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086A - 과실봉지 - Google Patents

과실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086A
KR20090039086A KR1020070104519A KR20070104519A KR20090039086A KR 20090039086 A KR20090039086 A KR 20090039086A KR 1020070104519 A KR1020070104519 A KR 1020070104519A KR 20070104519 A KR20070104519 A KR 20070104519A KR 20090039086 A KR20090039086 A KR 20090039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ruit
woven
inner bag
chemical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규
최상열
Original Assignee
김병규
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규, 최상열 filed Critical 김병규
Priority to KR102007010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086A/ko
Publication of KR2009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봉지에 관한 것으로,
과실봉지의 겉봉지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과실봉지를 만들어 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이와같이 만들어진 과실봉지를 사용하여 과실을 감싸면,
부직포봉지가 과실꼭지를 부드럽고 완벽하게 조여주게 되므로 과실꼭지부분이 너무 꽉조여져 과실의 생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과실꼭지 부분에 상처가 생겨 과실이 떨어지는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게 되며,
과실꼭지부분의 밀폐력이 뛰어나 과실꼭지나 부직포봉지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의 침투가 어려워 병충해가 방지되며,
농약살포시 또는 우천시 농약이나 빗물이 과실봉지 내로 침투하게 되더라도 수분 흡수 및 배수가 뛰어난 부직포봉지를 타고 곧바로 봉지외부로 배출되므로 농약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고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 등의 번식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겉봉지내부의 인쇄잉크가 수분에 의해 탈색되면서 과실표면에 묻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과실봉지 안쪽에 부드럽고 질겨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난 부직포봉 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도보강으로 각종 조류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며 우박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충격이 흡수되어 낙과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은 물론 서리가 내려도 과실의 피해가 적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한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겉봉지와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속봉지로 이루어지는 과실봉지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고 표면에 기모층이 형성되어 촉감이 매우 부드럽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과실봉지{Fruit paper bag}
본 발명은 과실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봉지의 겉봉지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과실봉지를 만들어 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과실봉지를 사용하여 과실을 감쌀시 부직포봉지가 과실꼭지를 부드럽고 완벽하게 조여주어 과실꼭지 부분에 상처가 생겨 과실이 떨어지는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도록 하며,
과실꼭지 및 과실꼭지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봉지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병충해가 방지되도록 하며,
농약이나 빗물이 과실봉지 내로 침투하게 되더라도 발수성이 뛰어난 부직포봉지를 타고 곧바로 봉지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농약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고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 등의 번식이 방지되도록 함은 물론,
겉봉지내부의 인쇄잉크가 수분에 의해 탈색되면서 과실표면에 묻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없도록 하며,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난 부직포봉지에 의해 각종 조류 및 침나방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며 우박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충격이 흡수되어 낙과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하여 보다 양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과실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실의 재배에 있어서는 미성숙된 어린과실때부터 완전히 성숙될 때까지 종이재로된 과실봉지를 씌워서 이를 보호토록 하였는바,
이와같은 과실에 씌워진 과실봉지는 대부분 종이재로 되어 있어 수분에 매우 취약하기때문에 생장초기의 어린과실로부터 완전히 성숙되기까지 장기간동안 폭우, 서리 또는 우박등의 기상이변에 대해 견디는 힘이 약해 쉽게 찢어지거나 구멍이 뚫려 못쓰게 되었으며, 과실의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찾아든 각종 조류가 부리로 쪼거나 각종 벌레와 같은 해충들이 갉아 먹거나 하면 아주 손쉽게 구멍이 뚫리게 됨은 물론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물과 함께 섞어서 살포하는 농약등이 종이재에 그대로 흡수되어 과실에 과다하게 농약이 살포됨으로 인한 농약검출에 따른 일반소비자의 피해등이 발생하는등 과실을 보호하고자 하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종이재로 만든 과실봉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상기 종이재 표면에 방수액을 분사하여서된 원단지를 이용 과실봉지를 만들어 수분이나 농약의 침투를 얼마간 이나마 방지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또한,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분이나 농약의 흡수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없었음은 물론 각종 조류나 해충들에게도 견디는 힘이 부족하여 대응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종래의 과실봉지로 과실꼭지를 감싸게되면 과실꼭지부분이 너무 꽉조여져 과실의 생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과실꼭지 부분에 상처가 생겨 과실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과실꼭지부분의 밀폐력이 뛰어나지 못하여 과실꼭지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이 손쉽게 침투하여 병충해로 부터 안전하지 못하였으며,
