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898A -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898A
KR20090038898A KR1020097002795A KR20097002795A KR20090038898A KR 20090038898 A KR20090038898 A KR 20090038898A KR 1020097002795 A KR1020097002795 A KR 1020097002795A KR 20097002795 A KR20097002795 A KR 20097002795A KR 20090038898 A KR20090038898 A KR 20090038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ound
label
frequenc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쓰 알. 레몬스
Original Assignee
마스터 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터 키,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스터 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3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10Arrangements for making visible or audible the words spok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9Transpos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및 다른 소리의 시각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옥타브의 12개의 음이 원 둘레에 라벨링된다. 음이 연주될 때, 음들 사이의 음정은 원 상에 음 라벨에 대응하는 라벨들 사이의 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시각화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정을 표현하는 라인은 6개의 음정의 각각에 대해 상이한 색으로 색 코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악 및 다른 소리는 절대 주파수의 지시가 각각의 음 또는 소리에 대해 표시될 수 있게 하는 나선체 상에서 시각화된다.
음의 시각화, 12음 원, 음정, 나선체, 주파수, 라벨링

Description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대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기보법을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al Notation)"인 2006년 7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0/830,386호의 이득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리 분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상에 존재했던 최초의 화가들은 이들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색의 팔레트가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동굴벽에서 발견되는 그림의 색조는 결국 소수이고 확실히 거의 식물상(flora) 및 동물상(fauna)에 관련된다. 색 스펙트럼을 완성하기 위해 일 장소에서 함께 충분한 안료를 모으기 전에 사실상 수천년이 소요되었고, 게다가 누군가는 도중에 무지개로의 '마술적인' 연결을 수행하여, 먼저 색 자체가 원인 것을 발견하였다. 되돌아보면, 이는 인류의 진화에서 개척적인 순간이었고, 단지 그 이후에 컬러 사진, X-레이, 적외선 및 하늘의 더 정확한 맵(광의 정 확한 파장이 가시적인 별의 거리, 크기 및 조성을 계산하는데 필수 성분임)과 같은 이러한 최종적인 진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음악적인 이해의 진화는 현저하게 유사한 경로를 따르는데, 초기에 음악은 명백하게 기록되지 않았고 노래불러졌다. 음악적인 기보법의 현재의 시스템은 인류의 진화적인 개념에서 놓일 때 비교적 최근의 개발이다. 최초로 음을 기록하기 전에 수천년이 경과되었고, 대단히 많은 시간 동안 사람이 음악이 실제로 본질적으로 원형이라는 사실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이들의 귀에 좋게 들리는 것을 단순히 노래하였다.
치우친 형상은 "뿌리(root)" 또는 안정성을 향한 경향을 갖는데, 치우친 소리[예를 들어, 장3화음(major triad)]는 특정 방식으로 "안착"되려 한다. 반대로, 대칭적인 형상은 뿌리를 갖지 않고, 형상의 모든 점은 고유적으로 모든 다른 점과 동일하다. 대칭적인 소리[예를 들어, 완감7화음(fully diminished seventh chord)]는 안착할 장소를 갖지 않고 따라서 "이상"하거나 불안정적이다. 이 현상에 기인하여, (되돌아보면) 수세기에 걸쳐 진화된 마스터 음악적인 패턴이 본질적으로 치우쳐져서 종료되는 것은 이상한 일은 아니다.
이 시간 기간으로부터, 음조의 3개의 주 음계(main scale) 또는 '패턴'이 개발되었고, 각각의 패턴은 내부 구조의 복잡한 계층화(layering)를 허용한다. 7개의 음으로 각각 구성된 이들 3개의 음계는 결국에는 현대 세계의 실질적으로 모든 음악적인 교육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물론 다른 음계가 존재하고, 어느 누군가가 원할 수 있는 임의적인 음의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음 악 소리는 여전히 이들 3개의 주 음계로 복귀하여 추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임의의 가능한 음계 또는 패턴을 예외 없이 포함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음악적인 언어의 본 발명의 설명은 명료한 설명을 위해 3개의 주 음계에 기초한다.
3개의 주 음계의 각각은 7개의 음정의 치우친 집적체이다.
장음계: 2음, 2음, 1음, 2음, 2음, 2음, 1음
화성 단음계: 2,1,2,2,1,3,1
가락 단음계: 2,1,2,2,2,2,1
이들 7개의 음의 전형적인 패턴, 즉 복잡한 음악적인 계층화를 허용하는 이들 아름다운 음조의 라인을 먼저 인식할 때, 음악적인 기보법의 최초 개발자는 음악의 기록된 언어를 위한 기초로서 7음 음계를 사용하도록 결정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전체의 음악 시스템은 음계 A, B, C, D, E, F의 7개의 음에 대응하도록 7개의 문자(또는 음명)의 사용에 기초하여 왔다. 음악적 기보법의 이들 최초 개발자는 음악적인 음계가 자체로 치우친 개체이고 7개의 음조 대신에 진정한 음악적인 원이 12개의 음을 갖는다는 것을 인지하는 방법을 갖지 않았을 것이다. 이 모순에 기인하여, 음악적 기보법의 전통적인 시스템은 고유적으로 그 뿌리에서 치우쳐져 있었다. 12개의 음의 원 및 단지 7개의 음명에 의해, (물론) 5개의 누락된 음명이 존재한다. 최초의 화가가 이들의 임의대로 무지개의 모든 색을 갖지 못한 것과 같이, 최초 가수 및 음악가는 소리가 또한 본질적으로 원형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방법을 갖지 않았다.
왜 음악을 판독하고 기록하는데 이러한 어려운 기술을 마스터해야 하는가? 이는 전통적인 시스템이 12개의 음을 포함하도록 시도하기 위해 단지 7개의 문자명만을 사용하는 사실 없이 명백하게 충분히 도전적이다. 그러나, 나머지 5개의 음은 이어서 샵(#) 및 플랫(b)이라 칭하는 규약을 사용하여 커버된다. 이는 보표(staff) 상에서 음을 판독하고 기록하는 비교적 복잡한 방법을 유도하고, 여기서 누군가는 이후에 동시에 하나의 음에 첨가되는 외관상 임의적인 임시음(샵 및 플랫)을 갖는 키 기호를 마음속으로 조작해야 한다. 결과는 치우친 개체인 7음 음계가 전통적인 음악적인 기보법 보표 상에 직선으로서 제시된다는 것이다. 한편, 원 내에서 진정으로 대칭인 패턴(예를 들어, 반음계와 같은 실제로 직선인 것)이 전통적인 음악적인 보표 상에 치우친 방식으로 제시된다. 음악적인 기보법의 전통적인 시스템에서, 우리는 우리가 청취하는 것을 전혀 볼 수 없고, 동일한 음악적인 사상을 기록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방법이 존재하고, 치우친 패턴은 직선으로 보이고 직선은 치우친 것처럼 보인다. 전통적인 기록된 시스템의 고유의 결함으로부터의 모든 이 비효율적인 스템(stem)은 12음 원 대신에 7음 음계에 기초한다.
또한, 음악이 실제로 원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수용된다. 이러한 개념은 새로운 것은 아닌데, 적어도 수백년 동안 아마도 1700년대 중반에 현저해졌다. 요한 세바스찬 바하가 새로운 '평균율(Well-Temperament)' 운동(즉, 피아노의 원형 조율)의 옹호자 중 하나가 되었다. 이 '클라비어(clavier)'(피아노의 초기 버전)의 새로운 조율법은 12음 원의 모든 가능한 '키'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갑자기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그 진정한 원형 형태로 음악이 시각화될 수 있게 하는 음악적인 기보법의 상이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a) 옥타브에서 12개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12개의 라벨로 원의 주위를 라벨링하여, 제 1 라벨로부터 인접한 제 2 라벨로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이동이 음악적인 반음을 표현하게 하는 단계; (b) 12개의 음중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c) 12개의 음중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f) 제 1 라벨 및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반음(half step)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온음(whole step)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단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장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완전 4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3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양태에서,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옥타브에서 12개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12개의 라벨의 각각의 그룹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음악적인 반음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12개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1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12개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2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제 1 라벨 및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반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단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장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완전 4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3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옥타브에서 복수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라벨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 1 음정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복수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1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복수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2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제 1 라벨 및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1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2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3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4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5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6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 복수의 각각의 소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라벨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 1 주파수 음정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소리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복수의 각각의 소리중 어느 소리가 그리고 어느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가 제 1 소리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소리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복수의 각각의 소리중 어느 소리가 그리고 어느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가 제 2 소리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소리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소리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제 1 라벨 및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1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2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3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4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5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6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특허 또는 출원 서류는 컬러로 작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한다. 컬러 도면(들)을 갖는 이 특허 또는 특허 출원 공보의 사본은 요청 및 수수료의 지불시에 관청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는 6개의 음정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은 반음계(chromatic scale)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는 1도 온음계(whole-tone scale)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5는 2도 온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6은 1도 및 2도 온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7은 감1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8은 감2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9는 감3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0은 감1도 내지 감3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1은 증1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2는 증2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3은 증3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4는 증4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5는 증1도 내지 증4도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6은 5도의 원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7은 1도 3온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8은 모든 6개의 3온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19는 장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0은 단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1은 감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2는 증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3은 장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4는 딸림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5는 단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6은 반감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7은 완감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8은 단장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29는 증장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0은 증7단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1은 5단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2는 장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3은 화성 단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4는 가락 단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5는 C장조 음계 내의 C 장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6은 C장조 음계 내의 C 장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7은 C장조 음계 내의 F 장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8은 C장조 음계 내의 B 감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39는 C장조 음계 내의 D 단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0은 C장조 음계 내의 G 딸림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1은 C장조 음계 내의 B 반감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2는 C 화성 단음계 내의 G 증7단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3은 C 가락 단음계 내의 F 5단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4는 B 완감7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5 내지 도 47은 B 감7화음을 도시하는 나선체의 다이어그램.
도 48은 동시에 연주되는 2개의 C 증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49 내지 도 51은 동시에 연주되는 2개의 C 증3화음을 도시하는 나선체의 다이어그램.
도 52는 F 단3화음을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53 내지 도 55는 3개의 옥타브를 커버하는 F 단3화음을 도시하는 나선체의 다이어그램.
도 56은 C장조 음계를 도시하는 12음 원의 다이어그램.
도 57 내지 도 59는 C장조 음계를 도시하는 나선체의 다이어그램.
