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338Y1 - 과실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과실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338Y1
KR200308338Y1 KR20-2003-0000340U KR20030000340U KR200308338Y1 KR 200308338 Y1 KR200308338 Y1 KR 200308338Y1 KR 20030000340 U KR20030000340 U KR 20030000340U KR 200308338 Y1 KR200308338 Y1 KR 200308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uit
base material
in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스창
Original Assignee
샤오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오스창 filed Critical 샤오스창
Priority to KR20-2003-0000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과실에 대해서 성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며 또한 상품 과실의 판매용 포장재로도 사용된다. 본 고안은 기재에 기재와 대칭되는 모양의 상재를 덧씌우므로써 커버본체가 형성된다.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부가 설치되며 커버입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한개 또는 여러개의 융착부가 사선으로 설치되므로써 기재 및 상재가 결합되어 한 변에 입구가 있는 커버로 형성된다. 기재 및 상재 또는 이들 중의 한개 커버의 재질은 통기성, 방수성 및 뛰어난 강인성을 갖춘 다층 접합 부직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실보호용 커버 {Cover for protecting fruitage}
본 고안은 과실보호용 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실에 대해서성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며 또한 익은 과실의 판매용 포장으로도 사용되는 항균성, 통기성 및 방수성 특성을 갖춘 과실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의 생산품질을 유지하고, 병충해, 조류 및 들짐승들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는 동시에 강렬한 햇볕 및 빗물 침입을 적당히 차단하므로써 과실의 성장발육을 촉진함으로써 과실의 외관품질을 제고하여 과실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과농들은 과실의 성장기에 과실외부에 보호용 커버를 씌우고 있다. 그리고, 과실이 익은 후에는 과실줄기를 잘라낸 다음 과실에 씌워진 보호용 커버를 일일이 벗겨내어 새로운 포장재를 씌운 후 시장에 판매하여 왔다.
이와 같이 볼 때, 과실보호용 커버의 품질이 과실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오늘날의 농산품 품질 향상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편리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일찍이 농민들은 통상, 얇은 종이로 만든 씌우개로 과실보호용 커버를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커버는 환경보호에는 유리하지만 내습성이 약함으로 병충해 및 조류로부터의 피해를 막을 수 없으며 소모율이 높다. 또한 종이커버를 씌운 후 항상 과일갓이나 기타 재질의 가리개를 씌워야 하기에 관리요원을 증가시키며 생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이밖에도 지구의 삼림자원이 날로 줄어짐에 따라 향후 종이커버의 원가는 점점 높아질 것이다.
이에 일부 농민들은 플라스틱(합성수지) 재료로 만든 커버를 과실보호용 커버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 커버는 종이 커버에 비해 내구성은 강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상 커버의 밀폐성으로 인해 공기가 통하지 않기에 커버 내에 수분이 응집하여 과실이 잔액의 침입에 의해 손상되거나 썩기가 일쑤였다. 심지어 일찍 낙과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상기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근년 들어 일부 농민들은 고밀도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등 플라스틱을 원료로, 편직을 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인 처리에 의하여 접착시켜 만든 부직포를 과실보호용 커버의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부직포는 유연성, 통기성 및 가벼운 특성이 있기에 받침 장치가 필요없다. 따라서 부직포 재질의 과실보효용 커버의 사용을 통해서 보온, 성에 방지, 병충해 예방, 조류 습격 방지, 방풍 및 방열 등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과실 재배 및 수확 과정을 통해서 부직포 재질의 과실보호용 커버는 과실 성장기에 있어서 과실에 대해 훌륭한 보호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과실보호용 커버에 비해 재료비 및 제작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방수가 안되기에 과실이 빗물의 침입에 의해 썩을 염려가 있다. 이밖에도 그 재질이 질기기 때문에 과실 수확 후 커버를 벗겨내기가 쉽지 않으므로 시간 및 인력 낭비 폐단이 따른다. 또한 부주의로 인해 과실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판매 및 유통 과정에서의 비용이 증가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다년간 농업생산 분야에 종사해오면서 축적한 경험과 상기의 흔히 사용하는 과실보호용 커버의 결함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및 수차례의 실험을 바탕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과실보호용 커버를 고안해 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과실에 대해서 성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품 과실의 판매용 포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과실보호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항균성, 통기성 및 방수성을 특성으로 하는 다층 접합 부직포를 토대로, 내고온성 및 투명성을 특성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PP) 박막을 창구(윈도우)로 하며 양자를 가장자리에 따라서 열융착법을 이용하여 한 변에 입구가 있는 커버로 결합시킨다. 커버입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한개 또는 여러개의 융착부를 사선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과실보호용 커버는 과실에 대해서 성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바로 상품 과실의 판매용 포장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커버 제거 및 재포장의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접촉으로 인한 과실에 대한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과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을 과실의 줄기에 동여맨 사용상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6은 도5의 덮개부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덮개부를 커버입구에 뒤집어 씌운 입체 외관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입체 외관도이다.
