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966A -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966A
KR20090033966A KR1020070099064A KR20070099064A KR20090033966A KR 20090033966 A KR20090033966 A KR 20090033966A KR 1020070099064 A KR1020070099064 A KR 1020070099064A KR 20070099064 A KR20070099064 A KR 20070099064A KR 20090033966 A KR20090033966 A KR 2009003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application
broadcas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주)넥솔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솔텔레콤 filed Critical (주)넥솔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9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966A/ko
Publication of KR2009003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방송의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 데이터 처리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분리하여 독립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방송국의 콘텐츠 대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에서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방송국은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CP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서버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방송국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효율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Digital broadcast applic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방송의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고, 더 상세히는 디지털 데이터방송의 데이터 처리시 데 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분리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 증대하고 방송의 콘텐츠 대역을 확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분류는 상향 채널의 유·무 및 프로그램 연동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매체의 특성이나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향채널의 유무에 따른 분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향채널은 수신기로부터 방송국으로 연결되는 채널로서 이용자의 정보를 네트워크 운용자에게 전달하여, 네트워크 운용자가 이용자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방송 커뮤니케이션에 이용자의 능동성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대화형 TV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 된다.
상향채널이 없는 서비스는 종래 방송서비스와 같이 방송네트워크와 수신기간의 상호작용 없이 방송운용자가 수신자에게 정보를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데이터 주기전송 방식이나 셋톱박스의 하드웨어에 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경우 수신기와 이용자간의 상호작용만으로도 부분적으로 대화형 서비스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간단한 정보나 일기예보, 뉴스정보 등의 일방향 메시지 전송서비스들은 상향채널이 없이도 제공될 수 있다.
상향채널을 사용한 서비스는 수신기로부터 방송네트워크로의 상향채널이 구축되면, 이용자가 방송네트워크 운용자에게 서비스를 요청하여 검색,저장,조작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향채널 여부에 따라 데이터방송을 분류하면, 해당 서비스가 기술적인 측면에서 일방향 서비스인지 대화형 서비스인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일방향 서비스는 수동적인 시청자를 위한 서비스의 성격이 강하지만, 대화형 서비스는 이용자의 참여를 위한 서비스의 특성을 가진다.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rousel)은 동일한 데이터를 일정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데이터 회전주기만큼 기다린 후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술적으로는 일방향 서비스이지만, 이용자들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데이터방송의 서비스 유형을 살피면, 먼저 방송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인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으로는 방송 프로그램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서비스인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방송을 들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날씨, 뉴스 정보 제동 등이 있다.
또 다른 유형으로는 상향 채널을 사용하여 교육, 쇼핑, 이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TV 방송과 비동조성 서비스인 대화형 서비스가 있다.
대화형 서비스는 디지털시대의 데이터방송의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써, 상향채널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정보검색, 저장, 처리 및 의사 표시등을 가능하게 한다.
상향채널 형태로 구성된 종래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종래 데이터방송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1), 데이터전송 서버(2), 어플리케이션 서버(3), 디지털 방송 서버(4) 및 먹스(5)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방송국(10), 셋톱박스(11)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서버(1)는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먹스(5)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서버(1)는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을 규정하며, A/V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디지털방송 서버(4)를 제어하여 본 프로그램과 시간동기를 맞추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한 상향채널을 통한 시청자의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서버와 연결되어 인터넷서비스 및 각종 통신서비스 공급자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먹스(5)의 주요 기능은 디지털방송 서버(4)로부터 들어오는 A/V신호와 데이터 서버(1)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셋톱박스(11)로 전송한다. 이때 가입자 이외의 이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신제한을 실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전송 서버(2)는 CP서버(20)로부터 데이터 서버(1)로 전달된 데이터를 넘겨받아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함으로써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포맷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는 데이터전송 서버(2)에 의하여 형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며 디지털방송 서버(4)에 의하여 발생되는 A/V정보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먹스(5)에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방송 수신기에서 JVM(java virtual machine)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어플리케이션은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튜닝된 후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로드 된다.
예를 들어 쇼핑 정보를 이용자가 원하는 경우 방송국(10)의 데이터 서버(1)는 CP서버(20)인 쇼필몰 운영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과 결합된 다음 데이터전송 서버(2)에 의하여 방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이용자 단말기(8)에게 전송된다. 결국 이용자는 쇼핑몰로 부터 수집한 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하게 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방송국(10)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와 결합된 형태로 이용자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동시에 처리되는 모델은 단방향 어플리케이션 구조에 적합한 모델로서 방송국의 구성이 복잡함과 동시에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취약성을 갖고있다.
즉, 종래의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하여 전달하는 형태이므로 이용자가 실시간 데이터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다시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방향 데이터 방 송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국의 콘텐츠 대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 데이터전송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방송국, 상기 방송국과 유무선망을 통하여 연결된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CP서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CP서버들의 컨텐츠 정보와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정보만 입력 받고, 실재 콘텐츠 정보는 선택되는 CP서버로부터 직접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분리 전송되어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는 반면 이용자는 CP서버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필요할 때에 직접 전송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국의 컨텐츠 대역을 늘릴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방송국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국의 전송 송출에 대한 컨텐츠 대역을 크게 확대할 수 있고, 이용자의 정보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케이블망 또는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방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국(110),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이 지원되는 셋톱박스(111),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터 서버(120), 상기 데이터 서버에 연결되는 복수의 CP서버(60,61,62)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분리되어 전송되는 방송국(110)은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송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되는 PC서버로부터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방송국의 컨텐츠 대역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쇼핑 정보 방송과 같은 경우 종래에는 데이터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받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셋톱박스(111)와 연결된 방송국의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분리된 쇼핑정보 즉 데이터만을 직접 전송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방송국(110)의 데이터 서버(120)는 통상적으로 CP서버(60,61,62)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관하고, 이용자는 필요한 때에 방송국(110)의 데이터 서버(120)에 접속하여 원하는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서버(120)는 방송국과 분리되어 셋톱박스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이나 실질적으로 방송국(110)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며, CP서버(60,61,62)는 디지털 방송국(110)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로서, 각각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들이고 예를 들어, 쇼핑몰 운영사, 스포츠 중계 운영사, 증권회사. 광고회사 등의 서버이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120)는 상기 쇼핑, 증권 스포츠, 광고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CP서버(120)로부터 수집하여 보관하고, 셋톱박스(111)와 정보교환을 수행하여 이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CP서버와 셋톱박스는 유무선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방송국(110)에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으로 데이터전송 서버(102)는 도1과 마찬가지로 이용자에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에 대해 주기전송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03) 및 먹스(105)를 거쳐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이용자 단말기(108)는 셋톱박스(111)를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달받아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방송국의 데이터전송 서버(102)로부터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변환은 데 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채 이루어진다. 셋톱박스(111)에서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해 역 변환이 수행되며 원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는 디코딩 과정을 거친다.
한편, 방송국(110)은 다양한 서비스에 필요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 서버(12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관한다.
셋톱박스(111)는 수신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의 구조로 변경한 다음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도면에 예시된 구조 및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데이터방송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방송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0 - 데이터 서버
2,102 - 데이터전송 서버
3,103 - 어플리케이션 서버
4,104 - 디지털방송 서버
5,105 - 먹스
10,110 - 방송국
11,111 - 셋톱박스
20,60,61,62 - CP서버