도 6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소리 시각화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프로세스 흐름도.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이제 그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고 특정 언어가 이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범주의 어떠한 제한도 이에 의해 의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의 이러한 변경, 부가의 수정 및 부가의 적용은 본 발명이 관련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으로부터 명백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리의 식별 및 분석이 유용한 임의의 분야에서의 적용예를 발견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의 대부분은 본 발명을 위한 중요한 적용예인 바와 같은 음악의 시각화 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음악의 반복되는 참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이 그 일부가 본 명세서에 열거된 음악 이외의 다수의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주요 실시예에 설명된 것은 가장 기본적인 이해로부터 가장 복잡한 것까지 음악의 이론 및 구조를 설명하고 교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오락 목적으로 음악을 시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학적 기반의 색-코딩된 다이어그램의 세트이다. 기하학적 형상 및 색 스펙트럼의 양자 모두는 종래에 전혀 없었던 방식으로 음악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기본 형상)을 제시하는데 사용된다. 결과는 먼저 우리의 음악적 언어에 존재하는 패턴 내의 패턴의 인터위빙층(interweaving layer)을 볼 수 있게 되는데, 즉 실시간으로 음악을 청취하면서 수반하는 음악 소리의 정확한 시각적 변환을 볼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기하학적 색-코팅된 마스터키(MASTER KEY)TM 다이어그램은 명확한 방식으로 음조 음악의 진정한 단일 키를 드러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다이어그램은 음악 소리의 시각적 표현을 묘사하고, 이와 같이 이들은 매우 효율적인 학습 도구이다. 음악의 언어(기록된 언어 또는 수학적 언어와 마찬가지로)는 먼저 해독되고 이어서 진정한 통어(mastery)를 얻기 위해 흡수되어야 하는 필수 어휘 및 기본 구조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모든 가능한 음악적인 구조의 복잡성을 이들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 나타낼 것이다. 이들 다이어그램이 표현하는 구조는 이어서 12음 원에 기초하는 임의의 악기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구조는 오락 및 계발 목적으로 음악을 시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우리가 교사의 도움 없이 우리 자신이 피아노를 배우는 것을 떠맡게 되면, 우리는 다양한 키를 동시에 간단히 누르고 따라서 생성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소리를 경험함으로써 우리의 노력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노력을 충분히 지속한 후에, 우리는 결국에는 이들 소리의 일부가 서로 '정합되는(matched up)' 것의 발견에 이르게 될 수 있는데, 단지 차이점은 이들 상대적인 정합이 얼마나 '높고' 또는 '낮은'지이다. 일단 우리가 이들 '소리의 정합'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면(일단 우리가 어느 키가 눌러졌는지를 알 수 있으면), 정합이 규칙적으로 계산된 간격에 있게 되는 것을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패턴의 면밀한 주시-얼마나 많은 키(음정)가 정합들 사이에 존재하는지를 카운팅함-는 12음의 '마스터 원'을 드러낼 것이다. 정합들 사이에는 12개의 동등한 음정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된 12음 원은 모든 서양,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세계의 음악에 기초한다. 이는 재즈로부터 블루스, 록, 컨트리, R&B, 펑크, 클래식에 이르는 서반구의 사실상 모든 음악 장르를 위해 사용된다. 바이올린으로부터 트럼펫, 피아노에 이르는 모든 오케스트라 악기는 이 동일한 12음 원 주위를 선회한다. 이는 또한 사실상 모든 기록된 음악의 진정한 기초이다.
12음 원(10)은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의 시초이다. 이는 모든 다이어그램이 그 위에 형성되는 템플레이트이다. 12개의 점(10.1 내지 10.12)이 시계의 방식, 즉 각각 30도 이격된 12개의 점[본 명세서는 정확하게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30도 이격된 위치에 점(10.1 내지 10.12)의 위치설정을 포함함]으로 원(10)의 주위 둘레에 등간격으로 기하학적으로 배치된다. 원(10) 상의 점(10.1 내지 10.12)의 각각은 12개의 피치 중 하나를 표현한다. 다양한 피치의 명칭은 이어서 원(10)의 둘레에 플롯팅될 수 있다. 전통적인 기보법에서는 각각의 피치에 대해 하나 초과의 명칭이 존재한다는 것(예를 들어, A#은 Bb과 동일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동일한 음악 작품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철자될(spelled)'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비효율 및 결과적인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10)은 이들 전통적인 라벨을 유지하지만, 본 발명은 문자 A 내지 L, 숫자 1 내지 12, 또는 다른 더 임의적인 심벌과 같은 대안적인 라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1의 원(10)은 라벨로서 샵 기호를 사용하지만, 이들 샵 기호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이들의 플랫 등가물로 라벨링될 수 있고 샵이 없는 및 플랫이 없는 기호가 샵 또는 플랫 등가물로 라벨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단지 음의 12음 분할만을 사용하는 음악의 시각화에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동양 음악의 24(또는 22)음 시스템과 같이 12음에 기초하지 않는 다른 음악 시스템이 세계에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시각화되는 소리의 범위의 임의의 원하는 분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비음악적 적용예에서, 이는 가능하게는 이들의 수백만인 가능한 한 작은 분할로 분석된 스펙트럼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음 또는 소리는 원 상에 배열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은 단지 2개의 비한정적인 예를 들자면 다면체 상에 또는 인간의 입의 이미지 상에서와 같이 임의의 표면(2 또는 3차원) 상의 음 또는 소리의 배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12음 원(10)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기본 12음 원(10)은 제 1 '세대'의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을 표현하고, 이는 동시에 1음을 포커싱함으로써 생성된다. 차'세대'의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은 2음의 견지에서 고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음악에서, 2개의 연결된 음의 형상은 '음정'이라 칭한다. 도 2에 도시된 음정 다이어그램은 2도의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이고, 12음 원(10)의 상부점(10.12)을 모든 다른 점(10.1 내지 10.11)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의 라인-이들의 상대적인 길이 및 색-은 다양한 '음정'을 표현한다. 상부[점(10.12)]에서 시작하여, 우리가 우리의 원점으로부터 이격하여 1개의 점을 이동하면(이 경우 시계방향), 1도 음정, 즉 반음(12)을 만나게 된다. 우리의 연속적인 시계방향 움직임에서 2개의 점을 이격하면 우리는 온음(12)을 만나게 된다. 3개의 점을 이격하면 우리는 단3도 음정(16)을 발견한다. 4개의 점을 이격하면, 장3도 음정(18)이 있다. 5개의 점을 이격하면 완전 4도(20)가 있다. 6개의 점을 이격하면 3온음 음정(22)이 있다. 다음의 음정이 중요한데, 우리가 원(10)의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7번째 점(10.7)으로 진행하면, 우리는 우리의 원점(10.12)으로부터 이격하여 최대 거리를 통과한 것을 발견한다. 시계방향으로 7번째 점을 이동하는 것은 반시계방향으로 5개의 점을 이동한 것과 동일하다. 각각 의 연속적인 음정은 우리를 감소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시작점으로 복귀시키는데-원(10)의 좌측은 효과적으로 우측을 경면반사함-, 이는 더 이상 음정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음악에 단지 6개의 기본 음정만이 존재한다.
이들 6개의 음정(각각의 라인 12 내지 22)의 각각은 상이하고 전적으로 고유한 소리를 갖는다. 더욱이, 12음 원(10) 상의 임의의 2개의 피치가 동시에 생성될 때, 이들 6개의 음정(12 내지 22) 중 하나는 항상 추적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하게는, 2음 형상[음정(12 내지 22)]은 모든 더 큰 음악적인 구조의 효율적인 빌딩 블록이다.
이제,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 내의 색의 관련성을 설명할 것이다. 이는 단지 현저한 일치일뿐이지만, 음악의 6개의 기본 음정(12 내지 22)이 무지개의 6개의 기본 색(청색과 남색을 동일한 색으로서 간주함)과 중첩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색은 훌륭한 차원을 추가하고, 설명 및 다이어그램의 나머지의 전체에 걸쳐 매우 중요하게 남아 있어, 음악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방식(공간적 인식 이외의)을 제공한다. 구조가 더 커지고 더 복잡해짐에 따라, 각각의 음정(각각의 라인)은 동일한 색을 계속 남겨둘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음을 위한 음정 라인(12)은 적색이고, 온음을 위한 음정 라인(14)은 주황색이고, 단3도를 위한 음정 간격(16)은 황색이고, 장3도를 위한 음정 간격(18)은 녹색이고, 완전4도를 위한 음정 라인(20)은 청색이고, 3화음을 위한 음정 라인(22)은 심홍색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6개의 음정은 무지개의 색에 대응하도록 착색되지만, 사용 된 특정 색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이한 음정에 할당된 색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또는 완전히 상이한 색의 세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음정은 밝은 적색으로부터 어두운 붉은 벽돌색에 이르는 고유의 적색의 농도로 착색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인간의 육안으로 매우 신속하게 검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색의 사용에 의해 이들이 서로로부터 구별될 수 있도록 음정에 할당된 계조가 있는 색 스펙트럼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 주파수가 음정을 규정하는 음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간격을 갖고 증가하는 색을 할당함으로써, 관찰자는 색과 음정 사이의 직관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의 다음 그룹은 다양한 음정(12 내지 22)을 12음 원(10) 둘레의 이들의 완료로 연장하는 것에 속한다. 이 개념은 반음계의 다이어그램인 도 3에 도시된다. 반음계는 초기 음정-반음(12)을 취하고, 마지막으로 그 원점으로 복귀할 때까지 원(10) 둘레에서 도중 내내 연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리는 적색으로 에칭된 12점 원(30)을 남겨두었다[반음 음정(12)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색이기 때문임]. 음악적인 견지에서, 이 패턴(30)은 반음계라 칭한다. 반음계는 하나의 매우 중요한 이유, 즉 12개의 가능한 음(10.1 내지 10.12)의 각각에 접촉하는 이유로 중요하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특징을 공유하는 단지 하나의 다른 패턴만이 존재한다.
다른 5개의 음으로 이어지기 전에, 원 둘레에서의 이들의 완료로 음정을 연장하는 것의 관련성이 설명될 것이다. 우리의 음악 시스템은 작은 그룹의 7개의 음 패턴에 거의 전적으로 기초하기 때문에, 결과적인 기보법의 방법은 비대칭적이 다. 실제로, 이 불균일성은 음악적인 신출내기에 의해 경험되는 사실상 모든 복잡성 및 오해의 원인이다. 음계 자체는 하나 초과의 음정을 결합하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패턴이다. 장음계는 예를 들어 이 패턴을 따른다: 원(10)의 임의의 음에서 시작하여, 온음(14)-다른 온음(14)-반음(12)-온음(14)-온음(14)-온음(14)- 및 마지막으로 다른 반음(12)을 향해 이동한다. 전통적인 기보법(보표에 기록된 음악)에서, 이 패턴(W-W-H-W-W-W-H)은 직선으로서 묘사된다. 이는 우리의 전통적인 음악 시스템이 얼마나 극히 비효율적인지의 예이다. 음계는 직선이 아니라, 대신에 다수의 음정의 비대칭적인 조합이다. 개별적인 패턴의 대칭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전에 다수의 음정의 비대칭적인 조합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는 원(10) 둘레의 이들의 완료로 음정(12 내지 22)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이다. 대칭적인 패턴의 토대를 얻는 것이 간단하여, 자신의 결과적인 이해를 구성하기 위한 진정한 기초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속의 더 복잡한 패턴을 더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원 둘레로 연장되어야 할 2도 음정은 온음(14)이다. 라인(14)을 12음 원(10) 상의 모든 다른 점에 연결하는 것은 인식 가능한 6각형(40)의 형상을 생성한다. 황색으로 채색하면, 이 6각형 패턴은 음악적으로 전음계(40)라 칭한다. 그러나, 12개의 점(10.1 내지 10.12) 중 단지 6개만을 원(10) 상에 취하면, 하나의 전음계(40)는 모든 12개의 가능한 점(10.1 내지 10.12)을 채우지 않을 것이다. 제 2 6각형(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10)이 완성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한 음악적 스펙트럼에서 2개의 전체 음계(40)가 존재한다.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12음 원(10) 둘레에 단3도 음정(16)을 연장하는 것은 정사각형(70)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연속적인 단3도(16)에 의해 생성되는 황색인 이 정사각형은 감음계(70)의 소리를 제공한다. 정사각형은 4개의 점을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리고 4개가 3회에 걸쳐 12개로 진행하기 때문에, 이는 12음 원(10) 내의 모든 가능한 점을 채우도록 3개의 정사각형(70)을 취한다. 따라서, 스펙트럼을 완성하기 위해 학습되어야 하는 3개의 감음계(70)가 존재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장3도 음정(18)은 녹색이고, 이를 12음 원(10) 둘레에서 연속적인 라인으로 연장하는 것은 3점 삼각형(1100)을 남겨둔다. 삼각형의 형상은 음악에서 증음계(1100)라 칭한다. 전술된 패턴과 마찬가지로, 3개는 4회에 걸쳐 12개로 진행한다. 따라서, 12음의 원(10) 내에 4개의 가능한 증음계(1100)(4개의 삼각형)가 존재한다.
