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244A -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244A
KR20090041244A KR1020070106847A KR20070106847A KR20090041244A KR 20090041244 A KR20090041244 A KR 20090041244A KR 1020070106847 A KR1020070106847 A KR 1020070106847A KR 20070106847 A KR20070106847 A KR 20070106847A KR 20090041244 A KR20090041244 A KR 2009004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omponent
information
size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844B1 (ko
Inventor
이혜정
정지혜
이종호
김연배
유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44B1/ko
Priority to US12/219,936 priority patent/US8949707B2/en
Publication of KR2009004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문서를 변환할 수 있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를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 별로 분석하는 문서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속성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를 포함한다.
문서, 컴포넌트, 프로파일, 레이아웃

Description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daptive document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문서를 변환할 수 있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브라우징의 대상이 되는 인터넷 컨텐츠는 대부분 PC 환경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TV 등을 이용하여 바로 인터넷 컨텐츠를 사용하기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PC보다 화면의 크기가 커지는 반면 사용자의 시청 거리는 PC의 30cm 정도의 거리에서 거의 10배에 해당하는 2.5m까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TV의 경우 PC보다 사용자의 체감 화면 크기가 작아지게 디ㅗ어 인터넷 정보를 TV로 봤을 때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TV 시청시 사용자의 흥미 위주의 컨텐츠를 많은 조작없이 수동적인 자세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웹 브라우징을 하는 경우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자세로 TV를 사용해야 하는 상충적인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요구된다.
시청 거리로 인한 가독성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페이지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줌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줌가능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전체 또는 일부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하거나, 텍스트의 글자 크기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웹페이지 전체를 확대하는 경우 웹페이지의 모든 컨텐츠를 가독성 있게 볼 수 있지만, 전체 페이지가 확대되므로 한 화면에서 전체 레이아웃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현재 보이지 않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스크롤이나 줌아웃 액션으로 다시 축소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확대 배율 이상에서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한 화면에서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웹페이지의 일부를 확대하는 경우 TV 환경에서 특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가독성이 떨어지는 전체 화면 상태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웹페이지의 여러 영역을 확대해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속성 및 사용자의 프로파일 등에 따라 웹페이지를 변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및 디바이스 속성에 참조하여 기존의 문서를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에 맞게 레이아웃 및 정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를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 별로 분석하는 문서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를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 별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 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문서를 분석하는 문서 분석부(110),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20),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이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 함)의 속성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속성 저장부(130) 및 문서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문서를 사용자 프로파일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속성에 맞게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는, 웹페이지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세서 