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094A -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 교량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 교량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094A
KR20090036094A KR1020090019078A KR20090019078A KR20090036094A KR 20090036094 A KR20090036094 A KR 20090036094A KR 1020090019078 A KR1020090019078 A KR 1020090019078A KR 20090019078 A KR20090019078 A KR 20090019078A KR 20090036094 A KR20090036094 A KR 2009003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temporary
old
new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005B1 (ko
Inventor
장신찬
Original Assignee
장신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찬 filed Critical 장신찬
Priority to KR102009001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0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들 사이에 신설 교량을 거치시키는 신설 교각을 설치하는 신설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신설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신설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과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 수명이 다하였거나 교량의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데 있어서 불과 수일 이내의 기간 동안에만 통행을 중단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 교량을 완전히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구 교량, 신설 교량, 신설 교각, 가설용 임시교각, 압출 이동, 받침빔

Description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 교량 제거 방법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AND DEMOLISHMENT METHOD OF OUTDATED BRIDGE USED THEREIN}
본 발명은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낡고 노후된 구 교량을 교체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교체 공정을 단순화함에 따라 교량의 사용 제한 기간을 최소화하여 교량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초기 설계, 시공 당시에 지지할 수 있는 내하력으로 설계되어 일정한 사용 연한이 결정 되므로, 정해진 사용 연한이 경과되었거나 과다 하중이 반복 작용하여 교량에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되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 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새로운 교량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단 교량이 개통되어 사용되기 시작하면, 구 교량을 교체하는 수개월 동안에 교량을 전혀 이용할 수 없으므로 구 교량을 교체하는 동안에 이를 대체하는 다른 가설 도로와 가설 교량을 추가로 건설한 후에 교체하는 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추가적으로 건설하는 가설 도로와 가설 교량의 제작비용이 과 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교량으로 다시 시공하는 것은 주변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야 하고 많은 사전 설계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하고 있는 교량이 노후화되거나 균열 등의 파손이 심한 경우에는, 이 교량에 대하여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교량의 보수보강방법을 결정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종래의 보강방법 중의 하나로서, 노후 교량에 긴장재 등을 외부에 설치하여 긴장시킨 후 정착하는 것 등에 의하여, 교량의 사용 연한을 연장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착구를 이용하여 긴장재 등을 노후 교량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은 보강 정착구 설치 시 교량의 내하력을 지지하는 철근이나 긴장재 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기 설치된 교량에 긴장재를 설치함에 따라 긴장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긴장재를 이용하여 노후 교량을 보수 보강하는 것은 임시적인 조치에 불과하여 주기적으로 추가적인 긴장재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사가 필요하게 되어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이미 설치된 교량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공 당시에 예상했던 것보다 큰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시공 당시에는 차량의 통행량이 매우 적어 낮은 지지력을 갖도록 시공되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량의 통행량이 많아져 보다 큰 지지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도, 낮은 지지력을 갖는 구 교량을 큰 지지력을 갖는 신설 교량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바 람직하지만, 통행량이 많은 상태에서 구 교량을 철거한 후 신설 교량을 시공하는 데 소요되는 장 시간동안 구 교량의 사용을 전면적으로 중단하는 것은 매우 큰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구 교량의 외부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구 교량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실상 지지력을 크게 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 중에 교량이 손상될 가능성도 있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 수명이 다하였거나 교량의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데 있어서 불과 수일 이내의 기간 동안에만 통행을 중단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 교량을 완전히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하는 데 있어서, 구 교량보다 교량의 폭을 더 크게 하거나 경간을 더 길게 하는 신설 교량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을 남겨두고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구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신설 교량이 받침빔에 얹혀져 지지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신설 교량이 압출 이동에 의하여 구 교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구 교량의 철거 시점을 신설 교량의 가설용 임시교각 상에서의 시공 이후로 늦출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이미 사용 중이던 구 교량에 차량 등이 통행하지 못하는 기간을 '구 교량의 철거시작시점으로부터 신설 교량의 압출 이동'에 소요되는 약 일 주일 내지 적어도 열흘 이내의 기간으로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에 의하여 교량의 사용 제한 기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신설 교량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이 뿐만 아니라, 신설 교량은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받침빔은 교좌장치에 지지되므로, 신설 교량의 전체의 하중은 받침빔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좌장치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구 교량의 각각의 빔을 지지하는 교좌장치가 구 교각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었던 것에 반하여, 신설 교량의 경우 교량 폭이 구 교량의 폭보다 더 커지더라도 신설 교량의 각각의 빔은 받침빔이 각각의 빔을 지지하고 또한 이 받침빔을 교각의 상부에서 2개 내지 3개 정도의 교좌장치로 지지 할 수 있어 교각 상부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길이가 일정한 제한을 받지 않는 새로운 공법의 신설 교량이므로 구 교각의 상부에 받침빔이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 교량에 비하여 폭이 더 큰 신설 교량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신설교량 압출 이동단계에서 상기 받침빔이 교축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은 상기 받침빔을 밀거나 당겨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구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들 사이에 신설 교량을 거치시키는 신설 교각을 설치하는 신설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신설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신설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 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과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전술한 시공 방법과 유사하지만 구 교각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신설 교각을 시공하여 이에 신설 교량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신설 교각은 구 교각들 사이에 설치되어 교각 사이의 거리인 경간을 구 교각에 비하여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설 교각을 설치하는 상기 시공 방법은 전술한 시공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보다 높은 지지력을 갖는 신설 교량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교량의 사용 제한 기간의 최소화하고, 보다 넓은 폭의 신설 교량의 시공할 수 있는 등의 유리한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설 교량은 단일 경간 교량일 수도 있지만, 2경간 이상의 다 경간 교량일 수도 있다. 2경간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가설용 임시교각의 위에 거치되어 있는 다수의 받침빔을 