상기 방수액에는 별다른 기능성제제들이 첨가된 것들이 아니어서 고온다습한 자연환경에서 오는 곰팡이의 번식이나 기타 조류나 동물 또는 파충류 및 그 밖의 자연환경에서 오는 각종 균이나 해충들의 봉지 내 침입 및 봉지자체의 오염,변질,훼손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겉통지내부에 인쇄된 인쇄잉크가 수분에 의해 탈색되면서 과실표면에 묻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과실봉지의 겉봉지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과실봉지를 만들어 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이와같이 만들어진 과실봉지를 사용하여 과실을 감싸면 부직포봉지가 과실꼭지를 부드럽고 공기가 통할 수 있으면서도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조여주게 되므로 과실꼭지부분이 너무 꽉조여져 과실의 생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과실꼭지 부분에 상처가 생겨 과실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게 되며,
과실꼭지부분의 밀폐력이 뛰어나 과실꼭지 및 과실꼭지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봉지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의 침투가 어려워 병충해가 방지되며,
농약살포시 또는 우천시 농약이나 빗물이 과실봉지 내로 침투하게 되더라도 발수성이 뛰어난 부직포봉지를 타고 곧바로 봉지외부로 배출되므로 농약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고 수분으로 인한 이상기온상승 및 곰팡이 등의 번식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겉봉지내부의 인쇄잉크가 수분에 의해 탈색되면서 과실표면에 묻어 상품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과실봉지 안쪽에 질기고 부드러워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나고 단 열,보온력이 뛰어난 부직포봉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도보강으로 각종 조류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며 우박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충격이 흡수되어 낙과율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되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직포 제조용 장,단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봉지를 제조할 시 방향제, 탈취제, 살균제, 항균제, 방부제와 같은 기능성조성물을 스프레이나 딥핑과 같은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경화시켜서 표면에 기능성조성물층을 형성한 부직포봉지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섬유표면에 도포된 기능성조성물의 장기적인 효과지속으로 방향, 탈취, 살균, 항균, 방부, 정화작용에 의해 과실의 곰팡이 및 병충해 방지효과를 더욱 증진시켜주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겉봉지와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속봉지로 이루어지는 과실봉지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와같은 본 발명의 과실봉지를 사용하여 과실을 감싸면, 부직포봉지가 부드럽게 절곡되면서 과실꼭지를 부드럽고 완벽하게 조여 주므로 과실꼭지부분이 너무 꽉조여져 과실의 생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과실꼭지 부분에 상처가 생겨 과실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다.
그리고, 부직포봉지가 과실꼭지 외면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되므로 밀폐력이 뛰어나 과실꼭지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병충해가 방지된다.
또한, 농약을 살포하거나 우천시에 농약이나 빗물이 과실꼭지를 타고 흘러내려 과실봉지 내로 침투하게 되더라도 수분 흡수 및 배수가 뛰어난 부직포봉지를 타고 곧바로 봉지외부로 배출되므로 농약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하고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 등의 번식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겉봉지내부의 인쇄잉크가 탈색되면서 과실표면에 묻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전혀 없다.
또한, 과실봉지 안쪽에 형성되는 부직포봉지가 부드럽고 질겨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강도가 보강되어 각종 조류가 부리로 쪼아도 과실에 쉽게 상처가 생기지 않게 되며, 우박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부직포봉지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낙과율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한편, 상기 부직포봉지 표면에 방향제, 탈취제, 살균제, 항균제, 방부제와 같은 기능성조성물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기능성조성물층의 장기적인 효과지속으로 방향, 탈취, 살균, 항균, 방부, 정화작용에 의해 과실의 곰팡이 및 병충해 방지효과가 더욱 증진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부직포봉지의 일부면 또는 전체면에 세로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실을 수확하기 위해서 과실봉지를 제거하고자 과실봉지를 양측으로 잡아 당기면 부직포봉지에 형성된 절취선들이 벌어지면서 손쉽게 찢어지게 되므로 과실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과실봉지의 제거 또한 매우 간편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과실봉지를 사용하게 되면 병충해가 거의 없고 당도와 영양가가 높으며, 손상되지 않은 무공해에 가까운 최상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과실봉지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겉봉지(10)와 겉봉지(10)내에 형성되어지는 속봉지(20)로 이루어지는 과실봉지(100) 내에 다양한 소재의 부직포제조용 장,단섬유를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질기고 촉감 및 유연성이 좋으며 통기성, 여과성,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부직포봉지(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겉봉지(10)와 속봉지(20) 그리고 부직포봉지(30)는 각각 측면접 착풀(10a)(20a)(30a)로 접착되어 봉지형태로 제조되며, 이들은 각각 또다른 접착풀(10b)(30b)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접착되어 진다.
