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299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299A
KR20090037299A KR1020080090154A KR20080090154A KR20090037299A KR 20090037299 A KR20090037299 A KR 20090037299A KR 1020080090154 A KR1020080090154 A KR 1020080090154A KR 20080090154 A KR20080090154 A KR 20080090154A KR 20090037299 A KR20090037299 A KR 2009003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water
fountai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나카노
마모루 이케시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 본체와, 세정조와, 식기 바구니와, 세정 펌프와,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복수의 토출 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수 장치와, 토출 경로를 복수개 가져서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분수 장치는 세정 펌프에 연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부를 갖는 밸브실과, 밸브실에 접속되어서 복수의 토출 경로에 연통하는 복수의 유출로를 갖는 분수 통로와, 밸브실 내에 마련되어 유입하는 세정수를 복수의 유출로에 선택적으로 분수시키는 밸브 본체를 갖고, 분수 통로는 복수의 유출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형성해서 구비하며, 세정조 내에서 떼져서 밸브 본체를 세정조 내에서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내장 타입이라 불리는 식기 세척기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73992 호 공보에 볼 수 있듯이 단독의 하우징으로 구성하거나,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169821 호 공보에 볼 수 있듯이 설거지대 등의 주방 가구에 일체적으로 조합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 타입의 식기 세척기는 탑재형 식기 세척기에 비교해서 용량을 크게 하기 쉬운 특징이 있고, 한번에 다량의 식기를 세척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상기 문헌에 볼 수 있듯이, 식기는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가 세정조의 저면의 거의 중앙에 회전 중심을 갖는 대형의 회전 세정 노즐로부터 회전을 따라 광역으로 분사됨으로써 세정된다. 그리고, 세정수의 분사 조건은 식기의 배치 방향 등과의 관계를 고려해서 최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에너지 절약이나 스피디(speedy)한 처리 때문에 절수나 세정 시간의 단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식기 바구니는 식기의 출납의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식기의 탑재 위치를 상기 세정수의 분사의 최적 조건에 합치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식기의 세정 조건이 때때로 다른 경우도 있어서, 항상 알맞은 세정을 실행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정 노즐수나 세정의 토출 경로를 늘려서 세정 능력을 높이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복수의 세정 노즐 및 복수의 토출 경로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 노즐이 구비하는 각 토출 경로에 분수(分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각 토출 경로에 동시에 분수시켜 모든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으로는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총 수량이 증대해서 운전 비용이 상승한다. 그리고 세정수의 분사의 압력이 저하하거나, 복수의 세정 노즐의 분사가 서로 방해해서 세정 효율이 저하한다.
이것에는 복수의 세정 노즐, 토출 경로로의 분수를 상이한 시간에 실행하면 대응할 수 있지만, 분수를 실행하는 밸브 구조가 필수로 된다. 또한, 세정 노즐이나 토출 경로가 증대하는 부분만큼 분수 구조가 복잡해져, 복잡해진 부분만큼 물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분수를 실행하는 밸브나 토출 경로를 세정할 수 있고, 밸브의 전환 회수의 증대에 따른 고장에 대비해 밸브의 교환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전방부에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식기 세척기 본체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위쪽에 개구를 갖는 세정조와, 세정조에 수용되어 피세정물을 탑재하는 식기 바구니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복수의 토출 경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수 장치와, 토출 경로를 복수개 가져서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분수 장치는 세정 펌프에 연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부를 갖는 밸브실과, 밸브실에 접속되어서 복수의 토출 경로에 연통하는 복수의 유출로를 갖는 분수 통로와, 밸브실 내에 마련되어 유입하는 세정수를 복수의 유출로에 선택적으로 분수시키는 밸브 본체를 갖고, 분수 통로는 복수의 유출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형성해서 구비하며, 세정조 내로부터 떼어져 밸브 본체를 세정조 내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식기 세척기로 하면, 식기 세척기 본체의 세정조로의 급수 후에 세정 펌프를 구동하면, 세정 펌프는 세정조 내의 세정수를 흡입해 가압해서 분수 장치로 보낸다. 분수 장치는 그 세정수를 복수의 유출로를 거쳐서 복수의 세정 노즐의 복수의 토출 경로를 향해 동시 또는 상이한 시간에 분수시킨다. 그 때문에, 복수의 세정 노즐과 그들이 갖는 복수의 토출 경로에 의한 세정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세정수는 복수의 노즐 위치로부터 다양한 패턴으로 세정조 내에 분출되어, 식기 바구니에 탑재된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분수 통로는 복수의 유출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한 유출로와 동시에 세정조 내로부터 떼어내고, 또한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수 통로는 복수의 유출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밸브실로부터 독립해서 유출로의 양단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세정하고,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분수 통로의 떼어냄에 의해 밸브실이 세정조 내로 개방되어, 그 중의 밸브 본체도 세정조 내에서 떼어내고, 또한 수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100)는 식기 세척기 본체(2), 세정조(4), 식기 바구니(6, 7), 세정·배수 펌프(8), 회전 세정 노즐(12), 비회전 세정 노즐(13), 분수 장치(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배수 펌프(8) 대신에, 세정과 배수 각각 전용의 펌프, 세정 펌프 및 배수 펌프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세정을 위한 배관 및 펌프의 설치와, 배수를 위한 배관 및 펌프의 배치를 개별적으로 최적 설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기 세척기 본체(2)는 전방부에 개구부(1)를 갖는다. 세정조(4)는 식기 세척기 본체(2)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위쪽에 개구(3)를 갖는다. 식기 바구니(6, 7)는 세정조(4)에 수용되어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탑재한다.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인 세정·배수 펌프(8)는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해서 세정에 제공하고, 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배수를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세정·배수 펌프(8)는 상기 방법에 의해 세정과 배수를 실행하지만,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 세정수를 보내는 경로의 도중에 전자 밸브 등을 마련함으로써 세정과 배수를 바꿔도 좋다.