완전 4도 음정(20)에 도달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한 것을 만나게 된다. 원(10) 둘레의 매 5번째 점을 연결하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형상을 생성한다. 별형 구조의 청색인 연결된 완전 4도의 이 패턴은 음악적인 견지에서 5도의 원(1600)이라 칭한다. 이는 모든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패턴일 것이다. 이 패턴은 다양한 조표(key signature)(특정 부분이 그 둘레에 중심을 두고 있는 음계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플랫' 및 '샵'의 코딩)의 기초일뿐만 아니라, 거의 명백하게 존재하는 가장 강력한 훈련 패턴이다. 5도의 원(1600)은 반음계(30)와 마찬가지로 그 원점으로 복귀하기 전에 12음 원(10)의 12개의 가능한 음(10.1 내지 10.12)의 각각에 접촉한다. 훈련 중에 5도의 원(1600)을 따르는 것은 각각의 음악적인 구조가 모든 가능한 키에서 연주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5도의 원(1600)의 중요성은 음악의 연구의 전체에 걸쳐 재차 만나게 된다.
음정의 마지막인 3온음 음정(22)은 명백하게 2음 형상이 가장 중요하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원(10) 둘레로 3온음 음정(22)을 연장하는 것은 원의 대향 극(pole)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달리 말하면, 3온음 음정(22)은 12음 원(10)을 정확히 절반으로 절단한다. 심홍색인 연장된 3온음 음정(22)은 2음 형상을 잔류시키고(동시에 6개의 음을 뛰어넘는 것이 단지 2개의 점프만에서 당신을 시작점으로 복귀하게 함), 2개는 12개로 6회 진행하기 때문에, 6개의 3온음은 12개의 점의 원이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 요구된다. 3온음은 12음 원(10)의 요석이다. 전술된 패턴과 마찬가지로, 2개는 12개로 6회 진행한다. 따라서, 6개의 가능한 3온음(22)(6개의 직경 라인)이 12음의 원(10) 내에 존재한다. 음악적으로 말하면, 3온음은 불협화음(충돌음)이고, 대부분에 사람들에게 학습되기 매우 어렵지만 3온음을 정확하게 노래하고 청음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은 '완벽한 음조(intonation)'(모든 음을 '조화하여' 유지함) 및 결국에는 '완벽한 피치'(이들을 청음한 것으로부터 어느 음이 연주되거나 노래되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함)의 취득을 초래할 수 있다. 3온음은 초기의 음악가들이 이를 '악마의 음(devil tone)'이라 부르고 어떻게 해서든지 이를 회피하려고 시도했을 정도로 불협화음이다.
차세대의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은 3개의 음으로 형성되는 음악적인 형상에 기초한다. 음악적인 견지에서, 3음 구조는 3화음이라 칭한다. 모든 온음계 음악에는 단지 4개의 3화음만이 있고, 이들은 장조, 단조, 감음 및 증음의 각각의 명칭을 갖는다. 이들 4개의 3음 형상은 상이한 크기의 삼각형으로서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에 표현되고, 그 각각은 다양한 색 코딩된 음정을 갖고 형성된다. 3화음은 이들이 모든 다른 것들이 첨가되는 음악적인 소리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음악에서 매우 중요하다.
도 1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화음의 첫 번째인 장3화음(1900)은 장3도(18), 단3도(16) 및 이어서 완전4도(20)를 적층함으로써(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장3화음(1900) 다이어그램에서, 형상은 녹색, 황색 및 청색의 각각의 색에서 3개의 변을 갖는 삼각형으로 표현된다. 라인의 간격은 또한 일정하고 예측 가능하여, 6개의 가능한 음정의 미리 지정된 안내선을 따른다. 연주될 때, 장3화음 소리는 '행복'하다.
두 번째 3화음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3화음(2000)이고, 단3도(16), 장3도(18) 및 이어서 완전4도(20)를 적층함으로써(또한 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삼각형의 각각의 색은 황색, 이어서 녹색, 이어서 청색이다. 연주될 때, 단3화음(2000)은 '슬픈' 소리를 낸다.
세 번째 3화음인 감3화음(2100)은 도 21에 도시되고, 2개의 단3도(16)에 이어서 3온음(22)을 적층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삼각형의 색은 각각 황색, 황색 및 심홍색이다. 연주될 때, 감3화음(2100)의 소리는 '무서움'으로서 가장 양호하게 설명된다. 감3화음(2100)은 종종 극적인 클라이맥스점에서 무성영화(silent movie)에 사용되었다.
마지막 3화음인 증3화음(2200)은 도 22에 도시되고, 3개의 연속적인 장3도(18)를 적층함으로서 생성된다. 완벽한 정삼각형인 증3화음(2200)은 증음계(1100)와 정확하게 동일하다. 도 2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증3화음(2200)은 전적으로 녹색이다. 연주될 때, 증화음(2200)의 소리는 만화의 세계와 가장 양호하게 관련될 수 있다. 증화음/음계(2200/1100)는 만화 등장 인물이 머리를 타격당한 후에 '별이 보이는' 동안 빈번히 연주된다. 용어 '꿈결같은'이 그 소리를 가장 양호하게 설명할 것이다.
차세대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은 동시에 4개의 음으로부터 발현된다. 음악에서 4음 화음은 7화음이라 칭한다.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 내에는 9개의 유형의 7화음이 제시되어 있다. 5, 6, 및 심지어 7화음인 재즈 화음이 있지만, 4화음이 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진정한 기초로서 작용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4음 형상을 조합하는 것은 임의의 더 큰 재즈 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7화음의 각각의 명칭은 이하와 같다: 장7화음, 딸림7화음, 단7화음, 반감7화음, 완감7화음, 단장7화음, 증장7화음, 증7단화음 및 5단7화음.
도 23은 첫 번째 7화음, 즉 이하의 음정: 장3도, 단3도(16), 다른 장3도(18) 및 반음(12)을 적층함으로써(항상 그런바와 같이 시계방향 방식으로) 생성된 장7화음(23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상기 설명은 장7화음(2300)의 외장(4변 다각형)을 드러내지만, 일반적인 관찰은 이전의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쌍의 '내부' 음정[이 경우, 2개의 완전 4도(20)]을 신속하게 드러낼 것이다. 이는 단순히 4변 패턴의 특성에 의해 그리고 모든 점을 모든 다른 점에 연결하는 결과에 의한 것이다. 면밀한 검사는 전술된 3음 형상이 이제 서로의 새로운 조합으로 발견되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이 경우, 장3화음(1900) 및 단3화음(2000)은 더 진보된 장7화음(2300)을 생성하도록 중첩된다. 각각의 4음 형상은 모든 다른 형상과 마찬가지로 그 자신의 고유의 소리를 갖는다. 그러나, 설명의 복잡성은 이제 증가하기 시작한다. 장7화음(2300)은 그 기초로서 '행복한' 장3화음(1900) 및 투명함 및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잉여의 '편안한' 음을 가져, 장7화음(2300)이 '즐겁고', '동경하는' 소리를 내게 한다.
다음의 다이어그램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4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딸림7화음이다. 이 형상(2400)은 장3도(18), 단3도(16), 다른 단3도(16) 및 온음(14)을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형상의 내부 음정은 완전 4도(20) 및 3온음(22)이다. 이 형상(2400)은 또한 감3화음(2100)과 장3화음(1900)의 중첩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연주될 때, 결과적인 소리는 여전히 움직임을 향한 경향을 갖는 '행복'으로서 가장 양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딸림7화음(2400)은 실용적으로 모든 음악의 장르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견된다. 이는 음악적인 결말에서 제 2 내지 최종 화음으로서 가장 종종 사용되는 점에서 7화음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 딸림7화음(2400)으로부터 장3화음(1900) 또는 단3화음(2000)으로의 전이는 '종지(cadence)'라 칭한다. '종지'는 작곡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음악 작곡물에 입체성을 설정하는지이다. 더 실용적인 음에서, 딸림7화 음의 소리는 '블루스'와 가장 용이하게 관련될 것이다.
이제, 도 2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500으로 지시된 단7화음을 만나게 된다. 단3도(16), 장3도(18), 다른 단3도(16) 및 온음(14)의 음정의 적층은 단7화음(2500)의 구별 가능한 형상을 우리에게 남겨둔다. 이 형상의 내부 음정은 재차 2개의 완전 4도(20)이다. 장3화음(1900)과 중첩된 단3화음(2000)은 또한 이 4음 패턴을 설명하는데 충족할 것이다. 단7화음(2500)은 수학적으로 음악에서 가장 빈번히 만나게 되는 7화음이다. 단7화음(2500)은 그 기초로서 단3화음(2000)을 갖고, 따라서 이는 더 어둡고 덜 행복하며, 장7화음(2300) 또는 딸림7화음(2400)보다 더 강렬한 소리를 갖는다. 이는 또한 실용적으로 모든 현존하는 음악의 분류에서 발견된다. 딸림7화음(2400)과 마찬가지로, 단7화음(2500)은 또한 움직임을 제안하는 경향이 있다.
반감7화음은 도 26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6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3도(16), 장3도(18) 및 온음(14)을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3온음(22) 및 완전 4도(20)는 그 내부 음정이고, 그 2개의 인식 가능한 3음 형상은 조합된 감3화음(2100) 및 장3화음(2000)이다. 반감7화음(2600)은 3개의 전술된 화음만큼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음악 장르에서 발견된다. '섬세한' 및 '아름다운' 반감7화음의 소리는 1800년대 중반까지는 오케스트라 음악에서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그 시절에는, '낭만주의' 시대가 음악에 최대 색 및 다양성의 사용을 안내하였고, 반감7화음(2600)이 유행이 되었다.