상기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의 상부를 향하여 동시에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하여,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구 교각의 상부나 신설 교각의 상부로 신설 교량을 압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설 교량은, 받침빔과, 받침빔의 상부에 곧바로 바닥판이 얹혀지는 형태의 교량일 수도 있으며, 받침빔에 콘크리트 빔이나 플레이트 강재 빔, 박스형 강재 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I형 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U형 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형 빔 등 다양한 형태의 빔이 얹혀지고 바닥판이 그 위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설 교량은 교축방향으로 인접한 빔들이 상호 연결되는 연속형 교량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설 교량은 빔이 하나인 교량일 수도 있지만, 받침빔의 상부에 양단이 지지되고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빔으로 구성되어 넓은 폭의 바닥판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설 교량은 노후 교량의 전체를 교체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노후 교량의 일부 경간에 대해서만 교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구 교량 제거 단계는,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량용 가설 임시교각과 반대 측으로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더 길게 상기 구 교량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두 배 이상의 길이로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교축직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해체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해체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의 상부와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의 저면 사이에 저면 지지빔을 위치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에 부착된 접촉 부재가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최 외측 빔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상기 저면 지지빔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 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연결하는 긴장재을 긴장시켜, 상기 저면 지지빔 상에서 상기 노후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체화 모듈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일체화 모듈 설치단계와; 상기 저면 지지빔과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 사이에 제2인상용 유압잭을 설치하여, 상기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구 교량을 들어올려, 상기 구 교량의 교좌장치로부터 상기 구 교량의 상부구조를 분리시키는 구 교량 인상단계와; 상기 일체화모듈을 잡아당기는 것(Pulling system)에 의해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을 따라 상기 구 교량을 이동시켜 상기 구 교각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 교량을 저면 지지빔의 상부에 올려둔 상태로 일체화하는 일체화 모듈을 이용하여, 구 교각의 교좌장치로부터 노후 교량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노후 교량을 해체용 임시교각을 따라 압출 이동에 의해 동시에 일괄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원래 설치되어 있던 구 교각으로부터 하루 정도의 시간이면 노후 교량의 상부구조를 구 교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게 된다. 다시 말하면, 차량 등이 구 교량을 통행하는 사용 상태에서 저면 지지빔, 측면 지지빔, 제2인상용 유압잭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 교량의 통행 제한 시간은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구 교량의 상부구조를 인상시키고, 일체화 모듈을 긴장재를 사용하여 이를 잡아당기는 것(Pulling system)에 의하여 노후 교량을 해체용 임시교각을 따라 압출 이동시키고 구 교량을 해체하는 방법으로 짧은 기간 동안에 구 교각으로부터 구 교량을 이동, 해체 작업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신설 교량은 바닥판이 얹혀지지 않은 상태로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 교각 또는 상기 신설 교각으로 옮겨진 이후에 바닥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신설 교량은 신설 교각의 상부에서 이미 바닥판과 함께 난간 등도 시공된 상태로 상기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구 교각", "신설 교각", "가설용 임시교각"에서 '교각'이라는 용어는 상기 받침빔이 거치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교대'의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구 교량" 및 "신설 교량"은 일반적인 교량의 상부 구조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을 포함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구 교량" 및 "신설 교량"에 대해서는 도면부호가 각각 '11'과 ' 100'으로 부여되었으며, "구 교각" 및 "신설 교각"에 대해서는 이와 별개의 도면 부호로서 각각 '10'과 '20'이 부여되었다. 참고로, 전체 교량을 의미하는 용어로서는 단순히 "교량"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도1의 구 교각 및 구 교량을 포함하는 "노후 교량"에 대하여 도면부호 '1'로 표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면은 상기 받침빔이 얹혀져 슬라이딩되도록 평탄면이 교축직각방향으로 2열로 돌출된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2열의 슬라이드면의 사이의 요입부에는 교축직각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 이에 따라, 상기 신설교량 이동단계는, 일단이 상기 받침빔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유압잭이 신장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받침빔이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사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은 톱니 형상으로 일측 기울기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꼭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에 위치한 일측 경사면과 타측 경사면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빔과 상기 슬라이드면의 사이에는 상기 받침빔에 접하는 면의 마찰이 상기 슬라이드면에 접하는 면의 마찰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슬라이딩 패드가 개재(介在)됨으로써, 상기 유압잭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받침빔이 슬라이드면에 대하여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이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으로부터 이동하여 그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신설 교량의 처짐을 보상하여 원활한 이동을 보조하도록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에 하방을 향하여 인장되는 처짐 보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의 처짐을 보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설 교량을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신설 교량이 가설용 임시교각에만 일부가 지지되는 외팔보 형태로 되어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 처짐을 곧바로 보상하는 것에 의하여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의 상부로 신설 교량을 걸림 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신설교량 이동단계에 의하여 상기 신설 교량이 상기 구 교각의 상부 또는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을 완료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신설 교량의 받침빔은 상기 구 교각의 상부 또는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미리 설치된 임시 교좌장치 상에 거치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신설 교량을 인상용 유압잭으로 들어 올려 상기 임시 교좌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임시 교좌장치를 제거한 후에, 상기 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신설 교량을 내려, 상기 받침빔이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미리 설치된 영구 교좌장치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영구 교좌장치와 상기 받침빔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구 교각이나 신설 교각의 상부의 영구 교좌장치 상에 신설 교량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나서, 신설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아스팔트 등의 포장 작업을 하면 곧바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량용 가설 임시교각과 반대 측으로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더 길게 상기 구 교량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두 배 이상의 길이로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교축직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해체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해체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의 상부와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의 저면 사이에 저면 지지빔을 