토출 경로를 복수개 가져서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노즐은 회전 세정 노즐(12)과 비회전 세정 노즐(13)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세정 노즐(12)은 세정조(4)의 저면(4a)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세정·배수 펌프(8)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세정 노즐(12)은 저면(4a)의 거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세정 효과가 높고 세정수의 분사 영역이 세정조(4)의 전체에 미치게 하기 쉽다.
또한, 비회전 세정 노즐(13)은 세정조(4)의 주위벽(周壁)(4b)의 후방부 벽(4c), 양측의 측벽(4d, 4e)의 한쪽, 전방부 벽(4f)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비회전 세정 노즐(13)은 세정수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분수 장치(14)는 회전 세정 노즐(12) 및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1개 또는 복수의 토출 경로에 세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식기 세척기 본체(2)의 세정조(4)로의 급수 후에 세정·배수 펌프(8)의 모터를 정회전시키면, 세정·배수 펌프(8)는 세정조(4) 내의 세정수를 흡입하고 가압해서 분수 장치(14)로 보낸다. 분수 장치(14)는 회전 세정 노즐(12)의 1개 또는 복수의 토출 경로와,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1개 또는 복수의 토출 경로를 향해 동시 또는 상이한 시간에 분수시켜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그 때문에 회전 세정 노즐(12)과, 비회전 세정 노즐(13)을 상승(相乘)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수가 세정조(4)의 저면(4a) 및 주위벽(4b)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 위치로부터 다양한 패턴으로 세정조(4) 내에 분출되어, 식기 바구니(6, 7) 등에 탑재된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세정수의 분사 영역, 분사 밀도,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사각(死角)이 없는 분사에 의해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로 간섭하는 분사 모드끼리는 상이한 시간이 되도록 하면, 세정 효과는 저감하지 않고 분사의 낭비를 생략할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회전 세정 노즐(12)에 의한 세정을 최우선으로 하고, 식기의 탑재 위치에 의한 세정 불량에는 비회전 세정 노즐(13)을 보조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토출 경로로의 분수를 상이한 시간에 실행하는 비율에 대응하여, 순환에 필요한 총 수량을 억제해 운전 비용도 저감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식기류의 세정 후, 세정·배수 펌프(8)의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세정 조(4) 내의 세정수의 배수에 따라 분수 장치(14)로부터 회전 세정 노즐(12)이나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남은 물을 배수한다.
또한, 세정·배수 펌프(8)가 부합되는 주위벽(4b)의 1개가 후방부 벽(4c)이나 측벽(4d, 4e) 등인 경우, 가옥의 외벽이나 칸막이 벽 등의 배관 인입면에 대향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관 인입 위치로부터 세정·배수 펌프(8)까지의 배관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부 벽(4c), 측벽(4d, 4e), 전방부 벽(4f)에서의 세정·배수 펌프(8)의 주위방향 편향측을 배관 인입 위치에 가까운 쪽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배관 길이는 더욱 짧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세정·배수 펌프(8)는 후방부 벽(4c)의 하부에 있어서 세정조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세정조에 급수를 실행하기 위한 수도관과 펌프는 식기 세척기의 후방에 있어서 배관에 의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배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배수 펌프(8)는 측벽(4d, 4e)의 전방부 근처나 전방부 벽(4f)에 부합되어 마련된 경우에는, 세정·배수 펌프(8)가 식기 세척기 본체(2)의 개구부(1)에 가깝게 되므로, 세정·배수 펌프(8)의 설치나 유지 보수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식기 세척기 본체(2)는 세정조(4)의 저면(4a)의 회전 세정 노즐(12)의 높이까지를 저수부(4g)로 하며, 또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저수부(4g)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23), 저수부(4g)에 배치한 히터(25), 저수부(4g)로부터의 배수를 실행하는 배수용 오목부(4h), 세정조(4) 내에 온풍을 보내 주는 식기 건조용의 팬 히터(27), 배수용 오목부(4h)에 접속된 수위 센서(24)이다. 이들을 제어 장치(31)에 의해 적시에 구동하고, 세척하며, 헹굼 및 건조의 각 행정을 차례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건조 행정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또한, 분수 장치(14)는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구동 정지에 의한 세정수의 가압, 가압 해제에 대응하여 작동해서 세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 본체를 내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31)에 의해 분수 장치(14)를 직접 제어할 필요는 없고, 세정수의 제어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세정수의 제어나 세정수를 동작시키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모터 등 전용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환 구동해도 좋다.
다음에 분수 장치(14)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와 회전 세정 노즐의 사시도이다.
