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917B1 -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3917B1 KR102063917B1 KR1020190102184A KR20190102184A KR102063917B1 KR 102063917 B1 KR102063917 B1 KR 102063917B1 KR 1020190102184 A KR1020190102184 A KR 1020190102184A KR 20190102184 A KR20190102184 A KR 20190102184A KR 102063917 B1 KR102063917 B1 KR 102063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tip
- welding tip
- welding
- link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일측에 용접장치에 결합된 용접팁 일측이 삽입배치되는 제1 분리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분리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 분리홈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측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후방이동되는 제1 핀부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방으로 동반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2 핀부와,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일측에 용접건 생크에 결합된 상기 용접팁의 단부 일측이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면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의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는 이동영역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폿용접기는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국부용접기로서, 보통 C타입 또는 X타입 등의 용접건(gun)이 로봇에 장착된 형태로 제공되며, 용접건의 선단부, 즉 용접건 중 용접팁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생크(shank)가 서로 근접 또는 이격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폿용접기는 피용접물, 예컨데 강판을 한 쌍의 용접팁 사이에 배치하고, 한 쌍의 용접팁이 강판 중 용접하고자 하는 일측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통전되어 저항열에 의해 피용접물을 녹여서 용접한다.
여기서, 용접팁은 스폿용접과정에서 팁 단부에 산화피막이 형성되거나 열화에 의해 그 외형이 변형되어, 계속적인 사용 시 용접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정기적으로 팁 단부를 깍아내는 드레싱 공정을 행하여 산화피막을 제거하거나 외형 복원을 수행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드레싱 공정으로 인해 용접팁이 설정된 길이 이하로 작아지게 되면 용접작업이 곤란하므로 새로운 용접팁으로 교체되며, 이 과정에서 쌩크로부터 용접팁을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기존에는 용접팁 교체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스폿용접 팁 체인저가 개발되어 용접팁의 교체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용접팁 교체작업은 크게 쌩크로부터 용접팁을 분리하는 분리공정과, 쌩크에 새로운 용접팁을 결합하는 결합공정으로 이루지는데, 팁 체인저는 용접팁을 분리하는 용접팁 분리장치와, 쌩크에 새로운 용접팁을 공급하는 팁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접팁 분리작업과, 새로운 용접팁 결합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용접팁 분리장치는 지그를 이용하여 용접팁의 외측면을 파지한 후 이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용접팁을 분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는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00)는 본체(미도시)와, 본체(미도시)의 일측에 본체(미도시)의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미도시)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크에 결합된 용접팁(T)의 측부를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블럭(110) 및 다수의 파지블럭(11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계(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00)는 다수의 파지블럭(110) 사이에 분리하고자 하는 용접팁(T)을 배치하면, 다수의 파지블럭(110)이 본체(미도시)의 내측방향, 즉 용접팁(T)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접팁(T)의 측부를 파지하고, 용접건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T)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00)는 용접팁(T)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블럭(110)의 구동거리 및 파지블럭(110)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 벨트 등을 포함하는 구동계(120) 구성의 설치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크기가 요구되는 바 이로 인해 장비가 대형화될 뿐 아니라 복잡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00)는 생크가 용접팁(T)을 지지하는 지지력의 임계점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용접건에 상당한 부하가 걸린 직후 용접팁(T)이 생크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용접건에 가해진 부하가 해제되면서 용접건이 크게 요동치게 되므로 용접팁(T) 분리작업시에는 상당한 공간의 안전영역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용접건을 지지하는 외팔보 타입의 로봇암의 경우 용접팁(T) 분리시 가해지는 부하에 의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누적되면서 내구수명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일측에 용접장치에 결합된 용접팁 일측이 삽입배치되는 제1 분리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분리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 분리홈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측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후방이동되는 제1 핀부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방으로 동반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2 핀부와,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일측에 용접건 생크에 결합된 상기 용접팁의 단부 일측이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면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의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는 이동영역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핀부는 타단부에 롤러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부에 상기 제1 핀부 및 상기 제2 핀부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면 중 상기 각 제1 핀부 타단부의 이동영역과 대응되는 양측부 일측에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면 양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부의 요철형상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크로부터 용접팁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2는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핀부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철부에 의해 제2 핀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플레이트를 단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상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의 단면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핀부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철부에 의해 제2 핀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플레이트를 단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상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의 