위치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에 부착된 접촉 부재가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최 외측 빔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상기 저면 지지빔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연결하는 긴장재을 긴장시켜, 상기 저면 지지빔 상에서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체화 모듈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일체화 모듈 설치단계와; 상기 저면 지지빔과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 사이에 제2인상용 유압잭을 설치하여, 상기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다수의 빔을 동시에 인상하여, 상기 구 교량의 교좌장치로부터 상기 구 교량이 분리 되도록 하는 구 교량 인상단계와; 상기 일체화모듈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구 교량을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 교각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교량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과 교각 사이에 신설 교량을 거치시키는 신설 교각을 설치하는 신설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신설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신설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과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 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 수명이 다하였거나 교량의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노후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데 있어서 불과 일주일 내지 열흘 정도의 기간 동안에만 통행을 중단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 교량을 완전히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짧은 기간 동안 통행을 중단시키면서 구 교량을 완전히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함과 동시에, 구 교량에 비하여 지지력을 보다 크게 하거나, 기존의 구 교량보다 교량의 폭을 더 크게 하거나 경간을 더 길게 하는 신설 교량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 교량을 제거함에 있어서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빔이 일체화 모듈에 의하여 저면 지지빔 상에서 일체로 거동하도록 일체화함에 따라, 구 교량의 통행 제한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구 교량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일체화 모듈에 사용되는 자재와 장비는 1회용으로 사용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의 해체 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해체 및 제거에 소요되는 설비비용도 낮출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량(1)은 교각(10)의 상부에 놓여진 교좌 장치(10a)에 빔(11a)의 양단이 거치되고, 그 빔(11a)의 상면에 바닥판(11b)이 시공되어 차량 등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의 토목 구조물이다. 그러나, 교량(1)이 오랜 시간동안 사용되어 노후화되면 교량(1)을 지지하는 빔(11a)에 균열(88)이 곳곳에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노후화 된 구 교량(11)을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고 또한, 통행량이 많아진 교량(1)에 대하여 교량 등급이 높은 교량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이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경간 구 교량을 3경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단계 1: 오랜 기간 동안 사용에 의하여 노후화되거나 교량의 등급을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구 교량(11)을 새로운 신설 교량으로 교체할 필요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교량(1)의 구 교각(10)들 사이에 신설 교각(20)을 지면(55)에 묻어 설치한다. 이 때, 구 교각(10) 사이의 거리(Le1, Le2, Le3, Le4)에 비하여 신설 교각(20) 사이의 거리(Ln1, Ln2, Ln3)는 더 길어지며, 이에 따라 4경간 단순보 교량을 보다 장경간화된 3경간 연속 교량으로 시공하게 된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종래에 사용하던 구 교각(10)의 지지능력이 신설 교량을 지지하는데 충분하거나, 경간을 크게 할 필요성이 작은 경우에는, 종 래에 사용하던 구 교각(10)을 신설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의 하부구조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단계 2: 구 교량(11)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게 이격된 위치에 신설 교량(100)이 시공되는 위치에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을 설치한다. 이 때,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은 신설 교각(20)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한편, 단계 1에서 신설 교각(20)을 설치하지 않고 구 교량(11)의 구 교각(10)을 신설 교량(100)의 거치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신설 교량(100)이 구 교각(10) 상부의 구 교량(11)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되도록 가설용 임시교각(140)을 설치한다. 이 때,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각(20)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단계 3: 단계 2와 병행하거나 그 전후에 행해지는 공정으로서, 구 교량(11)을 해체하는 데 사용되는 해체용 임시 교각(210)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교량(11)의 교축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다수로 설치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13에는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은 도시되지 않았다. 해체용 임시교각(210)은 가설용 임시교각(140,149)과 달리 구 교량(11)의 하부로부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의 폭보다 두 배 이상 더 길게 형성되어 구 교량(11)으로부터 구 교량(11)의 폭만큼 돌출되는 폭을 가지며,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이 설치된 반대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구 교량(11)의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이 구 교량(11)의 좌측에 위치하였다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은 구 교량(11)의 저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 때, 해체용 임시교각(210)을 가설함에 있어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교량(11)의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돌출된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끝단에는, 구 교량(11)을 잡아당겨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물(250)로서, 일단(252a)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내부에 매설되고 타단(252b)이 고정 형강(251)의 바깥면에 고정되는 강봉(252)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시공과 함께 설치되고, 이 강봉(252)을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 형강(251)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해체용 임시교각(210)은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211)이 누운 상태로 매설되고, H형강(211)의 노출되는 표면에 윤활유를 도포하고 그 위에 슬라이딩 패드(288)가 개재하되, PTFE합성수지판(67b)이 윤활유를 도포한 H형강(211)에 맞닿게 설치하여 압출 시 작은 마찰력을 발생함으로써 노후 교량(11)의 상부구조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의 상부에 구 교량(11)을 교체하는 신설 교량(100)을 시공한다. 여기서, 신설 교량(100)은, 교축직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의 길이에 따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120)과, 받침빔(120)에 양단이 거치되어 지지되고 교축직각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콘크리트 빔(110)과, 도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콘크리트 빔(110)과 받침빔(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신설 교량(100)은 횡방향으로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의 상부에 거치되는 받침빔(120)에 의하여 모든 신설 교량(100)의 구조물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은 그 상면에 교축직각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돌출(141)된 슬라이드면(141a)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빔(120)을 안정되게 거치시키고, 받침빔(120)에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신설 교량(100)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설용 임시교각(140,149)중 신설 교량(100)의 양 끝단을 제외한 가설용 임시교각(140)에는, 받침빔(120)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받침빔(120)을 거치시키는 슬라이드 면(121a)이 요입부(141b)를 그 사이에 두고 2열로 형성되고, 받침빔(120)을 압출시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슬라이드면(121a)의 요입부(141b)에는 압출용 유압잭(150,150')의 일단이 접촉하여 밀 수 있도록 경사면(142a,142a')이 반복하여 위치하는 유압 작동 트랙(142)이 형성된다.