도 2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연속적인 단3도(16)를 적층하는 것 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700으로 지시된 완감7화음을 제공한다. 감음계와 동일한 패턴인 완감7화음(2700)은 완전히 정사각형 형상이다. 2개의 3온음(22)의 내부 음정은 효과적으로 정사각형을 4개의 동등한 섹션으로 세분한다. 완감7화음(2700)의 형상의 가장 중요한 양태는 특성이 완전히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이 평형에 기인하여, 완감7화음(2700)은 "뿌리" 또는 저부점을 갖지 않고, 그 초점 방향에서 완전히 치우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완감7화음(2700)으로 이동한 후에, 작곡가는 12음 원(10) 둘레에서 임의의 가능한 방향으로 뛰어넘을 수 있다. 완감7화음(2700)은 이어서 종종 이 방식으로 음계와 마찬가지로 더 큰 패턴으로 피벗하는데 사용된다. 완감7화음(2700)의 소리는 재차 예를 들어 여성이 철도 트랙에 묶여 있는 것과 같이 증가된 긴장의 아슬아슬한 순간에 무성 영화 중에 그 사용과 가장 양호하게 관련될 수 있다. 완감7화음(2700)은 음악의 움직임 또는 이동의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거의 항상 사용된다.
6번째 4음 형상은 단장7화음이다. 이 화음은 도 28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8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단3도(16), 2개의 장3도(18) 및 반음(12)을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음정은 장3도(18) 및 완전 4도(20)이다. 단3화음(2000) 및 증3화음(2200)이 이 더 큰 4음 구조의 하위 구성 요소로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단장7화음(2800)은 전술된 7화음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덜 청취된다. 특성에 있어 다소 불협화음이고 '불안정한' 이 4음 n조는 증3화음(2200)의 '꿈결같은' 소리와 조합된 단3화음(2000)의 '슬픈' 소리의 모두를 갖는다. 그 가장 일반적인 제휴는 제임스본드 영화일 수 있고, 여기서 이는 특히 본드가 누군가 를 살해한 후에 장면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의 경우에 사용된다.
가장 친숙하지 않은 가장 덜 청취되는 4음 형상은 명확하게 증장7화음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장단7화음(2900)은 2개의 장3도(18), 단3도(16) 및 반음(12)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결과는 가장 일반적이지 않은 4음 형상을 초래한다. 완전 4도(20) 및 장3도(18)는 내부 음정을 구성하고, 덜 명백한 장3화음(1900)과 중첩된 증3화음(2200)은 이 독특한 4변 다각형의 하위 구조를 초래한다. 증장7화음(2900)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음악에서 빈번하게 만나게 되지 않는다.
마지막의 2개의 유형의 7화음은 재즈 및 20세기 음악에서 주로 발견되고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30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000으로 지시된 이들 화음중 첫 번째 것은 증단7화음이다. 이는 2개의 장3도(18)와 2개의 온음(14)을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내부 음정은 장3도(18) 및 3온음(22)이다. 도 31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100으로 지시된 5단7화음은 장3도(18), 온음(14), 다른 장3도(18) 및 다른 온음(14)을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내부 음정은 2개의 온음(22)이다. 이들 마지막의 2개의 7화음은 독특한데, 이는 이들이 2개의 3화음을 조합함으로써 전술된 7화음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증단7화음(3000)은 명백하게 그 기초로서 증화음(2200)을 사용하고, 4도음(단7도)이 딸림7화음 느낌을 제공한다. 5단7화음(3100)은 또한 딸림7화음 느낌을 갖지만 여전히 어떠한 특정화된 3화음도 그 기초로서 추적될 수 없다. 이들 화음의 양자 모두는 7화음의 나머지보다 형상이 더 대칭적이라는 것을 주목하 라. 이 소리들은 주로 하이라이트 또는 강조의 순간으로서 재즈 및 현대 음악에서 발견된다. 스티비 원더가 이들 화음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조지 거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치우친 특성 이외에, 음계는 현재까지 세계의 음악 시스템의 절대적인 기초로 남아 있다. 도 1 내지 도 31의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에서 현재까지 제시되어 있는 모든 음악적인 구조는 6개의 기본 음정 이외에 3개의 주 음계로부터 직접 도래한다.
음계는 7음 패턴이다. 또한 다양한 연속적인 음정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이들 7음은 무한의 사이클로 계속 반복되어, 이에 의해 임의의 악기의 완전한 청각 범위를 채우게 된다. 3개의 음계는 실질적인 전체의 모든 온음계 음악을 구성한다. 상이한 음계가 인도, 중동 및 극동아시아와 같은 장소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들 '외래 음계'는 여전히 온음계 세계의 3개의 주 음계와 중첩될 수 있다. 3개의 주 음계는 이하와 같다: 장음계, 화성 단음계 및 가락 단음계.
장음계는 3개의 주 음계 중에 가장 일반적인데, 이는 실질적으로 음악이 서양 세계에서 연주되거나 청취될 때 청취된다. 도 32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2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은 명백하게 주 음계(3200) 구성 및 그 본질적으로 치우친 특성을 도시한다. 원(10)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음계의 외장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음정의 다음의 패턴이 이어서 만나게 되는데, 온음(14), 온음(14), 반음(12), 온음(14), 온음(14), 온음(14), 반음(12) 이다. 각각의 음계 다이어그램의 가장 중요한 양태는 명백하게 다이어그램의 '외장'이다. 따라서, 음계 내부의 다양한 내부 음정은 도시되지 않는다. 우리는 점(10.12) 또는 C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음계(3200)는 C장조 음계이다. 다른 주 음계가 12음 원(10) 상의 다른 음중 하나에서 시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 E에 대응하는 점(10.4)에서 시작하여 주 음계의 온음 및 반음 패턴을 추적하면, 우리는 E장조 음계(도시 생략)를 생성할 것이다.
화성 단음계는 도 33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300으로 지시된다. 화성 단음계(3300)는 이하의 연속적으로 적층된 음정: 온음(14), 반음(12), 온음(14), 온음(14), 반음(12), 단3도(16), 반음(12)으로 구성된다. 이 음의 패턴은 그 대응부, 즉 장음계(3200)의 것보다 덜 빈번하게 청취되지만, 화성 단음계(3300)는 여전히 대부분의 음악의 장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바하의 토카타와 푸가 D단조는 많은 라틴아메리카 음악에서와 같이 화성 단음계(3300)에 주로 기초한다.
또한 덜 빈번하게 만나게 되는 음계 중 하나인 가락 단음계가 여전히 음악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가락 단음계는 도 34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400으로 지시된다. 가락 단음계(3400)는 장음계(3200)와 화성 단음계(3300) 사이의 효과적인 브리지로서 볼 수 있어 각각의 패턴의 현저한 요소를 결합한다. 도 3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락 단음계(3400)의 골격은 이하와 같다: 온음(14), 반음(12), 온음(14), 온음(14), 온음(14), 온음(14), 반음(12). 작곡가는 종종 이들의 작곡물에서 화성 단음계(3300)와 가락 단음계(3400) 사이에서 교대한다. 가락 단음계(3400)는 몇몇 흥미있는 음악적인 성취를 유도하는데, 예를 들어 심슨 가족(The Simpsons)으로부터의 주제가는 가락 단음계(3400)로부터 직접 도래한다.
전술되고 도시된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은 현대 음악의 언어 내에 존재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형상을 표현한다. 이들은 비교적 수가 적은데: 6개의 2음 형상, 4개의 3음 형상, 9개의 4음 형상 및 3개의 7음 패턴이다. 그러나, 왜 단지 전술된 형상만 있는가? 왜 단지 6개의 2음 형상, 4개의 3음 형상, 9개의 4음 형상 및 3개의 음계만이 있는가? 이 매우 중요한 질문의 대답은 3개의 음계의 구성을 면밀한 관찰을 함으로써 발견된다. 음계 모드의 간략한 설명이 이제 제공될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음계는 7음의 패턴이다. 음계의 7음의 각각은 수치화될 수 있다:
...1,2,3,4,5,6,7...
자체로 계속 반복되는 음계는 이어서 이와 같이 나타난다:...1,2,3,4,5,6,7,1,2,3,4,5,6,7,1,2,3,4,5,6,7,1,2,3,4,5,6,7...
음악가가 그 또는 그녀의 음악적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결국에는 음계가 ... 1 ,2,3,4,5,6,7, 1 ,2,3,4,5,6,7, 1 ...로서 음 번호 1에서 항상 시작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실제로, 7개의 연속적인 음정의 기본 패턴을 유지하고 따라서 동일한 음계를 유지하면, ... 2 ,3,4,5,6,7,1, 2 ,3,4,5,6,7,1, 2 ...로서 음계의 두 번째 음에서 시작하기를 원할 수도 있고,
또는 세 번째 음에서:
... 3 ,4,5,6,7,1,2, 3 ,4,5,6,7,1,2, 3 ...;
또는 4번째, 5번째, 6번째, 또는 심지어 7번째 음에서:
... 4 ,5,6,7,1,2,3, 4 ,5,6,7,1,2,3, 4 ...
... 5 ,6,7,1,2,3,4, 5 ,6,7,1,2,3,4, 5 ...
... 6 ,7,1,2,3,4,5, 6 ,7,1,2,3,4,5, 6 ...
... 7 ,1,2,3,4,5,6, 7 ,1,2,3,4,5,6, 7 ...
