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281A - 커넥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281A
KR20090041281A KR1020070106906A KR20070106906A KR20090041281A KR 20090041281 A KR20090041281 A KR 20090041281A KR 1020070106906 A KR1020070106906 A KR 1020070106906A KR 20070106906 A KR20070106906 A KR 20070106906A KR 20090041281 A KR20090041281 A KR 2009004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lock
cylinder
base block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영
Original Assignee
권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영 filed Critical 권기영
Priority to KR102007010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281A/ko
Publication of KR2009004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일측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베이스블럭; 커넥터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럭과의 결합위치가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블럭; 및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승 시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커넥터의 후단면에 밀착되고 하강 시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커넥터보다 낮게 위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가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장착부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럭과 걸림턱 간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커넥터를 검사할 수 있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지 아니하고서도 걸림턱이 형성된 가동체를 하향으로 내릴 수 있으므로 비상시 장착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커넥터, 검사, 슬라이드, 길이, 공기 압력, 피스톤, 실린더, 걸림턱

Description

커넥터 검사장치{Connector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길이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공용으로 검사할 수 있고, 수동으로 커넥터를 분리시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검사장치는 커넥터의 제조 후 이 커넥터가 갖고 있는 단자핀의 접속상태 및 커넥터와 연결된 배선의 단락상태, 그리고 커넥터 단자핀과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상태 등의 양호와 불량상태를 최종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검사장치는 2000년에 출원된(출원번호 10-2000-13403호) 커넥터 검사장치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고정핀(30) 및 가동핀(32)이 설치된 커넥터 장착부(34)와 공기유로(36)를 갖는 본체(38)와, 커넥터가 걸림 유지 되도록 탄력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기유로(36)를 통해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내부로 몰입되는 걸림돌기(40)가 설치된 보조본체(42)와, 상기 커넥터 장착부 (34)의 전방에 위치되고 그 일측부에 가이드바(44)가 마련된 안내홀더(4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38)는 전면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커넥터를 장착시킬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장착부(34)가 마련되고, 이 커넥터 장착부(34)의 내부에는 커넥터의 단자핀과 접속되면서 탄력적으로 후퇴하는 가동핀(32) 및 이 가동핀(32)의 후방에 고정되는 고정핀(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34)의 하방인 본체(38) 내부에는 후방에서부터 보조본체(42)가 설치되어 있는 전방까지 공기유로(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유로(36)의 공기압 주입구(48)는 본체(38)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8)의 커넥터 장착부(34)와 공기유로(36)의 사이에 해당되는 내부에는 안내홀더(46)의 가이드바(44)가 일직선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본체(42)는 본체(38)의 전면 하방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그 상면에는 커넥터 장착부(34)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를 장착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돌기(40)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본체(42)는 그 내부에 공간부(43)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 걸림돌기(40)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가동체(4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하부가동체(41)의 저면에 걸림돌기(40)가 보조본체(4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 링(54)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3)는 그 상방의 일측이 본체(38)의 공기유로 (36)와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40)는 소정길이의 소직경 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하부가동체(41)는 대직경 기둥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스프링(54)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돌기(40)가 보조본체(42)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공기유로(36)를 통해 공기압이 유입되면 하부가동체(41)가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걸림돌기(40)가 보조본체(42)의 내부로 몰입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가동체(41)에는 수동으로 가압하여 걸림돌기(40)를 보조본체(42) 내부로 몰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브(56)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본체(42)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홀더(46)는 커넥터가 안착될 수 있게 중앙부가 절개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상기 커넥터 장착부(3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34)와 대응되는 면의 하방 양측에는 본체(38)의 안내공(52)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44)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44)는 본체(38)의 안내공(52)을 따라 본체(38)의 배면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그 단부에 상기 가이드바(44)가 안내공(5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고정링(58)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가이드바(44)의 외주부에는 상기 안내홀더(46)가 탄력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홀더(46)의 저면에는 보조본체(42)의 걸림돌기(40)가 삽입되어 이 안내홀더(4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47)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검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커넥터를 안내홀더(46)의 중앙 절개부에 안착시킨 후 이 안내홀더(46)를 커넥터 장착부(34)로 가압시키면 이 안내홀더(46)의 가이드바(44)가 본체(38)의 안내공(52)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안내홀더(46)의 커넥터가 커넥터 장착부 (34)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안내홀더(46)의 하단부가 걸림돌기(40)를 밀어 눌러 보조본체(42)의 내부로 몰입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안내홀더(46)가 커넥터 장착부(34)와 밀착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상기 몰입되어 있던 걸림돌기 (40)가 스프링(54)의 반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안내홀더(46)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47)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홀더(46)를 고정시킨다.(도 2 참조)