이 때, 반복되는 경사면(142a,142a')은 도4a 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압출용 유압잭(150,150')과 접촉하는 경사면(142a)이 이 경사면(142a)을 연결하는 경사면(142b)보다 더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압출용 유압잭(150,150')을 이용하여 신설 교량(100)을 이동시키는 데 더 효율적이므로, 압출용 유압잭(150,150')과 접촉하는 경사면(142a)은 보다 급한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량(100)을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 시공함에 있어서, 받침빔(120)과 슬라이드면(141a)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66)가 개재된다. 슬라이딩 패드(66)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빔(120)에 맞닿는 면은 마찰이 큰 고무판(67a)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면(141a)은 H형강(144)의 상부 플랜지(Flange)가 노출되고, 윤활유를 도포한 슬라이드면(141a)과 맞닿는 면은 마찰이 작은 PTFE합성수지판(67b)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신설교량(100)을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로부터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받침빔(120)과 슬라이드면(141a)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신설 교량(100)이 가설용 임시교각(140)으로부터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구 교량(11)을 제거하기 위한 일체화 모듈(230)이 구 교량(11)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즉,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상부와 구 교량(11)의 다수의 빔(11a)의 저면 사이에 저면 지지빔(234)을 위치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에 부착된 접촉 부재(233)가 구 교량(11)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최 외측 빔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 빔(231)을 저면 지지빔(234)에 연결 설치한다. 이 때, 일체화 모듈(230)은 노후 교량(11)의 빔(11a)의 다이어프램(11d)이 형성된 위치(11x)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에는 이들(231)을 상호 연결하는 긴장재(266a,277a)가 설치되는 정착용 판넬(232,235)을 측면 지지빔(231)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한다. 이와 동시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된 구 교량(11)의 빔(11a)의 사이사이에는 간격유지용 유압잭(237)이 설치된다.
여기서, 구 교량(11)의 빔(11a)의 최 외곽 측면과 접촉하는 접촉 부재(233)에는 도11에 도시된 슬라이딩 패드(66,67)와 동일한 재질의 패드(233a)가 부착되고, 이 때, 패드(233a)의 미끄러운 표면이 빔(11a)의 측면과 접촉하여, 일체화 모듈(230)이 구 교량(11)과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구 교량(11)이 상하 방향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저면 지지빔(234)과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상면의 사이에도 도11에 도시된 슬라이딩 패드(66,67)와 동일한 재질의 슬라이딩 패드(288)가 개재(介在)되고, 이 때, 윤활유를 도포한 슬라이딩 패드(288)의 미끄러운 표면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상면에 매입된 I형강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일체화 모듈(230)을 잡아당기면 슬라이딩 패드(288)와 함께 쉽게 구 교량(11)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 구 교량(11)의 빔(11a)의 저면과 저면 지지빔(234)의 사이에 제2인상용 유압잭(236)이 설치된다. 이 때, 제2인상용 유압잭(236)의 신축 로드의 끝단에 고정되는 플레이트(236a)는 빔(11a) 하단과 접촉하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요철로 형성된 플레이트 면(Braking Saddle)으로 형성되어, 빔(11a)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제2인상용 유압잭(236)으로부터 빔(11a)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인상용 유압잭(236)은 몸체 측의 플레이트(236b)가 저면 지지빔(234)에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해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은 H형강으로 형성되고, 정착용 판넬(232,235)은 한 쌍의 'ㄷ'자형 판넬로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 지지빔(23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H형강을 사용하고 양 측면은 플레이트로 용접하여 결합시킨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상면에 세워진 수직 지지대(241)를 설치하고, 저면 지지빔(234)의 양 측면에는 마찰이 큰 슬라이딩 패드(242a)의 고무판(67a)이 맞닿고, 수직 지지대(241)의 상측의 패드 고정부(242)에는 윤활유를 도포한 마찰이 적은 슬라이딩 패드(242a)의 PTFE합성수지판(67b)이 접촉함으로서, 구 교량(11)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을 따르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 교축직각방향으로 압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한다.
한편, 도15는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이 구 교량의 바닥판(11b)에 천공한 구멍(11h)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은 바닥판의 바깥으로 배열되고, 도15에 도시된 접촉부재(233)가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최 외측의 빔들을 균등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도16에서와 같이 추후 측면 지지빔(231)들을 긴장재(266a,277a)를 긴장 시 최 외측 빔들이 균등하게 하중이 작용하여, 서로 독립되게 설치된 빔들을 서로 일체화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계 6: 그리고 나서, 구 교량(11)의 통행을 중단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231)에 고정된 정착용 판넬(232, 235)을 관통하는 일체화 긴장재(266a, 277a)를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유압잭(266,277)으로 일체화 긴장재(266a,277a)를 긴장시킨다. 이 때, 간격유지용 유압잭(237)이 구 교량(11)의 빔(11a)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일체화 긴장재(266a,277a)의 긴장에도 불구하고, 빔(11a)들과 바닥판(11b) 및 교축방향의 빔들(11)사이의 바닥판(11c)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이들의 상대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 다음, 다수의 제2인상용 유압잭(236)의 작동로드를 동시에 신장시켜 노후 교량(11)을 동시에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교량(11)은 구 교각(10)의 교좌 장치(10a)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구 교량(11)의 교축직각방향의 최외각에 위치한 빔은 접촉 부재(233)에 대하여 미끄럼 상향 이동된다. 이를 통해, 구 교량(11)은 저면 지지빔(234) 상에서 일체화 모듈(230)과 일체로 교축직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단계 7: 그리고 나서, 이동용 긴장재(299a)를 유압잭(299)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교량(11)을 슬라이딩 패드(288) 및 일체화 모듈(230)과 함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체화 모듈(230)이 이동되는 상세 구성이 도18 및 도19에 도시되어 있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 모듈(230)의 저면 지지빔(234)은 해체용 임시교각(210)에 매설된 H형강(211)의 노출표면 상에서 슬라이딩 패드(288)를 사이에 두고,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끝단에 고정된 고정 H형강(251)과 정착용 판넬(235)을 연결하는 이동용 긴장재(299a)를 유압잭(299)으로 긴장시키는 것에 의해, 일체화 모듈(230)과 구 교량(11)은 해체용 임시교각(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 완료 후 도20에서와 같이 해체용 임시교각(210) 상단에 위치한 H형강(261)위에 유압잭(262)을 사용하여 빔들을 인상한 후 일체화 모듈(230)의 모든 자재를 분리 해체하고 구 교량(11)을 제거 한다.