분수 장치(14)는 밸브실(133)과, 분수 통로(48)와, 밸브 본체(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밸브실(133)은 세정·배수 펌프(8)에 연통하며, 유입부(39)를 갖고 있다. 분수 통로(48)는 밸브실(133)에 접속되어서 복수의 토출 경로에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유출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분수 통로(48)는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토출 경로(35)에 연통하여, 적어도 하나가 일체 형성된 복수의 유출로(36, 37, 38)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32)는 밸브실(133) 내에 마련 되어서 유입하는 세정수를 복수의 유출로(36, 37, 38)에 선택적으로 분수시키도록 전환된다. 또한, 밸브실(133)의 하부는 세정조(4)의 저면의 일부가 되어 있어, 세정조(4)를 수지 성형함과 동시에 밸브실(13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감소, 비용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분수 통로(48)를 세정조(4) 내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밸브 본체(32)가 세정조(4) 내로부터 착탈 가능해진다. 그 결과, 유출로(36, 37, 38)를 통수한 세정, 밸브 본체(32) 자체의 유지 보수, 밸브 본체(32)나 밸브실(133)의 세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복잡한 통로 구조나 밸브 구조부를 장기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복잡한 전환 동작을 하는 밸브 본체(32)의 정상인 기능도 확보하기 쉽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밸브실을 이용한 분수 기능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분수 통로(48)는 상하의 반각체를 초음파 용착 등으로 복수의 유출로(36, 37, 38)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분수 통로(48)는 세정조(4)의 저면(4a)에 마련한 오목부(49)에 위쪽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끼워 넣어져, 저면(4a)과 단차가 없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49)의 바닥부(49a)에, 위쪽에 개구(133a)를 가진 밸브실(133)을 고정하고, 장착된 분수 통로(48)와 밸브실(133)의 접속구(48a)가 밀봉 패킹(51)을 개재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분수 통로(48)를 세정조(4) 내로부터 착탈할 경우, 세정조(4) 내에 분수 통로(48)가 크게 돌출해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만들거나 하지 않는다. 특히, 밸브실(133)의 상면(14a)은 인접하는 세정조(4)의 저면(4a)과 거의 동 등한 높이로 하면, 청소시에 걸림도 없어 작업에 방해되거나, 외력을 받아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 패킹(51)은 접속구(48a)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개구(133a)의 내주와의 사이를 밀봉하도록 했지만, 개구(133a)의 내주측에 장착해 둘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요점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유출로와 그 유출구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밸브실(133)은 유출구(42)와 유출로(36, 37, 38)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 중심(11)과 동심의 접속구(12a)에 대응하는 유출로(36, 37)는 그들의 유출구(36a, 37a)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41)는 회전 세정 노즐(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구(48a)는 세정·배수 펌프(8)가 부합되는 후방부 벽(4c)에 인접한 측벽(4d)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구성에 의해, 수도관으로부터 세정·배수 펌프(8) 및 접속구(48a)를 개재하여 회전 세정 노즐(12)과 비회전 세정 노즐(13)로의 배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회전 세정 노즐(12)의 구조를 포함시켜 분수 장치(14)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도 4 및 도 6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회전 세정 노즐의 요점부를 파단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수 장치(14)는 분수 통로(48)의 일단에 있는 회전 지지부(41)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12)의 접속구(1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 하고 있다. 그리고, 분수 장치(14)에서는 유출로(37)로부터 토출 경로(34)로의 유출구(37a)와, 유출로(36)로부터 토출 경로(33)로의 유출구(36a)가 회전 지지부(41)로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유출구(36a, 37a)는 회전 중심(11) 주위에 동심의 내외 이중 통로 구조에 있어서의 개구이다. 이 개구에 의해, 2개의 유출로(36, 37)가 회전 세정 노즐(12)의 양단 사이에까지 회전 중심(11)에 있어서, 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토출 경로(33, 34)에 회전 중심(11) 주위에 있어서 연통되어 있다.
토출 경로(33, 34)의 도입구(12b, 12c)는 회전 중심(11) 주위에 동심의 내외 이중 통로 구조에 있어서의 도입구(12b, 12c)로서 접속구(12a)로 개구되어 있다. 접속구(12a)의 회전 지지부(41)로의 접속에 의해, 유출구(36a, 37a)와 도입구(12b, 12c)가 연통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구(12b, 12c)는 토출 경로(33, 34)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11)을 중심으로 하는 점 대칭 배치가 되는 토출 경로(33, 34)에 연통된다. 즉, 2개의 유출로(36, 37)와 2개의 토출 경로(33, 34)가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 중심(11)과 동심인 내외 이중 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유출로(36)로부터 토출 경로(33)로의, 및 유출로(37)로부터 토출 경로(34)로의 분수시의 세정수의 흐름은, 회전 중심(11) 주위에 맥동이나 흐트러짐 없이 안정한, 거의 균등한 층류 상태가 된다. 이것은 세정수가 회전 중심(11) 주위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 및 그 회전 위치의 차이의 관계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정수는 토출 경로(33, 34)에 거의 균등하게 도입된다. 또한, 세 정수는 토출 경로(33, 34)를 통하고,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일이 없이 도입된다. 그 때문에, 회전 세정 노즐(12)은 정회전시, 역회전시에도 진동이나 맥동, 회전 불균일 없이 안정하게 회전하고, 회전에 의한 세정 효과가 저하하거나 회전 위치에 의해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내외 이중 통로의 유출로(36, 37)로부터 토출 경로(33, 34)에 분수하는 통로 단면적을 각각 같아지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회전 세정 노즐(12)을 정회전시키는 토출 경로와, 역회전시키는 토출 경로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 및 유속을 같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 역회전을 거의 등속으로 하고, 세정수의 분사압을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구성은 다음 3개 중 어느 것이다. 제 1 구성은 세정조(4)의 저면(4a) 부근의 분수 장치(14)의 접속단(13a)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독의 입설부(13b)만을 구비한 구성이다. 제 2 구성은 접속단(13a)으로부터의 도시하지 않은 수평부를 거친 입설부를 구비한 구성이다. 제 3 구성은 접속단(13a)으로부터의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입설부(13b)를 거친 수평부(13c)를 구비한 구성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배관 구조를 주로 도 2 및 도 7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 내의 부감도이다. 세정·배수 펌프(8), 분수 장치(14), 회전 지지부(41) 및 유출구(42)는 세정조(4)의 저면(4a)의 회전 중심(11)과 1개의 코너(43)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가진 영역(A) 이내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A)은 저면(4a)의 면적의 거의 1/4이다.
