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114A - 도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114A
KR20090035114A KR1020070100199A KR20070100199A KR20090035114A KR 20090035114 A KR20090035114 A KR 20090035114A KR 1020070100199 A KR1020070100199 A KR 1020070100199A KR 20070100199 A KR20070100199 A KR 20070100199A KR 20090035114 A KR20090035114 A KR 2009003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door phone
phone device
home serv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711B1 (ko
Inventor
이창배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서버(Home Sever)와 연결되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폰 장치로, 문자 메시지 전달 기능이 제공되고 현관 도어에 홈을 구성하여 단순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도어폰 장치이다.
본 발명은 패널 전면부 중앙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호출버튼, 상기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좌측 혹은 우측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우측 혹은 좌측에 설치되어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 방문자의 영상을 입력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홈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 야간에 호출버튼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어 방문자를 조명하며, 이를 통해 카메라의 방문자 영상입력을 지원하는 카메라 조명부,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을 DSP로 처리하고,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아날로그로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처리부, 패널의 전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마이콤에 제공하는 동작감지 센서부, 도어폰 장치와 홈 서버의 통신을 중재하여 상호간의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시키는 신호처리부, 방문자의 방문 이력을 저장하고, 홈 서버에서 제공되는 시간대별, 용도별 다양한 메시지 및 문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패널의 전면부 중앙부에 설치되며, 홈 서버로 설정한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및 도어폰 장치의 제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며, 동작 감지 센서부에서 움직임 감지가 검출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상기의 구성요소를 활성화의 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패정보 및 다양한 메시지를 엑세스하여 표시부를 통해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마이콤을 포함한다.
도어폰 장치, 메시지 전달, 표시수단, 문패정보

Description

도어폰 장치{System for door phone}
본 발명은 홈 서버(Home Sever)와 연결되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문자 메시지 전달 기능이 제공되고 현관 도어에 홈을 구성하여 단순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도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폰 장치는 건물이나 아파트 또는 가정집 현관의 실외 도어 손잡이 주변의 우측 벽체에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전송라인을 통해 실내에 설치되는 세대내 장치와 연결되어 방문자가 실내의 거주자를 호출하고, 실내의 거주자는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어폰 장치에는 음성과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실내의 거주자는 방문자의 호출이 있는 경우 세대내 장치에 표시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보면서 방문자와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방문자의 방문 목적이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도어폰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가 실내의 거주자를 호출하는 호출버튼(11), 도어폰 장치(10)와 도시되지 않는 세대내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2), 방문자의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13) 및 세대내 장치에서 전송되는 실내 거주자의 음성을 송출시키는 스피커(14)로 구성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폰 장치는 방문자가 호출버튼(11)을 누르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전송선로를 통해 실내에 설치되는 세대내 장치에 방문자의 호출신호가 전달되고, 동시에 카메라(13)는 방문자의 영상을 수집하여 세대내 장치에 구비되는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실내 거주자는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하고, 방문자와 음성 통화하여 방문 목적을 확인한 다음에 현관 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여 방문자의 출입 여부를 실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폰 장치는 실내 거주자가 방문자를 직접 대면하지 않는 상태에서 희망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불필요한 방문자의 호출에 짜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목적은 도어폰 장치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여 방문자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세대 게시판의 기능을 구현하고 불필요한 방문자의 방문을 사전에 예방하며 필요시에 이벤트를 위한 메시지 전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시수단이 평상시에는 문패정보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문패정보와 메시지 전달이 순환되게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지정된 시간대별로 설정된 필요한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여 세대 거주자의 의사가 방문자 및 세대 현관의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스틸(Steel)로 제작되는 현관 도어의 외측 홈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순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설치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어폰 장치는, 패널의 전면부 중앙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호출버튼과; 상기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좌측 혹은 우측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우측 혹은 좌측에 설치되어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 방문자의 영상을 입력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홈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 방문자의 영상을 조명하여 영상입력을 지원하는 카메라 조명부;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을 