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358A - 윤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윤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358A
KR20090033358A KR1020097000672A KR20097000672A KR20090033358A KR 20090033358 A KR20090033358 A KR 20090033358A KR 1020097000672 A KR1020097000672 A KR 1020097000672A KR 20097000672 A KR20097000672 A KR 20097000672A KR 20090033358 A KR20090033358 A KR 20090033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bis
hindered amine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140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엘리에저 카산
패트리시아 로베르타 윌슨
마르크 리베아우드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133/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3/00Liquid compositions essentially based on lubricating components other than mineral lubricating oils or fatty oils and their use as lubricants; Use as lubricants of single liquid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36Seal compatibility, e.g. with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의 특정 NH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은 윤활제 조성물에서 안정화제로서 적합하다:
Figure 112009002063600-PCT00011
식 중에서,
식 중에서, R은 7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이고 또 n은 6 내지 18의 수임. 이러한 입체장애된 아민은 플루오로탄성중합체 O-고리 또는 봉인에 대하여 비-침습적이다.
입체장애 아민, 윤활제, 안정화제, 플루오로탄성중합체

Description

윤활제 조성물{Lubric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의 부가를 통하여 산화적 분해로부터 안정화된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윤활제 조성물은 봉인 팽윤(seal swell)에 관하여 탁월한 결과를 나타낸다.
미국특허번호 5,073,278호 및 5,273,669호는 특정 방향족 아민 및 적어도 1개의 입체장애 아민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의 안정화를 개시한다.
미국특허번호 5,268,113호는 입체장애 아민 및 페놀의 부가에 의해 안정화된 윤활제를 기재한다.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네랄 오일 또는 합성 오일을 기본으로 하는 윤활제에 안정화제를 부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산화방지제는 특히 중요하다. 윤활제의 산화적 분해는 모터 오일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엔진의 연소실에서 흔한 고온 및 산소 이외에 산화 촉매로 작용하는 질소 산화물의 존재로 인한 것이다.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은 윤활제용 안정화제로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은 일반적으로 봉인 팽윤과 같은 유해 효과로 인하여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 유형의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을 사용하여 윤활제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생성한 윤활제 조성물은 봉인에 대하여 비공격성이다.
본 발명은 미네랄 기유 또는 합성 기유 또는 미네랄 기유 및 합성 기유의 혼합물; 및 적어도 1개의 하기 화학식(I) 또는 (II)의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1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2
식 중에서, R은 7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이고 또 n은 6 내지 18의 수임.
알킬 기 R은 직쇄 또는 분기쇄이며 또 예컨대 7, 8, 9, 10, 11, 12, 13, 14, 15, 16 또는 17개 탄소로 구성된다.
숫자 n은 예컨대 6, 8, 10, 12, 14, 16 또는 18 이다.
입체 장애 아민은 공지되고 또 공지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은 지방족 카르복시산의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르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입체장애 아민이 존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3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는 기능액, 즉 윤활제, 작동액(hydraulic fluids) 또는 금속가공액이다.
윤활제는 특히 윤활제 제조에 보통 사용되는 것과 같은 미네랄 오일 계(API 분류 그룹 I, II, III, 가스 내지 액체(GTL) 오일을 비롯한 그룹 IV) 또는 합성 기유(base oil)이다. 합성 오일은 예컨대 폴리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또는 폴리올의 에스테르일 수 있고; 이들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α-올레핀, 실리콘, 인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일 수 있다. 윤활제는 오일 및 증점제를 기본으로 하는 그리스(grease)일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는 예컨대 D. Klamann "Schmierstoffe und artverwandte Producte", Verlag Chemie, Weinheim, 1982에 기재되어 있다.
예로서 미네랄 오일을 기본으로 한 윤활제 및 작동액 또는 합성 윤활제 또는 작동액, 특히 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유도체로서 200℃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합성 윤활제의 예는 이염기산과 일가 알코올의 디에스테르, 예컨대 디옥틸 세바케이트 또는 디노닐 아디페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일염기산 또는 이러한 산의 혼합물과의 트리에스테르,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펠라고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카프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펜타에리트리톨과 일염기산 또는 이러한 산의 혼합물과의 테트라에스테르,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카프릴레이트, 또는 일염기산 및 이염기산과 다가 알코올의 착물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카프릴산 및 세바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착물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적합한 것은 미네랄 오일 이외에, 예컨대 폴리-α-올레핀, 에스테르를 기본으로 한 윤활제, 또는 포스페이트, 글리콜, 폴리글리콜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이들과 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은 특히 탄성중합체성 봉인에 대하여 비-침습적이다.
