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004A -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004A
KR20090040004A KR1020070105545A KR20070105545A KR20090040004A KR 20090040004 A KR20090040004 A KR 20090040004A KR 1020070105545 A KR1020070105545 A KR 1020070105545A KR 20070105545 A KR20070105545 A KR 20070105545A KR 20090040004 A KR20090040004 A KR 2009004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ire
resin bag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149B1 (ko
Inventor
최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시흥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흥금속 filed Critical (주)시흥금속
Priority to KR102007010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1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시키도록 분사수단을 일측에 구비한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분사수단의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를 형성하며, 분사수단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에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하고, 충진된 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한 소화부와, 상기 소화부의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분사수단의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로 삽입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약제공급구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백몸체의 내측으로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한 합성수지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기, 분사수단, 합성수지백, 소화약제, 질소충진가스

Description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fire extinguisher possess of synthetic resin bag}
본 발명은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消火器, fire extinguisher)는 화재의 극히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운반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 사용하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는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소화기는 용기의 내부에 불을 끄는 소화약제와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질소압축가스를 혼합하여 보관하다가 일측에 형성된 분사수단을 통해 질소가스의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소화기의 소화약제를 부식을 방지하도록 분말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실내, 지하시설 등과 같이 환기가 잘되지 않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분사된 분말의 소화약제로 인해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질식에 의한 부상이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이차적인 피해가 확산됨에 따라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분말과 같이 공기차단에 의한 화재의 소화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질식되는 피해를 최소화 하는 수계 소화약제의 경우에는 용기의 내측으로 소화약제와 질소압축가스가 혼합하여 보관됨에 따라 용기가 수분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도록 부식이 없는 소재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소화약제와 질소압축가스가 용기에 혼합되어 보관됨에 따라 소화기 사용 시에 질소압축가스와 소화약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장기간 보관에 따른 분리현상이 발생되어 화재 진압 시에 소화약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질소압축가스와 소화약제를 분리 보관하여 분사 시에 혼합하면서 분사하는 소화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1778호에 개시된 바, 제1도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화용기(11)의 내부에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파우치백(12)을 형성하여 내장함으로써, 파우치백(12) 내부에 순수한 소화약제(21)만 충진하고, 파우치백(12)과 타원형의 스템(17)을 융착결합한 상태에서 분사구(20)의 하단에 결합하고, 파우치백(12)의 외측에 소화용기(11)의 내측부분의 공간으로 질소압축가스(13)를 별도로 충진하도록 분사구(20)와 연결되는 체크밸브(1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소화기는 소화약제(21)와 질소압축가스(13)를 별도로 보관하다가 분사구(20)를 통하여 혼합 분사하여 소화함에 따라 질식위험성을 감소하여 이차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계 소화약제(21) 사용 시에도 소화용기(11) 의 부식을 감소시켜 소화기의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고, 소화약제(21)와 질소압축가스(21)가 분리된 공간에 존재함에 따라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소화약제 (21)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소화기는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질소충진가스와 분리되도록 소화약제를 보관하면서 분사구에 결합하도록 형성한 파우치백은 수계 소화약제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고압에 견디는 재질로 외측을 융착접합시켜 내부 소화약제를 밀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장시간 외부의 질소충진가스의 압력과 이동과 사용 시에 외부의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유동으로 파손부위가 발생하여 누출로 인해 소화용기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소화기는 고압에 견디도록 형성한 파우치백이 고가이고, 내부에 수납되는 소화약제가 수계로 용액형태로 형성되어 누출을 방지하도록 밀봉구조를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생산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소화기는 분사구에 결합되는 파우치백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스템에 수계 소화약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융착 결합하여야 함으로써, 생산공정이 확대되고, 융착 결합되는 위치에 고압과 유동으로 인해 결합부분에 누출이 발생되어 소화용기 측으로 누출된 소화약제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블로우 성형 방법으로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백에 소화약제를 수납한 상태로 분사수단에 결합하고, 체크밸브에 결합된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합성수지백의 외부에 질소충진가스가 충진되도록 형성하여 합성수지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과 고압으로도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우성형으로 일체로 합성수지백을 형성하여 공정을 축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시키도록 분사수단을 일측에 구비한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분사수단의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를 형성하며, 분사수단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에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하고, 충진된 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한 소화부와, 상기 소화부의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분사수단의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로 삽입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약제공급구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백몸체의 내측으로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한 합성수지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백은 내부에 소화약제를 수납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약제공급구를 형성하되 약제공급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소화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를 구비한 백몸체를 합 성수지재질로 블로우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백은 백몸체의 일측으로 