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18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189A
KR20090036189A KR1020070101223A KR20070101223A KR20090036189A KR 20090036189 A KR20090036189 A KR 20090036189A KR 1020070101223 A KR1020070101223 A KR 1020070101223A KR 20070101223 A KR20070101223 A KR 20070101223A KR 20090036189 A KR20090036189 A KR 20090036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inet
discharge duct
refrigerato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658B1 (ko
Inventor
남정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58B1/ko
Priority to CN2008100910961A priority patent/CN101408364B/zh
Priority to JP2008108262A priority patent/JP2009092368A/ja
Publication of KR2009003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캐비닛에 단열재를 주입할 때 단열재가 캐비닛 외면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개시한 냉장고는 내상 및 외상과 이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구비한 캐비닛과, 캐비닛으로 단열재를 주입할 때 내상과 외상 사이의 공기배출을 위해 캐비닛의 외상 내측에 수용된 공기배출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에 단열재를 주입할 때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배출을 위한 공기배출덕트를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캐비닛은 저장실의 단열을 위해 외상과 내상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져 있다. 이러한 캐비닛을 제조할 때는 금형 내부에 외상과 내상을 넣은 후,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를 주입한다. 이때 단열재가 원활히 채워지기 위해서는 외상과 내상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냉장고의 캐비닛 후면에는 단열재를 주입일 때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주입되는 단열재에 의해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가 후면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의 원활한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단열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배출공들은 단열재에 의해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냉장고는 캐비닛으로 단열재를 주입할 때 외상과 내상 사이로 공급된 단열재 일부가 공기배출공들을 통해 후면 쪽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단열재 주입을 완료한 후 캐비닛의 후면 쪽으로 누설된 단열재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이처럼 누설된 단열재는 캐비닛을 지지하는 금형의 내면에 붙어서 누적되기 때문에 금형의 치수관리를 위해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에 단열재를 주입할 때 단열재가 캐비닛 외면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재 주입 시의 공기배출경로가 추후 기계실의 공기배출을 위한 유로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 및 외상과 이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으로 단열재를 주입할 때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공기배출을 위해 상기 캐비닛의 외상 내측에 수용된 공기배출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배출덕트는 그 내부의 배출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유 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공개배출덕트는 상기 캐비닛의 후면 쪽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캐비닛 상부의 공기배출구와 연통하도록 개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닛 하부의 기계실과 연통하도록 개방된다.
상기 공기배출덕트는 그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 의해 복수의 유로로 구획된다.
상기 외상의 후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공기배출덕트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닛에 단열재를 주입할 때 외상과 내상 사이의 공기가 공기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단열재 주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소량의 단열재만이 공기배출덕트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단열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캐비닛 후면 쪽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누설된 단열재를 제거하는 작업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캐비닛의 제조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기배출덕트의 하단이 기계실과 연통되기 때문에 기계실의 더운 공기가 공기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어 기계실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11)을 갖춘 캐비닛(10)과,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12)를 구비한다. 저장실(11) 내부에는 저장물을 다단으로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선반들(13)이 설치된다. 또 저장실(11)의 내측 후방에는 저장실(11)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4)와, 저장실(11)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순환팬(15)이 설치된다.
증발기(14)는 캐비닛(10)의 후벽과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증발기(14)의 전방에는 증발기(14)가 설치된 공간과 저장실(11)을 구획함과 동시에 냉기순환유로(16)를 형성하는 내측패널(17)이 설치된다. 내측패널(17)에는 냉기순환유로(16)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저장실(11)로 분산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18)가 형성된다. 냉기순환팬(15)은 증발기(14) 상부에 설치되며 증발기(14)를 거친 공기를 냉기순환유로로(16) 송풍함으로써 저장실(11)의 공기가 증발기(14)를 경유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캐비닛(10) 하측 후방에는 저장실(11)과 구획된 기계실(20)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20)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1), 응축기(22), 냉매팽창장치(미도시), 냉각팬(23) 등이 설치된다.