문서가 웹페이지라 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서는 HTML 또는 XML 등과 같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 분석부(110)에서 분석하는 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으로 작성된 문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문서 분석부(110)에서 분석하는 문서는 PC용으로 작성된 문서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TV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사용자가 선호하는 레이아웃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 해상도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서 분석부(110)는 문서에 포함된 다수의 컴포넌트를 각각의 컴포넌트별로 분석하여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문서 트리 생성부(111) 및 분석된 각 컴포넌트의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요약 정보 생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문서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각각의 컴포넌트간의 관계, 즉 각각의 컴포넌트간의 포함 관계 등을 도출하기 위한 문서 트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문서에 포함된 다수의 컴포넌트를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컴포넌트가 노드를 구성하도록 문서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가 웹페이지인 경우, 문서에 포함된 컴포넌트는, 문서를 구성하는 가장 하위 요소인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버튼, 입력창 등과 같은 단일 미디어 포맷과 프리젠테이션 스타일로 구분되는 컴포넌트인 제 1컴포넌트, 같은 의미를 갖는 다수의 제 1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제 2컴포넌트, 문서 전체를 의미하며 다수의 제 2컴포넌트를 포함하 는 제 3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제 3컴포넌트가 모여 웹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컴포넌트는 다수의 제 1컴포넌트뿐만 아니라 다수의 제 2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같은 의미를 갖는 다수의 제 1컴포넌트들이 모인 다수의 제 2컴포넌트가 같은 의미를 갖는 경우, 같은 의미를 갖는 다수의 제 2컴포넌트가 모여 또 하나의 제 2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문서를 전술한 제 1컴포넌트, 제 2컴포넌트 및 제 3컴포넌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후술할 문서 변환부(120)에서 문서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변환 전의 문서를 분석해야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문서 트리 생성부(111)가 문서를 트리 구조로 분석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컴포넌트, 제 2컴포넌트 및 제 3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문서는 문서 자체인 제 3컴포넌트(230)와 제 3컴포넌트(230)에 포함된 다수의 제 2컴포넌트(220) 및 제 2컴포넌트(220)에 포함된 다수의 제 1컴포넌트(21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는 제 2컴포넌트(220)로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제 3컴포넌트(230) 내에 있는 굵은 선으로 표시된 각 컴포넌들은 각각 제 2컴포넌트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제 2컴포넌트(220)내의 굵은 선으로 표시된 각 컴포넌트들은 각각 제 1컴포넌트로 이해될 수 있다.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문서를 분석하여 도 3과 같이, 기본 트리, 즉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본 트리의 리프(leaf) 노드를 미디어 포맷 및 프리젠테이션 스타일 등에 따라 제 1컴포넌트(210)로 구성한다. 또한, 같은 의미를 갖는 다수의 제 1컴포넌트를 모아 도 4와 같이, 제 2컴포넌트(220)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생성된 기본 트리의 루프(roof) 노드는 제 3컴포넌트(230)로 하여 도 5와 같은 문서 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C는 제 1컴포넌트를 의미하고, 도 5에서 C는 제 1컴포넌트, B는 제 2컴포넌트, D는 제 3컴포넌트를 의미한다.
또한,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예를 들어 레이아웃, 프리젠테이션 스타일, 컨텐츠 포맷 등의 속성을 각각의 노드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은 컴포넌트의 배치와 관련된 x좌표 및 y좌표로 표현되는 컴포넌트의 위치, 폭(width)과 높이(height)로 표현되는 컴포넌트의 사이즈, 마진(margin), 정렬(alignment) 등과 헤더(header), 좌측, 중앙, 우측, 푸터(footer) 등의 레이아웃 배치와 컨텐츠 레이아웃 패턴 등을 포함하고,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은 폰트 타입, 폰트 사이즈, 색상, 백그라운드, 보더(boader) 등을 포함하며, 컨텐츠 포맷은 제 1컴포넌트로는 텍스트,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의 미디어 포맷과 버튼, 텍스트 입력창, 리스트, 라디오 버튼 및 체크 박스 등의 인터액티브 방법과 하이퍼 링크 여부 등을 포함하고, 제 2컴포넌트로는 같은 의미를 갖는 다수의 제 1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제 3컴포넌트로는 문서의 타입 즉, 뉴스, 블로그 등과 같이 주요 컨텐츠가 존재하는 문서와 포탈 사이트의 첫페이지와 같이 주로 메뉴 및 하이퍼링 크로 이루어진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은 전술한 레이아웃의 다양한 예 중에서 컴포넌트의 배치, 즉 헤더, 좌측, 중앙, 우측, 푸터에 대한 배치가 도시된 일 예이다.