DSP로 처리하고,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아날로그로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처리부; 패널의 전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도어폰 장치를 대기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감지 센서부; 도어폰 장치와 홈 서버의 통신을 중재하여 상호간의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시키는 신호처리부; 방문자의 방문 이력을 저장하고, 홈 서버에서 제공되는 시간대별, 용도별 다양한 메시지 및 문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패널의 전면부 중앙부에 설치되며, 홈 서버로 설정한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및; 도어폰 장치의 제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며, 동작감지 센서부에서 움직임 감지가 검출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상기의 구성요소를 활성화의 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패정보 및 다양한 메시지를 엑세스하여 표시부를 통해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마이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어폰 장치는,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현관 도어 외측의 중앙부에 소정의 형상과 깊이를 갖는 홈이 구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며, 배면부의 각 코너부 및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 복수개의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현관 도어에 고정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도어폰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불필요한 고정 작업이 배제되어 설치 시간이 단축되고, 주변의 시설물을 훼손하지 않아 도어폰 장치의 설치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문자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세대 게시판의 기능을 구현하고 불필요한 방문자의 방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 거주자가 설정한 특정의 전달 메시지에 대해서는 홈 서버와 연동하여 방문자의 인증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달 메시지의 보안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수단을 문패로 활용하고, 필요에 따라 문패정보와 메시지 전달을 순환시킴으로써, 표시수단의 다양한 활용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시간대별로 설정된 필요한 문자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하여 방문자와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세대 거주자의 의사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 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장치(100)는 전면부에 호출버튼(101)과 마이크(102), 스피커(103), 카메라(104), 카메라 조명부(105), 동작감지센서(106) 및 표시부(107)를 포함한다.
호출버튼(101)은 방문자가 세대 거주자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버튼으로, 터치버튼 혹은 푸시버튼으로 구성되어 전면부의 중앙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방문자의 터치에 따라 세대 거주자를 호출하는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전송라인을 통해 홈 서버(월패드)에 전송한다.
상기 호출버튼(101)에는 백라이팅(Back Lighting) 기능이 더 포함되어 어두운 환경에서 호출버튼(101)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102)는 전면부의 우측 하단으로, 상기 호출버튼(101)과 동일 라인의 우측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호출버튼(101) 터치로, 도어폰 장치(100)와 도시되지 않은 홈 서버(월패드)의 통화로가 연결되는 경우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스피커(103)는 전면부의 좌측 하단으로, 상기 호출버튼(101)과 동일 라인의 좌측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호출버튼(101) 터치로, 도어폰 장치(100)와 도시되지 않은 홈 서버(월패드)의 통화로가 연결되는 경우 세대 거주자가 요청하는 방문자의 방문 목적을 확인하는 음성을 송출한다.
카메라(104)는 상기 표시부(107) 라인의 좌측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호출버튼(101)을 터치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방문자의 영상을 입력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홈 서버(월패드)에 전송되도록 한다.
카메라 조명부(105)는 상기 표시부(107) 라인의 우측에 설치되어, 야간에 방문자가 호출버튼(101)을 터치하는 경우 점등되어 방문자를 조명하여 카메라(105)를 통한 방문자의 영상 입력을 지원한다.
동작감지 센서부(106)는 적외선 센서로 호출버튼(101) 라인의 스피커(103) 주변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접근 혹은 움직임을 확인하여 도어폰 장치(100)를 동작 대기모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표시부(107)는 전면부의 중앙부에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홈 서버(월패드)와 연동되어 세대 거주자가 설정한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 방문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07)는 LED 표시소자 혹은 LCD 표시소자로 이루어지며, 한글과 영문 및 특수문자를 1열(예를 들어 한글 4자, 영문 8자)표시하고, 이들 문자 메시지를 스크롤(Scroll)이나 순환 및 순차적 표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7)는 이미지 표시 기능이 제공되어 로고, 애니메이션, 세대 구성원의 사진 등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7)는 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홈 서버(월패드)의 설정에 따라 시간대별, 용도별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새벽 시간대에 우유 및 신문의 배달을 요청하거나 배달을 사절하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기의 취침이나 수험생의 공부를 안내하는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여 방문자의 불필요한 방문을 사절하거나 현관 주변의 정숙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가훈 등의 메시지 전달이나 이벤트 메시지 전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세대 거주자의 설정이 있는 경우 인증된 방문자에 한하여 설정된 지정 문자 메시지를 출력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상기 표시부(107)는 평상시 세대를 안내 및 홍보하는 문패정보를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움직임 감지에 따라 방문자가 인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문패정보 혹은 지정된 메시지 전달기능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요소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지정하였으나, 이들 각각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및 디자인의 변경에 따라 그 위치는 상호 교환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폰 장치(100)의 배면부에는 커넥터(108)와 복수개의 자석(109)이 구성된다.
