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857A -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857A
KR20090037857A KR1020087028694A KR20087028694A KR20090037857A KR 20090037857 A KR20090037857 A KR 20090037857A KR 1020087028694 A KR1020087028694 A KR 1020087028694A KR 20087028694 A KR20087028694 A KR 20087028694A KR 20090037857 A KR20090037857 A KR 2009003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nozzle
injection molding
sleev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존 필
Original Assignee
볼라스틱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라스틱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볼라스틱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8Nozzl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사출 성형 노즐 조립체(100)용 사출 성형 팁(3)은 제1 단부에 있는 입구(4a)와, 제2 단부에 있는 출구(4b)와, 입구(4a)와 출구(4b) 사이에 있는 유동 경로(4)를 갖는다. 제1 단부에 인접한 팁(3)의 제1 부분(26)은 제1 직경을 갖고,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부분(31)은 제2 직경을 갖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중앙 부분(29)은 제1 직경 및 제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사출 성형 팁이 또한 개시된다.
사출 성형 팁, 제1 단부, 제2 단부, 입구, 출구, 유동 경로, 중앙 부분

Description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INJECTION MOULDING NOZZLE AND TIP THEREFOR}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을 위한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핫 러너(hot runner)"형 노즐에 관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핫 러너"형 사출 성형에서, 플라스틱은 가열된 노즐을 통해 몰드 내로 흐른다. 플라스틱은 팁을 통해 흐르며, 이 팁은 통상적으로 베릴륨 구리 같은 비교적 고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팁은 통상적으로, 위치설정 너트 같은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몰드의 게이트 개구에 대해 배치된다. 너트는 몰드로부터 팁을 단열하기 위해서 티타늄 같은 비교적 열악한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흔히 형성된다.
현존하는 노즐의 설계는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다수의 노즐은 플라스틱이 정확한 온도 부근에서 노즐을 벗어나는 것을 보증하도록 최적의 사출 온도 보다 수십도 높은 정점까지 노즐 내의 플라스틱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는 현대의 합성 플라스틱이 사용될 때 특히 부적합하며, 그 이유는 이들 재료 중 몇몇은 플라스틱이 용융 상태로 머물지만 열화되지는 않는 비교적 좁은 온도 범위[즉, "동작 윈도우(operating window)"]를 가지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의 노즐의 온도는 노즐을 벗어나는 플라스틱의 온도가 필요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감시 및 제어된다.
전통적으로, 종래 기술의 노즐 내의 온도 변화가 크므로, 대표적인 측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는 센서의 위치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노즐의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극복 또는 개선시키는 사출 성형 노즐 또는 적어도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사출 성형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포괄적 태양에 따르면, 사출 성형 노즐 조립체를 위한 사출 성형 팁이 제공되며, 이 팁은,
제1 단부에 있는 입구와,
제2 단부에 있는 출구와,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동 경로와,
제1 직경을 갖는 제1 단부에 인접한 제1 부분과,
제2 직경을 갖는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부분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며,
중앙 부분은 제1 직경 보다 크고 제2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중앙 부분의 외부면은 팁이 연결되는 노즐 본체의 외부면과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팁의 제1 부분은 노즐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의 제2 부분은 몰드에 대해 노즐 조립체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 경로는 팁 라이너에 의해 제공되며, 팁 라이너는 팁의 일체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팁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부분은 각각 외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은 베릴륨 구리 또는 고 열전도성 카바이드 재료 같은 고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설정 수단은 팁의 재료 보다 크게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본체는 팁 보다 크게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포괄적 태양에 따르면, 사출 성형 노즐을 위한 사출 성형 팁이 제공되며, 이 팁은 고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되고,
노즐 본체에 대한 연결을 위한 제1 부분과,
위치설정 수단에 대한 연결을 위한 제2 부분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중앙 부분은 가열 수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다.