도9는 도8의 커버본체 측변의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
커버본체 A, 기재 1, 상재 2, 융착부 3, 커버입구 4, 융착부 5, 연성 철사 6, 덮개 14, 측변 141
이하, 본 고안의 기타 목적 및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커버본체(A)는 외형이 대칭되는 한조의 박막형 기재(1) 및 그 위를 덮는 상재(2)로 구성된다.
기재(1)의 재료는 항균성, 통기성 및 방수성을 특성으로 하는 다층 접합 부직포(Nonwoven Fabric)이다(이러한 부직포는 2층 이상의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갖는 포막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SMS, SMMS 등의 복합 부직포는 공극이 비교적 큰 고강도의 장섬유로 제작된 부직포 사이에, 한층 또는 두층의 공극이 치밀한 단섬유로 제작된 부직포를 끼운 후 열융착 수단을 통해 일체로 접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다층접합 부직포는 그 강인성이 배가되기 때문에 조류 및 벌레로부터의 피해, 산화에 따른 커버의 균열 등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층 부직포의 공극이 교차하여 배열되므로써 전체적인 섬유 사이의 공극이 매우 치밀하고 고르게(공극 크기가 약 10㎛ 이하임) 배열되기 때문에 물안개(약 100㎛) 및 물방울(약 500㎛ 이상)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본체(A)는 항균성, 방수성 및 통기성 기능을 갖게 된다.
통상, 상재(2)의 재료는 상기의 기재(1)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단, 특별한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 재료를 상재(2)의 재료로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성 및 내고온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막을 채택하므로써 창구(윈도우) 역할을 할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한다. 또한 일부 과실의 특별 수요에 따라서는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 재료의 표면에 안개화처리 또는 어두운 색상(예; 검정색, 회색)의 도료를 칠하여 햇빛을 차단하므로써 과실의 색상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상재(2)를 기재(1)에 덮은 후 이루어지는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융착부(3)를 형성하여 두개의 판재를 결합시키되, 한 변의 일부 구간에는 융착을 하지 않고 입구를 형성하여 커버본체(A)를 형성한다. 두개의 판재를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열융착법으로 압착하는 것이다. 커버입구(4)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한개 또는 여러개의 융착부(5)(도1 및 도3 참조)가 사선으로 형성되므로써 커버입구의 크기가 적당히 조절될 수 있기에 커버를 손쉽게 과실에 씌울 수 있다. 동시에 커버 설치 후의 입구의 틈새를 줄일 수 있으며 불리한 외력의 침입(예; 벌레, 개미, 물의 침입 등)을 대폭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커버입구에 사선으로형성된 융착부에 의해 커버입구부의 결합 강도가 향상되므로 커버입구가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고안은 과실보호용 커버의 커버본체(A)를 커버입구(4)로부터 어린 과실의 외부에 씌운 후 커버입구(4)를 과실 상단의 줄기에 동여맴으로써 실시된다(도2 참조). 과실보호용 커버는 이러한 방식으로 과실에 대해 성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며 과실 주변에는 기재(1) 및 상재(2)의 통기성, 방수성 및 고강도 특성으로 인해 온실효과가 일어나 외부로부터의 침해를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강렬한 햇볕 쪼임, 한파, 해충 및 조류로부터의 피해, 세균감염, 산성비의 침입, 농약의 침투, 잔류 또는 커버내에 응집된 물방울에 의한 부패 등).