이 때,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용 판넬(235)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피봇 플레이트(235a)의 사이에 커넥터(299c)가 고정핀(299p)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커넥터(299c)에 이동용 긴장재(299a)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 모듈(230)과 고정 H형강(251)을 연결하는 이동용 긴장재(299a)를 유압잭(299)으로 긴장하면, 구 교량(11)은 일체화 모듈(230)의 저면 지지빔(234) 위에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패드(288)와 함께 압출 이동된다. 이 때, 구 교량(11)을 재사용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 교량(11)을 이동시키는 중에 구 교량이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된 일체화 모듈(230)과 연결된 여러 이동용 긴장재(299a)들은 동일한 만큼씩 긴장되어 교축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만큼의 변위로 구 교량(11)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해체용 임시교각(210)은 구 교량(11)의 폭보다 두 배 이상 길게 교축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구 교량(11)의 압출 이동에 의하여 구 교량(11)이 원래 설치되었던 위치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 신설 교량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단계 5 내지 단계 7에 의하여 구 교량(11)은 구 교각(10)으로부터 완전히 철거된다. 이 때, 신설 교량(100)을 지지하는 데 구 교각(10)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구 교각(10)도 함께 철거한다. 이를 통해, 원래 구 교량(11)이 있던 위치에는 신설 교각(20)만 남게 된다. 그리고, 이 신설 교각(20)은 가설용 임시교각(140)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단계 8: 그리고 나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용 유압잭(150,150')을 이용하여 받침빔(120)에 힘을 가함으로써 받침빔(120)을 포함하는 신설 교량(100)을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로부터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압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pushing)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15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압출용 유압잭(150)의 일단(150a)은 받침빔(120)의 일면에 미리 설치된 피봇 고정판(121)의 피봇(121a)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압출용 유압잭(150)의 타단(150b)의 접촉부(151)를 톱니 형상의 경사면(142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나서, 압출용 유압잭(150)의 길이가 도면부호 150d로 표시된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신장되면, 도3에 도시된 받침빔(120)은 가설용 임시교각(140)으로부터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압출용 유압잭(150)의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압출용 유압잭(150)의 타단(150b)은 접촉부(151)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설치되어, 압출용 유압잭(150)이 신장되는 과정에서 경사면(142a)과 접촉부(151)의 바닥면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압출용 유압잭(150)의 신장이 완료되어 받침빔(120)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압출 이동한 후에, 압출용 유압잭(150)의 길이는 줄어들게 제어되고, 이에 따라 압출용 유압잭(150)의 접촉부(151)는 접촉하고 있던 경사면(142a)과 접촉이 해제되면서 붕 뜬 상태가 되며 자중에 의해 처지며, 이 때, 다시 압출용 유압잭(150)의 길이가 신장되면 압출용 유압잭(150)의 접촉부(151)는 그 다음의 경사면(142a, 즉, 도4a에서 접촉부(151)가 접촉하고 있었던 경사면의 우측에 위치한 경사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압출용 유압잭(150)의 신축에 의하여 받침빔(120)을 포함하는 신설 교량(100)을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압출용 유압잭(150)의 신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압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앤드 풀링(Pushing & Pulling)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15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압출용 유압잭(150')의 일단(150a)은 받침빔(120)의 일면에 미리 설치된 피봇 고정판(121)의 피봇(121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점에 있어서는 푸싱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150)과 동일하지만, 압출용 유압잭(150)의 타단(150b')이 반복하는 경사면(142a')과 피봇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빔(120)에 힘을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받침빔(120)을 끌어당기는 경우가 발생하면 푸싱 앤드 풀링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150')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신설 교량(100)의 이동에 피봇 고정을 매번 연결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인 142c'는 유압 작동 트랙(142')에 경사면(142a')을 고정하기 위한 용접부이다.
상기와 같은 압출용 유압잭(150,150')의 작용에 의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 얹혀진 신설 교량(100)은 신설 교각(20)을 향하여 일괄 이동된다. 이 때, 신설 교량(100)이 다경간 연속교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받침빔(120)과 다른 받침빔(120)의 이동량 편차가 커지면, 신설 교량(100)의 이동 중에 빔(110)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받침빔(120)에 대하여 동시에 압출용 유압잭(150)을 작동시켜 다수의 받침빔(120)이 일괄적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받침빔(120)의 이동 거리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이동 거리를 조금씩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단계 9: 이와 같이, 압출용 유압잭(150,150')을 작동시켜 신설 교량(100)을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서 신설 교각(20)의 상부를 향하여 압출 이동시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량(100)의 시공 당시에 신설 교량(100)의 받침빔(120)과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슬라이드면(141a)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슬라이딩 패드(66) 중 압출 진행 방향의 끝단에 위치한 슬라이딩 패드(66')는 받침빔(120)과 슬라이드면(141a)의 사이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신설 교량(100)이 신설 교각(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신설 교량(100)의 받침빔(120)과 신설 교각(20)의 상부에 설치된 임시 교좌장치(21)의 사이에 슬라이딩 패드(77)를 개재시켜, 압출용 유압잭(150,150')의 작동에 의하여 신설 교량(100)이 신설 교각(20)의 상부에서도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서는, 받침빔(120)의 양 측면(교축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면, 받침빔의 전면과 후면)과 접하는 위치에 신설 교량(100)의 원활한 압출 이동을 위하여 받침빔(120)의 양 측면에 슬라이딩 패드(145a)가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고, 슬라이딩 패드(145a)의 바깥쪽에는 받침빔(120)이 교축직각방향을 따르는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교축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큰 휨 강성을 갖는 H형강으로 제작된 측면 가이드(145)가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빔(120)이 얹혀지는 슬라이드면(121a)은 보다 안정된 거치를 위하여, 받침빔(120)의 상면의 돌출부(121)에는 I 형강(144)의 상부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돌출부(121)에 미리 일부가 매설되어, 거친 콘크리트면 대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철판에 의하여 슬라이드면(121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각(20)의 상부에서도, 받침빔(120)의 양 측면(교축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면, 받침빔의 전면과 후면)과 접하는 위치에 신설 교량(100)의 원활한 압출 이동을 위하여 받침빔(120)의 양 측면에 마찰력이 큰 슬라이딩 패드(171)의 고무판(67a)이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고, 슬라이딩 패드(171)의 바깥쪽에는 받침빔(120)이 교축직각방향을 따르는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교축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큰 휨 강성을 갖는 H형강으로 제작된 측면 가이드(170)에 윤활유로 도포한 마찰력이 작은 슬라이딩 패드(171)의 PTFE합성수지판(67b)이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용 유압잭(150,150')에 의하여 신설 교량(100)이 이동하여 가설용 임시교각(140)에 근접하게 되면, 신설 교각(20)에 가까운 측의 신설 교량(100)의 일단이 공중에 뜨게 되므로, 이에 따라 신설 교량(100)에는 도면부호 1d로 표시된 방향의 처짐이 발생된다. 신설 교량(100)의 처짐은 신설 교량(100)의 일단이 신설 교각(20)의 상부에 미리 설치된 임시 교좌장치(21)와 간섭되어, 압출용 유압잭(150,150')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출 진행 방향의 신설 교량(100)의 선단에는 하방을 향하여 인장되는 처짐 보상용 유압잭(160)이 설치되어, 처짐 보상용 유압잭(160)의 피스톤의 끝단 플레이트(161)가 임시 교좌장치(21)를 눌러 신설 교량(100)이 도면부호 1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인상되도록 함으로써, 신설 교량(100)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처짐량을 보상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로부터 신설 교각(20)의 상부로 신설 교량(100)의 압출 이동을 완료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빔(120)의 바닥면에 미리 설치된 매입 철판(122)은 영구 교좌장치(2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매입 철판(122)은 받침빔(120)의 내부에 연결 철근(122a)과 연결되어 보다 견고하게 받침빔(120)에 결합된다.
