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513A -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513A
KR20090030513A KR1020070095871A KR20070095871A KR20090030513A KR 20090030513 A KR20090030513 A KR 20090030513A KR 1020070095871 A KR1020070095871 A KR 1020070095871A KR 20070095871 A KR20070095871 A KR 20070095871A KR 20090030513 A KR20090030513 A KR 2009003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blast furnace
mixed cooling
ai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662B1 (ko
Inventor
김창오
임재송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9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6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6Cooling or drying the hot-bl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8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of the kil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일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열풍로의 송풍 방법을 변경하여 고로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외부 공기가 송풍되도록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열풍로 열전대와 혼냉 조절변이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실 출측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4 단계; 상기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과 고로 입측 열전대가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고로 입측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고로, 열풍로, 노열, 송풍기, 열전대

Description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Blowing method of hot stove for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의 일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열풍로의 송풍 방법을 변경하여 고로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열풍로에서 생산된 고온의 열을 송풍기에서 불어오는 냉풍에 의해 고로 속으로 불어넣어 고로 내부에 장입된 코크스의 환원작용에 의해 용선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에서 불어오는 냉풍을 고온으로 승온시키는 열풍로는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하기 위해 중요하며, 고온 송풍을 하지 않고서는 안정된 고로조업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고온송풍(1100℃~1300℃)을 유지하기 위하여 4기의 열풍로를 순차적으로(36회/일) 교체 운전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120)에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1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로(120)의 입측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로 입구 열전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로 입구 열전대(140)는 공통온도 조절계(16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로(120)와 송풍기(110)의 사이에는 송풍기(110)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 1 송풍관(131), 제 2 송풍관(132), 제 3 송풍관(133) 및 제 4 송풍관(1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송풍관에는 송풍기(110)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를 고온으로 승온 시키기 위한 제 1 열풍로(11), 제 2 열풍로(12), 제 3 열풍로(13) 및 제 4 열풍로(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열풍로(11)의 입측에는 제 1 송풍관(13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 1 송풍변(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열풍로(11)의 출측에는 제 1 혼냉실(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관(131)에는 제 1 분기관(8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제 1 분기관(81)의 타단은 제 1 혼냉실(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분기관(81)에는 제 1 혼냉 조절변(61) 및 제 1 혼냉변(7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혼냉실(31)의 후단에는 그 제 1 혼냉실(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열풍로 열전대(5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1 열풍로 열전대(51)는 제 1 온도 조절계(9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열풍로 열전대(51)의 후단에는 제 1 열풍변(4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혼냉 조절변(61)은 제 1 선택기(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선택기(101)에는 공통온도 조절계(160) 및 제 1 온도 조절계(9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열풍로(12)의 입측에는 제 2 송풍관(13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 2 송풍변(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풍로(12)의 출측에는 제 2 혼냉실(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관(132)에는 제 2 분기관(8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제 2 분기관(82)의 타단은 제 2 혼냉실(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분기관(82)에는 제 2 혼냉 조절변(62) 및 제 2 혼냉변(7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혼냉실(32)의 후단에는 그 제 2 혼냉실(3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열풍로 열전대(5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2 열풍로 열전대(52)는 제 2 온도 조절계(9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열풍로 열전대(52)의 후단에는 제 2 열풍변(4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혼냉 조절변(62)은 제 2 선택기(1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선택기(102)에는 공통온도 조절계(160) 및 제 2 온도 조절계(9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열풍로(13)의 