봉인은 특히 O-고리 및 기타 물품에 사용되는 플루오로중합체 탄성중합체이다. "플루오로탄성중합체"는 예컨대 FKM 표시로 ASTM D1418 및 ISO 1629로 분류된다. 플루오로탄성중합체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과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F2의 VDF)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삼중합체,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TFE와 프로피렌의 공중합체 및 TFE, PMVE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플루오르 함량은 예컨대 약 66 내지 약 70 중량%로 다양하다.
FKM은 중합체 사슬 상에서 치환된 플루오로 및 퍼플루오로알킬 또는 퍼플루오로알콕시 기를 갖는 폴리메틸렌 유형의 플루오로 고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객체는,
플루오로탄성중합체와 접촉하고 또 미네랄 기유 또는 합성 기유 또는 미네랄 기유 및 합성 기유의 혼합물 및 상기 화학식(I) 또는 (II)(식 중에서, R은 7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이고 또 n은 6 내지 18의 수임)의 적어도 1개의 입체 장애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윤활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장애 아민은 윤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 중량%, 예컨대 약 0.05 내지 약 3 중량%, 예컨대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윤활제와 혼합된다.
윤활제는 또한 윤활제의 기본적 특성을 더욱 개량하기 위하여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산화방지제, 금속탈활성화제, 녹 방지제, 점도 지수 향상제, 유동점 강하제, 분산제, 세제, 고압 첨가제, 항마찰 첨가제 및 항마모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들 부가적 첨가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된 모노페놀, 예컨대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tert-부틸 -4,6-디메틸페놀, 2,6-디-tert-부틸-4-에틸페놀, 2,6-디-tert-부틸-4-n-부틸페놀, 2,6-디-ter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er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 -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그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컨대 2,4-디옥틸티오메틸-6-ter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된 히드로퀴논, 예컨대 2,6-디-ter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ert-부틸히드로퀴논, 2,5-디-ter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ert-부틸히드로퀴논, 2,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디페이트.
1.4. 히드록시화된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컨대 2,2'-티오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sec-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 디설피드.
1.5. 알킬리덴비스페놀, 예컨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 (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er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 [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 -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ert-부틸-2-메틸페놀),1,1-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ert-부틸-4-히드록시 -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er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er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 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ter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6.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컨대 3,5,3',5'-테트라-tert-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설피드, 이소옥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7. 히드록시벤질화된 말로네이트, 예컨대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ert-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8.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컨대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9. 트리아진 화합물, 예컨대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0. 벤질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디메틸-2,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ert-부틸-4-히드록시 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염.
1.11. 아실아미노페놀, 예컨대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2.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타데카놀,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카놀, 3-티아펜타데카놀,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3. β-(5-ter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타데카놀,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카놀, 3-티아펜타데카놀,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4 13-(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타데카놀,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카놀, 3-티아펜타데카놀,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5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타데카놀,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카놀, 3-티아펜타데카놀,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의 에스테르.
1.16. 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컨대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아민 산화방지제: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N, 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설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된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tert-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데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ter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tert-옥틸화된 N-페닐-1-나프틸아민, 일- 및 이알킬화된 tert-부틸/tert-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일- 및 이알킬화된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일- 및 이알킬화된 tert-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및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다른 산화방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포스파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또는 티오디아세트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티오카르밤산 또는 디티오인산의 염, 2,2,12,12-테트라메틸-5,9-디히드록시-3,7,11-트리티아트리데칸 및 2,2,15,15-테트라메틸-5,12-디히드록시-3,7,10,14-테트라티아헥사데칸.
