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540A - 다용도 찜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540A
KR20090031540A KR1020090019107A KR20090019107A KR20090031540A KR 20090031540 A KR20090031540 A KR 20090031540A KR 1020090019107 A KR1020090019107 A KR 1020090019107A KR 20090019107 A KR20090019107 A KR 20090019107A KR 20090031540 A KR20090031540 A KR 2009003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er
main body
flange
steam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135B1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102009001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1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을 수증기로 익히는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찜기 본체의 내부에 판상의 찜판은 물론,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용기형 내부찜기를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찜기를 찜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찐 음식물이나 세척된 음식물의 표면에 있는 물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려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물기 제거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찜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찜기에 있어서, 상향 개방형이면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H)이 관통 형성된 바닥찜판(22A) 및 상기 바닥찜판(22A)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부측벽(22B)(22C)이 형성된 내부찜기(22); 및 상기 본체(21)의 개방 상단부를 개폐하며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판부재(23A) 및 상기 상판부재(23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재(23B)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23B)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21) 또는 내부찜기(22)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밀착부(23B1)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23B1)에 의해 본체(21)의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유출을 방지하여 찜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찜기{Multi-purpose steamer}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을 수증기로 익히는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찜기 본체의 내부에 판상의 찜판은 물론,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용기형 내부찜기를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찜기를 찜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찐 음식물이나 세척된 음식물의 표면에 있는 물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려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물기 제거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이다.
생선회나 육회 등과 같이 날 것으로 먹는 소수의 특정 음식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음식물은 불을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불을 이용한 조리법은 볶기, 튀기기, 굽기, 삶기, 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수증기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법인 '찜'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찜'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익었으나 차거워진 음식물을 데울 때 사용하는 조리법으로서, 빵, 옥수수, 고구마, 호박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익히거나 데우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찜'에는 다른 조리법들과 다른 구조의 조리도구가 사용되는바, 이를 '찜기(또는 '찜통')'라 한다.
상기와 같이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데우는데 사용되는 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방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면에 단턱(J)을 가진 용기형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면의 단턱(J)에 안착되며 다수의 통공(H)이 관통 형성된 찜판(12)과,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h)가 구비되며, 본체(11)의 개방 상단부를 덮는 뚜껑(1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찜기를 이용한 찜은, 본체(11) 하부에 물(W)을 채우고 본체(11) 내면의 단턱(J)에 찜판(12)을 안착시킨 후 찜판(12)에 음식물(F)을 올려놓고 뚜껑(13)을 덮은 상태에서 찜기를 가열함으로써, 본체(11) 하부의 물(W)이 끓으면서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수증기가 찜판(12)의 통공(H)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음식물(F)을 익히거나 데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찜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찜판은 판의 형상으로서, 음식물이 익은 후 음식물을 하나씩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찜판이 판의 형상으로서 음식물이 놓여져 있는 찜판을 음식물과 함께 그대로 들어올리는 경우 음식물이 찜판을 벗어나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찜판을 꺼내기 전에 우선 음식물만을 먼저 꺼내 다른 그릇에 담은 후 찜판을 꺼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찜기는, 찜판이 하나로서 찜판 위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함께 올려놓은 상태에서 찜을 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종류가 다른 음식물을 서로 분리한 상태에서 찜을 하여야만 할 수도 있는바, 찜판이 하나인 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찜을 다수 회 반복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찜판이 하나인 종래의 찜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에 복수의 찜판이 상·하로 안착되는 찜기가 개발되었는 바, 본 출원인의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15655호에 "다용도 찜통"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다용도 찜통은, 본체 내부에 복수의 찜판(또는 조리판)이 다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각 찜판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놓고 찔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찜판에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음식물이 올려놓여진 그대로 찜판을 본체 내부에서 음식물과 함께 들어올릴 수 있을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을 비롯한 종래의 찜기는 찜이 완료된 후 음식물이 올려진 찜판에 열기가 남아있으므로 일정시간 동안 본체 내부에 그대로 두어야 하기 때문에 계속하여 찜을 할 경우 신속히 찜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찜을 하는 경우 음식물에 따라서는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 표면에 많은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응축수가 본체의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찜이 끝난 후에도 음식물을 일정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음식물이 놓여진 상태의 찜판을 본체 내부에서 꺼낸 후 다른 그릇이나 받침대 등에 찜판을 올려놓는 방법에 의해 음식물의 응축수가 바닥에 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찜판에 올려진 음식물에서 응축수가 바닥으로 잘 떨어지도록 다른 그릇이나 받침대 등을 준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찜판에 놓여진 음식물의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바닥에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찜판을 다른 대상물 위에 올려놓는 것은, 판상의 찜판을 바닥에 놓을 경우 찜판의 저면에 바닥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음식물의 응축수가 찜판의 통공을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찜판의 상면에 고이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찜판의 핸들링 시 찜판의 외주면에 손을 다치지 않도록 테두리부가 원형으로 말림으로써, 그 두께가 찜판 중앙부보다 두꺼워진 경우 테두리부에 의해 찜판의 저면과 바닥이 닿지 않는다 하여도, 찜판 저면과 바닥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음식물의 응축수가 찜판의 통공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찜판의 저면이 바닥에 닿는 경우보다 응축수의 배출이 다소 나아지기는 하나, 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수는 없다.