캐비닛(10)은 저장실(11)의 온도를 냉각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벽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캐비닛(10)은 저장실(11)의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내상(31), 캐 비닛(10)의 외면을 이루는 외상(40), 외상(40)와 내상(30) 사이에 채워지는 발포성 단열재(50)를 포함한다.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12)도 이러한 단열벽으로 이루어진다.
내상(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재질로 된 판재를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한다. 그리고 외상(40)은 복수의 금속판재 또는 복수의 수지패널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외상(40)은 양쪽 측판(41,42), 후면판(43), 상면판(44), 하면판(45)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부호 25는 캐비닛(10) 하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패널이다.
이러한 캐비닛(10)을 제조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상(30)와 외상(4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상호 결합시켜 금형(미도시)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내상(30)와 외상(40) 사이의 공간으로 발포성 단열재(50)를 주입한다. 단열재(50)를 주입하는 노즐들(51,52)은 외상(40)의 후면판(43)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 캐비닛(10)은 단열재(50)를 주입할 때 내상(30)과 외상(4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해 외상(40)의 후면판(43)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덕트(60)를 구비한다. 공기배출덕트(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로 이루어지고, 캐비닛(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외상(40)의 후면판(43)에는 공기배출덕트(60)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덕트(6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7)가 마련된다. 따라서 공기배출덕트(60)를 돌출부(47) 내에 설치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상(30)과 대향하는 공기배출덕트(60)의 외면과 외상(40)의 후면 판(43) 내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공기배출덕트(6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캐비닛(10) 후면 쪽 단열층 두께는 감소하지 않는다.
공기배출덕트(6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를 격자형으로 구획하는 구획부(61)에 의해 복수의 배출유로(62)로 구획된다. 이처럼 공기배출덕트(60) 내부가 구획되면 단열재(50) 주입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공기배출덕트(60)의 강성이 강화된다. 또 내상(30)과 대향하는 내면 쪽에는 단열재(50)를 주입할 때 내상(30)과 외상(4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공기유입구(63)가 형성된다. 이는 공기유입구들(63)을 통해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배출유로(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기배출덕트(60)의 상단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0) 상부의 공기배출구(48)와 연통하도록 개방되고, 공기배출덕트(60)의 하단은 캐비닛(10) 하부의 기계실(20)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개방된다. 따라서 캐비닛(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포성 단열재(50)를 주입하면, 도 3,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상(40)과 내상(3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주입되는 단열재(50)에 의해 공기배출덕트(60) 쪽으로 밀린다. 이 공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덕트(60)의 공기유입구(63)를 통해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덕트(6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캐비닛(10) 내에 단열재(50)가 원활히 채워질 수 있다.
외상(40)과 내상(30) 사이에 단열재(50)가 완전히 채워지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단열재(50a)가 공기유입구(63)를 통하여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유입되는 단열재(50a)는 소량에 불과하기 때문에 공기배출덕트(60) 내부의 유로가 막히지는 않는다. 특히 공기배출덕트(60)는 내부의 배출유로(62)가 복수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50a)에 의해 내부의 배출유로(62)가 완전히 막힐 위험은 거의 없다.
또 본 발명은 단열재(50)를 주입할 때 공기배출덕트(60) 내부로 소량의 단열재(50a)만이 유입되고 이러한 단열재(50a)가 공기배출덕트(60) 내에 존재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캐비닛(10) 후면 쪽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누설된 단열재를 제거하는 작업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캐비닛의 제조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제조를 완료한 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덕트(60)의 하단이 기계실(20)과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기계실(20)의 더운 공기가 공기배출덕트(60)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즉 기계실(20)의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기계실(20) 공기가 공기배출덕트(60)를 통해 배출되면, 기계실(20) 내부의 압축기(21)나 응축기(22)의 냉각이 원활해지므로 냉장고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의 공기배출덕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캐비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냉장고의 공기배출덕트 단면도로, 단열재의 주입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공기배출덕트 단면도로, 단열재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비닛, 11: 저장실,
12: 도어, 20: 기계실,
30: 내상, 40: 외상,
43: 외상의 후면판, 47: 돌출부,
50: 단열재, 60: 공기배출덕트,
61: 구획부, 62: 배출유로,
63: 공기유입구.