밸브실(133)은 회전 지지부(41)와 세정·배수 펌프(8)의 사이에 위치하고, 영역(A) 내의 회전 지지부(41)보다도 더욱 가까운 위치로부터 세정·배수 펌프(8)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41)는 영역(A) 내에서 회전 세정 노즐(12)의 접속구(12a) 및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접속단(13a)에 접속하고 있다. 그 결과, 회전 세정 노즐(12)과 비회전 세정 노즐(13)에 대하여,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 짧은 배관, 통로 길이에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100)는 배관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크지 않으므로 소형화, 경량화,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구동 정지에 대한 분수 전환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고, 압력 손실도 억제할 수 있어, 세정 효율의 향상, 세정 시간의 단축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회전 지지부(41), 밸브실(133), 유출구(42)는 거의 일직선상에 나란히 서고, 유출구(42)는 측벽(4d) 근방에서의 세정·배수 펌프(8)측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접속단(13a)으로부터의 입설부(13b)를 거친 수평부(13c)는 후방부 벽(4c)에 마련되고,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사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실(133)로부터 회전 지지부(41)를 향하는 유출로(36, 37)와, 유출구(42)를 향하는 유출로(38)는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12)을 향하는 유출로(36, 37)와 비회전 세정 노즐(13)과 같이 역방향으로 신장하는 유출로(38)가 있고, 그 유출로가 복수개 있어도, 분수 장치(14)를 마련함으로써 유출로(36, 37, 38)로의 세정수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출구(42)가 세정·배수 펌프(8)측에 가까운 만큼, 세정·배수 펌프(8), 분수 장치(14), 및 회전 지지부(41)와 유출구(42)의 배치 면적이 영역(A)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밸브실(133)과, 세정·배수 펌프(8)의 접속 거리가 더욱 단축되어,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수평부(13c)가 적어도 주위벽(4b)의 세정·배수 펌프(8)가 부합되는 1개에 마련될 경우의 접속 거리도 단축된다. 또한, 수평부(13c)가 주위벽(4b)의 2개, 3개, 4개에 연장될 경우나, 입설부(13b)로부터 둘레 방향 양측으로 분기할 경우의 배치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41)와, 회전 세정 노즐(12)의 접속구(12a)는 세정조(4)의 저면(4a)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수직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로써, 회전 세정 노즐(12)은 그 접속구(12a)를 세정조(4)의 저면(4a)의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회전 지지부(41)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달리 방해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유출구(42)와, 입설부(13b)의 접속단과도, 세정조(4)의 저면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수직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로써, 비회전 세정 노즐(13)도 그 접속단(13a)을, 세정조(4)의 저면(4a)의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유출구(42)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달리 방해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다.
회전 세정 노즐(12)은 분수 장치(14)로부터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제어 에 따라 선택되는 2개의 유출로(36, 37)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이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한 구체적 방법이 여러 가지 생각되지만, 회전 세정 노즐(12)의 분사구(44)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 에너지를 이용하고, 분사의 반력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 세정 노즐(12)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어서, 세정수의 분출 패턴을 크게 바꿀 수 있고, 세정의 사각을 없애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실(133)은 세정·배수 펌프(8)측으로 연장되는 접속구(133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밸브실(133)은 회전 지지부(41)와는 거의 반대측에 있는 세정·배수 펌프(8)와 세정조(4)의 저면(4a) 아래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 벽(4c)에 부합되는 세정·배수 펌프(8)의 설치 범위에 위쪽으로 팽출한 팽출부(4j)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팽출부(4j)의 하방의 공간(47)에 세정·배수 펌프(8)를 설치함으로써, 세정조(4)의 주위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식기 세척기 본체(2)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분수 장치(14)의 밸브 본체(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 본체 동작 기구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밸브 본체(32)는 도 3에 도시하는 밸브실(133)의 유입부(39)와 분수 통로(48)의 복수의 유출로(36, 37, 38) 사이를 회전 이동한다. 그 결과 밸브 본체(32)는 유입부(39)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를 분수시키는 유출로를 전환한다. 구체 적으로는 밸브 본체(32)는 도 4에 도시하는 유출로(36, 37, 38)를 거쳐 토출하는 토출 경로(33, 34, 35)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 및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수 통로(48)의 접속구(48a)에, 4개의 분수 개구(48b, 48c, 48d, 48e)가 밸브 본체(32)의 회전 중심(46) 주위에, 십자 형태의 리브(48f)에 의해 균등한 크기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b 및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32)는 회전 중심(46) 주위의 1/4 범위를 절제한 유수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수 개구(48b 내지 48e)는 밸브실(133)로부터 분수 통로(48) 내의 3개의 유출로(36, 37, 38)에 개별적으로, 또한 상이한 시간에 분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수 개구(48b, 48c)는 유출로(36)에, 분수 개구(48d)는 유출로(37)에, 분수 개구(48e)는 유출로(38)에 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32)는 밸브실(133)의 하부에 마련한 가이드 축(60)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상하동해서 분수 통로(48)의 접속구(48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접(離接)하는 원반 형상이다. 그리고 밸브 본체(32)는 접속구(48a)로의 접촉시, 가이드 축(60) 주위의 회전에 의해 분수 개구(48b 내지 48e) 중 어느 쪽 1개를 개구시킨다.