금속 탈활성화제의 예는 예컨대 구리의 탈활성화제는 다음과 같다:
a) 벤조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4- 또는 5-알킬벤조트리아졸 (예컨대 톨루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 4,5,6,7-테트라히드로벤조트리아졸 및 5,5'-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또는 톨루트리아졸의 만니히 염기, 예컨대 1-[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톨루트리아졸 및 1-[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알콕시알킬벤조트리아졸 예컨대 1-(노닐옥시메틸)벤조트리아졸, 1-(1-부톡시에틸)벤조트리아졸 및 1-(1-시클로헥실옥시부틸)톨루트리아졸.
b) 1,2,4-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3-알킬(또는 아릴)-1,2,4-트리아졸, 및 1,2,4-트리아졸의 만니히 염기, 예컨대 1-[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 -1,2,4-트리아졸; 알콕시알킬-1,2,4-트리아졸 예컨대 1-(1-부톡시에틸)-1,2,4-트리아졸; 및 아실화된 3-아미노-1,2,4-트리아졸.
c) 이미다졸 유도체, 예컨대 4,4'-메틸렌비스(2-운데실-5-메틸이미다졸) 및 비스[(N-메틸)이미다졸-2-일]카르비놀 옥틸 에테르.
d) 황-함유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예컨대 2-머캅토벤조티아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및 그의 유도체; 및 3,5-비스[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1,3,4-티아디아졸린-2-온.
e) 아미노 화합물, 예컨대 살리실리덴프로필렌디아민, 살리실아미노구아니딘 및 그의 염.
녹 방지제 및 마찰 조절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유기산, 이들의 에스테르, 금속염, 아민 염 및 무수물, 예컨대 알킬- 및 알케닐 숙신산 및 이들의 알코올, 디올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부분적 에스테르, 알킬- 및 알케닐숙신산, 4-노닐페녹시아세트산, 알콕시- 및 알콕시에톡시카르복시산 예컨대 도데실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에톡시)아세트산의 부분적 아미드 및 그의 아민염, 및 또한 N-올레오일사르코신,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알케닐숙신산 무수물, 예컨대 도데세닐숙신산 무수물, 2-카르복시메틸-1-도데실-3-메틸글리세롤 및 그의 아민염.
b) 질소-함유 화합물, 예컨대:
I. 일급, 이급 또는 삼급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아민 및 유기 및 무기 산의 아민 염, 예컨대 지용성 알킬암모늄 카르복실레이트, 및 또한 1-[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3-(4-노닐페녹시)프로판-2-올.
II.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예컨대: 치환된 이미다졸린 및 옥사졸린, 및 2-헵타데세닐-1-(2-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
c) 인-함유 화합물, 예컨대: 인산 부분적 에스테르 또는 포스폰산 부분적 에스테르의 아민염, 및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d] 몰리브덴-함유 화합물, 예컨대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기타 황 및 인 함유 유도체.
e) 황-함유 화합물, 예컨대: 바륨 디노닐나프탈렌설포네이트, 칼슘 석유 설포네이트, 알킬티오-치환된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방족 2-설포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및 그의 염.
f) 글리세롤 유도체, 예컨대 :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1-(알킬페녹시)-3-(2-히드록시에틸)글리세롤, 1-(알킬페녹시)-3-(2,3-디히드록시프로필)글리세롤 및 2-카르복시알킬-1,3-디알킬글리세롤.
점도 지수 향상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부텐, 올레핀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및 폴리에테르.
유동점 강하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화된 나프탈렌 유도체.
분산제/계면활성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부테닐숙신 아미드 또는 -이미드, 폴리부테닐포스폰산 유도체 및 염기성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 설포네이트 및 페놀레이트.
항마모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황- 및/또는 인- 및/또는 할로겐-함유 화합물, 예컨대 황화된 올레핀 및 식물성 오일,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알킬화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염소화된 파라핀, 알킬 및 아릴 디- 및 트리설파이드, 일- 및 이알킬 포스페이트의 아민 염, 메틸포스폰산의 아민 염, 디에탄올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의 유도체, 에틸 3-[(디이소프로폭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페닐 티오-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트리스(알킬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그의 혼합물 (예컨대 트리스(이소노닐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디페닐 모노노닐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이소부틸페닐 디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3-히드록시-1,3-티아포스페탄 3-옥사이드의 도데실아민 염, 트리티오인산 5,5,5-트리스[이소옥틸 2-아세테이트], 2-머캅토벤조티아졸의 유도체 예컨대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2-머캅토-1H-1,3-벤조티아졸, 및 에톡시카르보닐-5-옥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부 및 %는 특별히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기타 유사한 입체장애 아민 첨가제에 대한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의 우수성을 이하의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0.08% P를 함유하는 5W-30 엔진 오일에 충분히 입체장애된 아민 첨가제를 보충하여, 2개 유닛에 의한 ASTM D 4739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전체 염기가(base number)를 높였다. 아민 첨가제 A는 1.0 중량% 수준으로 처리하도록 부가하였고 또 아민 첨가제 B는 1.2% 수준으로 처리하도록 부가하였다. 오일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하게 하였다. 이 제형을 탄성중합체 상용성(compatibility) 과정 CEC-L-39-T-96에 따라 시험하였다. 상기 제형을 FKM 플루오르화된 고무를 사용하여 CEC-L-39-T-96 시험한 결과는 아래에 나타낸다. 양쪽 아민은 고무 탄성중합체에 영향을 주었다.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4
인장 강도 및 파단연신율에 대한 아민 A의 효과의 크기는 ACEDA의 그것과 같은 상세한 사항에 관하여 사용하기에 전적으로 부적합하게 만들었다. 아민 B는 플루오르화된 고무에 대하여 효과를 가지며, 이는 엔진 오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나타낸다.