단면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는 본체(10)와,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와, 탄성부재(40)와, 링크부재(50)와, 제1 핀부(60)와, 제2 핀부(70) 및 상하이동력제공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작업현장의 설치대상영역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며, 상단부에 후술하는 각 구성이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플레이트(20)는 대략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0)의 상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 일측에 용접건 생크에 결합된 용접팁 일측이 삽입배치되는 제1 분리홈(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20)는 후술하는 링크부재(5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본체(10)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1 핀부(60)의 일측를 지지하여 제2 핀부(70)가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플레이트(30)는 제1 플레이트(20)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 일측 중 제1 분리홈(21)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 분리홈(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30)는 제2 분리홈(31)이 형성된 내면 일측에 걸림부(32)가 돌출형성되고, 용접건 생크에 결합된 용접팁의 단부가 걸림부(32)에 지지되어 제2 핀부(7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0)는 제2 플레이트(30)의 상면과 본체(10)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플레이트(30)의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방으로 이동된 제2 플레이트(30)에 제2 핀부(7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2 플레이트(30)가 초기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링크부재(5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가 제1 플레이트(20) 측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본체(10)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기울어지면서 후술하는 제1 핀부(60) 및 제2 핀부(70)에 이동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여 제2 핀부(70)가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링크부재(50)는 한 쌍이 제1 플레이트(20)의 양측방에 배치되고, 각각 후술하는 제1 핀부(60) 및 제2 핀부(70)를 지지함으로써 제2 플레이트(30)의 상하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핀부(60)는 일단부가 링크부재(50)의 선단부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링크부재(50)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핀(61)과, 제1 지지핀(61)의 타단부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플레이트(20)의 상면 측부에 지지되는 제1 롤러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핀부(70)는 일단부가 링크부재(50)의 선단부 중 제1 핀부(6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링크부재(50)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핀(71)과, 제2 지지핀(71)의 타단부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부재(5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2 롤러부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한 제1 핀부(60) 및 제2 핀부(70)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핀부(60)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20)는 상면 중 양측부 영역, 즉 제1 핀부(6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영역에 요철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한 요철부(22)는 제1 핀부(60)의 제1 롤러부재(62)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20)는 링크부재(5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핀부(60)의 제1 롤러부재(62)가 상면 양측부 영역에 지지된 상태로 후방 이동하는 경우 제1 롤러부재(62)의 이동로 상에 형성된 요철부(22)에 의해 제1 핀부(60)가 후방이동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플레이트(20)는 요철부(22)를 통해 제1 핀부(60)를 상하 요동시키고, 이에 제2 핀부(70)가 상하방향으로 동반 요동하면서 제2 플레이트(3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제2 플레이트(30)에 의해 용접팁이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여 용접팁의 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하이동력제공수단(80)은 일반적인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린더본체(81)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로드(82)의 단부가 한 쌍의 링크부재(50) 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축 중앙에 연결되어 한 쌍의 링크부재(50)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핀부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도5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철부에 의해 제2 핀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플레이트를 단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의 전방으로부터 용접건이 근접하여 생크에 결합된 용접팁이 제1 분리홈(21) 및 제2 분리홈(31) 내에 배치되도록 하되, 생크에 결합된 용접팁 단부가 걸림부(32)에 지지되도록 배치한다.
다음, 상하이동력제공수단(80)의 실린더로드(82)가 상승하면, 링크부재(5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링크부재(50)가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제1 플레이트(20)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부재(50)의 선단부에 결합된 제1 핀부(60)가 제1 플레이트(20)의 상면 측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링크부재(50)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2 핀부(70)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제2 핀부(70)가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1 핀부(60)가 제1 플레이트(20)의 상면 측부에 지지된 상태로 링크부재(50) 선단부의 이동동작에 따라 제1 플레이트(20)의 후방으로 동반 이동하는 경우 요철부(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이동하고, 제2 핀부(70) 또한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반복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는 생크가 용접팁을 지지하는 지지력의 임계점 이전에 제2 핀부(70)에 의해 제2 플레이트(30)가 용접팁을 단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용접팁이 생크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상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의 단면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8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용접팁 분리공정시 용접팁의 튐현상을 보다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플레이트(20) 상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22)의 요철형상이 교대로 형성되는 바 제1 핀부(60)가 요철부(2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플레이트(20)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2 핀부(70)가 교대로 제2 플레이트(30)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 플레이트(30)가 상하방향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요동된다.