단계 10: 그리고 나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각(20)의 상면에 한 쌍의 평탄한 인상용 유압잭(Flat Jack, 180)을 신설 교량(20)의 교축직각방향의 중앙부(CL)를 중심으로 신설 교량(100)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상용 유압잭(180)으로 신설 교량(100)을 들어올린다. 그리고 나서, 도7에 도시된 임시 교좌장치(21)를 제거한 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량(100)을 영구 교좌장치(22)에 내려 놓는다.
이 때, 받침빔(120)의 하면에 미리 내설된 매입 철판(122)은 영구 교좌장치(22)의 상면에 맞닿게 되는 데, 매입 철판(122)과 영구 교좌장치(22)의 상판을 용접(22a)으로 연결 고정하여, 영구 교좌장치(22)를 매개로 하여 신설 교각(20)과 신설 교량(100)이 영구 교좌장치(22)에 의한 회전 내지 압축 변위를 허용하면서도 견고하게 상호 연결 고정된다.
단계 11: 한편, 교량의 교체 시공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 교량(11)의 제거에 사용되었던 설비는 교체 시공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구 교량(11)의 제거에 사용된 설비의 제거 시점은 단계 10 이후에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 교량(11)이 구 교각(10)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 7 이후에는 언제든지 행해질 수 있다.
구 교량(11)이 구 교각(10)으로부터 제거되기 위하여 해체용 임시교각(210)의 상부에 옮겨진 상태에서는, 구 교량(11)은 제2인상용 유압잭(236)을 사이에 두고 저면 지지빔(234) 상에 거치된다. 이로부터, 저면 지지빔(234) 등의 일체화 모듈(230)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보조형강(251)과 제3인상용 유압잭(252)으로 이루어진 설비 제거모듈(250)을 저면 지지빔(234)의 양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제3인상용 유압잭(252)으로 구 교량(11)을 들어 올리면, 저면 지지빔(234) 등이 해체용 임시교각(210)으로부터 떨어져 뜬 상태가 되므로, 이 때 저면 지지빔(234) 및 제2인상용 유압잭(236) 등의 비교적 고가인 일체화 모듈(230)을 구 교량(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3인상용 유압잭(252)의 스트로크를 작게 제어하면, 구 교량(11)은 제3인상용 유압잭이나 해체용 임시 교각(210)의 H형강(211)의 표면에 의해 지지되어 거치된다. 한편, 해체용 임 시교각(210)의 상부에 거치된 구 교량(11)은 서둘러 폐기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신설 교량(100)에서의 통행이 재개된 이후에 천천히 폐기된다.
한편, 도12a 내지 도12c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신설 교량의 예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받침빔(120)에 거치되는 빔이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콘크리트 빔(110)인 신설 교량(100)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신설 교량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교축방향으로 인접한 콘크리트 빔(110)이 상호 철근이나 긴장재에 의해 연속화될 수도 있다.
또한,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설 교량(3)은 I형 강재와 같은 플레이트 빔(310)이 받침빔(310)에 의해 얹혀져 지지되고, 그 위에 바닥판(3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신설 교량(4)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U형 빔(410)이 받침빔(420)에 의해 얹혀져 지지되고, 그 위에 바닥판(4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도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교량(5)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빔(510)이 받침빔(520)에 의해 얹혀져 지지되고, 그 위에 바닥판(5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설 교량(100, 3, 4, 5)의 형태는 받침빔(120,320,420,5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교량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노후화된 교량(1)을 새로 시공되는 신설 교량(100, 3, 4, 5)으 로 교체 시공함으로써,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신설 교량(100)의 제작 단계에 해당하는 단계 1 내지 단계 5까지는 구 교량(11)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단계 6 내지 단계 10에 해당하는 수일 이내의 기간 동안에만 교량(1)의 통행을 제한할 뿐이므로, 교량 사용의 제한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구 교량(11)을 완전히 새로운 신설 교량(100, 3, 4, 5)으로 교체하는 시공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신설 교량(100)은 바닥판(130)의 상부에 입혀지는 포장재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가설용 임시교각(140)의 상부에서 미리 시공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교량의 이용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구 교량(11)을 철거하고, 가설용 임시교각(140)으로부터 신설 교량(100)을 신설 교각(20) (구 교각(10)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 교각(10))으로 횡방향 압출 이동시킨 후, 바닥판(130)의 상면에 아스콘 등의 포장재를 덮고 신축이음장치만 설치 하면, 새로 시공된 신설 교량(100)을 사용자들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을 교체 시공하게 되면, 기존의 교량(1)을 철거하고 새로운 신설 교량(100)을 새롭게 시공하는 것이므로, 구 교량(11)의 지지 능력에 제한을 받지 않고 큰 지지 능력을 갖는 신설 교량(100)의 시공이 가능하며, 구 교량(11)보다 긴 경간의 신설 교량(100)도 시공할 수 있으며, 교량의 폭도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경간 교량의 교체 시공을 위하여 신설 교각을 가설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신설 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게 설치된 가설용 임시교각 상에 신설 교량을 설치하여 이를 유압잭으로 압출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압출 구동부의 확대도
도4a는 도3의 푸싱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이 압출 구동부에 적용된 구성의 확대도
도4b는 도3의 푸싱 앤드 풀링 타입의 압출용 유압잭이 압출 구동부에 적용된 구성의 확대도
도5는 도3의 압출 구동부를 이용하여 가설용 임시교각 상의 신설 교량을 압출 이동시키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가설용 임시교각 상의 신설 교량을 신설교각 상으로 횡방향 이동시키고 있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7은 가설용 임시교각 상의 신설 교량을 신설교각 상으로의 횡방향 이동을 완료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8은 압출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임시 교좌장치를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9는 신설교각 상의 영구 교좌장치 위에 신설 교량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10a는 도6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0b는 도7의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패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a 내지 도12c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의 다양한 거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13은 도1의 구 교량을 해체하기 위하여 해체용 임시교각을 가설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4는 도13의 구 교량을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인상하여 교좌장치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5는 도13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도15의 일체화 모듈을 설치한 상태에서 구 교량을 이동시키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7은 도15의 일체화 모듈을 잡아당겨 구 교량을 이동시켜 원래의 구 교량 위치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8은 도16의 절단선 D-D에 따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도16의 절단선 E-E에 따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도17의 절단선 F-F에 따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1a는 도18의 'X'부분의 확대도
