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745A - 시프트락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프트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745A
KR20090030745A KR1020070096258A KR20070096258A KR20090030745A KR 20090030745 A KR20090030745 A KR 20090030745A KR 1020070096258 A KR1020070096258 A KR 1020070096258A KR 20070096258 A KR20070096258 A KR 20070096258A KR 20090030745 A KR20090030745 A KR 2009003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ift
stage
c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745A/ko
Publication of KR2009003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조립체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프트레버(10)에 연동되는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동되어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접촉하여 간섭가능한 락레버(40)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은 단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레버(40)가 접촉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주차단(31)과 후진단(32)과 중립단(33)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락레버(40)와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1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자동변속기, 시프트레버, 시프트락.

Description

시프트락 조립체{SHIFT-LOCK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조립체에 사용되는 변속장치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일반적으로 P,R,N,D 로 변속단계를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의도대로 작동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되어 있는 상황에서 오조작으로 갑자기 후진을 하거나, 중립단에서 후진을 하게 되면 접촉사고나, 인명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자동변속기 조립체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하나로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직선적이지 않고 게이트를 통과할 때마다 움직임을 변경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직선적인 움직임에서는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변속이 발생할 수 있으나. 게이트 방식에 의하는 경우 변속레버는 지그재그 형태의 게이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조작시에 차량의 후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면 오조작이 되더라도 사고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브레이크에 연동되도록 하여, 브레이크를 밟고 있을 때에만 변속레버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로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락킹캠을 사용하여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의도하지 않은 변속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 방식의 변속레버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모든 종류의 차량에 사용되지 못하고, 그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직선형 변속방식의 자동변속기에서는 버튼을 사용해서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락킹캠도 확실하게 변속레버의 회전을 방지하지 못하여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변속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직선형 변속방식의 자동변속기에서도 버튼 없이 사용가능한 변속레버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락킹을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변속레버에 체결시키도록 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변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조립체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프트레버(10)에 연동되는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동되어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접촉하여 간섭가능한 락레버(40)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은 단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레버(40)가 접촉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주차단(31)과 후진단(32)과 중립단(33)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락레버(40)와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1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레버(40)가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에 형성된 단들에 접촉하는 걸림부(41)와,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결되는 연결부(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차단(31)은 상기 후진단(32)과 중립단(33)과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단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주차단(41)에 접촉되어 상기 후진단(32)의 걸림부(41)로의 접촉을 위한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주차단(31)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후진단(32) 또는 중립단(33)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진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후진단(32)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41)의 주차단(31)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지만, 상기 걸림부(41)의 중립단(33)으로의 이동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은 가능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후진단(32)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31)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립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중립단(33)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41)의 주차단(31) 또는 후진단(32)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중립단(33)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31) 또는 후진단(32)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없더라도, 상기 걸림부(41)가 중립단(3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탈되도록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블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락레버가 회동하여 락레버와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시프트레버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게이트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장착가능한 것이어서, 차량의 변속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직선형 변속방식의 자동변속기에서도 버튼 없이 사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레버케이블의 형성이 다수개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걸리는 걸림부가 'ㄱ'형으로 형성되어,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락킹을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변속레버에 체결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변속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자동차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 2는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사시도를, 도 3은 락레버가 주차단에 결합된 사시도를, 도 4는 락레버가 주차단에 결합된 확대도를, 도 5는 락레버가 후진단에 결합된 사시도를, 도 6은 락레버가 중립단에 결합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프트락 조립체는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솔레노이드(50)와 락레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은 시프트레버(10)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구성으로 도 1과 같이 차체의 자동변속기 조립체의 한 부분이며 시프트레버의 움직임을 차체 에 전달한다.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하부의 회전축(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시프트레버(10)에 연동되어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개의 단을 형성하고 있다.
도 2에서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은 단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레버(40)가 접촉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주차단(31)과 후진단(32)과 중립단(3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단은 위치와 단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주차단(31)은 상기 후진단(32)과 중립단(33)과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진단(32)은 중립단(33)보다 단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타 부품으로 변속레버의 움직임에 대한 정도감을 생성하는 그루브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하부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그루브면과 접촉시 절도감을 생성한다.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솔레노이드(50)는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구성으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락레버를 작동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락레버(40)는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동되어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과 접촉하여 간섭가능한 구성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듯이 상기 락레버(40)는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에 형성된 단들에 접촉하는 걸림부(41)와,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결되는 연결부(43)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41)는 'ㄱ'형으로 굴절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꺾인 부분이 상기 단들(31,32,33)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연결되어 있어서, 솔레노이드에 의한 락레버(4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작동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락레버(40)와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1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을 참고하여 각 상황별로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는 주차시의 시프트레버케이블과 락레버간의 접촉이 도시되어 있다. 주차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주차단(41)에 접촉되어 상기 후진단(32)의 걸림부(41)로의 접촉을 위한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주차단(31)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후진단(32) 또는 중립단(33)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된다.
주차상태에서 후진이나 중립, 주행을 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상기 시프트레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주차단은 도 4에서 좌측을 향해 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락레버의 걸림부는'ㄱ'형으로 꺾인 부분이 상기 주차단의 좌측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후진단으로 변속을 하기 위해서는 시 프트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야 하는데, 걸림부의 꺾인 부분에 의해 상기 주차단이 걸려서 시프트레버케이블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차시에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걸림부가 회전을 하지 않는 한, 시프트레버를 회전시키려 해도 회전이 되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방지된다.
한편 5와 같은 후진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후진단(32)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41)의 주차단(31)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지만, 상기 걸림부(41)의 중립단(33)으로의 이동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은 가능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후진단(32)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31)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진단은 도 5에서 우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ㄱ'형으로 꺾인 우측부분이 상기 후진단과 접촉하게 된다. 후진시에 변속레버가 중립단으로 가는 것은 추가적인 동력전달이 되지 않아 문제되지 않지만 갑자기 주차단으로 가는 것은 차량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레버가 후진단에 있을 때에는 주차단으로의 변속은 방지해야 하고, 중립단으로의 이동은 가능해야 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중립단은 후진단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후진단에 걸림부가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걸림부에 걸리는 단이 없기 때문에 시프트레버케이블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다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 는 것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중립시에는 상기 걸림부(41)가 중립단(33)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41)의 주차단(31) 또는 후진단(32)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30)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40)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41)와 중립단(33)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31) 또는 후진단(32)으로 상기 걸림부(41)가 접촉가능하게 된다.
운전중에 변속레버가 중립에 있을 때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중립에 있다가 전진을 하는 경우에도 정면을 응시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후진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후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중립시에 후진은 방지되어야 한다.
중립단은 도 6과 같이 우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부의 좌측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지 않는 한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시계방향 회전은 방지되고, 후진단으로의 변속도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주행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없더라도, 상기 걸림부(41)가 중립단(3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탈되도록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30)이 작동된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주행시에 동력전달만 차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차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며, 전방을 응시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자동차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락레버가 주차단에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락레버가 주차단에 결합된 확대도.
도 5는 락레버가 후진단에 결합된 사시도.
도 6은 락레버가 중립단에 결합된 사시도.