팁은 사용시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의 총 질량의 적어도 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은 슬리브와, 슬리브 내부에 제공된 팁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팁 라이너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슬리브는 사용시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의 총 질량의 적어도 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팁 라이너의 질량의 실질적으로 두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팁의 중앙 부분은 팁 라이너를 배제한 팁의 총 질량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포괄적 태양에 따르면, 사출 성형 노즐이 제공되며, 이 사출 성형 노즐은
노즐 본체와,
본체 상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팁을 포함하고,
팁은 입구,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체 유동 경로, 입구와 출구 사이의 섕크(shank) 부분 및 가열 수단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생크 부분의 외부면을 포함한다.
생크 부분은 슬리브와, 내부에 유동 경로가 제공되는 슬리브 내에 제공된 팁 라이너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외부면은 가열 수단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섕크 부분의 외부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입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사이에서 팁 라이너와 긴밀한 열 접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은 고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고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 라이너는 고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은 슬리브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은 커버 또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가열 수단은 상기 커버 또는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상기 커버 또는 하우징과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하우징 및/또는 노즐 본체의 적어도 세 배의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 및/또는 노즐 본체의 적어도 다섯 배의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노즐은 입구, 출구 및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경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시 본체는 출구가 팁의 입구와 유체 연통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은 베릴륨 구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베릴륨 구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 라이너는 슬리브와 대략 동등한 열전도도를 갖는 카바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세장형 팁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거리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팁은 본체의 내부 배치를 위하여 구성된 제1 단부와 위치설정 수단의 내부 배치를 위하여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서, 사출 성형 노즐 조립체를 위한 본체가 제공되고, 본체는 입구를 갖는 제1 단부, 출구를 갖는 제2 단부 및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고, 본체는 제1 단부에 있거나 제1 단부에 인접한 플랜지부, 플랜지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섕크 부분, 섕크 부분 상에 제공되고 사용시 사출 성형 노즐의 가열기 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환형인 부재를 더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환형인 부재는 가열기 수단 위로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내부 환형 리베이트(rebate)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환형인 부재는 노즐 본체의 나머지에 대해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서, 사출 성형 노즐은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신규한 태양으로서 모두 고려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은 예시적인 가능한 실시예로서 주어진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측면도이다.
도2는 평면 A-A를 통한 도1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3은 열 유동을 도시하는 도2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팁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팁의 슬리브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본체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재료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들 참조들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재료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는 온도 차이 정도에 대한 제곱 미터의 표면 영역, 예를 들어 W/mk로 전도되는 열의 의미로 사용된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 노즐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0으로 참조된다.
노즐(100)은 입구(2a)와 출구(2b) 사이의 유체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 채널(2)을 갖는 본체(1)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3으로 참조되는 세장형 팀은 본체(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팁(3)은 입구(4a)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4b) 사이의 유체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 채널(4)을 갖는 팁 라이너(3a)를 포함한다.
노즐(100)은 전기 요소(도시 생략)와 같은 가열 수단에 부착되거나 가열 수단과 일체형인 하우징 또는 커버(5)를 갖는다. 팁(3)은 슬리브(8)와 결합하는 위치설정 너트(6)와 같은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서 몰드 게이트에 대해 정렬된다.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팁(3)의 입구(4a)는 본체의 출구(2b)와 실질적으로 정렬하므로, 사용시, 용해된 플라스틱은 채널(2, 4)을 통해 매니폴드 또는 기계 노즐(도시 생략)로부터 유동하여 팁(3) 및 게이트(10) 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출 개구(4b)를 통해 몰드(도시 생략)로 유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출구 개구(4b)가 도시되어 사용된다.