도21b는 도18의 'Y'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종단면도 10: 구 교각
11: 구 교량 20: 신설 교각
21: 임시 교좌장치 22: 영구 교좌장치
66, 67, 77, 171, 145a, 233a, 242a, 288: 슬라이딩 패드
67a: 슬라이딩 패드에 부착된 고무판
67b: 슬라이딩 패드의 PTFE합성수지판
100, 3, 4, 5: 신설 교량
110, 310, 410, 510: 지지빔
120, 320, 420, 520: 받침빔(가로보)
122: 영구 교좌장치 연결 고정용 철판
130: 바닥판 140: 가설용 임시교각
141: 거치면 142: 경사 지지면
149: 임시 교대 150: 압출용 유압잭
160: 처짐 보상용 유압잭 145, 170, 240: 측면 가이드
180: 제1인상용 플랫(Flat)유압잭 210: 해체용 임시교각
230: 일체화 모듈 231: 측면 지지빔
232, 235: 고정 정착용 판넬("ㄷ" 형강류)
234: 저면 지지빔 236: 제2인상용 유압잭
236a: 미끄럼 방지용 철판(Braking Saddle)
237: 간격유지용 유압잭 251: 압출용 긴장잭 지지대
266, 277, 252b: 긴장 정착구 262: 해체용 플렛(Flat)유압잭
252, 266a, 277a, 299a: 긴장재 (강봉, 강선류)
299: 압출용 긴장잭 299c: 압출용 긴장재 연결구

Claims (11)

  1.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을 남겨두고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구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2. 구 교량을 신설 교량으로 교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을 지지하는 구 교각들 사이에 신설 교량을 거치시키는 신설 교각을 설치하는 신설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신설 교각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을 상기 신설 교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는 가설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받침빔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는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신설교량 설치단계와;
    상기 구 교각과 상기 구 교량을 제거하는 구 교량 제거단계와;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신설 교량의 상기 받침빔에 힘을 가하여, 상기 받침빔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신설 교량을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신설교량 이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의 상면은 상기 받침빔이 얹혀져 압출 이동되도록 평탄면이 교축직각방향으로 2열로 돌출된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2열의 슬라이드면의 사이의 요입부에는 교축직각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교량 이동단계는,
    일단이 상기 받침빔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유압잭이 신장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받침빔이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교량은,
    상기 받침빔과;
    상기 받침빔에 의해 지지되고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빔과 상기 슬라이드면의 사이에는
    상기 받침빔에 접하는 면의 마찰이 상기 슬라이드면에 접하는 면의 마찰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슬라이딩 패드가 개재(介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이 상기 가설용 임시교각으로부터 이동하여 그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신설 교량의 처짐을 보상하여 원활한 이동을 보조하도록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에 하방을 향하여 인장되는 처짐 보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신설 교량의 일단의 처짐을 보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8.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교량 이동단계는, 상기 신설 교량이 상기 구 교각의 상부 또는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을 완료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 교각의 상부 또는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미리 설치된 임시 교좌장치 상에 상기 받침빔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신설 교량을 인상용 유압잭으로 인상하여 상기 임시 교좌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임시 교좌장치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신설 교량을 내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받침빔이 상기 신설 교각의 상부에 미리 설치된 영구 교좌장치의 상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영구 교좌장치와 상기 받침빔을 연결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 교량 제거 단계는,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량용 가설 임시교각과 반대 측으로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더 길게 상기 구 교량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두 배 이상의 길이로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교축직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해체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해체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의 상부와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의 저면 사이에 저면 지지빔을 위치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에 부착된 접촉 부재가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최 외측 빔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상기 저면 지지빔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연결하는 긴장재을 긴장시켜, 상기 저면 지지빔 상에서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체화 모듈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일체화 모듈 설치단계와;
    상기 저면 지지빔과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 사이에 제2인상용 유압잭을 설치하여, 상기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구 교량을 인상 하여, 상기 구 교량의 교좌장치로부터 상기 구 교량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 교량 인상단계와;
    상기 일체화모듈을 잡아당기거나 미는 것에 의해, 상기 구 교량을 상기 해체 용 임시교각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 교각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체 시공 방법.