Claims (2)

  1. 데이터 서버, 데이터전송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방송국, 상기 방송국과 유무선망을 통하여 연결된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CP서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CP서버들의 컨텐츠 정보와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정보만 입력받고, 실재 콘텐츠 정보는 선택되는 CP서버로부터 직접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CP서버와 유무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KR1020070099064A 2007-10-02 2007-10-02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090033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64A KR20090033966A (ko) 2007-10-02 2007-10-02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64A KR20090033966A (ko) 2007-10-02 2007-10-02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66A true KR20090033966A (ko) 2009-04-07

Family

ID=407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64A KR20090033966A (ko) 2007-10-02 2007-10-02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3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587A (ko) * 2009-12-08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587A (ko) * 2009-12-08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665B1 (ko) 아이피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변환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스템
CN1322754C (zh) 识别与音频/视频节目相关联的辅助信息
CN100454919C (zh) 广播系统中用于按优先序排列的双向通信的多媒体解码器
CN1890969B (zh) 提供广播内容的系统及相关终端、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N1751503B (zh) 用于指示宽带传输中载送的传输流的分级模式的方法、系统和网络实体
US8776119B2 (en) Displaying an information ticker in association with a personalized video mosaic in a television services network
KR100834630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위한 전자서비스 가이드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4587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elected packetized programming streams
US20080066097A1 (en) Method Of Realizing Interactive Advertisement Under Digital Braodcasting Environment By Extending Program Associated Data-Broadcasting To Internet Area
GB2361154A (en) Digital broadcasting
JP2002510910A (ja) デジタル放送テレビ・ネットワーク上でのウェブ・キャスティング用の装置および方法
EP1110394A1 (en) Simulating two way connectivity for one way data streams for multiple parties
WO2007029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service us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50172310A1 (en) Processing application data in data broadcasting
JP2019516315A (ja) 無線ラジオ放送信号メタデータ
JP2013005260A (ja) 送出装置、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送出方法、受信方法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KR20080106799A (ko) Iptv 시청 행태수집과 이를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iptv 가입자 단말
KR20230002287A (ko) 향상된 멀티미디어 신호 브로드캐스팅, 수신, 데이터 전달 및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01298721A (ja) 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90033966A (ko)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JP4387482B2 (ja)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JP2005204191A (ja) デジタル放送方法およびデータ放送用通信コンテンツ判断装置
CN101686381B (zh) 基于数字电视的网络广播媒体信息播发方法
KR101497480B1 (ko) 재래시장 광고방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1815160A (zh) 电视网络广告发布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