시작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시작점의 각각은 음계의 다양한 모드 중 하나를 표현한다. 음계는 7음의 패턴이기 때문에, 각각의 음계 내에 7개의 모드가 존재한다. 모드에 대해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각각의 모드가 완전히 독특한 음악적인 소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3개의 음계 다이어그램 중 하나에서의 면밀한 관찰을 하면, 음계의 각각의 모드 내에서 특정 3음 및 특정 4음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장음계(3200)의 다이어그램을 재차 참조하면, 특히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이 패턴의 최상부 점(10.12)에서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모든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점(10.12)은 C장조 음계의 시작점을 표현한다. 음계점의 각각이 1 내지 7로 번호 지정되면, 이는 점 번호 1일 것이다. 이제, 음계(3200) 상의 인접한 음에서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신에, 음계의 무든 다른 음으로 뛰어넘고, 음 번호 5 상에서의 두 번째 뛰어넘음 후에 정 지한다. 이제 3개의 음을 결정하고, 이들 모두는 장음계(3200)의 제 1 모드, 즉 ... 1 ,2, 3 ,4, 5 ,6,7,...또는 1 , 3 , 5 내에 적합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3개의 음은 삼각형 내로 연결되고 삼각형은 인식 가능한 것이며, 이는 실제로 C장조 3화음(1900)이라는 것을 주목하라. 음계(3200)를 따라 1회 더 뛰어넘으면 형상에 4번째 점을 첨가하고, 이는 음계(3200)의 7번째 음이 되고, 따라서 우리는 주어진 모드에서 적절한 7화음을 갖는데, 이 경우 C장조 7화음(2300), 즉 ... 1 ,2, 3 ,4, 5 ,6, 7 ... 또는 ... 1 , 3 , 5 , 7 이다. 이는 도 36에 도시된다. 각각의 음계의 7개의 점 중 임의의 하나 상에서 시작하여 이 동일한 프로세스를 계속 반복할 수 있다. 이들 모드의 각각은 '부모' 모드가 연주될 때마다 항상 존재할 수 있는 특정 3음 및 4음 형상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드 ...4,5,6,7,1,2,3...에 3음 패턴을 적용하면, C장조 음계(3200) 내에 F장조 3화음(3700), 즉 ... 4 ,5, 6 ,7, 1 ,2,3... 또는 4 , 6 , 1 을 얻는다. 이는 도 37에 도시된다. 유사하게, 모드 ...7,1,2,3,4,5,6...에 3음 패턴을 적용하면, C장조 음계(3200) 내에 B 감3화음(3800), 즉 ... 7 ,1, 2 ,3, 4 ,5,6... 또는 7 , 2 , 4 를 얻는다. 이는 도 38에 도시된다. 다른 예는 모드 ...2,3,4,5,6,7,1...에 4음 패턴을 적용하는 것인데, 이는 C장조 음계 내에 D 단7화음(3900), 즉 ... 2 ,3, 4 ,5, 6 ,7, 1 ... 또는 2 , 4 , 6 , 1 을 생성한다. 이는 도 39에 도시된다. 유사하게, 모드 ...5,6,7,1,2,3,4...에 4음 패턴을 적용하면, C장조 음계(3200) 내에 G 딸림7화음(4000), 즉 ... 5 ,6, 7 ,1, 2 ,3, 4 ... 또는 5 , 7 , 2 , 4 를 얻는다. 이는 도 40에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모드 ...7,1,2,3,4,5,6...에 4음 패턴을 적용하면, C장조 음계 내에 B 반감7화음(4100), 즉 ... 7 ,1, 2 ,3, 4 ,5, 6 ... 또는 7 , 2 , 4 , 6 을 생성한다. 이는 도 41에 도시된다. 상기 예로부터, C장조의 키 내의 상이한 화음 구조의 모두가 C장조 음계상의 7개의 점 중 하나(즉, 그의 7개의 모드 중 하나)에서 시작하면서 3음 패턴 또는 4음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음계[장음계(3200), 화성 단음계(3300) 또는 가락 단음계(3400)] 중 임의의 하나 내의 화음의 모두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3음 및 4음 형상을 3개의 주 음계(3200, 3300, 3400)의 각각이 모드로부터 구성한 후에, 생성될 수 있는 한정된 수의 형상, 즉 4개의 3음 형상 및 7개의 4음 형상만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실제로 전술된 다이어그램에 9개의 4음 형상이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 2개의 4음 형상은 2개의 재즈 화음, 즉 증단7화음(3000) 및 5단7화음(3100)을 표현한다. 이들 2개의 형상은 재즈 악풍 내에서 빈번히 발견되지만, 이들은 다른 4음 형상과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지 않고, 이들은 음계로부터 직접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유도된다. 증단7화음(3000)은 이하의 모드 정도: ... 1 ,2, 3 ,4,5, 6 , 7 ... 또는 ... 1 , 3 , 6 , 7 을 사용하여 화성 단음계(3300)의 5번째 모드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5번째 모드에 이 패턴을 적용하면, ... 5 ,6, 7 ,1,2, 3 , 4 ... 또는 5 , 7 , 3 , 4 를 갖는다. 도 42는 5 , 7 , 3 , 4 패턴을 사용하여 내부에 형성된 C 가락 단음계(3300) 및 G 증단7화음(4200)을 도시한다. 5단7화음(3100)은 모드 정도 ... 1 ,2, 3 , 4 ,5,6, 7 ... 또는 1, 3 , 4 , 7 상에 가락 단음계(3400)의 4번째 모드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이 패턴을 4번째 모드에 적용하면, ... 4 ,5, 6 , 7 ,1,2, 3 ... 또는 4 , 6 , 7 , 3 을 갖는다. 도 43은 4 , 6 , 7 , 3 패턴을 사용 하여 내부에 형성된 C 가락 단음계(3400) 및 F 5단7화음(4300)을 도시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악적 언어는 3개의 7음 음계, 즉 장음계(3200), 화성 단음계(3300) 및 가락 단음계(3400)로부터 주로 형성된다. 음계의 시작점이 각각, 즉 7음 또는 모드의 각각 상에서, 특정 3화음(3음 형상) 및 특정 7화음(4음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 3개의 음계; * 7음 각각; * 21개의 가능한 시작점.
반복되는 화음을 제거한 후에 21개의 시작점 중 매 하나 상에 모든 유형의 3 및 4화음을 형성하면, 단지 4개의 '3화음'(3음 형상-삼각형), 7개의 '7화음'(4음 형상-사다리꼴) 및 2개의 재즈 '7화음'(4음 형상-사다리꼴)만을 남겨두게 될 것이다.
숫자 7(7개의 음)은 소수(prime number)이고 숫자 12(12개의 음) 내로 대칭적으로 적합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음악 기보법의 현재의 시스템은 고유적으로 결함이 있어, 음악적 언어를 학습하려고 시도할 때 혼란을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은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과 함께 이 문제점을 회피하여, 음악의 언어의 시각적인 번역을 드러낸다. 컴퓨터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떠한 방식으로 음악의 구조 및 패턴이 실제로 인터위빙되고 실시간으로 서로에 대해 자체로 정렬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다이어그램은 2차원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음악은 그가 나선체인 한 원은 아니다. 매 12번째 음은 이전의 레벨보다 높거나 낮은 하나의 나선 선회체이다. 이는 음악이 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DNA 나선체, 구체적으로는 대략 10과 ½ 선회체(즉, 옥타브)의 나선체와 매우 유사하게 보일 수 있는 것으로서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저 청각 소리로부터 최고 청각 소리에 이르는 청취 가능한 소리의 완전한 스펙트럼 내에 단지 소수의 나선 선회만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4는 12음 원(10) 상에 그려진 B 완감7화음(4400)을 도시한다. 이 다이어그램은 음들 사이에 음정 및 화음을 포함하는 음을 도시하기 위해 매우 유용하지만, 이는 단지 이들이 서로 관련될 때 음에 대한 정보, 즉 서로에 대한 이들의 상대적인 피치만을 제공한다. 도 44의 다이어그램은 임의의 음의 절대 피치에 대한 임의의 정보, 즉 어느 옥타브에 음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12음 원(10)의 3차원 표현의 사용을 포함하고, 여기서 음은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체(100) 내에 배열된다. 도 45에서, 나선체(100)는 측면으로부터 보이고, 그 내부의 화음(4400)의 배치는 그가 나타나는 나선체의 선회에 의해 연주되고 있는 옥타브를 드러낸다. 도 46에서, 나선체(100)는 관찰자에 사시도를 제공하도록 선회된다. 재차, 화음(4400) 내의 음의 절대 피치는 나선체(100) 상의 각각의 음의 위치에 의해 지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든 옥타브에서의 유사한 음은 실질적으로 직선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6에서 각각의 옥타브 내의 모든 음 C는 직선(4600) 상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선체(100)는 나선체(100)의 표면을 묘사하도록 음영을 갖고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라.
나선체(100)가 더 선회함에 따라, 우리는 도 47의 거의 단부도를 생성할 수 있다. 화음(4400)은 도 44의 12음 원(10) 내에 나타날 때와 거의 동일한 견지로 보이지만, 도 47의 견지는 여전히 관찰자가 어느 옥타브에서 화음(4400)이 연주되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 라벨은 관찰자에게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거의 단부도에 대해 나선체(100) 둘레에 첨가될 수 있다.
나선체(100)는 음이 옥타브를 가로질러 연주될 때 더욱 더 강력한 시각화 도구가 된다. 예를 들어, 도 48 내지 도 51은 2개의 C 증3화음(4800, 4802)이 동시에 연주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여기서 화음(4802)이 화음(4800)보다 2 옥타브 높다. 도 48의 12음 원(10)에서, 화음(4800, 4802)의 양자 모두 내의 3개의 음 및 3개의 음정이 원(10) 상에 완전히 중첩될 때, 2개의 개별 화음이 연주되고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체(100) 내에서 볼 때, 실제로 2개의 화음(4800, 4802)이 동시에 2개의 옥타브를 별도로 소리내는 것이 명백해진다.
음악 시각화를 위한 나선체(100)의 이득의 다른 예가 F단조 3화음(5200)이 연주되고 있는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다. 도 52의 12음 원(10)에서, 그 뿌리가 F에 있는 단3화음의 익숙한 형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53 내지 도 55의 나선형 도면에서, 화음(5200)은 간단한 3음 구조로부터 증가되어 있고 실제로 3개의 연속적인 옥타브를 커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b 음이 상위 옥타브에서 연주되고 있고 상위 및 중간 옥타브에서 C 음이 연주되고 있고, F 음이 모든 3개의 옥타브에서 연주되고 있다. 나선체(100) 내에 음 및 이들의 음정을 표시함으로써, 관찰자는 복잡한 화음(5200)의 구성 요소 및 내부 관계, 뿐만 아니라 소리의 전체 스 펙트럼에서의 그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나선체(100)의 파워의 극적인 예는 C장조 음계(5600)가 연주되고 있는 도 56 내지 도 59에서 발견된다. 도 56의 12음 원(10) 상의 음을 보면, 내부 음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 32의 C장조 음계(3200)아 동일하게 보이는 음계(5600)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선체(100) 상의 동일한 음계(5600)를 보면, 도 57 내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장조 음계(5600)가 3과 ½ 옥타브를 가로질러 연주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재차, 우리는 나선체(100)에서 이를 볼 때 소리의 전체 스펙트럼 내의 음계의 위치를 볼 수 있다.