한편, 일반적인 찜기는 본체의 상단에 뚜껑의 외주연이 안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찜 조리 과정 중 열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본체와 뚜껑 사이 공간으로 쉽게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찜 조리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수단을 사용하지않고 그대로 바닥에 놓아도 찜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가 찜판의 통공을 통하여 바닥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렇기 때문에 채소나 야채 등의 세척 후 물기 제거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다용도 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의 외주연에 본체 또는 내부찜기의 상단 플랜지를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찜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찜 조리효율성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다용도 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찜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찜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찜기에 있어서, 상향 개방형이면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바닥찜판 및 상기 바닥찜판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부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플랜지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찜기 및 상기 본체의 개방 상단부를 개폐하며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 또는 내부찜기의 상단 플랜지를 밀착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에 의해 본체의 내부 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유출을 감소시켜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함에 따라 찜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부 측벽 내측에는 크기를 달리하는 내부찜기가 받침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찜기의 플랜지가 받침되는 하나 이상의 단턱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용도 찜기는 본체 내에 찜판은 물론, 별도의 찜판이 장착 가능한 용기형 내부찜기가 결합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분리한 상태로 한번에 찜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찜기의 저면에 구비된 하부측벽에 의해 내부찜기의 바닥찜판 저면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찜기 본체에서 내부찜기를 꺼내어 받침대 등이 없이 그대로 바닥에 놓는 경우에도 내부찜기의 찜판 통공을 통하여 응축수나 수분이 바닥으로 쉽게 떨어져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부찜기의 바닥찜판 저면측에 구비된 하부측벽에 의해 바닥과 충분이 떨어진 바닥찜판에 놓여진 음식물 표면의 물이, 바닥찜판의 통공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배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찜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음식물 세척 후의 물기 제거용 용기로 내부찜기만을 단독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뚜껑의 외주연에 본체 또는 내부찜기의 상단 플랜지를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찜 조리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찜 조리효율성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찜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측에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찜판(22A)이 형성된 내부찜기(22), 및 상기 본체(21)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는 상향 개방형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 일정높이에는 찜판(24)을 받침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단턱(J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단턱(J1)에 상기 찜판(24)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그 하방에는 물(W)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2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가 더 형성된다.