커넥터(108)는 도시되지 않는 홈 서버(월패드)와 연결되는 전송라인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로, 이를 통해 홈 서버(월패드)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으며, 홈 서버(월패드)와의 음성, 영상, 사용자 인증내용 및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제공되도록 한다.
자석(109)은 소정의 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도어폰 장치(100)의 코너부 각각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된다.
상기 자석(109)은 코너부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코너부와 코너부를 가로 및 서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각각의 라인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수를 설치하여 보다 강력한 자기력을 갖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를 현관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와 현관 도어의 분해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와 홈 서버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장치(100)는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현관 도어(200) 외측의 중앙부에 홈(210)을 구성하고, 이 홈(210)에 도어폰 장치(10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도어폰 장치(100)의 배면부 각 코너부 및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 복수개의 자석은 스틸 재질의 현관 도어(200)에 설정된 자기력을 발생시켜 도어폰 장치(100)를 현관 도어(200)에 고정시킨다.
상기 도어폰 장치(100)를 현관 도어(200)에 구성한 홈(210)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홈 서버(월패드)와 연결되는 전송라인의 단자를 커넥터(108)에 결합하여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를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의 연결을 통해 도어폰 장치(100)는 홈 서버(30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사용자 인증 등의 정보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RS-485, IP통신으로 접속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방식을 지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출버튼(101)과 마이크(102), 스피커(103), 카메라(104),카메라 조명부(105), 동작감지 센서부(106), 표시부(107), 마이콤(110), 영상처리부(120), 음성처리부(130), 신호처리부(14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버튼(101)과 마이크(102), 스피커(103), 카메라(104), 카메라 조명부(105), 동작감지 센서부(106) 및 표시부(107)는 도어폰 장치(100)의 전면부 패널에 설치되는 구성 요소로 전술한 도 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콤(110)은 도어폰 장치(100)의 제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동작감지 센서부(106)에서 움직임 감지에 따른 신호가 인가되면 활성화 상태로 진입하여 파워 세이브 모드를 진행하고 있는 도어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활성화의 모드로 진입시키고, 호출버튼(101)을 통해 방문자의 세대 거주자 호출 요구가 검출되면 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홈 서버(300)에 방문자의 호출 요구를 전달하여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간의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110)은 카메라(104)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홈 서버(300)에 전송하여 세대 거주자가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110)은 홈 서버(3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102)를 통해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을 홈 서버(300)에 전송하고, 홈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세대 거주자의 방문 목적 확인 음성을 스피커(103)를 통해 송출시킨다.
상기 마이콤(110)은 홈 서버(300)에서 설정되는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부(107)에 문자나 그래픽 혹은 이미지로 표시하여 세대 게시판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방문자의 방문을 사전에 예방하고, 필요시에는 이벤트를 위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콤(110)은 상기 표시부(107)를 점등시켜 표시부(107)를 문패로 활용하고, 필요에 따라 문패정보와 메시지 전달을 순환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상기 마이콤(110)은 표시부(107)를 상시 오프하고, 방문자의 움직임 감지에 의한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면 표시부(107)를 통해 설정된 메시지 및 문패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상기 마이콤(110)은 홈 서버(300)의 지정에 따라 시간대별, 용도별 안내 메시지를 지정된 시간에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하여 준다.
예를 들어, 새벽시간대의 우유나 신문 배달의 요청 혹은 사절 등의 메시지를 표시부(106)를 통해 표시하여 방문자를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세대 거주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안정되게 전달하여 준다.
이외에 아기의 취침시간, 수험생의 공부 등의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전달하여 방문자의 불필요한 방문이나 현관 주변의 정숙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110)에는 호출버튼(103)의 작동이 검출되면 홈서버(300)와 연동하여 방문자의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정상적인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지시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전달 메시지가 공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다.
영상처리부(120)는 카메라(104)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마이콤(110)에 제공한다.