그리고, 겉봉지(10)는 내면에 통상적으로 검정색의 인쇄잉크가 도포되어 있으며, 속봉지(20)는 방수코팅 되어 있고 상기 겉봉지(10)내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지며, 상기 부직포봉지(30)는 상기 겉봉지(10)와 속봉지(20)사이 또는 속봉지(20)와 송봉지 사이 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데,
부직포봉지(30)는 기본적으로 촉감 및 유연성이 뛰어나고, 통기성 및 여과성이 뛰어나야 하며, 발수성이 좋아야 하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부직포 제조용 장,단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시 방향제, 탈취제, 살균제, 항균제, 방부제와 같은 기능성조성물을 스프레이나 딥핑과 같은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경화시켜서 표면에 기능성조성물층(미도시)을 형성하여서된 부직포봉지(30)를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봉지(30)의 일부면 또는 전체면에 세로방향으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절취선(31)을 형성하여서 구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미설명부호 (11)은 겉봉지(10) 하부의 밑면이고, (11a)는 밑면을 접착하는 밑면 접착풀이며, (12)는 공기 및 수분이 배출되는 통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과실봉지(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를 사용하여 과실(200)을 감싸면,
부직포봉지(30)가 부드럽게 절곡되면서 과실꼭지(200a)를 부드럽고 완벽하게 조여 준다.
따라서, 과실꼭지(200a) 부분에 상처가 생기거나 과실꼭지(200a)부분이 너무 꽉조여져 과실(200)이 부실하게 생장하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부직포봉지(30)가 과실꼭지(200a) 외면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되므로 밀폐력이 뛰어나 과실꼭지(200a)를 통해 먼지나 유해균 및 유해해충의 침투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농약살포시 또는 우천시 농약이나 빗물이 과실꼭지(200a)를 타고 흘러내려 과실봉지(100) 내로 침투하게 되더라도 수분 흡수 및 배수가 뛰어난 부직포봉지(30)를 타고 곧바로 과실봉지(100) 외부로 배출 된다.
그러는 한편, 과실봉지(100) 안쪽에 형성되는 부직포봉지(30)가 부드럽고 질겨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강도가 보강되어 각종 조류가 부리로 쪼거나 침나방이 침을 놓고자 하여도 과실(200)에 쉽게 상처가 생기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우박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부직포봉지(30)가 표면에 기모층이 형성되어 촉감이 매우 부드럽고 충격흡수력이 뛰어나므로 충격이 흡수되어 낙과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서리가 내리는 등의 추위에도 견디는 힘이 강하다.
그러는 한편, 상기 부직포봉지(30) 표면에 방향제, 탈취제, 살균제, 항균제, 방부제와 같은 기능성조성물을 스프레이나 딥핑과 같은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경화시켜서 기능성조성물층(미도시)을 형성한 경우에는 부직포 섬유표면에 도포된 기능성조성물의 장기적인 효과지속으로 방향, 탈취, 살균, 항균, 방부, 정화작용에 의해 과실의 곰팡이 및 병충해의 방지효과를 더욱 증진시켜 주게 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봉지(30)의 일부면 또는 전체면에 세로방향으로 절취선(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실(200)을 수확하기 위해서 과실봉지(100)를 제거하고자 할시 상기 과실봉지(100)를 양측으로 잡아 당기면 부직포봉지(30)에 형성된 절취선(31)들이 벌어지면서 찢어지게 되므로 과실봉지(100)의 제거 또한 매우 간편하게 된다.