상기 내부찜기(22)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 바닥찜판(22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찜판(22A)을 기준으로 상,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측벽(22B)(22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벽(22B)의 일정높이에는 찜판(24)을 받침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내부단턱(J')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측벽(22C)은 바닥찜판(22A)에 형성된 통공(H')을 통해 물의 배수 또는 상승하는 수증기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단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찜기(2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가 더 형성되어, 상기 내부찜기(22)를 본체(21)의 내측으로 삽입할 때 상기 내부찜기(22)의 플랜지(F')가 상기 본체(21)의 플랜지(F)에 안착됨에 따라 결국 본체(21)의 하단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내부찜기(22)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23)은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h)가 결합된 상태의 상판부재(23A), 및 상기 상판부재(23A)를 본체(21) 또는 내부찜기(22)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토록 적층시키는 테두리부재(23B)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판부재(23A)는 내열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찜을 하는 경우 투명한 상판부재(23A)를 통하여 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23B)는 상판부재(23A)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테두리부재(23B)는 금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재(23B)의 저면에는 본체(21) 또는 내부찜기(22)의 상단 플랜지(F)(F')을 밀착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23B1)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23B1)에 의해 수증기의 유출을 감소시켜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함에 따라 찜 조리시간의 단축 및 찜 조리되는 음식물의 영양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밀착부(23B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22B)의 끝단 저면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본체(21) 및 내부찜기(22)의 플랜지(F)(F')의 외, 내측 끝단을 감싸도록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에, 본체(21) 내의 수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23)에 수증기 배출용 통공(도면 미도시)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찜판(24)은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H)을 통해 물의 배수 또는 수증기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음식물의 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찜판(24)은 본체(21)의 하부단턱(J1) 또는 내부찜기(22)의 내부단턱(J')에 받침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찜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21)의 수용공간으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한 후 상기 본체(21)의 내측에 마련된 하부단턱(J1)에 찜판(24)을 올려놓데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하부단턱(J1)에 받침된 찜판(24)에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부찜기(22)의 바닥찜판(22A)에는 찜 조리를 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려놓는다.
이 경우, 찜 조리 음식물을 더 올려놓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찜 조리를 동시에 진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내부찜기(22)의 상부측벽(22B)에 형성된 내부단턱(J')에 찜판(24)을 올려놓은 후 재차 음식물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내부찜기(22)의 내부에 음식물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찜기(22)를 상기 본체(21)의 수용공간에 안착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21)의 상단 플랜지(F)에 상기 내부찜기(22)의 플랜지(F')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내부찜기(22)가 본체(2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받침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21)에 내부찜기(22)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단에 뚜껑(23)을 덮는다.
이 경우, 상기 뚜껑(23)의 테두리부재(23B)의 저면에는 밀착부(23B1)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23B1)에 의해 본체(21) 및 내부찜기(22)의 플랜지(F)(F') 내, 외측을 감싸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21)와, 내부찜기(22), 및 뚜껑(23)의 조립이 완료되면 열원에 의해 상기 본체(21)를 가열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본체(21)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과 함께 수증기를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한 수증기는 본체(21)의 하부단턱(J1)에 안착된 찜판(24)의 통공(H)을 통해 내부찜기(22)의 바닥찜판(22A)의 통공(H')을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내부찜기(22)의 바닥찜판(22A)에 올려진 음식물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찜기(22)의 상부측벽(22B) 내부단턱(J')에 음식물이 안착된 찜판(24)이 더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도 상기 찜판(24)에 형성된 통공(H)을 통해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음식물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21)의 수용공간에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본체(21) 및 내부찜기(22)의 상단에 마련된 뚜껑(23)의 밀착부(23B1)에 의해 수증기의 유출을 감소시켜 고온의 내부압력이 유지됨에 따라 음식물의 찜 조리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영양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부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본체(21)의 상단부 인접된 측벽의 내측에는 내부찜기(22)의 플랜지(F')가 받침 지지되도록 하는 제1단턱(J2)을 더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의 상단 플랜지(F) 또는 제1단턱(J2)에 의해 직경을 달리하는 내부찜기(22)를 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부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 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 실시 예에 따른 본체(21)의 플랜지(F)와 제1단턱(J2) 사이에 제2단턱(J3)을 더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의 상단 플랜지(F) 