이제, 도 60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6000으로 지시된 음악 및 소리의 시각적인 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6000)은 디지털 음악 입력 디바이스(6020), 낱장 악보(6040)를 입력하기 위한 낱장 악보 입력 디바이스(6060), 처리 디바이스(6080), 디스플레이(6100), 키보드(6120) 및 마우스(6140)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프린터 디바이스(6160)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6200)를 포함하는 제 1 부시스템(60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처리 디바이스 내로의 음악 또는 다른 소리의 입력, 기보법 또는 다른 소리 기보법의 입력을 허용하여, 음악 또는 소리가 스피커(62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음악 또는 소리의 시각적인 표현이 사용자에 의해 표시되고, 인쇄되거나 조작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음악 입력 디바이스(6020)는 MIDI 포트를 경유하여 처리 디바이스(6080)와 결합된 MIDI(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 도구, MP3 디바이스 또는 CD 플 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아날로그 음악 플레이어,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도구 또는 디바이스, 트랜스폰더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또는 디지털 음악 파일, 뿐만 아니라 다른 입력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MIDI 인터페이스를 갖는 키보드가 처리 디바이스(6080)에 접속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이어그램은 키보드가 연주될 때 디스플레이(61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악기가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스캐너(6060)가 처리 디바이스(6080) 내로의 디지털 파일로서 입력을 위해 표준 또는 다른 기보법으로 기록된 낱장 악보(6040)를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6080) 내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는 이 디지털 파일을 스캐닝된 낱장 악보(6040) 상에 기보된 음악을 대표하는 적절한 디지털 음악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6120, 6140)가 적절한 디지털 음악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음악 작곡물 또는 처리 디바이스(6080)(또는 다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6080)는 퍼스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랩탑 컴퓨터, 팜탑 컴퓨터, 컴퓨팅 능력을 갖는 무선 단말(윈도우 CE 또는 팜 운영 시스템을 갖는 휴대 전화와 같은), 게임 단말 등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 기술 분야에 숙련자들에게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조가 또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리 디바이스(6800)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때,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버스와 결합된 프로세서, 프로세서를 위한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된 메인 메모리, 프로세서를 위한 정적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된 판독 전용 메모리를 포함한다. 모니터(6100)가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되고, 입력 디바이스(6120, 6140)가 프로세서로의 정보 및 지령 선택을 통신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된다. 디지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인터페이스가 또한 처리 디바이스(6080)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텔 코포레이션(Inte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는 펜티엄(PENTIUM) 마이크로프로세서, 아이비엠 코포레이션(IBM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는 파워 피씨(POWER PC), 선 코포레이션(Sun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는 스파크(SPARC) 프로세서 등과 같은 광범위한 범용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다른 다양한 프로세서가 또한 특정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0)는 액정 디바이스(LCD), 음극선관 튜브(CRT), 플라즈마 모니터, 또는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용량 저장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가 버스를 경유하여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의 디지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대용량 저장 인터페이스는 정보 및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버스에 결합된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 집적 구동 일렉트로닉스(IDE) 인터페이스, 직렬 진보 기술 어태치먼트(SATA)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디 바이스는 관련 매체(플로피 디스크, CD-ROM, DVD 등)와 함께, 통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디바이스(점프 드라이브 또는 SD 카드와 같은), 콤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드라이브, 디지털 범용 디스크(DVD) 드라이브, HD DVD 드라이브, 블루-레이 DVD 드라이브, 또는 다른 자기, 고상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대용량 저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처리 명령 및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 정보를 실행을 위해 임의 접근 메모리로 다운로드한다. 프로세서는 이어서 임의 접근 메모리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로부터 명령 스트림을 실행한다. 입력 디바이스(6120, 6140)에서 입력된 지령 선택 및 정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의 흐름을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동등한 입력 디바이스(6140)가 또한 통상의 트랙볼 디바이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처리 실행의 결과는 이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0) 상에 표시된다.
처리 디바이스(6080)는 모니터(6100) 상에 표시를 위해 그리고/또는 하드카피를 인쇄하기 위해 프린터(6160)를 구동하기 위해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6100)로의 비디오 출력은 또한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시스템(6000)은 또한 부시스템(601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LAN, WAN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6500)를 통해 부시스템(6010)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시스템(651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시스템(6010, 6510)은 웹 서버, 클라이언트 또 는 양자 모두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완전히 브라우저 가능화될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6000)에 의해, 원격 교수 및 음악 교환이 사용자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악기 상에서 연주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것에 부가하여, 시스템(6000)은 음악적인 악보 추출기로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여, 이에 의해 MP3 또는 다른 디지털 포맷된 음악의 관찰을 허용할 수 있다. 악보 추출기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검사하여 음악에 포함된 개별적인 음을 판정한다. 이 적용예는 비디오 스크린을 갖는 MP3-가능 휴대폰 및 PSP와 같은 MP3 기반 게임 시스템과 같은 비디오를 또한 재생하는 임의의 MP3 또는 디지털 음악 포맷 재생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전적인 대가로부터 현재 유명한 밴드에 이르는 음악 작곡물의 구조가 이어서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할 때 시각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6000)은 도 6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6000)은 단계 6600에서 다양한 형태의 음악적인 입력을 수신한다. 음악적인 입력은 MIDI 가능화 악기, 및 전자 악기, 마이크 부착 악기(어쿠스틱 또는 전자)를 이용하여 공연된 라이브 음악, MP3, CD, 테이프 또는 레코드 플레이어(몇몇 비한정적인 예로서)를 통해 연주되는 레코딩된 음악, 디지털 음악 파일, 스캐닝되고 디지털화된 낱장 악보를 포함하는 파일, 작곡 소프트웨어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곡된 음악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단계 6602에서, 수신된 음악적인 입력은 시각화 발생기에 의해 인식되는 포맷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포맷은 그가 생성되는 순간의 소리의 피치 및 기간의 디지털 표현 을 포함하는 MIDI 파일이다. 단계 6604에서, 광학 파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음악의 시각화를 표시하기 위해 생성된다. 단계 6606에서, 광학 파일은 수신된 음악적인 입력에 의해 표현된 음악의 시각화가 사용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하나의 중요한 실시예는 직접적인 음악 교육의 시장에서 명백한데, 이제 음악적 언어의 전례가 없는 기초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임의의 악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주어진 화음 또는 화음 시퀀스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학생은 잘못된 음 또는 손가락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부가적인 또는 특정 악기를 위한 부분이 작곡되어 용이하게 음악 작품에 추가되거나 원한다면 제거될 수 있다. 학생은 점점 더 어려운 작품을 연주하면서 컴퓨터 스크린 상의 패턴을 정합함으로써 음악적인 학습 곡선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전술된 다이어그램은 이러한 완전하지만 유한의 수의 음악적인 형상을 드러내기 때문에, 각각의 특정 악기를 위해 다양한 음악적인 형상의 각각의 대조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점진적이고 증가적으로 복잡한 교수 방법을 촉진하는 각각의 악기에 대해 다양한 기록된 음악 작품을 선택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학생은 이어서 이들이 연주하여 학습할 때 다양한 음악적인 형상 또는 패턴을 점검할 수 있다. 마스터키TM 다이어그램 내의 모든 음악적인 형상의 연주(및 학습)를 보장하는 임의의 주어진 악기에 대해 음악의 레퍼토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단지 음악의 미리 배열된 수집을 학습함으로써 악기에 대해 가능한 가장 완전한 기초를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은 임의의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을 학생에게 가르치기 위해 상호 작용식 컴퓨터 학습 소프트웨어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이득 중 하나는 일반인이 연주법을 학습하는 능력을 제공하고, 심지어 놀라운 품질 및 심도의 음악을 작곡하게 하는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음악 공연 및 작곡[시스템(6000)에 의해 용이해지는]은 전세계의 음악가 및 교육자의 집단이 함께 작업하고 학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원, 다각형 또는 나선체가 수백만의 잠재적인 세분으로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음악 또는 임의의 다른 소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적용예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율동적인 소리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율동적인 패턴을 시각화하고, 시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전통적인 기보법의 이해를 향상시키고, 청각 자극과 함께 시각 자극의 제공을 통해 영유아 발달을 촉진시키고, 오디오 균형화 및 평형화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시각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장소의 음향 특성의 시각화를 통해 음악 공연 장소를 조율하는 것을 보조하고, 음악 레코딩을 믹싱하고 편집하는 것을 보조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음악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음악 작곡물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있게 하고, 시각적인 피드백의 사용을 통해 전동 시스템의 보정을 보조하고, 악기를 조율하고, 이들의 유사성 및 차이를 자동으로 판정하기 위해 음악 작품을 비교하는데(저작권 분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임의의 소리의 시각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단지 음악적인 적용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시각화 구성 요소를 갖는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 즉 임의의 유형의 소리를 위한 인식 시스템(예를 들어, 유리 파괴 검출기)을 위해, 시각화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소리의 보관을 위해, 붕괴를 위한 공격으로부터의 소리의 포락선에 대한 정보가 관찰자에 제시되는 시간 도메인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해, 학생에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언어 치료를 보조하기 위해, 학생에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귀머거리 학생이 말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이들이 노래를 하려고 시도하는 음에 관련된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서 가수에게 음성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에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강세 또는 방언을 획득하거나 고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학생에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외국어 교육을 보조하기 위해, 시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외국어 번역을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 스펙트럼 구성 요소(예를 들어, 심박 모니터, EKG 분석 소프트웨어, 초음파 분석 소프트웨어 등)의 시각화를 사용하여 의료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이즈 감소 필터에 사용하기 위해(예를 들어, 휴대폰, 보청기 등), 그리고 시각적인 피드백을 통한 신원 확인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이, 소리가 음악의 형태이건 또는 심지어 청취 가능한 인간 스펙트럼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소리의 분석이 유용한 임의의 활동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특징에 있어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하고,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게 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이 보호되도록 요구되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42)

  1. (a) 옥타브에서 12개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12개의 라벨로 원의 주위를 라벨링하여, 제 1 라벨로부터 인접한 제 2 라벨로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이동이 음악적인 반음을 표현하게 하는 단계;
    (b) 12개의 음중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c) 12개의 음중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f) 제 1 라벨 및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반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단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장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완전 4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3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주위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12개의 라벨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각각의 인접한 라벨로부터 30도 이격되도록 12개의 라벨의 각각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g) 제 1 음과 제 2 음이 동일한 음을 포함하면, 음에 대응하는 라벨을 강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적색이고, 상기 제 2 색은 주황색이고, 상기 제 3 색은 황색이고, 상기 제 4 색은 녹색이고, 상기 제 5 색은 청색이고, 상기 제 6 색은 심홍색인,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상기 제 2 색의 제 2 주파수보다 낮은 제 1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제 3 색의 제 3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3 주파수는 상기 제 4 색의 제 4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4 주파수는 상기 제 5 색의 제 5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5 주파수는 상기 제 6 색의 제 6 주파수보다 낮은,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악기 상에서 제 1 음을 연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레코딩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제 1 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g) 상기 제 1 및 제 2 음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을 중지한 후에 소정 시간에 라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g) 12개의 음중 제 3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h) 상기 제 3 음에 대응하는 제 3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i) 상기 제 2 라벨 및 상기 제 3 라벨을 연결하는 제 2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 3 라벨 및 상기 제 1 라벨을 연결하는 제 3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1.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상기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옥타브에서 12개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12개의 라벨의 각각의 그룹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상기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음악적인 반음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12개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1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12개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2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 1 라벨 및 상기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반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단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장3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완전 4도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3온음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모든 옥타브로부터 유사한 음은 실질적으로 직선에 위치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나선체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라벨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각각의 인접한 라벨로부터 30도 이격되도록 라벨의 각각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적색이고, 상기 제 2 색은 주황색이고, 상기 제 3 색은 황색이고, 상기 제 4 색은 녹색이고, 상기 제 5 색은 청색이고, 상기 제 6 색은 심홍색인,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상기 제 2 색의 제 2 주파수보다 낮은 제 1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제 3 색의 제 3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3 주파수는 상기 제 4 색의 제 4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4 주파수는 상기 제 5 색의 제 5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5 주파수는 상기 제 6 색의 제 6 주파수보다 낮은, 음악을 시각화하 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악기 상에서 제 1 음을 연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레코딩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제 1 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j) 상기 제 1 및 제 2 음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을 중지한 후에 소정 시간에 라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j) 제 3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k) 12개의 각각의 음중 어느 것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3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l) 상기 제 3 음에 대응하는 제 3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m) 상기 제 2 라벨 및 상기 제 3 라벨을 연결하는 제 2 라인을 생성하는 단 계; 및
    (n) 상기 제 3 라벨 및 상기 제 1 라벨을 연결하는 제 3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1.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상기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옥타브에서 복수의 각각의 음에 대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라벨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상기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 1 음정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복수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1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복수의 각각의 음중 어느 음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2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음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음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 1 라벨 및 상기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1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2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3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4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5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6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모든 옥타브로부터 유사한 음은 실질적으로 직선에 위치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나선체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라벨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벨은 12개의 라벨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각각의 인접한 라벨로부터 30도 이격되도록 라벨의 각각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적색이고, 상기 제 2 색은 주황색이고, 상기 제 3 색은 황색이고, 상기 제 4 색은 녹색이고, 상기 제 5 색은 청색이고, 상기 제 6 색은 심홍색인,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상기 제 2 색의 제 2 주파수보다 낮은 제 1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제 3 색의 제 3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3 주파수는 상기 제 4 색의 제 4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4 주파수는 상기 제 5 색의 제 5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 5 주파수는 상기 제 6 색의 제 6 주파수보다 낮은,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정은 반음이고, 상기 제 2 음정은 온음이고, 상기 제 3 음정은 단3도이고, 상기 제 4 음정은 장3도이고, 상기 제 5 음정은 완전 4도이고, 상기 제 6 음정은 3온음인,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악기 상에서 제 1 음을 연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의 발생은 레코딩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제 1 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j) 상기 제 1 및 제 2 음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을 중지한 후에 소정 시간에 라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31. 제 21 항에 있어서,
    (j) 제 3 음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k) 복수의 각각의 음중 어느 것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옥타브가 제 3 음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l) 상기 제 3 음에 대응하는 제 3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m) 상기 제 2 라벨 및 상기 제 3 라벨을 연결하는 제 2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n) 상기 제 3 라벨 및 상기 제 1 라벨을 연결하는 제 3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악을 시각화하는 방법.
