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211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211B1
KR101635211B1 KR1020090120878A KR20090120878A KR101635211B1 KR 101635211 B1 KR101635211 B1 KR 101635211B1 KR 1020090120878 A KR1020090120878 A KR 1020090120878A KR 20090120878 A KR20090120878 A KR 20090120878A KR 101635211 B1 KR101635211 B1 KR 10163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washing
sump
washing water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35A (ko
Inventor
제병수
주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용되기 위한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구비되어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세척 노즐; 상기 세척수를 모으는 섬프;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섬프에는,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이 수용되는 필터 챔버가 구비되는 섬프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세척 펌프 유닛에는, 펌핑되는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필터 챔버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 펌프 유닛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기 세척기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실시 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하방에 구비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세척 노즐이 포함된다.
상기 섬프에는 외형을 이루는 섬프 케이스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섬프에는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로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와, 유로를 조절하여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 조절부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 펌프는 상기 섬프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섬프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조절부는 일 례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회전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가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세척 노즐로 이동 하게 된다.
상기 섬프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이동된 후에 상기 세척조로 분사되고, 상기 세척조로 분사된 후에 다시 섬프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의하면, 유로 조절부에 의해서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세척수가 펌핑되므로, 상기 섬프의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고, 상기 회전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섬프의 세척수 유로가 단순해지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용되기 위한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구비되어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세척 노즐; 상기 세척수를 모으는 섬프;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섬프에는,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이 수용되는 필터 챔버가 구비되는 섬프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세척 펌프 유닛에는, 펌핑되는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필터 챔버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 펌프 유닛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용되기 위한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구비되어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세척 노즐; 상기 세척수를 모으며,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이 수용되는 필터 챔버가 형성되는 섬프 케이스를 가지는 섬프; 상기 필터 챔버의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세척 노즐로 펌핑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 및 상기 다수의 펌프에서 토출된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과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결 유로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펌프는 독립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다수의 펌프 중 동작되는 펌프의 수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일부 또는 전부로 세척수가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섬프 내부의 세척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유로 조절부 없이,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일부 또는 전부로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으므로, 섬프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 챔버와 세척 펌프 유닛이 다수의 공급 유로에 의해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필터 유닛의 클로깅 현상이 줄어들 수 있고, 세척수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가 세척되기 위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와, 상기 세척조(4)의 하측에 구비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모으는 섬프(10)와, 상기 세척조(4)를 개폐시키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에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4)의 내부에는, 식기가 놓여지는 다수의 랙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랙은, 상부 랙(11)과 상기 상부 랙(11)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랙(12)이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랙(11, 12)이 상기 세척조(4) 내부에 구비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랙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세척조(4)의 내부에는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랙(11, 12)에 놓인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 노즐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에는, 상기 섬프(10)의 상측에 연결되는 하부 노즐(14)과, 상기 하부 노즐(14)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중간 노즐(15)과, 상기 중간 노즐(15)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탑 노즐(16)이 포함된다.
상기 섬프(10)에는 상기 중간 노즐(15) 및 상기 탑 노즐(16)로 세척수를 전달하기 위한 세척수 가이드(19)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 가이드(19)에는 단일의 세척수 유로가 형성되거나, 두 개의 세척수 유로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가이드(19)에 두 개의 세척수 유로가 구획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 가이드 입구 측에는, 두 개의 세척수 유로 중 하나 이상으로 세척수가 유동되기 위하여 유로를 조절하는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두 개의 세척수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로로 세척수가 유동되기 위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섬프(10)에는, 저장된 세척수를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으로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 유닛(40)과,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펌프(5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식기 세척기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기까지 다수의 행정이 수행된다. 다수의 행정 중 하나 이상의 행정(일반적으로는 2개 이상의 행정)에서는 급수 및 배수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입력부(31)로부터 세척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 장치를 작동시켜,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급수가 수행되도록 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섬프(10)로 유동하고, 상기 세척 펌프 유닛(40)에 의해서 다수의 세척 노즐(14, 15, 16)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세척수가 유동된다. 그리고, 세척수가 공급된 세척 노즐에서 세척수가 식기를 향하여 분사되고, 식기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다시 섬프로 이동되어 상기 세척 펌프 유닛(40)에 의해서 펌핑된다.