  10. 교축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된 빔에 의해 지지되는 구 교량의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상기 신설 교량용 가설 임시교각과 반대 측으로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더 길게 상기 구 교량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구 교량의 폭보다 두 배 이상의 길이로 상기 구 교량의 하부로부터 교축직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해체용 임시교각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해체용 임시교각 설치단계와;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의 상부와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의 저면 사이에 저면 지지빔을 위치시키고, 한 쌍의 측면 지지빔에 부착된 접촉 부재가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최 외측 빔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상기 저면 지지빔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을 연결하는 긴장재을 긴장시켜, 상기 저면 지지빔 상에서 상기 구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빔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체화 모듈을 상기 구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는 일체화 모듈 설치단계와;
    상기 저면 지지빔과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 사이에 제2인상용 유압잭을 설치하여, 상기 제2인상용 유압잭으로 상기 구 교량의 다수의 빔을 동시에 인상하여, 상기 구 교량의 교좌 장치로부터 상기 구 교량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 교량 인상단계와;
    상기 일체화모듈을 잡아당기거나 미는 것에 의해, 상기 구 교량을 상기 해체용 임시교각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 교각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교량의 제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열된 상기 구 교량의 빔의 사이사이에는 간격유지용 유압잭이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의 긴장에도 상기 빔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압출 시 상기 구 교량의 빔들이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교량의 제거 방법.
KR1020090019078A 2009-03-06 2009-03-06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KR10110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78A KR101105005B1 (ko) 2009-03-06 2009-03-06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78A KR101105005B1 (ko) 2009-03-06 2009-03-06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094A true KR20090036094A (ko) 2009-04-13
KR101105005B1 KR101105005B1 (ko) 2012-01-16

Family

ID=4076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78A KR101105005B1 (ko) 2009-03-06 2009-03-06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00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319A (zh) * 2011-04-02 2012-10-17 北京公科固桥技术有限公司 一种桥面的改造铺装方法
CN105421254A (zh) * 2015-12-25 2016-03-23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桥梁支座上垫石原位修复方法及垫石模板
CN106758886A (zh) * 2016-11-24 2017-05-31 沈阳铁道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拆除既有桥涵结构的方法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CN110777683A (zh) * 2019-10-28 2020-02-1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箱梁外围结构拆除的装置及其施工方法
KR20210036657A (ko) * 2019-09-26 2021-04-0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상부구조 연속화를 이용한 교량의 급속교체 공법
KR20210061806A (ko) * 2019-11-20 2021-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CN114382023A (zh) * 2022-02-28 2022-04-22 中电建十一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斜拉桥机械切割拆除的施工方法
CN116289633A (zh) * 2023-05-24 2023-06-23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用于桥梁单侧施工拼装的指针式顶推滑移施工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86B1 (ko) * 2012-06-04 2013-04-03 브릿지테크놀러지(주) 가설벤트를 이용한 철도교의 유도상화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22B1 (ko) * 1988-02-15 1991-09-26 유원건설 주식회사 교량 상판 이동 압출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561983B2 (ja) * 1991-09-02 1996-12-11 鹿島建設株式会社 大型構造物の横移動方法
KR100730234B1 (ko) * 2006-03-07 2007-06-19 오창열 횡방향 추진을 통한 교량 상부구조 긴급 교체 시스템
KR100664996B1 (ko) * 2006-05-16 2007-01-09 (주)다인건설 신구 교량 상부구조물 긴급 교체장치 및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319B (zh) * 2011-04-02 2014-09-17 北京公科固桥技术有限公司 一种桥面的改造铺装方法
CN102733319A (zh) * 2011-04-02 2012-10-17 北京公科固桥技术有限公司 一种桥面的改造铺装方法
CN105421254A (zh) * 2015-12-25 2016-03-23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桥梁支座上垫石原位修复方法及垫石模板
CN106758886B (zh) * 2016-11-24 2018-07-24 沈阳铁道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拆除既有桥涵结构的方法
CN106758886A (zh) * 2016-11-24 2017-05-31 沈阳铁道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拆除既有桥涵结构的方法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20210036657A (ko) * 2019-09-26 2021-04-0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상부구조 연속화를 이용한 교량의 급속교체 공법
CN110777683A (zh) * 2019-10-28 2020-02-1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箱梁外围结构拆除的装置及其施工方法
KR20210061806A (ko) * 2019-11-20 2021-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CN114382023A (zh) * 2022-02-28 2022-04-22 中电建十一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斜拉桥机械切割拆除的施工方法
CN114382023B (zh) * 2022-02-28 2024-04-05 中电建十一局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斜拉桥机械切割拆除的施工方法
CN116289633A (zh) * 2023-05-24 2023-06-23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用于桥梁单侧施工拼装的指针式顶推滑移施工系统和方法
CN116289633B (zh) * 2023-05-24 2023-08-08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用于桥梁单侧施工拼装的指针式顶推滑移施工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005B1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005B1 (ko)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US11634877B2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CN100540809C (zh) 连续梁不断交支座更换方法
US7478450B2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JP5367297B2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JP4558609B2 (ja) 橋梁の押出架設工法
KR20130141276A (ko)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CA2349855C (en) Tension force adjustable prestressed girder
KR20120127885A (ko) 강합성 교량의 레일형 상부슬래브를 전단연결재용 레일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및 그 공법
JP2967876B1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形成方法及び上路式吊構造橋の構築方法
CN113123238B (zh) 一种变宽段钢桁梁横移架设方法
CN112376440B (zh) 一种斜拉桥的主梁无合拢吊装的施工工艺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CN111424563A (zh) 一种用于横向变宽与纵坡变化的钢梁顶推方法
KR20040012496A (ko) 강 피시합성교량의 가설방법
KR100662807B1 (ko) 교량용 신구 상부구조물 급속 교체장치 및 방법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CN109853373B (zh) 一种自稳固快速安装桥梁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KR100478702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순차적 교체 방법
KR20120054832A (ko) 아이형 거더를 이용한 에프씨엠 교량시공방법
KR101004221B1 (ko) 포스트텐션으로 연속화된 와플형 슬래브 시스템 및 포스트텐션닝 방법
CN110593117A (zh) 钢箱梁安装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290739Y1 (ko)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CN220813460U (zh) 一种低净空拼宽桥梁横移临时墩辅助支撑系统
JP7019927B2 (ja) 基盤と一連のセグ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