즉, 제2 플레이트(30)가 용접팁을 생크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30)가 상하 요동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요동되도록 하여 용접팁의 상하좌우를 반복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용접팁의 분리동작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제1 플레이트
21 : 제1 분리홈 22 : 요철부
30 : 제2 플레이트 31 : 제2 분리홈
32 : 걸림부 40 : 탄성부재
50 : 링크부재 60 : 제1 핀부
61 : 제1 지지핀 62 : 제1 롤러부재
70 : 제2 핀부 71 : 제2 지지핀
72 : 제2 롤러부재 80 : 상하이동력제공수단
81 : 실린더본체 82 : 실린더로드
21 : 제1 분리홈 22 : 요철부
30 : 제2 플레이트 31 : 제2 분리홈
32 : 걸림부 40 : 탄성부재
50 : 링크부재 60 : 제1 핀부
61 : 제1 지지핀 62 : 제1 롤러부재
70 : 제2 핀부 71 : 제2 지지핀
72 : 제2 롤러부재 80 : 상하이동력제공수단
81 : 실린더본체 82 : 실린더로드
Claims (3)
-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일측에 용접장치에 결합된 용접팁 일측이 삽입배치되는 제1 분리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분리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 분리홈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측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후방이동되는 제1 핀부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방으로 동반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2 핀부와;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일측에 용접건 생크에 결합된 상기 용접팁의 단부 일측이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면 일측 중 상기 제1 핀부의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는 이동영역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는 타단부에 롤러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선단부에 상기 제1 핀부 및 상기 제2 핀부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면 중 상기 각 제1 핀부 타단부의 이동영역과 대응되는 양측부 일측에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면 양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부의 요철형상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184A KR102063917B1 (ko) | 2019-08-21 | 2019-08-21 |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184A KR102063917B1 (ko) | 2019-08-21 | 2019-08-21 |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3917B1 true KR102063917B1 (ko) | 2020-02-11 |
Family
ID=6956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184A KR102063917B1 (ko) | 2019-08-21 | 2019-08-21 |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391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55101A (ja) * | 2008-04-14 | 2009-11-05 | Obara Corp | 溶接用電極チップの取り外し装置 |
KR101251493B1 (ko) * | 2007-10-19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
KR101524252B1 (ko) * | 2014-10-17 | 2015-05-29 | 이주영 | 스폿용접건의 팁 교체장치 |
KR20150078783A (ko) * | 2013-12-31 | 2015-07-08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
KR101761143B1 (ko) | 2016-10-07 | 2017-07-25 |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 스팟용접기용 팁체인저 |
KR101938567B1 (ko) | 2017-08-07 | 2019-01-15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폿용접기의 용접팁 교환장치 |
-
2019
- 2019-08-21 KR KR1020190102184A patent/KR1020639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493B1 (ko) * | 2007-10-19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폿 용접건용 용접팁 탈거장치 |
JP2009255101A (ja) * | 2008-04-14 | 2009-11-05 | Obara Corp | 溶接用電極チップの取り外し装置 |
KR20150078783A (ko) * | 2013-12-31 | 2015-07-08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
KR101524252B1 (ko) * | 2014-10-17 | 2015-05-29 | 이주영 | 스폿용접건의 팁 교체장치 |
KR101761143B1 (ko) | 2016-10-07 | 2017-07-25 |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 스팟용접기용 팁체인저 |
KR101938567B1 (ko) | 2017-08-07 | 2019-01-15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폿용접기의 용접팁 교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733B1 (ko) | 스폿용접용 클램핑 지그 | |
KR101256803B1 (ko) |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 |
KR101044089B1 (ko) | 장방향 스폿 용접장치 | |
KR101331424B1 (ko) |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 |
KR101916256B1 (ko) | 용접소재 지지장치 | |
JP2017018976A (ja) | 水平型自動溶接装置 | |
KR20140024566A (ko) | 스폿 용접장치 | |
JP2021065935A (ja) | 溶接機および関連する方法 | |
KR102063917B1 (ko) |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 |
US9656342B2 (en) | Apparatus for replacing welding tip for spot welding | |
JP2017020569A (ja) | バイメタルねじ用ブランク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 |
KR101658843B1 (ko) | 스폿 용접용 용접팁 탈거장치 | |
JPH0557433A (ja) | パネル用ワークの自動溶接研削装置 | |
JP6251913B2 (ja) | ドロス除去装置 | |
CN211991368U (zh) | 一种烧烤网双工位自动焊接机 | |
KR900000800B1 (ko) | 마모 슈우그로서의 재생 용접 장치 | |
KR101649118B1 (ko) |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 |
CN212734603U (zh) | 一种螺母点焊设备 | |
CN211052805U (zh) | 一种平面上多个螺母自动焊接机 | |
JPS6322933B2 (ko) | ||
JP3844287B2 (ja) | 抵抗溶接機 | |
JP4245540B2 (ja) | ハンディ式キャップチップ取外し装置 | |
RU2765959C1 (ru) | Машина подвесная для стыковой сварки рельсов | |
KR101331425B1 (ko) | 레이저 용접용 핸들링 장치 | |
GB2172232A (en) | Automatic weld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