또한,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디바이스 속성 저장부(13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속성 등을 참조하여 각 컴포넌트의 우선 순위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우선 순위는 후술할 문서 변환부(140)에서 각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을 재배치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때 소정의 제 2컴포넌트에 포함된 다수의 제 1컴포넌트의 요약 정보를 조절하여 모두 디스플레이할지, 우선 순위가 높은 일부의 제 1컴포넌트만을 디스플레이할지, 같은 형태의 제 1컴포넌트는 일부만 디스플레이할지, 전술한 방법들을 혼용할지를 결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요약 정보 생성부(112)는 문서에 표현할 각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컨텐츠, 예를 들어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의 정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여러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요약 정보 생성부(112)는 생성된 요약 정보를 전술한 문서 트리의 각각의 노드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요약 정보의 길이란, 텍스트의 길이, 이미지의 사이즈 또는 크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요약 정보는,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미리 생성하고, 후술할 문서 변환부(140)가 생성된 요약 정보 중 적당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후술할 문서 변환부(140)가 문서를 변환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각 컴 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정보량을 결정하여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생성되는 요약 정보를 미디어 타입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의 경우, 요약 정보의 길이에 따라 키워드, 키워드 조합, 키문장, 요약 문장 등으로 요약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텍스트의 요약 정보의 길이는 "키워드 < 키워드 조합 < 키문장"의 관계로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의 일부를 추출, 이미지의 리사이즈, <img src="..." alt"...">등과 같이 이미지에 해당하는 텍스트의 alt 정보 또는 url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의 일부만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미지를 이미지의 url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영화의 경우, 영화를 리사이즈하거나 영화의 정보를 통해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링크된 주소의 경우에는 링크된 주소의 요약이 아닌 링크된 컨텐츠의 문서를 대상으로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링크된 주소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텍스트로 이루어진 경우, 링크된 주소의 요약 정보가 아닌, 텍스트의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문서 변환부(1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문서를 가독성 있게 보여줄 수 있게 하는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하는 문서 스타일 변환부(141) 및 디바이스 속성, 사용자 프로파일, 포커스된 컴포넌트, 줌 비율 등에 따라 각각의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각각의 컴포넌트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정보량을 조절하는 레이아웃 변환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스타일 변환부(141)는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중요도 등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 등에 사용자의 문서에 대한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서의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가 TV인 경우에는, 글꼴을 San-Serif, Vector Font 등으로 변환하고, 글꼴 사이즈는 각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와 정보량을 고려하여 가독성이 보장되는 범위내에서 변환될 수 있다. 즉, 글꼴 사이즈는 "f(컴포넌트가중치 *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영역 크기/정보량))" 같은 규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TV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 즉 TV를 포함한 PMP, UMPC, 휴대폰 등과 같은 기기에 따라 가독성이 보장되는 글꼴과 글꼴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문서 스타일 변환부(141)는 정해진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적합한 정보량보다 더 많은 정보량을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트랜지션(transistion)이나 애니메이션(animation) 효과 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환부(14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최초 문서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가 문서에 포함된 소정 컴포넌트를 확대한 경우 등에 따라 문서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와 정보량 등의 레이아웃을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이아웃 변환부(142)가 문서의 레이아웃을 변 환하는데 있어, 문서의 기존의 레이아웃은 유지한 상태에서 모든 컴포넌트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곧 사용자가 화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상하좌우 스크롤을 이용하지 않고도 모든 컨텐츠를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문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최초로 디스플레이될때는 모든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므로, 각각의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정보량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요약 정보 중 적합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추출하여 문서를 변환하게 된다. 물론, 레이아웃 변환부(142)가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미리 생성된 요약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으나, 레이아웃 변환부(142)에서 각각의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정보량을 조절할 때 요약 정보 생성부(112)가 실시간으로 조절된 정보량에 맞는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소정의 컴포넌트를 확대한 경우에는 모든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조건 하에서 가장 확대될 수 있는 영역의 크기, 즉 확대될 수 있는 최대 크기를 정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환부(142)에서 컴포넌트의 줌 비율에 따라 컴포넌트의 레이아웃 및 노출되는 정보량을 조절하는 것을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사용자가 제 2컴포넌트(220)를 확대한 경우를 예 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컴포넌트, 주로 제 2컴포넌트(220)가 확대될 경우, 확대된 제 2컴포넌트(220)가 문서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로, 일관된 레이아웃으로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즉, 확대된 컴포넌트만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정보량을 변환하기 때문에 다른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에는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8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된 