그리고 나서 커넥터의 불량 확인 검사가 완료되면 본체(38) 배면의 공기압 주입구(48)를 통해 공기압을 주입하여 걸림돌기(40)의 하부가동체 (41)를 하방으로 가압시키고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40)가 안내홀더(46)의 삽입공(47)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스프링(60)의 반발력을 갖고 있는 안내홀더(46)를 커넥터 장착부(34)로부터 탄력적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본체(42)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노브(56)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안내홀더(46)가 커넥터 장착부(34)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는 본체와 안내홀더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검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는 공기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가 하부가동체와 보조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가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부가동체를 내리는 경우 상기 공간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하부가동체의 하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길이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공용으로 검사할 수 있고, 수동으로 커넥터를 분리시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일측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베이스블럭;
커넥터가 삽입되는 장착부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럭과의 결합위치가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 성되는 슬라이드블럭; 및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승 시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커넥터의 후단면에 밀착되고 하강 시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커넥터보다 낮게 위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가동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실린더블럭;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되며, 실린더 내부로 고압의 공기 유입 시 하강되어 상기 가동체를 하향 이동시키는 피스톤;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내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장착부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가동체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드블럭의 저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럭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체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럭과 슬라이드블럭은, 상기 체결슬롯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장착부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럭과 걸림턱 간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커넥터를 검사할 수 있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지 아니하고서도 걸림턱이 형성된 가동체를 하향으로 내릴 수 있으므로 비상시 장착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에 포함되는 실린더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각 부품의 기초가 되는 베이스블럭(100)과, 검사대상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장착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드블럭(200)과, 상기 장착부(210)에 장착된 커넥터가 검사 도중 빠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커넥터의 후면에 밀착되는 가동체(400)와, 상기 가동체(400)가 선택적으로 커넥터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동체(4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블럭(500) 및 피스톤(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과 슬라이드블럭(200)의 저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이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이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레일(110) 및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블럭(100)에 슬라이드레일(1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에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슬라이드레일(110)과 슬라이드홈(220)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블럭(100)에는 체결슬롯(120)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럭(100)과 슬라이드블럭(200)은 끝단이 상기 체결슬롯(120)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에 결합되는 체결볼트(300)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슬롯(120)은 슬라이드블럭(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은 상기 베이스블럭(100)에 결합되는 위치가 체결슬롯(120)의 길이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은 상기 가동체(40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뒤 상기 체결볼트(300)에 의해 베이스블럭(1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커넥터의 길이에 맞춰 상기 슬라이블럭과 돌출단(420)까지의 수평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길이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동체(4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블럭(100)에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일측 즉 실린더블럭(500)측으로 배출하도록 내부에 공기유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블럭(500)에는 상기 공기유로(13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510)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600)은 상기 실린더(510) 내에 장착되어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가동체(400)를 아래로 밀어 내리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510)에는 상기 공기유로(130)의 출구와 대응되는 부위에 공기주입공(512)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130)의 출구와 공기주입공(512) 사이에는 고압의 공기가 외측으로 새어나가지 아니하도록 패킹(5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공(512)은 피스톤(600)이 최고점까지 상승되었을 때의 상면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기주입공(512)을 통해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600)은 하측 끝단이 실린더(510) 아래로 돌출되도록 하강된다.