그리고,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 펌프(50)가 작동되어 더러워진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측면도이다. 도 3에는 세척 펌프 유닛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섬프(10)에는 외형을 이루는 섬프 케이스(110)가 포함된다. 상기 섬프 케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섬프 커버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섬프 케이스(110)에는, 상기 섬프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130)이 수용되는 필터 챔버(120)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유닛(130)은 상기 섬프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챔버(120)에 수용된다. 상기 필터 유닛(130)은 다수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유닛(130)이 다수의 필터로 구성되는 경우, 각 필터의 세척수가 통과되기 위한 홀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섬프(10)의 상측에는 상기 하부 노즐(14)이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부(141)와, 상기 세척수 가이드(19)가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챔버(120)에는, 상기 세척 펌프 유닛(40)과 연결되기 위한 세척 펌프 연결부(121)와, 상기 배수 펌프(50)와 연결되기 위한 배수 펌프 연결부(122)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세척 펌프 유닛(40)에는, 상기 하부 노즐(14)로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제 1 펌프(420)와, 상기 세척수 가이드(19)로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제 2 펌프(430)와, 상기 각 펌프(420, 430)로 상기 필터 챔버(120)의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단일의 공급 유로(41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급 유로(410)는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121)와 연통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펌프(420)는, 제 1 임펠러(422)와, 상기 제 1 임펠러(422)가 수용되는 제 1 케이스(424)와, 상기 제 1 임펠러(422)를 회전시키기 위 한 세척 모터(4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424)는 상기 공급 유로(410)와 제 1 연통부(425)에 의해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 케이스(11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424)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 1 연결부(141)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유로(427)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424)는 제 1 배출부(426)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 유로(427)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430)에는, 제 2 임펠러(432)와, 상기 제 2 임펠러(432)가 수용되는 제 2 케이스(434)와, 상기 제 2 임펠러(4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척 모터(4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434)는 상기 공급 유로(410)와 제 2 연통부(435)에 의해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 케이스(110)에는 상기 제 2 케이스(434)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 2 연결부(142)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 유로(437)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케이스(434)는 제 2 배출부(436)에 의해서 상기 제 2 연결 유로(437)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펌프(440)는 상기 제 1 펌프(420)에 포함되기도 하고 제 2 펌프(440)에 포함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세척 모터(440)가 상기 제 1 임펠러(422) 및 상기 제 2 임펠러(432)를 회전시킨다. 상기 세척 모터(440)에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각 회전축에 상기 각 임펠러가 결합된다.
상기 세척 모터(440)의 내부에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다수의 회전자가 구비되고, 상기 각 회전자에 상기 각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모터(440)는 공지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세척 모터가 복수의 임펠러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임펠러가 제 1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제 2 임펠러가 제 2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제 1 펌프(420)가 작동한다는 것은, 단일의 세척 모터 또는 제 1 모터에 의해서 제 1 임펠러(422)가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고, 제 2 펌프(430)가 작동한다는 것은, 단일의 세척 모터 또는 제 2 모터에 의해서 제 2 임펠러(432)가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세척 펌프 유닛의 작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31)로부터 세척 조건이 입력되면, 세척 조건에 대응하는 세척수가 외부로부터 상기 식기 세척기로 공급된다.
상기 식기 세척기로 세척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 펌프 유닛(40)이 작동된다.
상세히, 세척수를 다수의 세척 노즐(14, 15, 16)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펌핑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펌프(420) 또는 제 2 펌프(430) 중 하나 이상의 펌프가 작동된다. 세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펌프(420) 및 제 2 펌프(430)가 동시에 작동 하거나, 교번하여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펌프(420)가 작동되면(제 2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가정함), 상기 제 1 임펠러(422)가 회전되어 세척수가 상기 하부 노즐(14)로 펌핑된다. 상기 제 1 임펠러(422)가 회전되면, 상기 필터 챔버(120)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121)를 지나,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 세척수는 상기 제 1 연통부(425)를 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424)로 유입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연결 유로(427), 상기 제 1 연결부(141)를 거쳐 상기 하부 노즐(1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 노즐(14)로 이동된 세척수는 상기 하부 노즐(14)에서 상방으로 분사되어, 상기 하부 랙(12)에 놓인 식기가 세척된다.