슬리브(8)는 팁 라이너(3a)와 가열 수단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8) 및 팁 라이너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즉, 팁은 주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일체형 부분들로서 슬리브(8) 및 라이너(3a)로 형성됨], 팁 라이너(3a)는 슬리브(8) 및 팁 라이너(3a)가 (예를 들어, 억지 끼움을 사용함으로써) 단일 제품을 포함하도록 슬리브(8)에 연결된다. 슬리브(8)는 팁 라이너(3a)및 가열 수단과 긴밀한 열 접촉을 하고, 실질적으로 대부분이 팁 라이너(3a), 또는 팁 라이너(3a)의 섕크의 모든 길이, 즉 실질적으로 입구(4a)와 출구 개구(4b) 사이의 팁 라이너(3a)의 세장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슬리브(8)는 슬리브의 일단부를 본체와 결합시키고 슬리브의 타단부를 위치설정 수단(6)과 결합시키는 외부 나사부를 구비하여서 슬리브가 일 단부에서 본체 및 타단부에서 위치 수단으로 내부적으로 연장한다. 팁 라이너(3a)로부터 분리 구성 요소로서 제공된다면, 슬리브(8)는 본체(1)에 대한 팁(3)을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슬리브(8) 및 팁 라이너(3a)는 통상 본체 및 위치 수단(6)보다 높은 고열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팁 라이너(3a)는 고열전도도(즉, 베릴륨 구리로 이루어진 열전도도, 또는 베릴륨 구리의 열전도도와 유사한 열전도도, 또는 유사한 열적 특성을 갖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진 열전도도)를 갖는 카바이드(carb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팁은 노즐 및/또는 하우징의 본체보다 적어도 약 3배 내지 5배의 열전도성인 재료들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8)는 팁 라이너(3a)가 배치된 원통형 개구를 갖고, 단부보다 큰 직경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고, 중앙 원통형 표면은 가열 수단과 긴밀한 열 접촉이 제공된다. 그러 므로, 팁(3)은 각각의 입구 및 출구에 인접한 감소된 직경의 제1 및 제2 부분과, 가열 수단과 접촉하는 증가된 직경의 중앙 부분을 갖는다.
슬리브(8)는 베릴륨 구리, 또는 유사하거나 더 좋은 열전도도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항복 온도를 갖도록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 및 라이너 양쪽 모두는 카바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은, 팁(3)의 어느 단부에 인가되기 보다는, 슬리브(8)의 큰 직경의 중심부를 통해 팁(3)에 인가된다. 이는 가열 수단이 노즐의 출구를 향해 더 연장되는 노즐에 대해 몰드까지의 열 손실이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8)의 고 열전도도는 슬리브(8)에 의해 흡수된 열의 대부분이 가열 수단으로부터 더 낮은 열전도성 노즐 본체 및/또는 위치설정 유닛을 통해 유동하기보다는 화살표(20)로 나타내진 유동 경로(4)로 플라스틱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라이너(3a)도 역시 고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열은 유동 경로(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동 경로(4) 내에서 플라스틱에 인가된다.
팁(3)은 열 저장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충분한 질량을 갖는데, 즉 팁(3)은 유동 경로(4) 내의 플라스틱에 비해 큰 열 용량을 갖는다. 팁(3)을 통해 유동하는 플라스틱의 온도가 필요 온도보다 순간적으로 차가워지는 경우에도, 슬리브(8)는 팁(3) 온도의 현저한 강하 없이 플라스틱을 가열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성 슬리브(8) 및 라이너(3a)를 제공함으로써, 팁(3) 내의 플라스틱의 온도는 종래 기술의 노즐로 가능한 것보다 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히터에서 팁으로의 열 유동이 매우 양호하여, 온도가 매우 균등할 수 있으며, 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플라스틱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위치는 종래 기술의 노즐에서보다 훨씬 덜 임계적(critical)이라는 것을 본 출원인은 발견하였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열 수단 상에 또는 가열 수단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센서는 팁 근방의 또는 팁 내부의 센서가 필요없는 팁 내에서 플라스틱의 온도를 충분히 나타내는 온도 측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위치설정 수단은 필요한 경우 팁보다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며, 예컨대 강철 또는 티타늄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슬리브(8)는 팁 라이너(3a) 및 유동 경로(4)로 매우 양호하게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통상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위치설정 수단으로 주형으로부터 팁(3)을 절연시킬 필요는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이 출구 개구(들)을 빠져나갈 때 전단 응력에 의해 생성된 열을 소산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보다 더 전도성인 위치설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전단 응력에 의해 생성된 열로 인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열전도도를 갖는 위치설정 수단이 사용될 필요가 있는 환경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1. 슬리브를 포함하는 팁은 인젝터의 총 질량의 적어도 20%(또는 양호하게는 20% 내지 37%)를 포함한다.
