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87A -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987A
KR20090039987A KR1020070105518A KR20070105518A KR20090039987A KR 20090039987 A KR20090039987 A KR 20090039987A KR 1020070105518 A KR1020070105518 A KR 1020070105518A KR 20070105518 A KR20070105518 A KR 20070105518A KR 20090039987 A KR20090039987 A KR 2009003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ase
spot welding
drop membe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493B1 (ko
Inventor
이철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4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구동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스폿 용접건의 상부팁과 하부팁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와 하부 건몸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ⅰ)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ⅱ)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기 상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상부팁을 이탈시키는 상부팁 드롭부재와, ⅲ)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하부팁을 이탈시키는 하부팁 드롭부재와, ⅳ)상기 상부팁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바이어스부재와, ⅴ)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이어스부재와, ⅵ)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와, ⅶ)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는 제1 피니언부재와, ⅷ)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와, ⅸ)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3 및 제4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이 중심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피니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를 제공한다.
스폿, 용접건, 용접팁, 탈거, 랙, 피니언

Description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WELDING TIP CHANGING APPARATUS FOR SPOT WELDING GUN}
본 발명은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조립 공정 중, 2장의 패널을 용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스폿 용접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폿 용접은 스폿 용접건을 이용하여 2장의 패널을 양방향에서 가압하여 고전류를 흘림으로써 용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폿 용접건은 크게 공압을 이용하는 공압 용접건과, 서보 모터를 이하는 서보 용접건으로 나뉘어지는데, 최근들어 차체 품질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서보 용접건의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보전성 및 로봇 티칭의 난이성 문제 등으로 차체 조립 현장에서는 여전히 공압 용접건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압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폿 용접건(1)은 도 1에서와 같이 작동 실린더(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 하는 상부 건몸체(2)에 상부용접팁(4)이 압입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로봇(미도시)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하부 건몸체(5)에 하부 용접팁(6)이 압입 설치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상부 용접팁(4) 및 하부 용접팁(6)은 반복적인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모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차체 용접 라인에서는 하루에 1~2회 정도 상부 용접팁(4)과 하부 용접팁(6)을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부 용접팁(4)과 하부 용접팁(6)을 교환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팁 제거장치(101) 및 팁 압입장치(105)로서 구성되는 일반적인 팁 교환기(109)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에서 팁 제거장치(101)는 구동모터(1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도 1에서와 같은 상부 용접팁(4)과 하부 용접팁(6)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2)와 하부 건몸체(5)로부터 이탈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팁 압입장치(105)는 팁 탄창유닛(106)에 장입되어 있는 팁을 실린더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부 건몸체(2)와 하부 건몸체(5)에 압입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팁 교환기(109)에 있어, 팁 제거장치(101)는 구동 모터(1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용접팁(4)과 하부 용접팁(6)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2)와 하부 건몸체(5)로부터 이탈시키기 때문에, 팁의 제거시 건몸체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수에 의해 전기 부품들이 녹슬거나 구동 모터(102)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팁 교환기(109)에 있어, 팁 제거장치(101)는 상부 용접팁(4)과 하부 용접팁(6)을 동시에 제거할 수 없어 상부 용접팁(4)을 먼저 제거한 후, 하부 용접팁(6)을 제거해야 하므로, 팁의 교환 공수 증가로 인해 팁의 교환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동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상부 용접팁과 하부 용접팁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와 하부 건몸체로부터 동시에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는, 스폿 용접건의 상부 건몸체에 압입된 상부팁 및 하부 건몸체에 압입된 하부팁을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ⅱ)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기 상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상부팁을 이탈시키는 상부팁 드롭부재와, ⅲ)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하부팁을 이탈시키는 하부팁 드롭부재와, ⅳ)상기 상부팁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바이어스 부재와, ⅴ)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이어스부재와, ⅵ)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와, ⅶ)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는 제1 피니언부재와, ⅷ)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와, ⅸ)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3 및 제4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이 중심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피니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의 상기 제1 지지홈에는 상기 상부 건몸체와 상기 상부팁 사이의 연결 틈새에 끼워지는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의 상기 제2 지지홈에는 상기 하부 건몸체와 상기 하부팁 사이의 연결 틈새에 끼워지는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는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및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및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면에는 상기 각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가이드 바아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는 상기 제2 지지홈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제2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는 상기 제1 지지홈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3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제4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는,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와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박스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박스는 상 단부가 개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는,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와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박스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박스는 