다음, 상기 제 2 펌프(430)가 작동되면(제 1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 것으로 가정함), 상기 제 2 임펠러(432)가 회전되어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가이드(19)로 펌핑된다. 상기 제 2 임펠러(432)가 회전되면, 상기 필터 챔버(120)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121)를 지나,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 세척수는 상기 제 2 연통부(435)를 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434)로 유입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연결 유로(437), 상기 제 2 연결부(142)를 겨쳐 상기 세척수 가이드(19)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 가이드(19)로 유동된 세척수는 상기 중간 노즐(15) 및/또는 상기 탑 노즐(16)로 유동된다. 세척수가 상기 중간 노즐(15)로 유동하면, 상기 세척수는 상기 중간 노즐(15)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분사되어, 상기 하부 랙(12) 또 는 상부 랙(11)에 놓인 식기가 세척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 가이드(19)의 내부에 단일의 세척수 유로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 2 펌프(43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중간 노즐(15) 및 상기 탑 노즐(16)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 펌프(430)의 구동력(제 2 임펠러의 회전 속도)의 조절에 의해서 펌핑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중간 노즐(15)로만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노즐(15)로 세척수를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펌프(430)가 제 1 구동력(제 2 임펠러의 제 1 회전 속도)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노즐(15) 및 상기 탑 노즐(16)로 동시에 세척수를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펌프(430)가 제 1 구동력보다 높은 제 2 구동력(제 2 임펠러의 회전 속도 보다 빠른 제 2 회전 속도)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세척수 가이드(19)의 내부에 복수의 세척수 유로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 2 펌프(43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중간 노즐(15) 및/또는 상기 탑 노즐(16)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노즐(15) 및/또는 상기 탑 노즐로의 세척수 유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중간 노즐 및 상기 탑 노즐로 별도의 펌프에 의해서 세척수가 펌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 펌프 유닛은 상기 세척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세척 펌프 유닛에는, 세 개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가이드(19)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척수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는 어느 한 펌프와 연통될 수 있고, 다른 한 유로는 다른 펌프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댐퍼의 구조는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펌프(420) 및 제 2 펌프(430)가 동시에 작동되면, 상기 각 임펠러가 회전되어, 상기 하부 노즐(14) 및 상기 세척수 가이드(19)로 세척수가 펌핑된다. 상기 각 임펠러가 회전되면, 상기 필터 챔버(120)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121)를 지나,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유로(410)로 유동된 세척수는 상기 각 펌프(420, 430)로 분배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노즐 또는 세척수 가이드로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 조절부의 없이, 상기 하부 노즐 또는 세척수 가이드로 교번하여 또는 동시에 세척수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섬프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펌프에 의해서 하부 노즐 또는 세척수 가이드로 세척수가 펌핑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노즐 또는 세척수 가이드로 세척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유로 조절부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하부 노즐 또는 세척수 가이드로 세척수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유로 및 펌프에 의해서 펌핑 작용이 수행되므로, 세척수 공급히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섬프와 세척 펌프 유닛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복수의 공급 유로에 의해서 필터 챔버와 세척 펌프 유닛이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섬프를 구성하는 필터 챔버(120)에는 다수의 세척 펌프 연결부(123, 124)가 형성된다. 도 5에는 일 례로 두 개의 세척 펌프 연결부(123, 124)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123, 12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세척 펌프 연결부에는, 제 1 펌프 연결부(123)와 제 2 펌프 연결부(124)가 포함된다. 상기 각 펌프 연결부(123, 124)에는 세척 펌프 유닛(60)에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공급 유로(612, 614)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공급 유로(612, 614)에는, 제 1 공급 유로(612)와 제 2 공급 유로(614)가 포함된다.