  32. (a) 복수의 선회체를 갖는 나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나선체의 주위를 라벨로 라벨링하는 단계로서,
    (1) 상기 나선체의 각각의 선회체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 복수의 각각의 소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라벨을 갖고,
    (2) 임의의 라벨로부터 인접한 라벨로 상기 나선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 1 주파수 음정을 표현하는 단계;
    (c) 제 1 소리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d) 복수의 각각의 소리중 어느 소리가 그리고 어느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가 제 1 소리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e) 제 2 소리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f) 복수의 각각의 소리중 어느 소리가 그리고 어느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가 제 2 소리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g) 제 1 소리에 대응하는 제 1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h) 제 2 소리에 대응하는 제 2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 1 라벨 및 상기 제 2 라벨을 연결하는 제 1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1)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1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1 색이고,
    (2)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2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2 색이고,
    (3)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3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3 색이고,
    (4)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4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4 색이고,
    (5)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5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5 색이고,
    (6) 각각의 라인은 제 1 음과 제 2 음이 제 6 주파수 음정에 의해 분리되면 제 6 색인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각의 소리는 복수의 음악적인 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범위는 복수의 옥타브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모든 옥타브로부터 유사한 음은 실질적으로 직선에 위치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나선체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라벨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벨은 12개의 라벨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각각의 인접한 라벨로부터 30도 이격되도록 라벨의 각각을 배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은 적색이고, 상기 제 2 색은 주황색이고, 상기 제 3 색은 황색이고, 상기 제 4 색은 녹색이고, 상기 제 5 색은 청색이고, 상기 제 6 색은 심홍색인,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정은 반음이고, 상기 제 2 음정은 온음이고, 상기 제 3 음정은 단3도이고, 상기 제 4 음정은 장3도이고, 상기 제 5 음정은 완전 4도이고, 상기 제 6 음정은 3온음인,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리의 발생은 악기 상에서 제 1 소리를 연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40.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리의 발생은 레코딩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제 1 소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41. 제 32 항에 있어서,
    (j)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을 중지한 후에 소정 시간에 라인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42. 제 32 항에 있어서,
    (j) 제 3 소리의 발생을 식별하는 단계;
    (k) 복수의 각각의 소리중 어느 것이 그리고 어느 각각의 주파수 범위가 제 3 소리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l) 상기 제 3 소리에 대응하는 제 3 라벨을 식별하는 단계;
    (m) 상기 제 2 라벨 및 상기 제 3 라벨을 연결하는 제 2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n) 상기 제 3 라벨 및 상기 제 1 라벨을 연결하는 제 3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방법.
KR1020097002795A 2006-07-12 2007-07-12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38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038606P 2006-07-12 2006-07-12
US60/830,386 2006-07-12
US11/827,264 2007-07-11
US11/827,264 US7538265B2 (en) 2006-07-12 2007-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898A true KR20090038898A (ko) 2009-04-21

Family

ID=3892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95A KR20090038898A (ko) 2006-07-12 2007-07-12 음악 및 다른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5) US7538265B2 (ko)
EP (1) EP2050085A4 (ko)
JP (1) JP2010504539A (ko)
KR (1) KR20090038898A (ko)
CN (1) CN101681565A (ko)
AP (1) AP2792A (ko)
AU (1) AU2007272992B2 (ko)
BR (1) BRPI0715466A2 (ko)
CA (1) CA2658169A1 (ko)
EA (1) EA200900176A1 (ko)
IL (1) IL196386A (ko)
MX (1) MX2009000373A (ko)
NZ (1) NZ574716A (ko)
WO (1) WO200800839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56B1 (ko) * 2009-07-01 2009-12-04 엠엠비 주식회사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장치의 출력 장치 제어 방법
EP2527020A1 (de) * 2011-05-23 2012-11-28 TV Text International Fernsehtext-Produktion GmbH Textprojektionsvorrichtung
KR20160098564A (ko) 2015-02-09 2016-08-19 김남주 언어 노출 정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20128168A (ko) * 2021-03-12 2022-09-2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265B2 (en) * 2006-07-12 2009-05-26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WO2008100485A1 (en) * 2007-02-12 2008-08-21 Union College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dispersed data patterns into moving objects
US20080229200A1 (en) * 2007-03-16 2008-09-18 Fein Gene S Graphical Digital Audio Data Processing System
US7589269B2 (en) * 2007-04-03 2009-09-15 Master Key, Llc Device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al rhythmic structures
US7880076B2 (en) * 2007-04-03 2011-02-01 Master Key, Llc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sual stimulation
US7932454B2 (en) * 2007-04-18 2011-04-26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instruction
WO2008130697A1 (en) * 2007-04-19 2008-10-30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d mixing sound recordings
US8127231B2 (en) * 2007-04-19 2012-02-28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audio equalization
WO2008130660A1 (en) *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Archiving of environmental sounds using visualization components
WO2008130659A1 (en) *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ty verification
WO2008130664A1 (en) *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sound recognition
WO2008130661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usical works
US7947888B2 (en) 2007-04-20 2011-05-24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generated music
WO2008130666A2 (en) *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music composition
WO2008130663A1 (en) *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language processing
US8018459B2 (en) * 2007-04-20 2011-09-13 Master Key, Llc Calibration of transmission system using tonal visualization components
WO2008130698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Musical instrument tu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90064846A1 (en) * 2007-09-10 2009-03-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ading bar coded sheet music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devices
US7919702B2 (en) * 2008-02-01 2011-04-05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nfinitely small divisions of measurement
US7875787B2 (en) * 2008-02-01 2011-01-25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music using note extraction
CN101630503A (zh) * 2008-07-17 2010-01-20 褚晓帅 具有音圆标识的键盘乐器
US20100186575A1 (en) * 2009-01-26 2010-07-29 Rosen Erik M Methods, systems, products, language and processes to depict music
KR101074766B1 (ko) * 2009-10-28 2011-10-19 정영일 절대음감 학습 방법/장치, 전자악기 및 음원 처리 장치
CN101841674B (zh) * 2010-02-10 2012-07-0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频谱处理方法及装置、osd显示的频谱处理装置及其电视机
WO2014028788A2 (en) * 2012-08-15 2014-02-20 Learnbalance Co, Ltd. Musical no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4598215B (zh) * 2014-05-30 2018-01-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音频图形展示方法及装置
US9530391B2 (en) * 2015-01-09 2016-12-27 Mark Strachan Music shaper
CN105118490B (zh) * 2015-07-20 2019-01-18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复调乐器音符定位方法和装置
KR101705466B1 (ko) * 2015-10-27 2017-02-09 정영일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
CN106373591A (zh) * 2016-08-31 2017-02-01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显示音频信息的方法和装置
CN107172483A (zh) * 2017-05-05 2017-09-15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场景下的音质识别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9947304B1 (en) * 2017-05-09 2018-04-17 Francis Begue Spatial harmonic system and method
RU183601U1 (ru) * 2018-02-25 2018-09-26 Станислав Сергеевич Спиридонов Интервальный диск
CN110310613A (zh) * 2018-03-27 2019-10-08 上海新啊利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成颜色编码音乐的方法和设备
US20210390937A1 (en) * 2018-10-29 2021-12-16 Artrendex, Inc. System And Method Generating Synchronized Reactive Video Stream From Auditory Input
US10755683B1 (en) * 2019-02-02 2020-08-25 Shawn Baltazor Transformation of sound to visual and/or tactile stimuli
WO2020163660A2 (en) * 2019-02-06 2020-08-13 Beasely James K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armonious color sets from musical interval data
US11532293B2 (en) * 2020-02-06 2022-12-20 James K. Beasle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armonious color sets from musical interval data
US11798236B2 (en) * 2020-02-28 2023-10-24 Mark Stracha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220405982A1 (en) * 2021-06-21 2022-12-22 Lemon Inc. Spectrum algorithm with trail renderer
JP6973725B1 (ja) * 2021-08-31 2021-12-01 株式会社Tamax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11367363B1 (en) 2022-03-07 2022-06-21 Bennett Samuel Li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music educational tool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86A (en) 1886-08-17 Key-indicator for
US2804500A (en) 1953-10-01 1957-08-27 Rca Corp Color interpretation system
US3698277A (en) 1967-05-23 1972-10-17 Donald P Barra Analog system of music notation
US3969972A (en) 1975-04-02 1976-07-20 Bryant Robert L Music activated chromatic roulette generator
US4128846A (en) 1977-05-02 1978-12-05 Denis J. Kracker Production of modulation signals from audio frequency sources to control color contributions to visual displays
DE2843180C3 (de) 1978-10-04 1981-11-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kustisch-optischen Umwandlung von Signalen
US4172406A (en) 1978-10-16 1979-10-30 Martinez Rosa E Audio-visual headphones
US4257062A (en) 1978-12-29 1981-03-17 Meredith Russell W Personalized audio-visual system
DE3119295A1 (de) * 1981-05-14 1982-12-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zerstoeren von konkrementen in koerperhoehlen
JPS58170694A (ja) * 1982-04-01 1983-10-07 Kure Dia:Kk 軸上下舵柄
US5784096A (en) 1985-03-20 1998-07-21 Paist; Roger M. Dual audio signal derived color display
US4763652A (en) 1986-04-16 1988-08-16 Northgate Research, Inc. Aiming system for kidney stone disintegrator
JPS63113198A (ja) * 1986-10-30 1988-05-18 Toshiba Corp 送風機
US4907573A (en) * 1987-03-21 1990-03-13 Olympus Optical Co., Ltd. Ultrasonic lithotresis apparatus
US4939582A (en) 1987-04-06 1990-07-03 Holdredge Terry K Convertible visual display device
US5048390A (en) 1987-09-03 1991-09-17 Yamaha Corporation Tone visualizing apparatus
US4887507A (en) * 1988-10-31 1989-12-19 Terrance Shaw Music teaching device
GB8903672D0 (en) * 1989-02-17 1989-04-05 Davies Peter M C A method of and means for determining musical note relationships
US5741990A (en) * 1989-02-17 1998-04-21 Notepool, Ltd. Method of and means for producing musical note relationships