2. 팁 라이너가 없는 슬리브 부분은 인젝터의 총 질량의 적어도 14%(또는 양 호하게는 14% 내지 25%)를 포함한다.
3. 슬리브는 팁 라이너의 질량의 사실상 두 배이다.
4. 슬리브의 확대 중심부는 적어도 슬리브의 총 질량의 약 50%이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 조립체는 전체 노즐 조립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중량%를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a) 본체 45% 내지 72%
(b) 슬리브 14% 내지 25%
(c) 팁 라이너 6% 내지 12%
(d) 너트 7% 내지 16%
당업자는, 본 발명이 히터와 플라스틱 사이에서 개선된 열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사출 성형 노즐을 제공하여 노즐 내에서 플라스틱의 감소하는 온도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슬리브는 열을 외부면으로부터 상부까지 내향으로 전도하며, 열이 팁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위치설정 수단의 외향으로 불필요하게 전달되지 않도록 본체 및 위치 설정 수단의 내향으로 돌출한다.
다음의 도4를 참조하면, 팁의 다른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01로 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슬리브(21)는 테이퍼링 단부(22)를 구비하며, 그 위에 대응하는 테이퍼링 내부면(24)을 갖춘 너트(23)와 같은 위치설정 수단이 사용시 체결된다. 위치 설정 수단(23)은 적합한 나사부(25)에 의해 슬리브(2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설정 수단은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열 팽창 계수를 갖 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브(21)의 반경 방향의 팽창은 제한되지만 축 방향으로의 일부 팽창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리브(21)의 축 방향으로의 팽창은 슬리브의 테이퍼링 단부(22)가 위치 설정 수단의 테이퍼링 내부면(24)에 의해 팁 라이너(3a)와 가까이 접촉하여 가압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품들 사이의 열 팽창 계수의 잠재적인 현저한 차이에 상관 없이, 라이너(3a)와 슬리브(21) 사이의 경계면으로, 또한 슬리브(21)와 위치설정 수단(23) 사이의 경계면으로 용융 플라스틱이 최소로 관통한다.
다음 도5를 참조하면, 슬리브(21)의 제1 단부(26)는 노즐의 본체의 내부(도시 생략)와 사실상 같은 직경의 중심 지역(zone)(2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21)의 단부에 가장 가까운 제1 부분(26)의 단부에는 중심 지역(27)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압축 가능한 지역(28)이 갖춰져 있다. 슬리브(21)의 확대된 직경의 중심 부분(29)과 중심 지역(27) 사이의 제1 단부(26)의 대향 단부에는 또한 중심 지역(27)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확장 가능한 지역(30)이 갖춰져 있다. 압축 가능한 지역과 확장 가능한 지역은 노즐의 본체가 중심 부분(29)의 견부에 대해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여 조립체의 강성을 높인다.
유사하게, 슬리브(21)의 제2 단부(31)는 제2 중심 지역(32)과 슬리브(21)의 단부 사이에 제2 중심 지역(32) 및 제2 압축 가능한 지역(33)을 갖춘다. 제2 확장 가능한 지역(34)은 중심 부분(29)과 제2 중심 지역(32) 사이에 갖춰진다. 이는 위치설정 수단이 중심 부분(29)의 견부에 대해 견고하게 체결되게 허용한다.