음성처리부(130)는 마이크(102)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을 DSP(Digital Signal Process)처리하여 마이콤(110)에 제공하고, 마이콤(110)에서 인가되는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여 스피커(103)를 통해 송출시킨다.
신호 처리부(140)는 도어폰 장치(140)와 홈 서버(300)의 통신을 중재하여 상호간의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준다.
메모리부(150)는 마이콤(110)에서 제공되는 방문자 정보를 기억하여 홈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방문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0)는 홈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지정된 다양한 메시지를 저장하며, 저장된 메시지가 시간대별, 용도별로 표시부(106)를 통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자가 세대 거주자를 호출하고, 이에 따라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가 통화채널을 연결하여 음성 및 영상을 송수신한 다음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일반적인 도어폰 장치의 동작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전달기능을 갖는 도어폰 장치이므로, 방문자에게 설정된 각종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방문자가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하거나 계단을 통해 현관 도어에 접근하게 되면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전면부 스피커(103) 주변에 설치되는 동작감지 센서부(106)는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마이콤(110)에 제공한다.
마이콤(110)은 절전을 위해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를 진행하고 있는 도어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킨다.
동시에 마이콤(110)은 메모리부(150)를 엑세스하여 홈 서버(300)의 설정에 의해 저장된 시간대별, 용도별 및 상시 제공 메시지를 판독한 다음 현재의 시간 조건에 적합한 메시지를 추출한 다음 표시부(107)를 통해 추출된 메시지를 출력하여 방문자에게 제공하여 준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조건에 적합한 메시지가 문패정보의 제공인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세대의 호수 정보(가)와 세대주의 이름 정보(나)를 순환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이외에 지정된 메시지가 있는 경우 문패정보와 지정된 메시지를 순환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상기 문패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마이콤(110)은 표시부(107)에 상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방문자가 없는 경우에는 상시 문패정보를 표시하더라도 그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방문자의 접근이 확인되는 경우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세대 거주자가 홈 서버(300)를 통해 문패정보를 설정한 경우에 다른 전달 메시지에 우선하여 문패정보를 최우선적으로 제공하여 방문자가 방문한 세대가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호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마이콤(110)은 메모리부(150)에서 엑세스한 메시지가 홈 서버(300)의 시간대별, 용도별 안내 메시지이면 지정된 해당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하여 준다.
예를 들어, 새벽시간대의 우유나 신문 배달의 요청 혹은 사절 등의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하여 방문자를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세대 거주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안정되게 전달하여 준다.
이외에 아기의 취침시간, 수험생의 공부 등의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전달하여 방문자의 불필요한 방문이나 현관 주변의 정숙을 요청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가 취침중이니 정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마이콤(110)은 방문자에 대하여 홈서버(300)와 연동하여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정상적인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지시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전달 메시지가 공개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세대 거주자의 외출이나 장기적인 여행정보 등을 친지나 가족 구성원에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07)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인에게 불필요한 정보가 노출되는 것으로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홈 서버(300)에서 설정되는 메시지를 도어폰 장치(100)의 메모리가 저장하여 표시부(107)를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어폰 장치(100)와 홈 서버(300)의 통화채널이 연결되는 경우 홈 서버(300)에서 도어폰 장치(100)에 구비되는 표시부(107)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 역시 당업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를 현관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와 현관 도어의 분해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와 홈 서버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도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폰 장치 101 : 호출버튼
102 : 마이크 103 : 스피커
104 : 카메라 105 : 카메라 조명부
106 : 동작감지센서부 107 : 표시부
108 : 커넥터 109 : 자석
110 : 마이콤 120 : 영상처리부
130 : 음성처리부 140 : 신호처리부
150 : 메모리부 200 : 현관 도어
300 : 홈서버

Claims (9)

  1. 도어폰 장치에 있어서,
    패널의 전면부 중앙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호출버튼과;
    상기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좌측 혹은 우측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호출버튼과 동일 라인의 우측 혹은 좌측에 설치되어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
    방문자의 영상을 입력하여 전송라인을 통해 홈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
    야간에 호출버튼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어 방문자를 조명하며, 이를 통해 카메라의 방문자 영상입력을 지원하는 카메라 조명부;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을 DSP로 처리하고, 세대 거주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처리부;
    패널의 전면부 스피커 주변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마이콤에 제공하는 동작감지 센서부;
    도어폰 장치와 홈 서버의 통신을 중재하여 상호간의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시키는 신호처리부;
    방문자의 방문 이력을 저장하고, 홈 서버에서 제공되는 시간대별, 용도별 다 양한 메시지 및 문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패널의 전면부 중앙부에 설치되며, 홈 서버로 설정한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및;