Claims (5)

  1. 내상 및 외상과 이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으로 단열재를 주입할 때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공기배출을 위해 상기 캐비닛의 외상 내측에 수용된 공기배출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덕트는 그 내부의 배출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배출덕트는 상기 캐비닛의 후면 쪽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캐비닛 상부의 공기배출구와 연통하도록 개방되고, 하단이 상기 캐비닛 하부의 기계실과 연통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덕트는 그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 의해 복수의 유로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의 후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공기배출덕트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101223A 2007-10-09 2007-10-09 냉장고 KR10146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223A KR101466658B1 (ko) 2007-10-09 2007-10-09 냉장고
CN2008100910961A CN101408364B (zh) 2007-10-09 2008-04-16 电冰箱
JP2008108262A JP2009092368A (ja) 2007-10-09 2008-04-17 冷蔵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223A KR101466658B1 (ko) 2007-10-09 2007-10-0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189A true KR20090036189A (ko) 2009-04-14
KR101466658B1 KR101466658B1 (ko) 2014-11-28

Family

ID=4057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223A KR101466658B1 (ko) 2007-10-09 2007-10-0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92368A (ko)
KR (1) KR101466658B1 (ko)
CN (1) CN1014083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7075A1 (en) * 2014-06-02 2015-12-10 Picadeli Ab A cooling arrangement, a cooling assembly and a food bar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cooling arrangement
WO2018099460A1 (zh) * 2016-12-02 2018-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气泵组件和冷藏冷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114656A1 (ja) * 2010-03-18 2013-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KR20180045516A (ko) 2016-10-26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의 저장공간 냉각을 위한 덕트 구조 및 이러한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
CN117346429A (zh) * 2022-06-29 2024-01-0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565B2 (ja) 1992-06-29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貯蔵庫の筐体構造
JPH0796528A (ja) * 1993-09-29 1995-04-11 Matsushita Refrig Co Ltd 断熱箱体の製造方法
JPH07269779A (ja) *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断熱筐体及び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3197258B2 (ja) * 1999-09-01 2001-08-13 マンドー クライメート コントロ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食品貯蔵庫用外部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9178C (zh) * 2002-01-31 2004-1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的背板结构
CN1896654B (zh) * 2005-07-15 2010-04-2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用隔热层排气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7075A1 (en) * 2014-06-02 2015-12-10 Picadeli Ab A cooling arrangement, a cooling assembly and a food bar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cooling arrangement
EP3148382A4 (en) * 2014-06-02 2018-01-17 Picadeli AB A cooling arrangement, a cooling assembly and a food bar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cooling arrangement
WO2018099460A1 (zh) * 2016-12-02 2018-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气泵组件和冷藏冷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8364B (zh) 2012-06-27
CN101408364A (zh) 2009-04-15
JP2009092368A (ja) 2009-04-30
KR101466658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35B1 (ko) 냉장고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JP4808980B2 (ja) 冷蔵室ドア製氷室の冷気ガイド構造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2496329B1 (ko) 냉장고
JP6655277B2 (ja) 冷蔵庫
KR20100066663A (ko) 냉장고
KR20090036189A (ko) 냉장고
KR20100066664A (ko) 냉장고
KR102508224B1 (ko) 냉장고
KR20200113400A (ko) 냉장고
KR100848512B1 (ko) 김치냉장고
JP2013057470A (ja) 冷蔵庫
KR20110035416A (ko) 냉장고
JP6955587B2 (ja) 冷蔵庫
KR100926763B1 (ko) 냉장고
US20080115524A1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for refrigerator
JP6674522B2 (ja) 冷蔵庫
KR200457103Y1 (ko) 냉장고
WO2020125451A1 (zh) 冰箱
KR100737454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KR200292004Y1 (ko) 냉장고
CN116608639A (zh) 隔热箱体及冰箱
CN114127496A (zh) 真空绝热体和冰箱
TW202334594A (zh) 隔熱箱體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