도6을 참조하면, 양호한 노즐 본체의 설계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200으로 참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200)의 입구(2a)에 또는 입구(2a)에 인접한 곳에 반경 방향 연장 플랜지부(26) 및 섕크 부분(35)이 갖춰진다. 분리 부품으로 제조되는 대체로 환형인 부재(37)는 플랜지부(36) 아래에 섕크부(35)에 연결된다. 환형 부재(37)는 섕크부(35)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항 용접은 섕크부(35)에 환형 부재(37)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환형 부재(37)에는 종래의 노즐 본체와 함께 가열 수단 위로 활주할 수 있도록 내부 환형 리베이트(38)가 갖춰진다.
당업자는, 노즐 본체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일한 강성의 강철을 사용하여 환형 부재(27)를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리 부품으로서의 환형 부재(37)를 제공함으로 환형 부재(37)용 재료의 선택이 증가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 부재(37)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티타늄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분리 환형 부재(37)는, 부품이 본체의 휴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더 용이하게 기계 가공되는 재료로부터 제조되게 하고 기계 가공 단계의 성질을 변경함으로, 내부 환형 리베이트의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된 노즐 본체에서, 길고 협소한 환형 슬롯은 노즐 본체에 끼워지는 반면, 본 발명의 환형 부재(37)는 도6에 도시된 내부 환형 리베이트의 생성만을 필요로 한다.
전술된 기재에서, 등가물로 공지된 본 발명의 특정 부품 또는 완성품이 참조되었으며, 이러한 등가물은 개별적으로 기재될 필요가 있다면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가능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수정 또는 개선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4)

  1. 사출 성형 노즐 조립체용 사출 성형 팁이며,
    제1 단부에 있는 입구와,
    제2 단부에 있는 출구와,
    입구와 출구 사이에 있는 유동 경로와,
    제1 직경을 갖는 제1 단부에 인접한 제1 부분과,
    제2 직경을 갖는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부분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있고 제1 직경보다 크고 제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 부분의 외부면이 팁이 연결되는 노즐 본체의 외부면과 연속하는 사출 성형 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팁의 제1 부분은 노즐 본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성형 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의 제2 부분은 주형에 대해 노즐 조립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사출 성형 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로는 팁의 일체부를 포함하는 팁 라이너에 의해 제공되는 사출 성형 팁.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로는 팁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요소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외부 나사를 각각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은 고 열전도성 재료로부터 구성되는 사출 성형 팁.
  9. 제8항에 있어서, 팁은 베릴륨 구리로부터 구성되는 사출 성형 팁.
  10. 제8항에 있어서, 팁은 고 열전도성 카바이드 재료로부터 구성되는 사출 성형 팁.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수단은 팁의 재료보다 상당히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본체는 팁보다 상당히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3. 사출 성형 노즐 조립체용 사출 성형 팁이며,
    팁은 고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되고,
    노즐 본체에의 연결을 위한 제1 부분과,
    위치설정 수단에의 연결을 위한 제2 부분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수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4. 제13항에 있어서, 팁은 사용시에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20%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팁은 슬리브 및 슬리브 내측에 제공되는 팁 라이너를 포함하고, 팁 라이너는 유동로를 한정하고, 슬리브는 사용시에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14%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팁 라이너의 질량이 실질적으로 두 배인 사출 성형 팁.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의 중심부는 팁 라이너를 제외하고 팁의 전체 질량의 적어도 50 %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사출 성형 팁.
  18. 사출 성형 노즐이며,
    노즐 본체와,
    본체 상에 설비되도록 구성되고, 입구,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체 유동 경로, 입구와 출구 사이의 섕크 부분 및 가열 수단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섕크 부분의 외부면을 갖는 팁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노즐.