또는 제1단턱(J2) 및 제2단턱(J3)에 의해 직경을 달리하는 내부찜기(22)를 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 및 제3실시 예에서는 본체(21)의 내측에 크기를 달리하는 내부찜기(22)를 안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제4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찜기를 구성하는 내부찜기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에 따른 내부찜기(22)는 하단에 바닥찜판(22A)을 구성하지 않고, 내부단턱(J')이 형성된 상부측벽(22B) 및 하부측벽(22C)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된 바닥찜판용 단턱(J")을 더 형성하여, 상기 바닥찜판용 단턱(J")에 받침 지지되는 찜판(24)을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내부찜기(22)의 바닥찜판용 단턱(J")에는 찜판(24)을 대신하여 망을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찜 조리용 외에 과일 또는 야채 등의 음식물 세척 후 음식물에 잔류하는 물기가 자연탈수되도록 하는 물기제거용 용기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제5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찜판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내지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 예에 따른 찜판(24)의 중앙부에는 중앙통공(Hc)을 더 형성하되, 상기 중앙통공(Hc)은 손가락이 드나들 수 있는 크기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찜판(24)을 본체(21) 또는 내부찜기에 형성된 단턱에 상기 찜판(24)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찜판(24)의 중앙통공(Hc)의 내주연에는 손가락이 드나들 때 베일 수 있으므로, 연마가공에 의한 부드러운 곡면처리 또는 중앙통공(Hc)의 테두리부를 원형으로 말아 내주면을 곡면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찜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찜기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찜기를 구성하는 내부찜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찜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본체 22: 내부찜기
22A: 바닥찜판 22B: 상부측벽
22C: 하부측벽 23: 뚜껑
23A: 상판부재 23B: 테두리부재
23B1: 밀착부 H, H': 통공
h: 손잡이 Hc, Hc': 중앙통공
J1: 하부단턱 J2: 내부찜기용 단턱
J3: 상부단턱 J': 제1단턱
J": 제2단턱 24: 찜판

Claims (2)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찜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찜기에 있어서,
    상향 개방형이면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가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H)이 관통 형성된 바닥찜판(22A) 및 상기 바닥찜판(22A)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부측벽(22B)(22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벽(22B)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1)의 플랜지(F)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F')가 형성된 내부찜기(22); 및
    상기 본체(21)의 개방 상단부를 개폐하며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판부재(23A) 및 상기 상판부재(23A)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재(23B)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23B)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21) 또는 내부찜기(22)의 상단 플랜지(F)(F')를 밀착 감싸도록 하는 밀착부(23B1)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23B1)에 의해 본체(21)의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유출을 감소시켜 고온의 내부압력을 유지함에 따라 찜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상단부 측벽 내측에는 크기를 달리하는 내부찜기(22)가 받침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찜기(22)의 플랜지(F')가 받침되는 하나 이상의 단턱;
    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찜기.
KR1020090019107A 2009-03-06 2009-03-06 다용도 찜기 KR10090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07A KR100902135B1 (ko) 2009-03-06 2009-03-06 다용도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07A KR100902135B1 (ko) 2009-03-06 2009-03-06 다용도 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089U Division KR20090002564U (ko) 2007-09-10 2007-09-10 다용도 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540A true KR20090031540A (ko) 2009-03-26
KR100902135B1 KR100902135B1 (ko) 2009-06-10

Family

ID=4069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07A KR100902135B1 (ko) 2009-03-06 2009-03-06 다용도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11Y1 (ko) * 2017-06-05 2018-07-04 장지환 다용도 바가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5005A (ko) 2022-06-22 2023-12-29 신동욱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324B1 (ko) 2003-10-24 2005-11-22 (주)대영리버스 다용도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11Y1 (ko) * 2017-06-05 2018-07-04 장지환 다용도 바가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135B1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333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CN101779914B (zh) 食物烹饪筐以及相应的烹饪系统
JP2013503704A (ja) 組合わせ複数容器調理用具
JP3156363U (ja) 電子レンジ調理用の麺容器
EP0326105A1 (en) Cooking apparatus for steam cooking food
KR100902135B1 (ko) 다용도 찜기
US2040004A (en) Kitchen utensil
JP4294842B2 (ja)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US9445685B1 (en) Apparatus for steaming tamales
CN215502432U (zh) 一种具有新型隔板的多功能锅
KR20090002564U (ko) 다용도 찜기
US1750596A (en) Steamer cooker
KR20120007345U (ko) 찜기 겸용 채반
JP3650768B2 (ja) 調理容器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101605253B1 (ko) 뚝배기
WO2008155115A1 (en) Cooking utensil
KR20090070170A (ko) 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KR20160059002A (ko) 즉석 찜 포장용기
CN219645515U (zh) 蒸煮锅
KR20090003029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찜용기
KR101216385B1 (ko) 홍삼 진액 제조용기
US1976219A (en) Cooking utensil
KR102655243B1 (ko) 적층식 조리기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