컴포넌트가 화살표 방향으로 확대되는 경우, 확대되는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증가하게 되고, 나머지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감소시켜 어떠한 컴포넌트에도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되던 제 1컴포넌트가 아이콘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정보량의 증가 또는 감소는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요약 정보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7및 도 8의 경우를 혼용하여 기준 확대 비율까지는 도 8의 방법을 사용하다가 기준 확대 비율을 초과하게 되면 도 7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기준 확대 비율이 60%인 경우, 소정의 제 2컴포넌트(220)가 60%까지 확대될 경우에는 확대되는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및 정보량은 증가하고 다른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정보량은 감소하는 도 8의 방법을 사용하다가, 60%를 초과하여 확대되면 오버레이되는 도 7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또한, 도 10은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미리 각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양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레이아웃 변환부(142)에서 생성된 요약 정보 중 적합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레이아웃 변환부(142)에서 문서를 변환할 때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실시간으로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도 10에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순서만 달라지는 것으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먼저 문서 트리 생성부(111)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려는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디바이스로 작성된 문서를 분석하여 기본 트리를 생성하게 된다(S11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V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문서 트리 생성부(111)가 PC용으로 작성된 문서를 분석하여 기본 트리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분석된 기본 트리를 바탕으로 하여 제 1컴포넌트, 제 2컴포넌트 및 제 3컴포넌트로 구분된 문서 트리를 생성하게 된다(S120). 이때,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문서에 포함된 다수의 컴포넌트간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컴포넌트가 노드를 구성하도록 문서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서 트리 생성부(111)는 생성된 문서 트리의 각 노드에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한 속성을 부여하고, 각 컴포넌트의 우선 순위를 계산하게 된다.
요약 정보 생성부(112)는 생성된 문서 트리의 각 노드에 대응하는 각 컴포넌트에 대한 요약 정보를 다양한 길이로 생성하게 된다(S130). 이러한 요약 정보는 소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문서 스타일 변환부(141)는 문서에 포함된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중요도 등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사용자의 문서에 대한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서의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한다(S140). 예를 들어, 문서 스타일 변환부(141)는 문서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폰트 크기, 폰트, 색상 및 배색 등의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정해진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서 더 많은 정보를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트랜지션이나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효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레이아웃 변환부(142)는 사용자 프로파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 줌 비율 등에 따라 문서의 레이아웃, 즉 각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정보량 등을 변환하게 된다(S150). 구체적으로, 레이아웃 변환부(142)는 사용자가 문서를 보는데 있어서 상하좌우 스크롤을 최소화하면서도 문서의 모든 컴포넌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각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고, 각 컴포넌트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요약 정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레이아웃 변환부(142)는 변환된 문서의 각 컴포넌트에 적합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요약 정보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다양한 길이의 요약 정보 중에서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요약 정보 생성부(112)가 미리 요약 정보를 생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이아웃 변환부(142)가 문서를 변환할 때 실시간으로 적합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 등에 따라 문서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별로 사용자가 상하좌우 스크롤을 이용하지 않고도 모든 컨텐츠를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문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 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에 포함된 컴포넌트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석된 문서의 기본 트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컴포넌트 및 제 2컴포넌트가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트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확대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확대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확대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문서 분석부 111: 문서 트리 생성부
112: 요약 정보 생성부 120: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
130: 디바이스 프로파일 저장부 140: 문서 변환부
141: 문서 스타일 변환부 142: 레이아웃 변환부

Claims (20)

  1.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를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 별로 분석하는 문서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분석부는,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간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가 계층적으로 노드를 구성하도록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문서 트리 생성부; 및