소화부의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의 하부에 누수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백을 소화부에 결합 시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블로우 성형 방법으로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백에 소화약제를 수납한 상태로 분사수단에 결합하고, 체크밸브에 결합된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합성수지백의 외부에 질소충진가스가 충진되도록 형성하여 합성수지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과 고압으로도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우성형으로 일체로 합성수지백을 형성하여 공정을 축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소화용기의 일측으로 화재 발생 시에 질소충진가스의 압축력으로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형성하고, 분사수단의 하부에 소화약제를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백에 수납시켜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백에 수납한 상태로 결합되고, 합성수지백의 외측으로 충진된 질소충진가스의 압력에 의해 분사됨에 따라 소화약제가 분리되어 수계 약제를 사용하여도 용기의 부식을 억제하여 생산원가를 축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소화용기의 일측으로 질소충진가스를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분사수단을 형성하고, 분사수단의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를 외측에 형성한 약제공급구를 일측에 구비하고,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한 백몸체를 일체로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백을 결합홈에 삽입하는 것으로 결합을 완료하고, 결합된 합성수지백이 일체로 형성하여 누출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누출을 방지시키면서 조립과 생산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분사수단에 삽입결합되도록 일측에 분사결합돌기를 구비한 약제공급구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한 백몸체를 합성수지를 백형태로 이음매 없이 일체로 가공하는 블로우 성형을 통해 누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일체로 가공함에 따라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누출에 염려 없으며, 저렴한 소재인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생산단가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는 분사수단의 하부에 소화약제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홈에 결합하도록 합성수지백의 일측으로 돌출형성한 분사결합돌기의 결합부분으로 실링부를 형성하여 결합홈에 결합 시에 실링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100)는 소화약제와 질소충진가스를 수납하는 수납공간(112)을 형성한 소화용기(111)의 일측으로 분사수단(113)을 형성한 소화부(110)와, 상기 소화부(110)의 분사수단(113)에 삽입 결합되어 약제수납공간(122)에 소화약제를 수납시킨 백몸체 (121)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백(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화부(110)는 화재 발생 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시키도록 분사수단(113)을 일측에 구비한 소화용기(111)의 내측으로 수납공간(112)을 형성하고, 분사수단(113)의 하부에 결합홈(115)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114)를 형성하며, 분사수단(113)의 내측으로 수납공간(112)에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하고, 충진된 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체크밸브(11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합성수지백(120)은 소화부(110)의 수납공간(112)의 내측으로 분사수단 (113)의 결합홈(115)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114)로 삽입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124)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약제공급구(123)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백몸체 (121)의 내측으로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약제수납공간(122)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합성수지백(120)은 내부에 소화약제를 수납하는 약제수납공간(12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약제공급구(123)를 형성하되 약제공급구(12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소화부(110)의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124)를 구비한 백몸체(121)를 합성수지재질로 블로우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백(120)은 백몸체(121)의 일측으로 소화부(110)의 결합홈 (115)에 삽입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124)의 하부에 누수를 차단하는 실링부(125)를 형성하여 합성수지백(120)을 소화부(110)에 결합 시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사되는 소화약제와 소화약제를 분사하도록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질소충진가스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수납공간(112)을 형성한 소화용기(111)의 일측으로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하고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 (116)를 구비한 분사수단(113)을 형성하고, 분사수단(113)의 하부에 결합홈(115)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114)를 형성한다.
이렇게, 분사수단(113)에 결합홈(115)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114)를 구비 한 상태에서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124)를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약제공급구(123)의 외측에 형성한 백몸체(121)의 내측으로 소화약제를 수납하는 약제수납공간(122)을 형성한 합성수지백(120)을 합성수지재질로 일체가 되도록 성형시키는 블로우 성형을 통하여 이음매 없이 일체로 성형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간극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성형이 용이하며, 생산단가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백(120)의 약제수납공간(122)으로 수계 소화약제를 수납한 상태에서 약제공급구(123)의 외측에 형성된 분사결합돌기(124)를 분사수단(113)의 결합홈(115) 측으로 삽입 결합한다.
이때, 분사수단(113)이 결합되는 결합홈(115)에 합성수지백(120)의 분사결합돌기(124)에 결합부분으로 실링부(125)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실링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분사수단(113)의 결합홈(115)으로 합성수지백(120)의 분사결합돌기 (124)를 삽입 결합하고, 분사수단(113)을 수납공간(112)이 구비된 소화용기(111)에 삽입 결합한 상태로 분사수단(113)에 구비된 체크밸브(116)를 통하여 고압의 질소충진가스를 소화약제가 수납된 합성수지백(120)을 내재한 수납공간(112)으로 충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112)에 소화약제를 수납한 합성수지백(120)을 분사수단(113)에 삽입 결합한 상태로 소화용기(111)에 고압의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한 상태로 보관하면 소화약제와 질소충진가스와 분리되어 수납됨에 따라 소화용기(111) 의 부식을 방지하면서 소화용기의 재질을 내부식성 소재가 아닌 일반적인 강재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단가를 축소시킨다.
이렇게, 질소충진가스와 소화약제를 분리한 상태로 소화기(100)를 보관하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분사수단(113)을 작동시켜 질소충진가스의 가압력으로 합성수지백(120)의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질소충진가스와 소화약제를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분사수단(113)의 작동에 의해 분사수단(113)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분사됨에 따라 소화기(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균일하게 살포하여 소화효율을 극대화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의 소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화기 110 : 소화부
111 : 소화용기 112 : 수납공간
113 : 분사수단 114 : 소화약재결합부
115 : 결합홈 116 : 체크밸브
120 : 합성수지백 121 : 백몸체
122 : 약제수납공간 123 : 약제공급구
124 : 분사결합돌기 125 : 실링부