밸브 본체(32)는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구동 정지에 의한 세정 수압의 고저 또는 유무에 대응하여 작동하고, 복수의 분수 개구(48b 내지 48e)를 가진 접속구(48a)에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접촉한다. 그리고, 분수 개구(48b 내지 48e)의 특정한 1개 이외를 막고, 특정한 1개를 유수부(32a)에서 통해 분수하는 분수 위치와, 접속구(48a)로부터 이격되어 각 분수 개구(48b 내지 48e) 모두를 개방하는 분수하지 않는 비분수 위치 사이를 상하로 이동한다. 이 밸브 본체(32)의 분수 위치와 비분수 위치 사이의 왕복 동작에 따라, 밸브 본체(32)가 분수 개구(48b 내지 48e)를 닫는 회전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부 캠대(61)와, 하부 캠대(62)가 교대로 작용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캠대(62)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형상 캠(62a, 62b)으로 구성되며, 쌍방은 밸브 본체(32)를 1/4 회전 위치씩에 안정시키는 안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상부 캠대(61)는 산 형태 캠(61a)과 분수 개구(48b 내지 48e)를 구분하는 리브(48f)의 하단이 이루는 십자 형태 캠(6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32)가 하부 캠대(62)에 의해 안정하고 있던 비분수 위치로부터 세정 수압에 의해 밀어 올릴 수 있었을 때, 산 형태 캠(61a)의 사면이 십자 형태 캠(61b)의 도중 위치로부터 접촉시켜 밸브 본체(32)를 분수 위치까지 1/4 회전 미만의 회전을 시켜서 안정시킨다. 그리고, 세정 수압 해제에 의해 분수 위치로부터 밸브 본체(32)가 낙하하면, 하부 캠대(62)의 톱니형상 캠(62a, 62b)끼리는 상호의 치형의 도중 위치에서 맞물린다. 하부 캠대(62)는 밸브 본체(32)를 상부 캠대(61)에 의한 1/4 회전 미만의 회전으로부터 1/4 회전까지의 나머지를 회전시켜서 안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8c는 가이드 축(60) 및 톱니형상 캠(62b)을 도시하고 있다.
이로써, 밸브 본체(32)는 분수 위치에 상동할 때마다, 상동 전의 안정 회전 위치로부터 1/4 회전 미만의 회전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32)는 일단 분수 위치에 상동한 후 낙하할 때마다, 하부 캠대(62)의 맞물리는 위치가 다음 1/4 회전 위치로 안정시키도록 변경된다.
이 결과, 복수의 분수 개구(48b 내지 48e) 중 1개씩이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즉, 분수 개구(48b)로부터 회전 세정 노즐(12)의 유출로(36)를 거친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3)로의 분수, 분수 개구(48c)로부터 회전 세정 노즐(12)의 유출로(36)를 거친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3)로의 분수, 분수 개구(48d)로부터 유출로(37)를 거친 토출 경로(34)로의 분수, 분수 개구(48e)로부터 유출로(38)를 거친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토출 경로(35)로의 분수가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된다.
이렇게, 밸브 본체(32)의 회전 이동의 단순한 반복 동작에 의해, 동시 또는 상이한 시간의 선택적인 분수를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32)의 진퇴는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의 세정수의 압력과 압력 해제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밸브 본체(32)의 회전 이동은 밸브 본체(32)의 진퇴를 이용한 진출측 및 퇴피측에 있어서 위상을 가진 상부 캠대(61), 하부 캠대(62)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의 안내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 장치(31)가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정지를 사이에 둔 구동 시간을 일정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할 경우,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의 세정수는 분수 개구(48b, 48c)를 통해서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6)에 2회 반복해 공급된다. 회전 세정 노즐(12)을 정회전시켜서 세정에 제공하는 시간은, 세정수를 분수 개구(48d)를 통해서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7)에 공급해 회전 노즐(12)을 역회전시켜서 세정에 제공하는 시간과, 분수 개구(48e)로부터 유출로(38)를 통해서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토출 경로(35)에 공급해 세정에 제공하는 시간의 쌍방에 대하여 2배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에 사용하는 식기 바구니와 식기의 탑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회전 세정 노즐(12)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가 식기의 음식물을 넣는 내측이 되는 오목부에 골고루 미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이 한다. 회전 중심(11)을 지나고, 또한 세정조(4)의 주위벽(4b)이 서로 마주보는 후방부 벽(4c), 전방부 벽(4f)에 직각한 직선(71)을 경계로, 식기(72)의 내측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인 방향으로 탑재되도록 식기 바구니(6)를 설계하고 있다. 또한,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시에, 최적 배치된 식기(72) 등에 대한 세정이 충분하도록 분사 조건 등을 최적 설계한다.