    상기 각각의 노드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요약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트리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노드에 대해서,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레이아웃, 프리젠테이션 스타일, 컨텐츠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속성을 부여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트리 생성부는, 상기 컴포넌트 속성,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한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문서 트리의 각각의 노드에 대응하는 컴포넌트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의 정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상기 노드에 추가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폰트, 폰트 크기, 색상 및 배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하는 문서 스타일 변환부; 및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정보량을 변환하는 레이아웃 변환부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스타일 변환부는,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중요도 및 사용자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변환부는,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확대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변환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변환부는, 사용자가 소정 컴포넌트를 소정 비율로 확대한 경우, 상기 확대된 컴포넌트에 대해서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조절하고,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이 조절된 컴포넌트를 상기 문서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변환부는, 사용자가 소정 컴포넌트를 소정 비율로 확대한 경우, 상기 확대된 컴포넌트 및 그 외의 컴포넌트들에 대해서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모든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11.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문서를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 별로 분석하는 단 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간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컴포넌트가 계층적으로 노드를 구성하도록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이 노드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노드에 대해서,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레이아웃, 프리젠테이션 스타일, 컨텐츠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속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포넌트 속성,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문서 트리의 각각의 노드에 대응하는 컴포넌트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의 정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길이의 요약 정보를 상기 노드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폰트, 폰트 크기, 색상 및 배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정보량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스타일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속성, 중요도, 사용자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을 변환하는 단계는,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의 확대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을 변환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 컴포넌트를 소정 비율로 확대한 경우, 상기 확대된 컴포넌트에 대해서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조절하고,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이 조절된 컴포넌트를 상기 문서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을 변환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 컴포넌트를 소정 비율로 확대한 경우, 상기 확대된 컴포넌트 및 그 외의 컴포넌트들에 대해서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정보량을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모든 컴포넌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70106847A 2007-10-23 2007-10-23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47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47A KR101472844B1 (ko) 2007-10-23 2007-10-23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2/219,936 US8949707B2 (en) 2007-10-23 2008-07-30 Adaptive document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47A KR101472844B1 (ko) 2007-10-23 2007-10-23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44A true KR20090041244A (ko) 2009-04-28
KR101472844B1 KR101472844B1 (ko) 2014-12-16

Family

ID=4056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47A KR101472844B1 (ko) 2007-10-23 2007-10-23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9707B2 (ko)
KR (1) KR1014728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30A2 (ko) * 2011-05-27 2012-12-06 주식회사 내일이비즈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WO2018101694A1 (en) * 2016-11-29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ummarizing content
KR20180092732A (ko) * 2017-02-10 2018-08-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문서요약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305B2 (en) * 2010-03-02 2019-04-16 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Delivery of encoded media content
US20120056901A1 (en) * 2010-09-08 2012-03-08 Yogesh Sankarasubramaniam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ntent summarization
US10007402B2 (en) * 2011-03-09 2018-06-2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FR2977692B1 (fr) * 2011-07-07 2015-09-18 Aquafadas Sas Enrichissement de document electronique
US9310888B2 (en) 2012-03-16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modal layout and rendering
US8659703B1 (en) * 2012-10-23 2014-02-25 Sony Corporation Adapting layout and text font size for viewer distance from TV
US10437913B2 (en) * 2014-10-30 2019-10-08 Flipboard, Inc. Determining heights of content regions presenting content in a digital magazine
US10248630B2 (en) * 2014-12-22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adjustment of select elements of a document
US10474746B2 (en) * 2015-11-24 2019-11-12 Sap Se Flexible and intuitive table based visualizations for big data
CN105843601B (zh) * 2016-03-11 2019-03-2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安卓系统的屏幕自适应适配方法
US11126685B2 (en) * 2016-10-28 2021-09-21 Ebay Inc. Preview and optimization of publication for target computing device