하단부가 개방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니언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중심축이 그 중심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피니언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니언부재는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이 그 중심 방향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하는 편심 축공을 가진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의 편심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의 제1 지지홈에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상부 건몸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의 제2 지지홈에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하부 건몸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의하면, 작동 실린더에 의한 상부 건몸체의 전후진 동작을 이용하여 래크와 피니언의 작동으로서 상부 용접팁과 하부 용접팁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와 하부 건몸체로부터 동시에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건몸체의 전후진 동작으로서 상부 용접팁과 하부 용접팁을 동시에 탈거시킬 수 있으므로, 팁 교환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팁 교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100)는 스폿 용접건(1: 이하 도 1 참조)의 상부 건몸체(2)에 압입 설치된 상부 용접팁(4)(이하에서는 편의상 "상부팁" 이라고 한다)과, 하부 건몸체(5)에 압입 설치된 하부 용접팁(6)(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부팁" 이라고 한다)을 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접팁 탈거장치(100)는 구동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상부팁(4)과 하부팁(6)을 각각의 상부 건몸체(2) 와 하부 건몸체(5)로부터 동시에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팁 드롭부재(20), 하부팁 드롭부재(30), 제1 바이어스부재(40), 및 제2 바이어스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내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개방된 사각 단면 형상의 케이스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는 별도의 지지대(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스폿 용접건(1)의 상부 건몸체(2)로부터 상부팁(4)을 실질적으로 이탈시키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그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케이스(10)의 상측 개방단을 커버링 하도록 케이스(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부분(21)과, 제1 부분(21)에 수직 하향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그 일측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부분(22)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분(21)의 선단부 쪽에는 작동 실린더(3: 이하 도 1 참조)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부 건몸체(2)를 지지하는 제1 지지홈(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홈(23)에는 상부 건몸체(2)와 상부팁(4) 사이의 연결 틈새(7)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지는 제1 걸림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지지홈(23)에 대응하여 케이스(10)의 다른 일측면에는 상부 건몸체(2)가 제1 지지홈(23)의 내측 영역에 대하여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개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폿 용접건(1)의 상부 건몸체(2)는 케이스(10)의 제1 개방홈(13)을 통해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지지홈(23)으로 인입되면서 상부팁(4) 사이의 연결 틈새(7)에 제1 걸림 돌기(24)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짐으로써 상부팁 드롭부재(20)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2 부분(22)의 높이 방향측 양쪽 가장자리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양쪽 내벽면에는 제1 슬라이딩 홈(15a: 도면에서는 케이스이 한쪽 면에만 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홈(15a)에 대응하여 제2 부분(22)의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제1 슬라이딩 홈(15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바아(27)가 제2 부분(2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30)는 스폿 용접건(1)의 하부 건몸체(5)로부터 하부팁(6)을 실질적으로 이탈시키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그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30)는 케이스(10)의 하측 개방단을 커버링 하도록 그 케이스(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부분(31)과, 제1 부분(31)에 수직 상향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그 다른 일측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부분(32)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분(31)의 선단부 쪽에는 스폿 용접건(1)의 하부 건몸체(5)를 지지하는 제2 지지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홈(33)에는 하부 건몸체(5)와 하부팁(6) 사이의 연결 틈새(8)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지는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 지지홈(33)에 대응하여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하부 건몸체(5)가 제2 지지홈(33)의 내측 영역에 대하여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폿 용접건(1)의 하부 건몸체(5)는 케이스(10)의 제2 개방홈(17)을 통해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지지홈(33)으로 인입되면서 하부팁(6) 사이의 연결 틈새(8)에 제2 걸림 돌기(34)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짐으로써 하부팁 드롭부재(30)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팁 드롭부재(3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부분(32)의 높이 방향측 양쪽 가장자리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양쪽 내벽면에는 제2 슬라이딩 홈(15b: 도면에서는 케이스의 한쪽 면에만 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홈(15b)에 대응하여 제2 부분(32)의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제2 슬라이딩 홈(15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바아(37)가 제2 부분(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상부팁(4)에 대응하여 하부팁 드롭부재(30)에 탄성 지지되며,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부분(32)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직립 배치되는 제1 부분(41)과, 제1 부분(41)의 상단부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부분(2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42)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분(42)에는 상부팁(4)이 안착되는 안착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43)은 상부 건몸체(2)가 상부팁 드롭부재(20)에 지지된 상태로 상부팁(4)이 상기 제2 부분(4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제1 스프링(45)에 의해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1 부분(31)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스프링(45)은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에 대응하여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1 부분(3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박스(47)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프링(45)은 제1 바이어스부재(40)가 상부팁(4)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부팁(4)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제1 바이어스부재(40)에 대하여 탄발력을 제공하는 기능(제1 바이어스부재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박스(47)는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과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1 부분(3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의 