즉,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 세정에서 통상은 충분한 세정이 실행되지만, 세정 시간의 단축, 피세정물의 수용량의 증대, 피세정물의 배치 형태의 격차 등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정회전 세정의 세정 보조를 역회전 세정에서 보충하고, 보다 단시간으로 또한 보다 세척 찌꺼기가 없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바구니(6)는 내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대칭 배치한 식기(72)의 한쪽 측이 크고, 다른 쪽 측이 작아지도록 설계할 경우도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바구니(6)는 전후로 서로 대향해, 전방부 측의 식 기가 크고 후방부 측의 식기가 작을 경우, 작은 식기를 배치한 영역의 위쪽에 공간이 생성되므로, 이 공간에도 식기 바구니(7)를 마련해서 세정조(4) 내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식기 바구니(7)의 영역의 세정은 회전 세정 노즐(12)의 적정 세정 범위로 하는데 곤란이나 낭비가 있기도 하다. 그 때문에, 식기 바구니(7)의 영역의 세정은 비회전 세정 노즐(13)을 주로 해서 수평부(13c)에 의해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입설부(13b)의 식기 바구니(7)에 대응하는 범위에 분사구(44)를 마련함으로써, 세정의 보조 기능을 높이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수평부(13c)는 입설부(13b)를 마련한 측벽(4d)과 반대의 측벽(4e)으로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방부 벽(4f)에도 연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의 보조 기능으로부터, 수평부(13c)는 주위벽(4b)의 전체 주위에 있는 것이 가장 좋으며, 수평부(13c)의 연장 영역과는 달리, 입설부(13b)로부터 둘레 방향 양측에 분기시켜서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측에 분기하는 수평부(13c)의 높이나 연장 경로에 차이를 갖게 하면, 세정조(4) 내의 넓은 세정 영역 내의 높이 방향, 평면 방향의 장소마다에 있어서의 상이한 세정 부하의 차이에 대응하기 쉽다.
여기에서, 4개의 분수 개구(48b 내지 48e)를 통한 분수를,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토출 경로(35)가 1개인 것을 1개 증설하고, 토출 경로(33, 34, 35)에 증설 분을 가한 4개에 대하여 실행하도록 할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제어에서는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3)로의 분수 시간과,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4), 비회전 세정 노즐(13)의 토출 경로(35) 및 증설 토출 경로로의 분수 시간이 같아져 버린다.
그러나,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제어에 대응하고, 분수 장치(14)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회전 세정 노즐(12)의 토출 경로(33, 34)의 차이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이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이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제어 장치(31)는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제어 장치(31)는 세정·배수 펌프(8)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각각의 구동 시간의 비율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의 비율을 제어하면 좋다. 정회전과 역회전에 있어서 세정 효과가 변하지 않을 경우,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은 동등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토출 경로(36, 37, 38)나 증설 토출 경로를 포함시키고, 거기에 대응한 분수 개구(48b 내지 48e)나 증설 분을 포함시킨 분수 시간의 비율은 제어 장치(31)에 의한 분수 제어시의 세정·배수 펌프(8)의 구동 시간의 비율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제어할 수 있다.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의 비율을 제어할 경우, 회전 세정 노즐(12)에 회전 방향 검지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회전 세정 노즐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회전 방향 검지 장치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고, 제어 장치(31)가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을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토출 경로(33, 34)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흐름을 검지하는 유수 검지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유수 검지 장치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고, 제어 장치(31)가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을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32)의 2개의 유출로(36, 37)를 거친 2개의 토출 경로(33, 34)로의 세정수의 공급 전환 위치를 검지하는 밸브 본체 위치 검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하의 제어도 가능하다. 즉, 제어 장치(31)가 회전 세정 노즐(12)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밸브 본체 위치 검지 장치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고,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이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41)는 만곡을 위한 만곡 높이 영역(H)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분수 통로(48)의 유출로(36, 37)는 밸브실(133)로부터 횡방향으로 되어 세정조(4)의 저면(4a)에 부합되어 연장되는 연장 경로인 연장 경로 범위(B)와, 연장 경로 범위(B)로부터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 중심(11) 방향을 향해 굴곡해 상향으로 되는 굴곡 경로인 굴곡 경로 범위(C)를 갖고 있다. 그리고, 굴곡 경로 범위(C)의 적어도 외측 코너(C1)측은 만곡 형상이며, 일례로서는 곡률 반경의 급한 변화가 없는 매끈한 만곡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연장 경로와 굴곡 경로는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분수 통로(48)의 유출로(36, 37)에 분수된 세정수는 연장 경로 범위(B)로부터 매끈매끈한 굴곡 경로 범위(C)를 통과한다. 그리고, 세정수는 수직 상향으로 되어 있는 회전 지지부(41)의 회전 중심(11)에 동심인 내외 이중 통로 구조를 형성하는 유출구(36a, 37a)를 향해 매끄럽게 안내된다. 또한, 세정수는 같이 수직해서, 회전 중심(11)에 동심인 내외 이중 통로 구조를 하는 도입구(12b, 12c)에 충돌이나 편향, 혼란 등이 없이 바로 위로 흘러들어 온다.
그 결과, 세정수는 도입 연통구(12d, 12e)를 통해 토출 경로(33, 34)에, 회전 중심(11) 주위에 밸런스 양호하게 도입되므로, 회전 세정 노즐(12)의 회전의 밸런스, 안정성이 더욱 향상한다.