CN108063974B (zh) * 2017-12-12 2021-08-06 深圳市雷鸟网络传媒有限公司 电视活动页面数据传输方法、电视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2574277B1 (ko) 2018-05-04 2023-09-04 구글 엘엘씨 사용자와 자동화된 어시스턴트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자동화된 어시스턴트 콘텐츠의 생성 및/또는 적용
US11836685B2 (en) 2020-03-27 2023-12-05 Aristocrat Technologies, Inc. Gaming service automation machine with drop box services
USD1006884S1 (en) 2020-09-25 2023-12-05 Aristocrat Technologies, Inc. Gaming services robo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8090A1 (en) * 2000-06-30 2002-06-20 Hwang Chung Hee Ontological concept-based, user-centric text summarization
KR20020006722A (ko) 2000-07-13 2002-01-26 권혁 웹페이지 재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제공방법
JP4299963B2 (ja) 2000-10-02 2009-07-2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意味的まとまりに基づいて文書を分割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069506B2 (en) 2001-08-08 2006-06-27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enhanced thumbnails
JP3870144B2 (ja) * 2002-09-27 2007-01-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木構造文書送受システム、木構造文書送信装置、木構造文書受信装置、木構造文書送受方法、木構造文書送信方法、木構造文書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61019B1 (ko) 2002-11-01 2004-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 화면 단말기를 위한 웹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567820B1 (ko) 2003-09-02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윈도우 크기 변화에따른 오브젝트 리사이징 방법
US20060123042A1 (en) * 2004-12-07 2006-06-08 Micrsoft Corporation Block importance analysis to enhance browsing of web page search results
WO2006081835A1 (en) * 2005-02-06 2006-08-10 Lingui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information access in natural language
US20060227153A1 (en) 2005-04-08 2006-10-12 Picsel Research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zooming and rearranging display items
US20070162845A1 (en) * 2006-01-09 2007-07-12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webpage creation/editing
US7835736B2 (en) * 2006-04-03 2010-11-16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iz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in a group at a point of activation
US8695031B2 (en) * 2006-08-02 2014-04-08 Concurrent Computer Corpor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multimedia
US20080195575A1 (en) * 2007-02-12 2008-08-14 Andreas Schiffler Electronic data displa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300872A1 (en) * 2007-05-31 2008-12-04 Microsoft Corporation Scalable summaries of audio or visual content
US20090063264A1 (en) * 2007-09-04 2009-03-05 Patronsoft Limited Method for transmitting online advertisements to user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30A2 (ko) * 2011-05-27 2012-12-06 주식회사 내일이비즈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WO2012165830A3 (ko) * 2011-05-27 2013-01-31 주식회사 내일이비즈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WO2018101694A1 (en) * 2016-11-29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ummarizing content
US10878488B2 (en) 2016-11-29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ummarizing content thereof
US11481832B2 (en) 2016-11-29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ummarizing content thereof
KR20180092732A (ko) * 2017-02-10 2018-08-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문서요약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9707B2 (en) 2015-02-03
US20090106653A1 (en) 2009-04-23
KR101472844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844B1 (ko) 적응적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2202368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tion-based editing of a website page
US10417316B2 (en) Emphasizing a portion of the visible content elements of a markup language document
US7487447B1 (en) Web page zoom feature
JP5048042B2 (ja) ウェブページをモバイル端末で表示可能な形態に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US10366147B2 (en) Techniques for programmatic magnification of visible content elements of markup language documents
JP4552005B2 (ja) 電子新聞表示装置
Zhang et al. Can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converge in mobile web? A critique of the state-of-the-art adaptation techniques for web navigation on mobile handheld devices
WO2015078159A1 (zh) 网页显示方法及装置
JP2011511359A (ja) 印刷構造化文書
US20140245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viewport overlay
JP20120086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295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閲覧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12077B2 (ja) 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AU20222713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webpage data for rendering a design
US20050028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cessing display information to combine display focus and context information in screen displays
JP2002259446A (ja) 推定関心度に基づいてノード・リンク構造体をブラウジ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691278B1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editing documents
CN111143734A (zh) 一种页面添加效果元素的方法及系统
JP2010134701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2002342377A (ja) ウェブページ閲覧プログラム
JP6054508B2 (ja)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treit Investigating website adaptation to large screens
Fielding et al. The Power of Media Queries
KR20100034578A (ko) 정보 단말기의 영상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