아민 A는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5
이고;
아민 B는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6
이다.

Claims (10)

  1. 미네랄 기유 또는 합성 기유 또는 미네랄 기유 및 합성 기유의 혼합물; 및 적어도 1개의 하기 화학식(I) 또는 (II)의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윤활제 조성물: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7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8
    식 중에서, R은 7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이고 또 n은 6 내지 18의 수임.
  2. 제 1항에 있어서, R은 11 또는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 기이고 또 n은 6 또는 8의 수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화학식(I)의 아민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화학식(II)의 아민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하기 화학식인 조성물:
    Figure 112009002063600-PCT00009
  6.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하기 화학식인 조성물:
    Figure 112009002063600-PCT00010
  7.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윤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윤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입체장애 아민은 윤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0. 플루오로탄성중합체와 접촉하고 또 미네랄 기유 또는 합성 기유 또는 미네랄 기유 및 합성 기유의 혼합물 및 상기 화학식(I) 또는 (II)(식 중에서, R은 7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이고 또 n은 6 내지 18의 수임)의 적어도 1개의 입체 장애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윤활제 조성물.
KR1020097000672A 2006-07-31 2007-07-23 윤활제 조성물 KR10143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438306P 2006-07-31 2006-07-31
US60/834,383 2006-07-31
PCT/EP2007/057552 WO2008015116A2 (en) 2006-07-31 2007-07-23 Lubricant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358A true KR20090033358A (ko) 2009-04-02
KR101433140B1 KR101433140B1 (ko) 2014-08-22

Family

ID=3889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672A KR101433140B1 (ko) 2006-07-31 2007-07-23 윤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2049630B1 (ko)
JP (2) JP5546858B2 (ko)
KR (1) KR101433140B1 (ko)
CN (1) CN101495605B (ko)
AU (1) AU2007280548B2 (ko)
BR (1) BRPI0714961B1 (ko)
CA (1) CA2657382C (ko)
IL (1) IL196250A (ko)
MX (1) MX2009001124A (ko)
PL (1) PL2049630T3 (ko)
RU (1) RU2462505C2 (ko)
WO (1) WO20080151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049630T3 (pl) * 2006-07-31 2015-10-30 Basf Se Kompozycja smarowa
US8236205B1 (en) 2011-03-11 2012-08-07 Wincom, Inc. Corrosion inhibitor compositions comprising tetrahydrobenzotriazoles and other triazol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8236204B1 (en) 2011-03-11 2012-08-07 Wincom, Inc. Corrosion inhibitor compositions comprising tetrahydrobenzotriazoles solubilized in activating solven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969950B2 (en) * 2012-07-17 2018-05-15 Infineum International Limite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sterically hindered amines as ashless TBN sourcces
US9688938B2 (en) * 2012-08-14 2017-06-27 Basf Se Lubrican composition comprising acyclic hindered amines
US20150045262A1 (en) * 2012-10-12 2015-02-12 Basf Se Lubricant Compositions Comprising Trimethoxyboroxines and Amine Compounds To Improve Fluoropolymer Seal Compatibility
BR112015011005A2 (pt) * 2012-11-16 2017-08-15 Basf Se Composição lubrificante, e, métodos para lubrificar um sistema compreendendo uma vedação de fluoropolímero e para uso de um composto de epóxido
FR3000103B1 (fr) * 2012-12-21 2015-04-03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 lubrifiante a base d'ether de polyglycerol