    도어폰 장치의 제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며, 동작감지 센서부에서 움직임 감지가 검출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상기의 구성요소를 활성화의 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패정보 및 다양한 메시지를 엑세스하여 표시부를 통해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도어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버튼은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고, 야간 조명을 제공하는 백라이팅 기능이 더 포함되는 도어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문자나 그래픽 혹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여 세대 게시판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어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메모리부에 설정된 세대의 호수, 세대주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패정보와 시간대별, 용도별로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지정된 시간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환적으로 표시하는 도어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호출버튼를 작동하는 방문자에 대하여 홈서버와 연동하여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홈서버의 정상적인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지시하여 보안이 요구되는 메시지가 공개되는 것을 차단하는 도어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표시부를 통해 메모리부에 설정된 메시지에 우선하여 문패정보를 제공하고, 그 이후에 시간대별, 용도별로 설정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도어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 장치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배면부의 각 코너부에 설치되는 자석;
    홈 서버와 통신라인 및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더 포함되는 도어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커넥터로 연결되는 통신라인을 통해 홈 서버와 설정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되는 메시지와 및 방문자의 음성 및 영상을 송수신하는 도어폰 장치.
  9.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현관 도어 외측의 중앙부에 소정의 형상과 깊이를 갖는 홈이 구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며, 배면부의 각 코너부 및 코너부와 코너부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 복수개의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현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폰 장치.
KR1020070100199A 2007-10-05 2007-10-05 도어폰 장치 KR10092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199A KR100923711B1 (ko) 2007-10-05 2007-10-05 도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199A KR100923711B1 (ko) 2007-10-05 2007-10-05 도어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14A true KR20090035114A (ko) 2009-04-09
KR100923711B1 KR100923711B1 (ko) 2009-10-27

Family

ID=4076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199A KR100923711B1 (ko) 2007-10-05 2007-10-05 도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9301A (zh) * 2010-11-18 2012-05-23 Abb股份公司 房屋通信系统的门站
KR102451015B1 (ko) *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KR200497873Y1 (ko) * 2023-11-14 2024-03-19 양운규 도어용 알림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063B1 (ko) * 1997-06-10 2000-01-15 이내흔 문자전송이 가능한 무인경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33353A (ko) * 2001-10-22 2003-05-0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도어폰
KR20060056734A (ko) * 2004-11-22 2006-05-25 주식회사 코맥스 비디오 도어폰의 도어용 카메라 장치
KR20060073790A (ko) * 2004-12-24 2006-06-29 브이케이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어폰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원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9301A (zh) * 2010-11-18 2012-05-23 Abb股份公司 房屋通信系统的门站
CN102469301B (zh) * 2010-11-18 2015-11-25 Abb股份公司 房屋通信系统的门站
KR102451015B1 (ko) *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KR200497873Y1 (ko) * 2023-11-14 2024-03-19 양운규 도어용 알림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711B1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687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80122839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폰 시스템
KR100923711B1 (ko) 도어폰 장치
KR101897202B1 (ko) 청각장애인용 영화 관람 시스템
JP2008113396A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玄関子機
KR20010069685A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2000259970A (ja)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2006277059A (ja) 設備管理システム
KR101380611B1 (ko) 월패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티브이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JP5812752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816047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7369279A (zh) 门铃触发器及门铃触发方法
JP4943966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00020109A (ko) 양방향 화상통화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JP2015070470A (ja) 玄関端末及び玄関端末に接続される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260828A (ja) 操作表示装置
JP686882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ロビーインターホン、親機、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61962A (ko) 홈 오토메이션용 비디오폰의 외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386345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02747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Arvola SOMETHING OLD, SOMETHING NEW, SOMETHING BORROWED, SOMETHING BLUE–VIDEO CONFERENCES AS DISTANT SERVICE
JP2024072184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261208B (en) Entrance intercom system
JP2012074971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4072183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音声認識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