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623A -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 Google Patents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623A
KR20090089623A KR1020080014890A KR20080014890A KR20090089623A KR 20090089623 A KR20090089623 A KR 20090089623A KR 1020080014890 A KR1020080014890 A KR 1020080014890A KR 20080014890 A KR20080014890 A KR 20080014890A KR 20090089623 A KR20090089623 A KR 2009008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ireless terminal
terminal
coupl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586B1 (ko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102008001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5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101)와, 상기 단말기 본체(101) 일측에 액정(140)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액정수납부(110)와, 상기 액정수납부(110)에 내장, 설치된 액정권취수단과,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에 삽입, 내장되는 로드부(130)와, 상기 로드부(130)의 끝단에 결합되는 액정견인부(150)와, 상기 액정견인부(150)와 액정권취수단의 축(111)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지는 플렉시블 액정(140)으로 구성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액정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액정수납부에 플렉시블 액정을 말아서, 즉 권취시켜서 보관함으로써 단말기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할 때만 꺼내서 사용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한눈에 전체화면이 다 볼 수 있고,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보다도 훨씬 넓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액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휴대폰, 무선단말기

Description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Wireless mobile tools with wide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 일측 내부에 플렉시블 액정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펼침으로써 대형화면(디스플레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이 융합된 형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정보는 사용자 중심의 유저인터페이스 기반을 통해 이해하기 쉽고 조작이 편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데스크 탑, 노트북, PDA, DMB폰, 휴대폰(이하, 총칭하여 '무선단말기'라 함)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무겁고 휴대하기 불편한 독립적인 형태에서 점차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화, 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브라운관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차 LCD, PDP, OLED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은 접혀지거나 말아지지 않는 등 유연하지 않는 구조여서 무선단말기의 크기 이상으로는 넓어질 수 없는 구조인 것이며, 결국 디스플레이의 크기 역시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 이하로 한정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에는 애플사의 아이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키패드 없이 무선단말기의 거의 전체 면적을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디스플레이의 넓이가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보다 더 넓어질 수 없는 구조이고, 길이는 길고 너비는 짧은 무선단말기의 구조 때문에 좌우로 길쭉한 화면구조를 가지는 것이어서 전체 화면을 한번에 볼 수 없고, 불안정적인 화면형태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하는 종래의 무선단말기 (이하 '단말기'라 한다)용 디스플레이의 답답함을 해결코자 점차 크기가 작아지는 무선단말기의 추세에 맞춰 부피를 최소로 차지하면서도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볍고, 얇으며 유연성과 인장력을 구비하는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액정(이하 '액정'이라 한다)을 사용하되, 상기 액정이 무선 단말기 본체 측면 좁은 공간에 액정권취수단에 의해 말려져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보관공간만을 필요로 하였으며, 상기 액정은 손잡이와 로드부에 의해 인출하여 넓게 펼칠 수 있고 보기 편한 각도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액정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액정수납부에 플렉시블 액정을 말아서, 즉 권취시켜서 보관함으로써 단말기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할 때만 꺼내서 사용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한눈에 전체화면이 다 볼 수 있고,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보다도 훨씬 넓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무선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01)와, 상기 단말기 본체(101) 일측에 액정(140)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액정수납부(110)와, 상 기 액정수납부(110)에 내장(內裝), 설치된 액정권취수단과,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에 삽입, 내장되는 로드부(130)와, 상기 로드부(130)의 끝단에 결합되는 액정견인부(150)와, 상기 액정견인부(150)와 액정권취수단의 축(111)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지는 플렉시블 액정(140)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로드부(130)는 다단식으로 연결되어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무선단말기의 너비가 좁더라도 보다 넓게 플렉시블 액정(140)을 펼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로드부(130)의 하단에는 꺽임이 가능한 절곡부(131)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플렉시블 액정(14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로드부(130)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로드부(130)를 견인하기 위한 스프링이나 고무줄과 같은 탄력수단을 형성할 때 절곡부(131)의 꺽임에 의해 단말기 본체(101)에 걸리게 되어 로드부(130)가 강제로 견인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31)는 힌지(131a) 타입으로 형성되어 꺽임이 가능하게 되며, 로드부(130)의 끝단은 걸림턱(130a)이 형성되어 안내부(120)의 끝단에 걸려 로드부(130)가 단말기 본체(1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부(130)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플렉시블 액정(140)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120)는 단말기 본체(101)의 상부와 하부에 단말기 본체(101)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하게 되는데, 단말기 본체(101)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부(130)가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120)의 단면형상은 로드부(130)의 안정적인 삽입과 지지를 위해 로드부(13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권취수단은 플렉시블 액정(140)을 액정수납부(110)에 권취(卷取)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액정수납부(11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축(111)과 상기 축(11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단말기 본체(101)에 결합되어 상기 축(111)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일명 태엽스프링으로 불리는 스파이럴 스프링(11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140)은 상기 액정권취수단의 축(111)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액정견인부(150)에 결합되어 지는데, 결국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12)과 액정(140)은 반대방향으로 말려진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액정(140)이 액정견인부(150)에 견인되어 풀리게 되면 축(111)은 회전하면서 스파이럴 스프링(112)을 말게 되고, 반대로 스파이럴 스프링(112)이 탄력에 의해 풀리게 되면 액정(140)이 말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액정(140)은 축(111)에 말림에 있어 스파이럴 스프링(112)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정(140)은 액정수납부(110)에서 노출될 때 단말기 본체(101)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정인출구(110a)의 가장자리에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상방지구(1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노트북, MP3 플레이어, PDA, DMB폰, 휴대폰 등의 무선단말기 케이스를 의미하며, 상기 액정(140)은 가볍고, 얇으면서, 유연성과 인장력을 갖는 성질의 플렉시블한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액정(140)은 유리기판(glass substrat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리기판에 비해 훨씬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 기판에 비해 잘 깨지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갖고 있으며 롤 투 롤(Roll-to-Roll) 공정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저가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액정(140)은 고효율, 높은 색순도, 고휘도, 170도 이상의 넓은 시야각, 10 ㎲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 저전압 구동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소자의 제작공정이 저온으로 가능하고, 그 기본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궁극적으로 두께 1mm 이하의 초박형, 초경량 디스플레이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액정견인부(150)는 액정(14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액정(140)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밀어넣기 위한 손잡이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무선단말기(100)는 평상시에 주로 통화 및 미디어기기의 용도로 사용되다가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할 때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액정수납부(110)에 말려서 보관된 액정(140)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단말기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액정견인부(150)를 잡고 당기게 되면 동시에 안내부(120)에 삽입되어 있던 로드부(130)와 액정(140)이 노출되어 지며, 상기 액정(140)이 모두 노출되면 로드부(130)의 절곡부(131)을 꺽어서 가장 보기 좋은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100)는 아이폰과 같이 키패드가 없는 터치스크린방식, 즉 키패드 디스플레이(102)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로드부(130)와 액정(140)이 노출되는 순간 무선단말기(100) 내부에 내장되어 액정 또는 로드부(130)의 노출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무선단말기 제어시스템(미도시)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제어시스템은 상기 키패드 디스플레이(102)에 타이핑 가능한 키보드(자판)를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단말기(100)의 키패드 디스플레이(102)를 이용하여 키패드처럼 타이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키패드 타이핑 입력정보에 의해 액정(140)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플렉시블 액정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플렉시블 액정이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 액정수납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무선단말기
101: 단말기 본체 102: 키패드 디스플레이
110: 액정수납부 110a: 액정인출구
111: 축 112: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120: 안내부 130: 로드부
130a: 걸림턱 131: 절곡부
131a: 힌지 140: 플렉시블 액정
141: 손상방지구 150: 액정견인부