US10106759B2 (en) * 2013-04-22 2018-10-23 Basf Se Seal compatibility additive to improve fluoropolymer seal compatibility of lubricant compositions
US10066186B2 (en) 2013-04-22 2018-09-04 Basf Se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a halide seal compatibility additive and a second seal compatibility additive
RU2528833C1 (ru) * 2013-05-15 2014-09-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ефтяная компания "Роснефть" Редукторное масло
CN105229128B (zh) 2013-05-20 2018-07-06 出光兴产株式会社 润滑油组合物
EP2816097A1 (en) * 2013-06-18 2014-12-2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9309205B2 (en) 2013-10-28 2016-04-12 Wincom, Inc. Filtration process for purifying liquid azole heteroaromatic compound-containing mixtures
US9963657B2 (en) 2013-11-04 2018-05-08 Basf Se Lubricant composition
US9562208B2 (en) * 2014-07-02 2017-02-07 Basf Se Sulfonate esters to improve fluoropolymer seal compatibility of lubricant compositions
EP3189125B1 (en) * 2014-09-04 2021-03-03 Vanderbilt Chemicals, LLC Lubric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liquid ashless antioxidant additive
JP6863557B2 (ja) * 2016-12-05 2021-04-21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496A (ja) * 1983-07-25 1985-02-13 Adeka Argus Chem Co Ltd 潤滑油組成物
US5273669A (en) * 1988-07-18 1993-12-28 Ciba-Geigy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5073278A (en) * 1988-07-18 1991-12-17 Ciba-Geigy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5268113A (en) * 1989-07-07 1993-12-07 Ciba-Geigy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EP0406826B1 (de) * 1989-07-07 1993-08-11 Ciba-Geigy Ag Schmierstoffzusammensetzung
US7592495B2 (en) * 2000-07-11 2009-09-22 King Industries Compositions of Group II and/or Group III base oils and alkylated fused and/or polyfused aromatic compounds
JP2004051758A (ja) * 2002-07-19 2004-02-19 Asahi Denka Kogyo Kk 硫黄含量の高い鉱油を基油とする潤滑油組成物
CN1333054C (zh) * 2004-06-29 2007-08-2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润滑油复合稳定剂及稳定的加氢润滑油组合物
PL2049630T3 (pl) * 2006-07-31 2015-10-30 Basf Se Kompozycja smarow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45640A (ja) 2009-12-24
CA2657382C (en) 2014-09-09
WO2008015116A3 (en) 2008-03-20
AU2007280548B2 (en) 2012-04-05
IL196250A (en) 2013-10-31
CA2657382A1 (en) 2008-02-07
PL2049630T3 (pl) 2015-10-30
CN101495605B (zh) 2014-03-05
RU2462505C2 (ru) 2012-09-27
KR101433140B1 (ko) 2014-08-22
JP2014139313A (ja) 2014-07-31
BRPI0714961A2 (pt) 2013-07-30
WO2008015116A2 (en) 2008-02-07
EP2049630A2 (en) 2009-04-22
AU2007280548A1 (en) 2008-02-07
JP5546858B2 (ja) 2014-07-09
BRPI0714961B1 (pt) 2016-11-22
IL196250A0 (en) 2009-09-22
CN101495605A (zh) 2009-07-29
EP2049630B1 (en) 2015-04-29
RU2009106723A (ru) 2010-09-10
MX2009001124A (es)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9630B1 (en) Lubricant composition
US7932218B2 (en) Lubricant composition
US10093879B2 (en) Lubricant composition comprising hindered cyclic amines
SK283148B6 (sk) Zmes obsahujúca beta-ditiofosforylované propiónové kyseliny a spôsob zlepšenia odolnosti mazív, hydraulických kvapalín alebo kvapalín na obrábanie kovov
KR20130028033A (ko) 윤활 조성물
KR102124103B1 (ko) 개선된 마모방지 특성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
KR20050046781A (ko) 부식 방지제로서 유용한 숙신산 반-아미드
KR100274362B1 (ko) 윤활 첨가제로서 유용한 비스디티오인산 유도체
JP6856629B2 (ja) 潤滑剤組成物
JP6856628B2 (ja) 潤滑剤組成物
US1070400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255259B1 (en) Phosphorus-free multifunctional additives for lubricants
SA07280400B1 (ar) تركيبة مزل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