US5207214A (en) * 1991-03-19 1993-05-04 Romano Anthony J Synthesizing array for three-dimensional sound field specification
JPH05232856A (ja) 1991-09-05 1993-09-10 C S K Sogo Kenkyusho:Kk 音声視覚化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語学学習装置
US5563358A (en) 1991-12-06 1996-10-08 Zimmerman; Thomas G. Music training apparatus
US5370539A (en) * 1992-03-16 1994-12-06 Dillard; Homer E. Scale and chord indicator device
US6031172A (en) * 1992-06-12 2000-02-29 Musacus International Limited Music teaching aid
JPH07253776A (ja) * 1993-11-02 1995-10-03 Ned Steinberger クロマチックチューナディスプレイ
US6411289B1 (en) * 1996-08-07 2002-06-25 Franklin B. Zimmerman Music visualization system utilizing three dimensional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musical characteristics
JPH1152949A (ja) * 1997-07-30 1999-02-26 Yamaha Corp 音階表示シートおよび音階表示装置
JP3746887B2 (ja) * 1997-10-24 2006-02-1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程の表示方法
US6111755A (en) * 1998-03-10 2000-08-29 Park; Jae-Sung Graphic audio equalizer for personal computer system
US6127616A (en) 1998-06-10 2000-10-03 Yu; Zu Sheng Method for representing musical compositions using variable colors and shades thereof
US6137041A (en) * 1998-06-24 2000-10-24 Kabashiki Kaisha Kawai Gakki Music score rea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usic score reading program
ID29029A (id) * 1998-10-29 2001-07-26 Smith Paul Reed Guitars Ltd Metode untuk menemukan fundamental dengan cepat
US6265651B1 (en) 1999-01-26 2001-07-24 American Winding Company Gauge for selecting musical instrument strings
US6245981B1 (en) * 1999-03-26 2001-06-12 Jonathan R. Smith Musical key transposer
US6407323B1 (en) 1999-04-22 2002-06-18 Karl Karapetian Notating system for symbolizing data descriptive of composed music
KR20010020900A (ko) 1999-08-18 2001-03-15 김길호 화성법과 색음 상호변환을 이용하여 색채를 조화하는 방법및 장치
US6544123B1 (en) 1999-10-29 2003-04-08 Square Co., Ltd. Game apparatus, command input method for video g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s for realizing the same
JP2001129244A (ja) 1999-11-01 2001-05-15 Konami Co Ltd 音楽演奏ゲーム装置、演奏ガイド画像表示方法及び演奏ガイド画像形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US6856329B1 (en) 1999-11-12 2005-02-15 Creative Technology Ltd. Automated acquisition of video textures acquired from a digital camera for mapping to audio-driven deformable objects
US6414230B2 (en) 2000-01-07 2002-07-02 Ben H. Randall Jazz drumming ride pattern flip chart tool
US6201769B1 (en) * 2000-04-10 2001-03-13 Andrew C. Lewis Metronome with clock display
US7182601B2 (en) * 2000-05-12 2007-02-27 Donnan Amy J Interactive toy and methods for exploring emotional experience
US6392131B2 (en) * 2000-06-09 2002-05-21 Stephen W. Boyer Device for patterned input and display of musical notes
US6870085B2 (en) 2000-08-03 2005-03-22 Maccutcheon Jane S. Music teaching system and method
US6350942B1 (en) 2000-12-20 2002-02-2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stringed instrument playing
US6791568B2 (en) 2001-02-13 2004-09-14 Steinberg-Grimm Llc Electronic color display instrument and method
US6930235B2 (en) * 2001-03-15 2005-08-16 Ms Squared System and method for relating electromagnetic waves to sound waves
US6841724B2 (en) * 2001-05-30 2005-01-11 Michael P. George Method and system of studying music theory
WO2002101687A1 (en) * 2001-06-12 2002-12-19 Douglas Wedel Music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7174510B2 (en) 2001-10-20 2007-02-06 Hal Christopher Salter Interactive game providing instruction in musical notation and in learning an instrument
US20050190199A1 (en) * 2001-12-21 2005-09-01 Hartwell Brow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images of musical notes in music and producing the music
US7212213B2 (en) 2001-12-21 2007-05-01 Steinberg-Grimm, Llc Color display instrumen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030199857A1 (en) 2002-04-17 2003-10-23 Dornier Medtech System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coustic pulses
US20030205124A1 (en) 2002-05-01 2003-11-06 Foote Jonathan T.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and sequencing music by rhythmic similarity
US6987220B2 (en) 2002-07-09 2006-01-17 Jane Ellen Holcombe Graphic color music notation for students
US6750386B2 (en) 2002-08-26 2004-06-15 Trevor King Cycle of fifths steel pan
DE10330337A1 (de) 2002-09-13 2004-03-18 Thomson Licensing S.A.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zeugung eines Videoeffektes
WO2004038694A1 (ja) * 2002-10-24 2004-05-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楽曲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音楽音響データ中のサビ区間検出方法
US6977335B2 (en) 2002-11-12 2005-12-20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DE10254893B4 (de) 2002-11-19 2004-08-26 Rainer Haase Verfahren zur programmgesteuerten, visuell wahrnehmbaren Darstellung eines Musikwerkes
JP2004226556A (ja) 2003-01-21 2004-08-12 Masumi Saito 話し方診断方法、話し方診断装置、話し方学習支援方法、音声合成方法、カラオケ練習支援方法、ボイス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辞書、語学教材、方言矯正方法、方言学習方法
US7202406B2 (en) 2003-02-10 2007-04-10 Ronald E Colema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drummers
JP2004246184A (ja) * 2003-02-14 2004-09-02 Eigyotatsu Kofun Yugenkoshi 視覚化された発音の提案を備えた言語学習システム及び方法
US7060887B2 (en) 2003-04-12 2006-06-13 Brian Pangrle Virtual instrument
US7096154B1 (en) * 2003-12-30 2006-08-22 The Math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repetitively structured Markov models
JP4487617B2 (ja) * 2004-04-14 2010-06-2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センサフレーム取り付け構造
US7271329B2 (en) 2004-05-28 2007-09-18 Electronic Learning Products, Inc. Computer-aided learning system employing a pitch tracking line
US7525034B2 (en) 2004-12-17 2009-04-28 Nease Joseph L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interpretation into sound
KR100671505B1 (ko) 2005-04-21 2007-02-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베이즈법을 적용한 악기신호의 인식 및 장르분류 방법
US20070044639A1 (en) 2005-07-11 2007-03-01 Farbood Morwaread M System and Method for Music Creation and Distribution Over Communications Network
WO2007010637A1 (ja) 2005-07-19 2007-01-25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テンポ検出装置、コード名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601904B2 (en) 2005-08-03 2009-10-13 Richard Dreyfuss Interactive tool and appertaining method for creating a graphical music display
TW200727170A (en) 2006-01-09 2007-07-16 Ulead Systems Inc Method for generating a visualizing map of music
US7732694B2 (en) 2006-02-03 2010-06-08 Outland Research, Llc Portable music player with synchronized transmissive visual overlays
US7439438B2 (en) 2006-03-26 2008-10-21 Jia Hao Musical notation system patterned upon the standard piano keyboard
US7521619B2 (en) 2006-04-19 2009-04-21 Allegro Multimedia, Inc.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ng musical notation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538265B2 (en) 2006-07-12 2009-05-26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JP4823804B2 (ja) 2006-08-09 2011-11-2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コード名検出装置及びコード名検出用プログラム
JP2010518428A (ja) 2007-02-01 2010-05-27 ミューズアミ,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楽転写
EP2122510A2 (en) 2007-02-14 2009-11-25 Museami, Inc. Music-based search engine
US7589269B2 (en) 2007-04-03 2009-09-15 Master Key, Llc Device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al rhythmic structures
US7932454B2 (en) 2007-04-18 2011-04-26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instruction
WO2008130697A1 (en) 2007-04-19 2008-10-30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d mixing sound recordings
WO2008130664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sound recognition
WO2008130661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usical works
WO2008130660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Archiving of environmental sounds using visualization components
WO2008130658A1 (en) 2007-04-20 2008-10-30 Master Key, Llc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therapy
JP4467601B2 (ja) 2007-05-08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ビート強調装置、音声出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ビート出力方法
KR20090022670A (ko) 2007-08-31 2009-03-04 주식회사 성음악기 기타의 이퀄라이져에 구비된 튜너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방법
US7875787B2 (en) 2008-02-01 2011-01-25 Master Ke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music using note extra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56B1 (ko) * 2009-07-01 2009-12-04 엠엠비 주식회사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장치의 출력 장치 제어 방법
EP2527020A1 (de) * 2011-05-23 2012-11-28 TV Text International Fernsehtext-Produktion GmbH Textprojektionsvorrichtung
KR20160098564A (ko) 2015-02-09 2016-08-19 김남주 언어 노출 정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20128168A (ko) * 2021-03-12 2022-09-2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선 악보, 나선 악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900176A1 (ru) 2009-08-28
EP2050085A4 (en) 2012-04-25
AP2009004749A0 (en) 2009-02-28
MX2009000373A (es) 2009-07-22
WO2008008395A3 (en) 2008-09-04
US20110214555A1 (en) 2011-09-08
IL196386A (en) 2014-01-30
WO2008008395A2 (en) 2008-01-17
AP2792A (en) 2013-10-31
US20100263516A1 (en) 2010-10-21
US20130220101A1 (en) 2013-08-29
CA2658169A1 (en) 2008-01-17
AU2007272992A1 (en) 2008-01-17
US7781662B2 (en) 2010-08-24
US20080022842A1 (en) 2008-01-31
US7538265B2 (en) 2009-05-26
NZ574716A (en) 2011-10-28
CN101681565A (zh) 2010-03-24
US20090158916A1 (en) 2009-06-25
AU2007272992B2 (en) 2011-08-25
US7956273B2 (en) 2011-06-07
EP2050085A2 (en) 2009-04-22
BRPI0715466A2 (pt) 2013-03-19
IL196386A0 (en) 2009-09-22
JP2010504539A (ja)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6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US79324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instruction
US76712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therapy
US7932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usical works
US7875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music using note extraction
US79944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d mixing sound recordings
US7960637B2 (en) Archiving of environmental sounds using visualization components
Gorow Hearing and writing music: professional training for today's musician
US8843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language processing
US200802709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equalization
US7947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generated music
US20080264238A1 (en) Musical instrument tuning method and apparatus
Manzo The effects of polyphonic interactive music systems on determining harmonic functions
Airhart Modern Pieces for Solo Cello: Expanding Solo Cello Repertoire through 21 st Century Works by Women Composers
Marinissen The composition of concert music within the Digital Audio Workstation environment.
Hill II Synesthetic music experience commun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