  19. 제18항에 있어서, 팁은 고 열전도도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섕크 부분은 슬리브와, 유동 경로가 제공되는 슬리브 내에 형성된 팁 라이너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외부면은 가열 수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섕크 부분의 외부 표면을 제공하는 사출 성형 노즐.
  21. 제20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사이의 팁 라이너와 긴밀하게 열 접촉하는 사출 성형 노즐.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고 열전도도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라이너는 고 열전도도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은 슬리브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노즐.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은 커버 또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가열 수단은 상기 커버 또는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 또는 하우징과 일체인 사출 성형 노즐.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하우징 및/또는 노즐 본체의 적어도 3배의 열전도도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27. 제26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하중 및/또는 노즐 본체의 적어도 5배의 열전도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28. 제18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은 입구,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체 경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사용에서 본체는 배출구가 팁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설정되는 사출 성형 노즐.
  29. 제18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은 베릴륨 구리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 노즐.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라이너는 슬리브와 대략 동일한 열전도도를 갖는 카바이드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 노즐.
  31.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세장형 팁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사출 성형 노즐.
  32. 제1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은 본체의 내부 배치를 위해 구성된 제1 단부와 위치 수단의 내부 배치를 위해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33.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본체의 내부 배치를 위해 구성된 제1 단부와 위치 수단의 내부 배치를 위해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사출 성형 노즐.
  34.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사출 성형 노즐.
KR1020087028694A 2006-04-24 2007-04-24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KR20090037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46761 2006-04-24
NZ54676106 2006-04-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251A Division KR101554446B1 (ko) 2006-04-24 2007-04-24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857A true KR20090037857A (ko) 2009-04-16

Family

ID=386252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251A KR101554446B1 (ko) 2006-04-24 2007-04-24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KR1020087028694A KR20090037857A (ko) 2006-04-24 2007-04-24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251A KR101554446B1 (ko) 2006-04-24 2007-04-24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00015274A1 (ko)
EP (1) EP2015915A4 (ko)
JP (1) JP2009534237A (ko)
KR (2) KR101554446B1 (ko)
CN (1) CN101454140B (ko)
AR (1) AR060637A1 (ko)
AU (1) AU2007241646A1 (ko)
BR (1) BRPI0710906A2 (ko)
HK (1) HK1134268A1 (ko)
IL (1) IL194732A0 (ko)
MX (1) MX2008013715A (ko)
NZ (1) NZ573080A (ko)
RU (1) RU2008146077A (ko)
WO (1) WO2007123428A1 (ko)
ZA (1) ZA200809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6376A1 (en) 2008-07-30 2019-09-11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Apparatus for optimized stimulation of a neurological target
WO2010055421A1 (en) 2008-11-12 2010-05-20 Aleva Neurotherapeutics, S.A. Microfabricated neurostimulation device
AU2010326613B2 (en) 2009-12-01 2015-09-17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Microfabricated surface neurostimulation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927176B2 (ja) 2010-04-01 2016-06-01 エコーレ ポリテクニーク フェデラーレ デ ローザンヌ (イーピーエフエル) 神経組織と相互作用する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