예를 들면, 굴곡 경로 범위(C)의 내면의 곡률 반경은 분수 통로(48)의 횡단면 형상을 거의 원형으로 했을 경우, 그 내경의 거의 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난류의 발생의 억제 및 압력 손실의 저감이라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수 통로(48)의 내경을 20㎜로 해서 굴곡 경로 범위(C)의 곡률 반경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굴곡 경로 범위(C)의 내측 코너의 내면이 모나면, 하류측에 난류나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외측 코너측에서 곡률 반경은 충분히 작아서 좋지만, 축선 방향의 곡면으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방향의 연장 경로 범위(B)는 밸브실(133)과의 접속 위치인 접속 높이 위치(H0)로부터, 회전 지지부(41)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가 되는 부분(B1)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하향 경사가 되는 부분(B1)에 의해, 만곡 높이 영역(H)을 밸브실(133) 설치의 높이 영역(H1)에 관계없이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굴곡 경로가, 부합된 세정조(4)의 벽으로부터의 커짐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굴곡 경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세정조(4)의 바닥부에 마련된 회전 세정 노즐(12)의 높이를 낮게 억제 할 수 있고, 그 결과, 식기(72) 등을 놓아두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 높이 위치(H0)보다도 낮은 부분에는 세정수가 남으므로, 적합하게는 밸브실(133)의 배수와 함께 드레인 배수를 적시에 실시하면 좋다.
또한, 연장 경로 범위(B)를 도 4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수평 방향 이상의 높이에 있어서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향 경사로 함으로써, 만곡 높이 영역(H)의 하단벽(48g)은 밸브실(133)과의 접속 높이 위치(H0) 이상이 된다. 그 때문에 천부 벽(48h)의 높이나 형상에 관계없이, 세정수를 밸브실(133)에 흘러들어 오게 해서 도중에 남는 것을 회피하고, 밸브실(133) 1개 위치에서 드레인 배수 처리를 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세정 노즐을 구비해서 세정 효과를 높이는데, 적어도 하나를 회전 세정 노즐(12)로 해서 저면(4a)의 중앙부에 배치해서 우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을 입설부(13b), 수평부(13c)를 갖는 비회전 세정 노즐(13)로서 다른 1개 또는 복수의 세정 노즐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세정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것 같이, 입설부(13b)는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일단부의 접속단(13a)이 세정·배수 펌프(8)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세워져 있다. 또한, 수평부(13c)는 입설부(13b)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세정·배수 펌프(8)의 위쪽을 경유하거나 위치하고, 주위벽(4b)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한다.
이 결과, 식기 세척기 본체(2)의 세정조(4)로의 급수 후, 세정·배수 펌프(8)의 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면, 세정·배수 펌프(8)는 세정조(4) 내의 세정 수를 흡입해 가압해서 분수 장치(14)로 보낸다. 분수 장치(14)는 1개 또는 복수의 토출 경로(33, 34, 35)를 향해 동시 또는 상이한 시간에 분수시킨다. 여기서, 세정 노즐은 적어도 하나가 비회전 세정 노즐(13)이며, 다른 것이 회전 세정 노즐(12)이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비회전 세정 노즐(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정 노즐과, 그들이 가지는 1개 또는 복수의 토출 경로(33, 34, 35)에 의한 세정 작용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세정수는 복수의 노즐 위치로부터 다양한 패턴에 있어서 세정조(4) 내에 분출되어, 식기 바구니(6, 7)에 탑재된 식기(72)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비회전 세정 노즐(13)은 세정조(4)의 저면(4a)의 세정수를 분수 장치(14)에 의한 분수에서, 입설부(13b)를 통해 수평부(13c)에 공급되어서 분사시킨다. 수평부(13c)는 세정조(4)의 주위벽(4b)의 적어도 하나에, 그것에 따라 배치한 세정·배수 펌프(8)의 위쪽을 경유하거나 위쪽에 위치하여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 벗어난 입설부(13c)를 포함해 세정·배수 펌프(8)로부터의 분수 장치(14)를 거친 급수 경로 길이를, 세정·배수 펌프(8)와 서로 방해하지 않는 둘러감기 경로에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입설부(13b)에 의해 수평부(13c)를 세정조(4)의 필요 소정 높이에 위치시켜서, 다른 세정 노즐과 상승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설부(13b) 및 수평부(13c)를 복수의 토출 경로(35, 35a)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입설부(13b)의 복수 의 토출 경로(35, 35a)를 접속단(13a)에 있어서 일체 성형하고, 분수 통로(48)에 마련한 복수의 유출구(42, 42a)에 동시에 접속,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비회전 세정 노즐(13)은 복수의 토출 경로(35, 35a)를 구비하고, 세정수의 분사 영역을 증대시켜서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비회전 세정 노즐(13)과 분수 장치(14)의 접속은 분수 통로(48)에 있어서의 복수의 유출구(42, 42a)에 대하여 동시에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분수 장치와 세정조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에 사용하는 분수 장치와 세정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분수 통로(48)는 바닥부(49a)에 끼워 넣어지고, 밸브실(133)은 개구(133a)에서 연결되도록 세정조(4)의 저면(4a)과 일체로 성형한다. 그 밖의 구조는, 상술예의 분수 통로(48) 및 밸브실(133), 밸브 본체(32)가 하는 분수 장치(14)과 변하는 곳은 없고, 공통되는 부재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결과, 밸브실(133)은 세정조(4)의 저면(4a)과 일체로 형성하므로 부품 개수와 조립해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와 회전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밸브실을 이용한 분수 기능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요점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장치의 유출로와 그 유출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회전 세정 노즐의 요점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 내의 부감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 본체 동작 기구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 본체 동작 기구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 본체 동작 기구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 본체 동작 기구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에 사용하는 식기 바구니와 식기의 탑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에 사용하는 분수 장치와 세정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Claims (5)

  1.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전방부에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식기 세척기 본체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위쪽에 개구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에 수용되어 피세정물을 탑재하는 식기 바구니와,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상기 세정수를 복수의 토출 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수(分水) 장치와, 상기 토출 경로를 복수개 가져서 상기 피세정물에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수 장치는 상기 세정 펌프에 연통하여 상기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부를 갖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 접속되어서 복수의 상기 토출 경로에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유출로를 갖는 분수 통로와, 상기 밸브실 내에 마련되어 유입하는 상기 세정수를 복수의 상기 유출로에 선택적으로 분수시키는 밸브 본체를 갖고, 상기 분수 통로는 복수의 상기 유출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형성해서 구비하며, 상기 세정조 내에서 떼져서 상기 밸브 본체를 상기 세정조 내에서 착탈 가능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밸브실의 상기 유입부와 상기 분수 통로의 복수의 상기 유출로의 사이를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한 상기 세정수를 분 수시키는 상기 유출로를 전환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는 저면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수 통로는 상기 오목부에 위쪽에서 끼워 넣어져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상기 밸브실을 마련한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 통로의 상면은 인접하는 상기 세정조의 저면과 동등한 높이로 한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은 상기 세정조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한
    식기 세척기.