도1a,도1b,도1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1a는 일부 전개 상태도.
도1b는 조립상태도.
도1c는 단면예시도.
도2는 본 발명 과실봉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겉봉지 10a,10b,11a,20a,30a,30b:접착풀
11:밑면 12:통공
20:속봉지 30:부직포봉지
31:절취선 100:과실봉지
200:과실 200a:과실꼭지

Claims (5)

  1. 겉봉지(10)와 겉봉지(10)내에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봉지(20)로 이루어지는 과실봉지(100)에 있어서,
    상기 과실봉지(100) 내부에 부직포제조장치(미도시)로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한 부직포봉지(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봉지(30)는 겉봉지(10)와 속봉지(20)사이 또는 속봉지(20)가 여러겹일 경우에는 속봉지(20)와 속봉지(20)사이 중 어느 한곳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봉지(30)는 기본적으로 촉감 및 유연성이 뛰어나고, 통기성 및 여과성이 뛰어나며, 발수성이 좋고, 내화학성,내약품성과 단열 및 보온력이 좋게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봉지(30)는 제조시 방향제, 탈취제, 살균제, 항균제, 방부제와 같은 기능성조성물을 스프레이나 딥핑과 같은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열처 리하여 경화시켜서 표면에 기능성조성물층(미도시)을 형성한 부직포봉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봉지(30)는 일부면 또는 전체면에 절취선(31)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KR1020070104519A 2007-10-17 2007-10-17 과실봉지 KR20090039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19A KR20090039086A (ko) 2007-10-17 2007-10-17 과실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19A KR20090039086A (ko) 2007-10-17 2007-10-17 과실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086A true KR20090039086A (ko) 2009-04-22

Family

ID=4076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519A KR20090039086A (ko) 2007-10-17 2007-10-17 과실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0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7752A (zh) * 2010-09-14 2011-02-09 青岛农业大学 果袋专用无纺布的生产工艺配方
KR200470814Y1 (ko) * 2012-04-16 2014-01-10 임정혁 보온성 및 포장성을 갖는 농작물 포대
KR20160003120U (ko) 2015-03-06 2016-09-19 이성근 곡물용 가림망의 설치장치
KR20160003119U (ko) 2015-03-06 2016-09-19 이성근 곡물용 가림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7752A (zh) * 2010-09-14 2011-02-09 青岛农业大学 果袋专用无纺布的生产工艺配方
CN101967752B (zh) * 2010-09-14 2012-11-07 青岛农业大学 果袋专用无纺布的生产工艺配方
KR200470814Y1 (ko) * 2012-04-16 2014-01-10 임정혁 보온성 및 포장성을 갖는 농작물 포대
KR20160003120U (ko) 2015-03-06 2016-09-19 이성근 곡물용 가림망의 설치장치
KR20160003119U (ko) 2015-03-06 2016-09-19 이성근 곡물용 가림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9086A (ko) 과실봉지
US9775335B2 (en)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with peel and stick mosquito treatment of containers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JP2004236656A (ja) 保護カバー
JP2008100920A (ja) 害虫駆除材
KR101348879B1 (ko)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200185731Y1 (ko) 숯가루가 첨가된 과실보호용 봉투
KR20020015369A (ko) 나무 붕대
KR200258402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JP2006112017A (ja) 包み袋
KR200450252Y1 (ko)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밴드
CN216315006U (zh) 一种树木病虫害防护条
CN2521894Y (zh) 水果生长用保护袋
JP3086413U (ja) 果物保護袋用合成樹脂積層フィルム
KR200474556Y1 (ko) 수간 천공성 해충 방제커버
KR20160022606A (ko) 과실봉지
KR200431914Y1 (ko) 해충 구제 장치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CN106941985A (zh) 一种麻纤维水果套袋
JP3850222B2 (ja) 農作物の保護材
KR200308338Y1 (ko) 과실보호용 커버
AU2004289067A1 (en) Plant protection device
CN2524486Y (zh) 水果生长用保护袋
KR20170047069A (ko) 과일보호용 봉지
KR20010036503A (ko) 숯가루가 첨가된 과실보호용 봉투원단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