선단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1 스프링(45)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 박스(47)는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의 선단부가 끼워지도록 상단부가 개방되며, 이의 하단부가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1 부분(3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박스(47)는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지지하면서 그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의 높이 방향측 양쪽 가장자리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양쪽 내벽면에는 제3 슬라이딩 홈(15c: 도면에서는 케이스의 한쪽 면에만 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슬라이딩 홈(15c)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부분(41)의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제3 슬라이딩 홈(15c)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가이드 바아(49)가 상기 제1 부분(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상부팁 드롭부재(20)에 탄성 지지되며,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2 부분(22)에 대응하 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직립 배치되는 제1 부분(51)과, 제1 부분(51)의 하단부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1 부분(3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52)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제2 스프링(55)에 의해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부분(21)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2 스프링(55)은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에 대응하여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부분(2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박스(57)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프링(55)은 제2 바이어스부재(50)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제2 바이어스부재(50)에 대하여 탄발력을 제공하는 기능(제2 바이어스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2 가이드 박스(57)는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과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부분(2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의 선단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2 스프링(55)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가이드 박스(57)는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의 선단부가 끼워지도록 하단부가 개방되며, 이의 상단부가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부분(2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박스(57)는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지지하면서 그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케이스(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의 높이 방향측 양쪽 가장자리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양쪽 내벽면에는 제4 슬라이딩 홈(15d: 도면에서는 케이스의 한쪽 면에만 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슬라이딩 홈(15d)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부분(51)의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제4 슬라이딩 홈(15d)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가이드 바아(59)가 상기 제1 부분(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 외에, 하부팁 드롭부재(30)와 제1 바이어스부재(40)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1 래크 바아(61)와 제2 래크 바아(63)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래크 바아(61)는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과 서로 대향하는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부분(32)의 대향면에 설치되며,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부분(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래크 바아(61)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래크 톱니들(62)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래크 바아(63)는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부분(32)과 서로 대향하는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의 대향면에 설치되며,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래크 바아(63)는 제1 래크 바아(61)에 대응하여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1 부분(41)에 설치되고, 이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래크 톱니들(64)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래크 바아(61)와 제2 래크 바아(63) 사이에는 제1 피니언부재(7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피니언부재(70)는 이들 제1 래크 바아(61)와 제2 래크 바아(63) 사이에서 제1 래크 바아(61)의 제1 래크 톱니들(62) 및 제2 래크 바아(63)의 제2 래크 톱니들(64)에 각각 치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피니언부재(70)는 양단부가 케이스(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중심축(71)과, 제1 회전 중심축(71)이 중심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피니언 기어(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회전 중심축(71)은 제1 피니언 기어(73)에 그 중심 방향으로 고정되게 배치되며, 이의 양단부는 케이스(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피니언 기어(73)는 제1 회전 중심축(71)을 중심 방향을 배치하기 위한 중심 축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외주면에는 제1 래크 바아(61)의 제1 래크 톱니들(62) 및 제2 래크 바아(63)의 제2 래크 톱니들(64)에 치합하는 제1 피니언 톱니들(7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100)는 상부팁 드롭부재(20)와 제2 바이어스부재(50)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 는 각각의 제3 래크 바아(81) 및 제4 래크 바아(83)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래크 바아(81)는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과 서로 대향하는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2 부분(22)의 대향면에 설치되며,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2 부분(2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래크 바아(81)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3 래크 톱니들(82)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래크 바아(83)는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2 부분(22)과 서로 대향하는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의 대향면에 설치되며,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4 래크 바아(83)는 제3 래크 바아(81)에 대응하여 제2 바이어스부재(50)의 제1 부분(51)에 설치되고, 이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4 래크 톱니들(84)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래크 바아(81)와 제4 래크 바아(83) 사이에는 제2 피니언부재(90)가 장착된다.
상기 제2 피니언부재(90)는 이들 제3 래크 바아(81)와 제4 래크 바아(83) 사이에서 제3 래크 바아(81)의 제3 래크 톱니들(82) 및 제4 래크 바아(83)의 제4 래크 톱니들(84)에 각각 치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제2 피니언부재(90)는 양단부가 케이스(10)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제2 회전 중심축(91)과, 그 제2 회전 중심축(91)이 그 중심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 피니언 기어(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2 회전 중심축(91)은 제2 피니언 기어(93)에 형성된 편심 축공(94)을 자유롭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제2 회전 중심축(91)의 양단부는 케이스(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지지된다.