가동체(400)의 상단에는, 상기 가동체(400)가 상승되었을 때 장착부(2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가동체(400)가 하강되었을 때 장착부(210)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되는 걸림턱(4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체(400)의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블럭(500)의 개구부(530)를 통해 실린더블럭(500)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20)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42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가동체(400)를 내리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에 대한 용도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린더(510)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상기 가동체(40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즉,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상기 가동체(400)의 하측에는 상향 탄성력을 갖는 복귀스프링(700)이 구비된다. 상기 복귀스프링(700)은 하측 끝단이 가동체(400)를 관통하여 실린더블럭(5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장착공(520)에 고정 결합되고 상측 끝단이 상기 가동체(400)의 저면 더 정확하게는 돌출단(42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어 피스톤(600)이 하강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가동체(400)는 복귀스프링(70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걸림턱(410)은 장착부(2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상기 실린더(510)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피스톤(600)이 하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복귀스프링(700)의 탄성력은 실린더(5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체(4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블럭(500)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가동체(400)는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 동체(400)는 상기 피스톤(600)이 하강됨에 따라 아래로 내려지고, 상기 복귀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올려질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장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복귀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체(400)가 상승되어 돌출단(420)의 걸림턱(410)이 장착부(2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므로, 검사를 하고자 하는 커넥터(C)를 상기 장착부(210)에 삽입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검사를 하고자 하는 커넥터(C)를 상기 장착부(210)에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로(130)를 통해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시켜 가동체(400)를 하강시킨 후, 커넥터(C)를 삽입시킨다.
커넥터(C)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510) 내에 채워져 있는 고압의 공기를 실린더(510) 외부로 배출시켜 실린더(510) 내의 압력을 강하시킨다. 이와 같이 실린더(510) 내의 압력이 강하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체(400)는 복귀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고, 걸림턱(410)은 커넥터(C)의 후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C)가 장착부(2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또한, 커넥터(C)의 검사가 완료되어 커넥터(C)를 장착부(210)로부터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동체(400)를 하강시켜 걸림턱(410)이 장착부(210)의 바닥 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동체(400)를 하강시키는 방법에는, 도 6에 도시된 경우처럼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법과, 사용자가 돌출단(420)을 직접 손으로 잡고 끌어 내리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피스톤(600)과 가동체(400)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바, 사용자가 돌출단(420)을 직접 손으로 잡고 끌어 내리는 경우 실린더(510)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가동체(40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는 사용자가 하부가동체(41)를 손으로 잡고 내릴 때 공간부(43)에 진공압이 발생되므로, 공간부(43)의 진공압과 스프링(54)의 탄성력을 합한 크기의 힘으로 하부가동체(41)를 하향 가압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복귀스프링(700)의 탄성력보다만 큰 힘으로 가동체(400)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커넥터(C)를 장착부(210)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슬라이드블럭(200)의 위치가 변경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는, 장착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럭(200)이 가동체(400)와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으므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커넥터(C)보다 길이가 짧거나 긴 커넥터(C)까지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블럭(200)을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커넥터(C)보다 길이가 긴 커넥터(C')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검사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에 포함되는 실린더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드블럭의 위치가 변경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검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블럭 110 : 슬라이드레일
120 : 체결슬롯 130 : 공기유로
200 : 슬라이드블럭 210 : 장착부
220 : 슬라이드홈 300 : 체결볼트
400 : 가동체 410 : 걸림턱
420 : 돌출단 500 : 실린더블럭
510 : 실린더 600 : 피스톤
700 : 복귀스프링

Claims (4)

  1.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일측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로(130)가 형성된 베이스블럭(100);
    커넥터(C)가 삽입되는 장착부(210)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럭(100)과의 결합위치가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블럭(200); 및
    상기 공기유로(1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승 시 상기 장착부(210)에 삽입된 커넥터(C)의 후단면에 밀착되고 하강 시 상기 장착부(210)에 삽입된 커넥터(C)보다 낮게 위치되는 걸림턱(410)을 구비하는 가동체(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13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510)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실린더블럭(500); 및
    상기 실린더(510) 내에 장착되며, 실린더(510) 내부로 고압의 공기 유입 시 하강되어 상기 가동체(400)를 하향 이동시키는 피스톤(6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10) 내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할 때, 상기 걸림턱(410)이 상기 장착부(2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가동체(40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복귀스프링(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검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의 저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럭(200)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체결슬롯(120)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럭(100)과 슬라이드블럭(200)은, 상기 체결슬롯(12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00)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검사장치.