US8899964B2 (en) 2012-03-16 2014-12-02 Mold-Masters (2007) Limited Edge-gate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11311718B2 (en) 2014-05-16 2022-04-26 Aleva Neurotherapeutics Sa Device for interacting with neurological tissu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5173787A1 (en) 2014-05-16 2015-11-19 Aleva Neurotherapeutics Sa Device for interacting with neurological tissu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474894B2 (en) 2014-08-27 2016-10-25 Aleva Neurotherapeutics Deep brain stimulation lead
US9403011B2 (en) 2014-08-27 2016-08-02 Aleva Neurotherapeutics Leadless neurostimulator
US9925376B2 (en) 2014-08-27 2018-03-27 Aleva Neurotherapeutics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with deep brain stimulation
US10702692B2 (en) 2018-03-02 2020-07-07 Aleva Neurotherapeutics Neurostimulation device
CN115027056B (zh) * 2022-06-11 2023-12-08 上海占瑞模具设备有限公司 一种3d打印热流道咀尖结构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9515A (en) * 1985-09-13 1988-07-26 Jobst U. Gellert Injection molding manifold system having balanced bridging manifold
JP2561489B2 (ja) * 1987-10-12 1996-12-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用ヒータ
CA1292848C (en) * 1989-02-14 1991-12-10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system having a valve member with a ribbed insulative portion
JP2991789B2 (ja) * 1991-02-19 1999-12-20 モールド・マスターズ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成形用加熱ノズル
CN2180442Y (zh) * 1993-09-25 1994-10-26 宋雯 一种注塑模热喷嘴
JP2537133B2 (ja) * 1993-09-28 1996-09-25 プラス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用ノズル
JPH10109344A (ja) * 1996-10-07 1998-04-28 Fanuc Ltd 射出成形機におけるノズル温度制御方法
US5925386A (en) * 1997-06-11 1999-07-20 Moberg; Clifford A. Wear-resistant sprue bushing
US6769901B2 (en) * 2000-04-12 2004-08-03 Mold-Masters Limited Injection nozzle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394785B1 (en) * 2000-11-20 2002-05-28 Top Grade Molds Ltd. Nozzle for injection mold
CA2358148A1 (en) * 2001-10-03 2003-04-03 Mold-Masters Limited A nozzle
CA2358187A1 (en) * 2001-10-03 2003-04-03 Mold-Masters Limited Nozzle seal
US6609902B1 (en) * 2002-11-12 2003-08-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ing nozzle
US7160101B2 (en) * 2003-03-20 2007-01-09 Mold-Master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a nozzle with radiant energy
US7238019B2 (en) * 2003-03-27 2007-07-03 Mold-Masters Limited Injection molding nozzle and tip
US7134868B2 (en) * 2003-11-26 2006-11-14 Mold-Masters Limited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wear-resistant tip having diamond-type coating
US7549855B2 (en) * 2007-04-20 2009-06-2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Nozzle tip for high melt pressure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46077A (ru) 2010-05-27
BRPI0710906A2 (pt) 2012-01-10
HK1134268A1 (en) 2010-04-23
KR101554446B1 (ko) 2015-09-18
EP2015915A4 (en) 2012-10-31
AU2007241646A1 (en) 2007-11-01
CN101454140A (zh) 2009-06-10
KR20140117688A (ko) 2014-10-07
IL194732A0 (en) 2009-08-03
CN101454140B (zh) 2015-05-20
MX2008013715A (es) 2009-04-07
NZ573080A (en) 2010-08-27
JP2009534237A (ja) 2009-09-24
US20100015274A1 (en) 2010-01-21
ZA200809939B (en) 2009-12-30
AR060637A1 (es) 2008-07-02
EP2015915A1 (en) 2009-01-21
WO2007123428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857A (ko) 사출 성형 노즐 및 이를 위한 팁
CA2462311C (en) Tip assembly having at least three components for hot runner nozzle
US7614869B2 (en) Manifold nozzle connection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7559760B2 (en) Modular injection nozzle having a thermal barrier
US7845936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an edge gated nozzle in an injection molding system
KR20020061162A (ko) 가열 러너 노즐
US8475158B2 (en) Edge-gated nozzle
CN101722632A (zh) 注模阀闸式热浇道喷嘴
JP2009534211A (ja) ホットランナノズル
US6945767B2 (en) Small pitch nozzle with a thermally conductive insert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7604476B2 (en) Hot runner nozzle system
US5122050A (en) Injection molding probe with a longitudinal thermocouple bore and off center heating element
US20140284399A1 (en)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two-part material pipe
US6155815A (en) Bushing and nozzle heating device
CA2686188A1 (en) Improved injection moulding nozzle and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