상기 세척 펌프 유닛(60)에는, 상기 제 1 공급 유로(612)와 연통되는 제 1 펌프(620)와, 상기 제 2 공급 유로(614)와 연통되는 제 2 펌프(6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펌프(620)는, 제 1 임펠러(622)와, 상기 제 1 임펠러(622)가 수용되는 제 1 케이스(621)와, 상기 제 1 임펠러(6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척 모터(6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621)는 상기 제 1 공급 유로(612)와 제 1 연통부(625)에 의해서 연통된다. 상기 제 1 케이스(621)에는 제 1 배출부(62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출부(626)는 제 1 연결 유로(627)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부(141: 도 3참조)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630)에는, 제 2 임펠러(632)와, 상기 제 2 임펠러(632)가 수용되는 제 2 케이스(631)와, 상기 제 2 임펠러(6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척 모터(4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631)는 상기 제 2 공급 유로(614)와 제 2 연통부(635)에 의해서 연통된다. 상기 제 2 케이스(631)에는 제 2 배출부(6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배출부(636)는 제 2 연결 유로(637)에 의해서 상기 제 2 연결부(142: 도 3참조)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모터의 개수 및 구조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 챔버(120)에는 필터 유닛(130)이 수용된다. 상기 필터 유닛(130)은 일 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펌프 연결부(123) 및 제 2 펌프 연결부(124)는 상기 필터 유닛(13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위치(점대칭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펌프 연결부에 따른 기술적 의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의 펌프 연결부가 구비되는 경우와 다수의 펌프 연결부가 구비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조(4)로 공급된 세척수는 식기를 세척한 후에 하방으로 낙하된다. 하방으로 낙하된 세척수는 상기 필터 유닛(130)을 통과한 후에 펌프 연결부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일부 세척수는 상기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기 펌프 연결부로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단일의 펌프 연결부가 상기 필터 챔버(12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 유닛(130) 내측의 세척수는 상기 필터 유닛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을 통과한 후에 상기 펌프 연결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물질은 상기 필터 유닛(130)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어 이물질이 필터 유닛(130)의 홀에 끼는 현상(클로깅: clogging)이 발생되어, 세척수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필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다수의 펌프 연결부(123, 124)가 상기 필터 챔버(120)에 구비되면, 상기 필터 유닛(130) 내측의 세척수는 상기 필터 유닛 전체 영역 중에서 이격된 다수의 영역을 통과한 후에 각 펌프 연결부(123, 124)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 유닛(130)에서 세척수가 통과하는 영역이 증가되어, 클로깅 현상이 줄어들 수 있고, 필터링 성능의 저하가 방지되며, 세척수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블럭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측면도.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섬프와 세척 펌프 유닛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Claims (12)

  1. 식기가 수용되기 위한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구비되어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세척 노즐;
    상기 세척수를 모으는 섬프; 및
    다수의 배출부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배출부 중 어느 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어느 한 세척 노즐로 펌핑하는 제 1 펌프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다수의 배출부 중 다른 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다른 한 세척 노즐로 펌핑하는 제 2 펌프를 구비하는 세척 펌프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섬프에는,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이 수용되는 필터 챔버가 구비되는 섬프 케이스;
    상기 필터 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펌프 연결부;
    상기 다수의 펌프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 1 펌프 및 제 2 펌프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공급 유로;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펌프 연결부는 상기 필터 유닛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챔버의 세척수가 상기 다수의 공급 유로를 통하여 상기 세척 펌프 유닛으로 이동하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프 및 제 2 펌프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는, 상기 어느 한 배출부로부터 상기 어느 한 세척 노즐로 연장되는 제 1 연결 유로와,
    상기 다른 한 배출부로부터 상기 다른 한 세척노즐로 연장되는 제 2 연결 유로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펌프 연결부는 상기 필터 유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급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는 상기 다수의 배출부 중 어느 한 배출부와 연통되고,
    상기 다수의 공급 유로 중 다른 한 유로는 상기 다수의 배출부 중 다른 배출부와 연통되는 식기 세척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20878A 2009-12-08 2009-12-08 식기 세척기 KR10163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78A KR101635211B1 (ko) 2009-12-08 2009-12-08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78A KR101635211B1 (ko) 2009-12-08 2009-12-08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35A KR20110064335A (ko) 2011-06-15
KR101635211B1 true KR101635211B1 (ko) 2016-06-30

Family

ID=4439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78A KR101635211B1 (ko) 2009-12-08 2009-12-08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4818A (zh) * 2018-07-10 2018-10-12 江门市蓬江区硕泰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564B2 (ja) * 1993-01-20 2000-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乾燥機
KR950014766B1 (ko) * 1993-10-16 1995-12-14 대우전자주식회사 세척실 분할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순환장치
KR20050110856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교대 분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3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33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 유로 제어 장치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KR101938710B1 (ko) 식기 세척기
KR100339370B1 (ko) 식기세척기의 펌프 시스템
US20060054198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6868B1 (ko) 식기세척기
KR10204079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20180129287A (ko) 식기 세척기
KR10124704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US7722725B2 (en) Dishwasher and sump assembly thereof
EP3488757B1 (en) Dishwasher
KR102431200B1 (ko) 식기세척기
KR20110109343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5211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10264160A (ja) 食器洗い機
KR100267938B1 (ko) 식기세척기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0267921B1 (ko) 식기세척기
JP2008253545A (ja) 食器洗い機
KR20000009781A (ko) 식기세척기
KR100269470B1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