즉, 상기 제2 회전 중심축(91)은 제2 피니언 기어(93)의 편심 축공(94) 내에 배치되며, 그 편심 축공(94)의 중심에서 편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93)의 외주면에는 제3 래크 바아(81)의 제3 래크 톱니들(22) 및 제4 래크 바아(83)의 제4 래크 톱니들(84)에 치합하는 제2 피니언 톱니들(95)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회전 중심축(91)은 상기 편심 축공(94)의 중심에서 편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제2 회전 중심축(91)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양측면에는 제2 회전 중심축(91)의 편심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홀(15e: 도면에서는 케이스의 한쪽 면에만 도시)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홀(15e)은 제2 회전 중심축(91)의 편심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로서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100)의 동작 및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a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제1 개방홈(13)을 통해 스폿 용접건(1)의 상부 건몸체(2)를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제1 지지홈(23)으로 인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부 건몸체(2)와 상부팁(4) 사이의 연결 틈새(7)에 제1 걸림 돌기(24)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짐으로써 상부 건몸체(2)는 상부팁 드롭부 재(20)에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상부팁(4)은 제1 바이어스부재(40)의 제2 부분(42)에 형성된 안착홈(43)에 안착된 상태에 있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케이스(10)의 제2 개방홈(17)을 통해 스폿 용접건(1)의 하부 건몸체(5)를 하부팁 드롭부재(30)의 제2 지지홈(33)으로 인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부 건몸체(5)와 하부팁(6) 사이의 연결 틈새(8)에 제2 걸림 돌기(34)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짐으로써 하부 건몸체(5)는 하부팁 드롭부재(30)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 실린더(3)의 전진 작동으로서 상부 건몸체(2)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상부 건몸체(2)와 함께 케이스(10)의 제1 슬라이딩 홈(15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상부 건몸체(2)의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10)의 제3 슬라이딩 홈(15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팁 드롭부재(20)가 하강함에 따라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제3 및 제4 래크 바아(81, 83)와 제2 피니언부재(90)에 의해 케이스(10)의 제4 슬라이딩 홈(15d)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2 피니언부재(90)의 제2 회전 중심축(91)은 제2 피니언 기어(93)의 편심 축공(94)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스프링(55)은 제2 바이어스부재(50)에 의해 압축되고, 제2 바이어스부재(50)에 대하여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1 바이어스부재(40)가 하강함에 따라 하부팁 드롭부재(30)는 하부 건몸체(5)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 래크 바아(61, 63)와 제1 피니언 부재(70)에 의해 케이스(10)의 제2 슬라이딩 홈(15b)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1 피니언부재(70)의 제1 회전 중심축(71)은 제1 피니언 기어(73)의 중심 축공(74)에 고정된 상태로 제1 피니언 기어(73)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제1 스프링(45)은 제1 바이어스부재(40)에 의해 압축되고, 제1 바이어스부재(40)에 대하여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하부팁 드롭부재(30)가 하부 건몸체(5)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승함에 따라 하부팁 드롭부재(30)는 하부 건몸체(5)로부터 하부팁(6)을 이탈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작동 실린더(3)의 후진 작동으로서 상부 건몸체(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면, 상부 건몸체(2)를 지지하고 있는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케이스(10)의 제1 슬라이딩 홈(15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건몸체(2)는 작동 실린더(3)에 의해 전진 이동시의 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팁 드롭부재(2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바이어스부재(40)는 상부팁(4)이 안착홈(43)에 안착된 상태로 제1 스프링(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0)의 제3 슬라이딩 홈(15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40)가 상승함에 따라 하부팁 드롭부재(30)는 제1 및 제2 래크 바아(61, 63)와 제1 피니언부재(70)에 의해 케이스(10)의 제2 슬라이딩 홈(15b)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팁 드롭부재(2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바이어스부재(50)는 제2 스프링(55)의 탄성 복원력 및 제3 및 제4 래크 바아(81, 83)와 제2 피니언부재(90)에 의해 케이스(10)의 제4 슬라이딩 홈(15d)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 건몸체(2)가 작동 실린더(3)에 의해 빠른 속도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제2 피니언부재(90)의 제2 회전 중심축(91)은 제2 피니언 기어(93)의 편심 축공(94)의 중심에서 편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제2 회전 중심축(91)의 편심으로 인한 래칫 걸림 현상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로써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팁 드롭부재(20)가 상부 건몸체(2)를 지지하고 있고, 상부 건몸체(2)가 작동 실린더(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팁 드롭부재(20)의 상승 이동이 제2 피니언부재(90)에 의해 스토핑 됨으로써 상부팁 드롭부재(20)는 상부 건몸체(2)로부터 상부팁(4)을 이탈시키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폿 용접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팁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Claims (17)

  1. 스폿 용접건의 상부 건몸체에 압입된 상부팁 및 하부 건몸체에 압입된 하부팁을 교환하기 위한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작동 실린더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기 상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상부팁을 이탈시키는 상부팁 드롭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건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홈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 건몸체로부터 상기 하부팁을 이탈시키는 하부팁 드롭부재;