Claims (3)

  1. 화재 발생 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시키도록 분사수단을 일측에 구비한 소화용기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분사수단의 하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를 형성하며, 분사수단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에 질소충진가스를 충진하고, 충진된 가스의 분사를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한 소화부와,
    상기 소화부의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분사수단의 결합홈을 구비한 소화약제결합부로 삽입결합되도록 분사결합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약제공급구를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백몸체의 내측으로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한 합성수지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백은 내부에 소화약제를 수납하는 약제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약제공급구를 형성하되 약제공급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소화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를 구비한 백몸체를 합성수지재질로 블로우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백은 백몸체의 일측으로 소화부의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분사결합돌기의 하부에 누수를 차단하는 실링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백을 소화부에 결합 시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KR1020070105545A 2007-10-19 2007-10-19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KR10092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45A KR100929149B1 (ko) 2007-10-19 2007-10-19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45A KR100929149B1 (ko) 2007-10-19 2007-10-19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004A true KR20090040004A (ko) 2009-04-23
KR100929149B1 KR100929149B1 (ko) 2009-12-01

Family

ID=4076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545A KR100929149B1 (ko) 2007-10-19 2007-10-19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53B1 (ko) * 2009-05-22 2013-04-29 김한식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CN105080009A (zh) * 2014-05-20 2015-11-25 曹列东 挤压式易折消防瓶
KR101909637B1 (ko) * 2017-06-05 2018-10-18 주식회사 탑이엔씨 복수의 이종소화제가 내장된 소화기
CN109350889A (zh) * 2018-09-12 2019-02-19 郑振兴 一种双功能切换灭火器安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394B1 (ko) 2019-12-13 2020-10-21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소화기용 약제 분사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998A (en) * 1990-11-19 1991-11-12 Quinn Robert L Fire extinguisher apparatus
US6076610A (en) * 1996-08-30 2000-06-20 Zwergel; James C. Vehicular fire extinguishing device
US6394188B1 (en) * 1997-08-29 2002-05-28 Fire Safety Products, Inc. Vehicular fire extinguish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53B1 (ko) * 2009-05-22 2013-04-29 김한식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CN105080009A (zh) * 2014-05-20 2015-11-25 曹列东 挤压式易折消防瓶
KR101909637B1 (ko) * 2017-06-05 2018-10-18 주식회사 탑이엔씨 복수의 이종소화제가 내장된 소화기
CN109350889A (zh) * 2018-09-12 2019-02-19 郑振兴 一种双功能切换灭火器安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149B1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149B1 (ko)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KR101175309B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KR20090012162U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KR101247353B1 (ko) 디스펜서
KR20060116278A (ko) 소화기
KR100914361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CN210786058U (zh) 胶囊自压液体药灭火器
KR100791568B1 (ko) 축압식 소화기
KR200258493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CN211434870U (zh) 一种灭火剂用备压式储存容器
KR200445484Y1 (ko) 약제액통이 구비된 분사기
TWM550645U (zh) 滅火器結構
CN212214420U (zh) 间接式探火管灭火装置
JP6671760B2 (ja)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KR102189221B1 (ko)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제조방법 및 튜브 소화기
KR100793948B1 (ko) 카드레이지식 축압 분말 소화기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US11730989B2 (en) Small space fire extinguisher
KR101352420B1 (ko) 가압식 소화기
KR200269257Y1 (ko) 전기판넬 전용 co2자동확산 소화기
CN218338846U (zh) 一种高集成内置储压室式细水雾灭火装置
CN202132553U (zh) 一种自行泄压的灭火器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