Claims (7)

  1. 단말기 본체(101)와, 상기 단말기 본체(101) 일측에 액정(140)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액정수납부(110)와, 상기 액정수납부(110)에 내장, 설치된 액정권취수단과,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120)와, 상기 안내부(120)에 삽입, 내장되는 로드부(130)와, 상기 로드부(130)의 끝단에 결합되는 액정견인부(150)와, 상기 액정견인부(150)와 액정권취수단의 축(111)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지는 플렉시블 액정(14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130)는 다단식으로 연결되어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파이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130)의 하단에는 꺽임이 가능한 절곡부(13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권취수단은 액정수납부(11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 된 축(111)과 상기 축(11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단말기 본체(101)에 결합되어 상기 축(111)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112)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140)은 유기전계 발광소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터치스프린 방식의 키패드 디스플레이(10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디스플레이(102)는 액정(140)이 단말기 본체(101) 외부로 노출되면 키보드가 표현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KR1020080014890A 2008-02-19 2008-02-19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KR10094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890A KR100946586B1 (ko) 2008-02-19 2008-02-19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890A KR100946586B1 (ko) 2008-02-19 2008-02-19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623A true KR20090089623A (ko) 2009-08-24
KR100946586B1 KR100946586B1 (ko) 2010-03-12

Family

ID=4120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890A KR100946586B1 (ko) 2008-02-19 2008-02-19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5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27B1 (ko) * 2010-01-12 2012-01-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KR101401552B1 (ko) * 2012-07-27 2014-06-03 한국과학기술원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401550B1 (ko) * 2012-07-27 2014-06-03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전자소자
WO2018058460A1 (zh) * 2016-09-29 2018-04-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180086441A (ko) * 2015-12-29 2018-07-3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
WO2020192370A1 (zh) * 2019-03-26 2020-10-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248631A1 (zh) * 2019-06-10 2020-12-1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7279A (zh) * 2018-02-09 2018-08-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控制方法
KR20220031777A (ko) 2020-09-0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749A (ja) * 1996-08-06 1998-02-20 Toppan Printing Co Ltd 映写スクリーン
KR100800751B1 (ko) * 2007-01-26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27B1 (ko) * 2010-01-12 2012-01-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KR101401552B1 (ko) * 2012-07-27 2014-06-03 한국과학기술원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401550B1 (ko) * 2012-07-27 2014-06-03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전자소자
KR20180086441A (ko) * 2015-12-29 2018-07-3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
US10652376B2 (en) 2015-12-29 2020-05-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WO2018058460A1 (zh) * 2016-09-29 2018-04-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0192370A1 (zh) * 2019-03-26 2020-10-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192373A1 (zh) * 2019-03-26 2020-10-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11537005B2 (en) 2019-03-26 2022-12-2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20248631A1 (zh) * 2019-06-10 2020-12-1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586B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586B1 (ko)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US729958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display
US11294424B2 (en)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29931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mage
JP6407206B2 (ja) 可撓性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カバーアタッチメント
US8100376B2 (en) Supporting bracket
US7639237B2 (en)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KR20080064424A (ko)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US8947361B2 (en) Multiple mode display apparatus
US20120050075A1 (en) Retractable device
US2006016671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djustable display area
US20020158812A1 (en) Phone handset with a near-to-eye microdisplay and a direct-view display
US9158135B1 (en) Hinged ancillary displays
US2007011743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Stylus
US9438295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cable
AU2010293202A1 (en) Variable display area type display device
US20070153461A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KR2014007928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172014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able display structure
US10296103B2 (en) Wireless keyboard with a pivotal slot
US11216042B2 (en) Computing devices with a kickstand
US20060077623A1 (en) Display device
US20110100729A1 (en) Multifunction stylus
US20100246107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090110389A1 (en)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