KR1020080090154A 2007-10-10 2008-09-12 식기 세척기 KR20090037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64961 2007-10-10
JP2007264961A JP2009089968A (ja) 2007-10-10 2007-10-10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99A true KR20090037299A (ko) 2009-04-15

Family

ID=4056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54A KR20090037299A (ko) 2007-10-10 2008-09-12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89968A (ko)
KR (1) KR20090037299A (ko)
CN (2) CN201239118Y (ko)
TW (1) TW20092029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5368B2 (en) 2013-03-01 2016-03-2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hydraulically driven sprayer
US9375128B2 (en) 2011-09-22 2016-06-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9414736B2 (en) 2011-09-22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directional spray
US9492055B2 (en) 2011-09-22 2016-11-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9532701B2 (en) 2013-03-01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532699B2 (en) 2013-07-15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693672B2 (en) 2011-09-22 2017-07-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10213085B2 (en) 2013-07-01 2019-02-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for treating dishes
US10702123B2 (en) 2016-09-01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235A (ja) * 2010-04-22 2011-11-10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CN106151592B (zh) * 2015-04-13 2019-05-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分水阀组件及洗碗机
CN105996937B (zh) * 2016-07-14 2018-11-27 宁波金凌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兼具排水功能的开放式水槽洗碗机水泵总成
CN109171592A (zh) * 2018-10-31 2019-01-11 芜湖广盈实业有限公司 一种洗碗机水路系统
JP7308676B2 (ja) * 2019-07-10 2023-07-14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2788B2 (ja) * 2001-01-26 2012-0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4135602B2 (ja) * 2003-09-03 2008-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674523B2 (ja) * 2005-10-13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672B2 (en) 2011-09-22 2017-07-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414736B2 (en) 2011-09-22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directional spray
US9386903B2 (en) 2011-09-22 2016-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9402526B2 (en) 2011-09-22 2016-08-0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10602907B2 (en) 2011-09-22 2020-03-3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492055B2 (en) 2011-09-22 2016-11-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9375128B2 (en) 2011-09-22 2016-06-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10058229B2 (en) 2011-09-22 2018-08-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532701B2 (en) 2013-03-01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10398283B2 (en) 2013-03-01 2019-09-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295368B2 (en) 2013-03-01 2016-03-2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hydraulically driven sprayer
US10213085B2 (en) 2013-07-01 2019-02-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for treating dishes
US9839340B2 (en) 2013-07-15 2017-12-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10052010B2 (en) 2013-07-15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9532699B2 (en) 2013-07-15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US10702123B2 (en) 2016-09-01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6380A (zh) 2009-04-15
JP2009089968A (ja) 2009-04-30
TW200920299A (en) 2009-05-16
CN201239118Y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299A (ko) 식기 세척기
WO2011132358A1 (ja) 食器洗い機
KR20140033895A (ko) 식기 세척기
KR20100037453A (ko) 식기 세척기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037300A (ko) 식기 세척기
JP4717866B2 (ja) 食器洗い機
JP4708403B2 (ja) 食器洗い機
JP4760367B2 (ja) 浴槽の機器収納構造
KR100315945B1 (ko) 단일의펌프를이용하여섬프케이스내의물을분사및배출시킬수있는식기세척기
JP4653794B2 (ja) 食器洗い機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90075987A (ko) 좌우 이동방식의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및 이를 위한세척수 분출장치
JP2010264160A (ja) 食器洗い機
JP4326284B2 (ja) 食器洗浄機
JP2008253545A (ja) 食器洗い機
KR101635211B1 (ko) 식기 세척기
JP2011224233A (ja) 食器洗い機
KR19990076356A (ko) 상하교번 세척용 식기세척기
KR200437712Y1 (ko) 다방향 유로분배기구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200144770Y1 (ko) 보조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JP4602234B2 (ja) 食器洗い機
JP4412717B2 (ja) 食器洗い機
JP2007181573A (ja) 食器洗い機用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KR101048204B1 (ko) 식기세척기용 펌프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