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420)의 재질은 자성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9.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다수개의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중 하나는 입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KR1020120082440A 2012-07-27 2012-07-27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40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40A KR101401552B1 (ko) 2012-07-27 2012-07-27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40A KR101401552B1 (ko) 2012-07-27 2012-07-27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4A KR20140014964A (ko) 2014-02-06
KR101401552B1 true KR101401552B1 (ko) 2014-06-03

Family

ID=5026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40A KR101401552B1 (ko) 2012-07-27 2012-07-27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80B1 (ko) 2015-07-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10033707B (zh) * 2019-05-06 2024-03-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218703B1 (ko) * 2020-08-21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13990204B (zh) * 2021-11-23 2023-12-1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卷曲机构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KR20080052834A (ko) * 2006-12-08 2008-06-12 엄민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트
KR20090089623A (ko) * 2008-02-19 2009-08-24 정관선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KR101088519B1 (ko) 2010-10-05 2011-12-07 권성태 수납형 로터리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KR20080052834A (ko) * 2006-12-08 2008-06-12 엄민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트
KR20090089623A (ko) * 2008-02-19 2009-08-24 정관선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KR101088519B1 (ko) 2010-10-05 2011-12-07 권성태 수납형 로터리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4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224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7253802B2 (en) User interface
KR101401552B1 (ko)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US20180188778A1 (e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US9455491B2 (en) Wireless device
US20120162876A1 (en) Mobile device
US8014841B2 (en) Mobile terminal
KR101469609B1 (ko)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US10658733B2 (en) Mobile terminal
US889047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4426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7457650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boom portion with through hole
JP5187315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230146499A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401550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US20150008754A1 (en) Flexible disposition apparatus
KR101329617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커버
CN107359412A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9552021B2 (en) Electronic device
US20150070834A1 (en) Tablet computer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50139158A (ko)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406169B1 (ko)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01363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module protection buf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