    상기 상부팁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바이어스부재;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이어스부재;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1 래크 바아 및 제2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는 제1 피니언부재;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회전 중심축을 가지면서 상기 제3 래크 바아 및 제4 래크 바아 사이에서 상기 제3 및 제4 래크 바아와 치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이 중심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피니언부재를 포함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의 상기 제1 지지홈에는 상기 상부 건몸체와 상기 상부팁 사이의 연결 틈새에 끼워지는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의 상기 제2 지지홈에는 상기 하부 건몸체와 상기 하부팁 사이의 연결 틈새에 끼워지는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는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및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홈이 각각 형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및 하부팁 드롭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면에는 상기 각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가이드 바아가 각각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는 상기 제2 지지홈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제2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는 상기 제1 지지홈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3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2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제4 래크 바아가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와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상기 제1 바이어스부재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박스를 더욱 포함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박스는 상단부가 개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와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상기 제2 바이어스부재의 상하 왕복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박스를 더욱 포함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박스는 하단부가 개방되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니언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중심축이 그 중심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니언부재는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이 그 중심 방향에서 편심 이동되도록 하는 편심 축공을 가진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제2 회전 중심축의 편심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는 스폿 용 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부팁 드롭부재의 제1 지지홈에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상부 건몸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팁 드롭부재의 제2 지지홈에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하부 건몸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홈이 형성되는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KR1020070105518A 2007-10-19 2007-10-19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KR10125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18A KR101251493B1 (ko) 2007-10-19 2007-10-19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18A KR101251493B1 (ko) 2007-10-19 2007-10-19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87A true KR20090039987A (ko) 2009-04-23
KR101251493B1 KR101251493B1 (ko) 2013-04-05

Family

ID=4076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518A KR101251493B1 (ko) 2007-10-19 2007-10-19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4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268B1 (ko) * 2012-08-30 2014-08-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극 팁 교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용접 설비
CN106457454A (zh) * 2014-05-19 2017-02-22 崔光述 焊接机的焊嘴替换及供给装置
KR20190024927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KR20190024929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KR20190024928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17B1 (ko) * 2019-08-21 2020-02-11 대우공업 (주)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102B1 (ko) 2001-07-1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봇 용접기의 팁 교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268B1 (ko) * 2012-08-30 2014-08-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극 팁 교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용접 설비
CN106457454A (zh) * 2014-05-19 2017-02-22 崔光述 焊接机的焊嘴替换及供给装置
CN106457454B (zh) * 2014-05-19 2020-01-17 崔光述 焊接机的焊嘴替换及供给装置
KR20190024927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KR20190024929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KR20190024928A (ko) * 2019-02-21 2019-03-08 주식회사 호원 용접팁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493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493B1 (ko)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EP1598145B1 (en) Column moving type machine tool with shield machining space
US8308621B2 (en) Multi-spindle machining machine with tool changing mechanism
US20190054514A1 (en) Rotary stamper
CA2971758C (en) Rotary changer
CN210587997U (zh) 一种法兰与外壳组装设备
CN104162571A (zh) 一种滤清器螺纹盖板全自动落料机
CN210817255U (zh) 一种连杆交叉臂总成的压铆装置
CN217122994U (zh) 合页组装治具
CN214444496U (zh) 一种带排式刀库可自动换刀的数控六面钻铣加工中心
CN211966558U (zh) 互锁式多压头压机
CN110842064A (zh) 一种气动小u弯管机
CN217427918U (zh) 定子开闭移动机构
CN111515595A (zh) 一种碰焊机器人
CN110893556B (zh) 一种多功能铣床及其控制方法
CN217740378U (zh) 一种带有新型轨迹移位上料机构的组装机
CN220739811U (zh) 加工木质工艺品用激光雕刻机
CN220050466U (zh) 一种机械零部件加工切割装置
CN210523654U (zh) 引导机构及装配系统
CN214773712U (zh) 注塑模具
CN211052397U (zh) 万能弹簧机及其滑座组件
CN204686221U (zh) 高精度大径伺服进给攻丝动力头
CN217194116U (zh) 夹持装置
CN211161693U (zh) 万能弹簧机及其滑座组件
CN219344432U (zh) 一种汽车玻璃升降器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