Claims (7)

  1. 자동변속기 조립체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시프트레버에 연동되는 시프트레버케이블과,
    브레이크에 연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동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과 접촉하여 간섭가능한 락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은 단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레버가 접촉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주차단과 후진단과 중립단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락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락레버와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가능한,
    시프트락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는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에 형성된 단들에 접촉하는 걸림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시프트락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차단은 상기 후진단과 중립단과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단이 형성되어 있는,
    시프트락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주차시에는 상기 걸림부가 주차단에 접촉되어 상기 후진단의 걸림부로의 접촉을 위한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와 주차단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되어 상기 후진단 또는 중립단으로 상기 걸림부가 접촉가능하게 되는,
    시프트락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후진시에는 상기 걸림부가 후진단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의 주차단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되지만, 상기 걸림부의 중립단으로의 이동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은 가능하며,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와 후진단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으로 상기 걸림부가 접촉가능하게 되는,
    시프트락 조립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중립시에는 상기 걸림부가 중립단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부의 주차단 또는 후진단으로의 접촉을 위한 시프트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락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와 중립단의 접촉이 해제되어야만,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되어 상기 주차단 또는 후진단으로 상기 걸림부가 접촉가능하게 되는,
    시프트락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주행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없더라도, 상기 걸림부가 중립단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탈되도록 상기 시프트레버케이블이 작동되는,
    시프트락 조립체.
KR1020070096258A 2007-09-21 2007-09-21 시프트락 조립체 KR20090030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58A KR20090030745A (ko) 2007-09-21 2007-09-21 시프트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58A KR20090030745A (ko) 2007-09-21 2007-09-21 시프트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745A true KR20090030745A (ko) 2009-03-25

Family

ID=4069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258A KR20090030745A (ko) 2007-09-21 2007-09-21 시프트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953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9410614B2 (en) Shift oper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5142285B2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変速レバーロック装置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4668439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6360873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駐車ロック機能の誤った選択を防止する装置
EP3199842A1 (en) Lock assembly for shifter
US6945377B2 (en) Integrated position switch/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component
KR102412104B1 (ko) N 단 시프트락 기능을 구비한 변속 레버 시스템
US6533705B1 (en) Shifting device for the gearbox of a motor vehicle
US20050160859A1 (en) Device to switch over a mechanical shifting means
US6231476B1 (en) Park-lock shifter cable
KR20090030745A (ko) 시프트락 조립체
JP3822289B2 (ja) 車両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461377B1 (ko)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JPS6132166B2 (ko)
JP2017019341A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2004243927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4555439B2 (ja) 変速操作装置
JP5839918B2 (ja) 自動変速機のリバースシフト制限装置
JPH08113120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KR20180115016A (ko) 전자식 파킹 시스템
KR20180070193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시프트락 시스템
JPH0720463U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641873Y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9

Effective date: 201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