과실이 익으면 과실의 줄기를 잘라서 과실을 딴다. 성장된 과실의 크기가 커버의 입구보다 훨씬 더 크며 커버입구(4)가 좁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커버가 과실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과실보호용 커버를 바로 상품 과실의 포장재로 사용할 수 있기에, 상품 과실을 신속히 시장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커버 제거 및 재포장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포장재의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접촉으로 인한 과실에 대한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과실의 완벽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밖에 커버의 뛰어난 통기성 및 방수성은 커버 내의 과실의 노화를 억제하여 과실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보관 수명을 지연시킬 수 있는 에틸렌 흡수제(Ethylene Absorber) 등 신선도 유지제와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또한 이와 같은 커버는 공극이 매우 치밀하기에 세균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교차 감염에 의한 과실의 부패를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의 설명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더욱 많은 개조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로서, 커버입구(4)의 가장자리에 유효기간이 긴 벌레 박멸제(예; 붕산 제제)를 발라서 벌레나 거미 등이 커버입구 틈새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과실을 병충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A)의 외형을 사다리꼴로 설계하여 커버입구의 크기를 줄이므로써 과실의 외부에 더욱 손쉽게 동여맬 수 있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커버의 재료원가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5~도7에서 제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입구(4)의 한 외측변의 가장자리에 기재(1) 또는 상재(2)로부터 연장된 부분을 마련하여 상기 입구부(4)로부터 상기 기재(1) 또는 상재(2)로 접어서 덮개(14)를 형성한 후 덮개의 양측변(141)을 커버본체(A)에 고정시킨다. 과실이 익어서 줄기를 잘라 따낸 후에 상기 덮개(14)를 뒤집어서 커버입구(4)에 씌우므로써(도7 참조) 과실을 안전하게 커버본체(A)안에 포장하여 신속히 시장에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제거 및 재포장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포장재의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밖에도 커버본체(A)의 일측의 융착부(3) 내부에 연성 철사(6)(도8, 도9 참조)를 뽑을 수 있도록 미리 삽입해 놓음으로써, 커버를 과실에 씌울 때 현장에서 바로 연성 철사(6)를 뽑아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하게 커버입구를 과실 상단의 줄기에 동여맬 수 있다.
상기에 열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예일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실시한 모든 개조 및 변경은 보 고안의 등록청구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이 제공하는 과실보호용 커버는 과실에 대해서 생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며 또한 상품 과실의 판매용 포장재로도 사용된다. 동시에 상품 과실의 유통 및 저장 과정에 있어서 신선도 유지 및 부패 억제 역할을 한다.

Claims (3)

  1. 과실 생장기에 필요한 보호를 제공하며, 상품 과실의 판매용 포장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과실보호용 커버로서,
    소정 형상의 기재(1)와,
    상기 기재(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기재(1)에 덮이는 상재(2)로 구성되며,
    상기 기재(1)와 상재(2)의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부(3)가 형성되어 양자를 접합하되, 기재(1)와 상재(2)의 일변 중 일부 구간에는 융착부(3)가 형성되지 않아 커버입구(4)를 형성하며,
    상기 기재(1)와 상재(2)의, 상기 커버입구(4)가 속해 있는 변에 형성되는 융착부(3)는 상기 변에 대하여 사선(5)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보호용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1) 및 상재(2) 또는 둘 중 하나의 재질은 통기성 및 방수성 기능을 갖는 다층접합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보호용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4)를 형성하는 기재(1) 또는 상재(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입구(4)로부터 상기 기재(1) 또는 상재(2)로 접혀서 덮개(14)가형성되는데, 덮개(14)의 양측변(141)은 커버본체(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보호용 커버.
KR20-2003-0000340U 2003-01-07 2003-01-07 과실보호용 커버 KR200308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0U KR200308338Y1 (ko) 2003-01-07 2003-01-07 과실보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0U KR200308338Y1 (ko) 2003-01-07 2003-01-07 과실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338Y1 true KR200308338Y1 (ko) 2003-03-26

Family

ID=4940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340U KR200308338Y1 (ko) 2003-01-07 2003-01-07 과실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3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0664A1 (en) Farm product protecting bag
KR101068296B1 (ko) 광산란 부재를 구비한 과실 보호용 봉지,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CN207744479U (zh) 一种保温保肥透气环保生态防草布
KR100646211B1 (ko) 농산물보호용 봉지
WO2007074899A1 (ja) 農産物保護用被覆材、この被覆材の製造方法、この被覆材を使用する農産物保護用袋及び農産物保護用覆い
US20040128906A1 (en) Fruit protective bag structure
US20030140554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KR200308338Y1 (ko) 과실보호용 커버
US7866088B1 (en) Barrier mulch films
KR20090039086A (ko) 과실봉지
US20090133325A1 (en) Cover for deflecting light and minimizing heat absorption by a body
KR101524812B1 (ko) 수목 보호용 트리케어
KR200258402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CN106941985B (zh) 一种麻纤维水果套袋
KR20150073511A (ko) 치마부용 보온덮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KR100600472B1 (ko) 통기성 요철부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
JP3086413U (ja) 果物保護袋用合成樹脂積層フィルム
KR200214120Y1 (ko) 과수봉지
KR200185731Y1 (ko) 숯가루가 첨가된 과실보호용 봉투
KR101383936B1 (ko) 과수 수목의 가지 및 주간 보호용 보온시트
KR101277248B1 (ko) 농사용 유공 반사필름
JP3204049U (ja) 農業用光変換ハウスフィルム
KR200245174Y1 (ko) 비닐창이 구비된 포도재배용 부직포 봉지
KR200166760Y1 (ko) 과실보호용커버
JP2021069288A (ja) 簡易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