KR1020070106906A 2007-10-23 2007-10-23 커넥터 검사장치 KR20090041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06A KR20090041281A (ko) 2007-10-23 2007-10-23 커넥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06A KR20090041281A (ko) 2007-10-23 2007-10-23 커넥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81A true KR20090041281A (ko) 2009-04-28

Family

ID=4076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06A KR20090041281A (ko) 2007-10-23 2007-10-23 커넥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2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98B1 (ko) * 2013-05-30 2014-04-07 (주)세종이엠시 탈거기능을 갖는 전장품 검사기용 플러그 커넥터
KR20190106130A (ko) * 2018-03-07 2019-09-18 디플러스(주) 제품 안착 블럭
KR102390953B1 (ko) * 2021-09-13 2022-04-26 주식회사 세원전자 전선 단자를 위치 고정시키는 커넥터의 조립 불량을 검사하는 장치
KR102419661B1 (ko) * 2021-12-31 2022-07-11 주식회사 세원전자 커넥터 결합된 케이블의 내전압을 검사하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98B1 (ko) * 2013-05-30 2014-04-07 (주)세종이엠시 탈거기능을 갖는 전장품 검사기용 플러그 커넥터
KR20190106130A (ko) * 2018-03-07 2019-09-18 디플러스(주) 제품 안착 블럭
KR102390953B1 (ko) * 2021-09-13 2022-04-26 주식회사 세원전자 전선 단자를 위치 고정시키는 커넥터의 조립 불량을 검사하는 장치
KR102419661B1 (ko) * 2021-12-31 2022-07-11 주식회사 세원전자 커넥터 결합된 케이블의 내전압을 검사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08B1 (ko) 커넥터용 검사 장치
JP456146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器
KR20090041281A (ko) 커넥터 검사장치
CN103918137A (zh) 连接器元件
TWI644733B (zh)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coating method
KR101281693B1 (ko) 엘이디 바 검사 장치
KR20060125452A (ko) 컨넥터 검사장치
KR101364485B1 (ko) 기판장착장치, 테스트 헤드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200438000Y1 (ko) 배선회로 검사기에서 컨넥터의 탈착 장치
CN1722336B (zh) 两个电器件固定装置的锁紧机构和具有该机构的电器件
KR10230457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장치
KR101186204B1 (ko) 연성회로기판 검사 장치
US9550218B2 (en) Receptacle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ame
KR100359261B1 (ko) 컨넥터 검사장치
KR200399451Y1 (ko) 하네스 검사장치
KR100471013B1 (ko) 인쇄회로 기판용 삽입/인출 지그
KR100823634B1 (ko) 커넥터용 점검 장치
KR101249018B1 (ko) 이젝터 및 이젝터를 이용한 이젝팅 시스템
KR101187834B1 (ko) 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1652986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KR200393112Y1 (ko) 컨넥터 검사장치
KR20160074177A (ko) 커넥터용 점검 장치
KR100864246B1 (ko) 커넥터하우징
JP2005259623A (ja) 引張り検査機能付コネクタホルダ装置
KR200153742Y1 (ko) 컨넥터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