입측에는 제 3 송풍관(133)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 3 송풍변(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열풍로(13)의 출측에는 제 3 혼냉실(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송풍관(133)에는 제 3 분기관(8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제 3 분기관(83)의 타단은 제 3 혼냉실(3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분기관(83)에는 제 3 혼냉 조절변(63) 및 제 3 혼냉변(7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 혼냉실(33)의 후단에는 그 제 3 혼냉실(3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3 열풍로 열전대(5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3 열풍로 열전대(53)는 제 3 온도 조절계(9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열풍로 열전대(53)의 후단에는 제 3 열풍변(4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3 혼냉 조절변(63)은 제 3 선택기(10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선택기(103)에는 공통온도 조절계(160) 및 제 3 온도 조절계(93)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4 열풍로(14)의 입측에는 제 4 송풍관(134)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 4 송풍변(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4 열풍로(14)의 출측에는 제 4 혼냉실(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송풍관(134)에는 제 4 분기관(8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제 4 분기관(84)의 타단은 제 4 혼냉실(3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분기관(84)에는 제 4 혼냉 조절변(64) 및 제 4 혼냉변(7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4 혼냉실(34)의 후단에는 그 제 4 혼냉실(3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4 열풍로 열전대(5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4 열풍로 열전대(54)는 제 4 온도 조절계(94)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열풍로 열전대(54)의 후단에는 제 4 열풍변(4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4 혼냉 조절변(64)은 제 4 선택기(104)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선택기(104)에는 공통온도 조절계(160) 및 제 4 온도 조절계(9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택기(101), 제 2 선택기(102), 제 3 선택기(103) 및 제 4 선택기(104)에는 개도 설정기(15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로(120)에 열풍을 공급할 때에는 제 1 열풍로(11) 내지 제 4 열풍로(14) 중 어느 2개의 열풍로 내부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고온의 열풍을 고로(120)에 공급하는 것이다.
도 1은 송풍기(110)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 열풍로(11) 및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승온된 후 고로(120)로 송풍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 1 송풍변(21) 및 제 2 송풍변(22)이 개방되어 송풍기(110)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 열풍로(11) 및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하면서 승온된후 제 1 혼냉실(31) 및 제 2 혼냉실(32)의 내부로 이동된다.
한편, 제 1 혼냉변(71) 및 제 2 혼냉변(72)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송풍관에 연결된 제 1 분기관(81) 및 제 2 분기관(82)을 통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것이며, 제 1 분기관(81) 및 제 2 분기관(82)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제 1 혼냉 조절변(61) 및 제 2 혼냉 조절변(62)의 개폐량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열풍로(11)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 및 제 1 분기관(81)을 통하여 이동된 냉기는 제 1 혼냉실(31)에서 혼합된 후 고로(120)로 공급되는 것이고,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 및 제 2 분기관(82)을 통하여 이동된 냉기는 제 2 혼냉실(32)에서 혼합된 후 고로(1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선택기(101)에 의해서 제 1 혼냉 조절변(61)과 공통온도 조절계(16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혼냉 조절변(61)은 고로(120)의 입측에 설치된 고로 입구 열전대(1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선택기(102)에 의해서 제 2 혼냉 조절변(62)과 제 2 온도 조절계(9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혼냉 조절변(62)은 제 2 혼냉실(32)의 출측에 설치된 제 2 열풍로 열전대(52)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풍로를 교체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송풍변(21), 제 1 혼냉변(71) 및 제 1 열풍변(41)은 닫혀지고, 제 3 송풍변(23), 제 3 혼냉변(73) 및 제 3 열풍변(43)은 개방되는 것으로서, 송풍기(110)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는 제 2 열풍로(12) 및 제 3 열풍로(13)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승온된 후 고로(120)로 송풍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선택기(101)가 작동되어 제 1 혼냉 조절변(61)과 제 1 온도 조절계(91)가 연결되고, 제 2 선택기(102)가 작동되어 제 2 혼냉 조절변(62)과 공통온도 조절계(160)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혼냉 조절변(62)은 고로(120)의 입측에 설치된 고로 입구 열전대(1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3 선택기(103)에 의해서 제 3 혼냉 조절변(63)과 제 3 온도 조절계(93)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혼냉 조절변(63)은 제 3 혼냉실(33)의 출측에 설치된 제 3 열풍로 열전대(53)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열풍로(11) 내지 제 4 열풍로(14) 중 어느 2개의 열풍로가 순차적으로 연결 및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순차적으로 교체(36회/일) 운전되는 것으로서, 고로(120)에 고온의 공기(1100℃~1300℃)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각 교체신호에 따른 혼냉 조절변 및 선택기의 동작은 도 3에 나타낸 타이밍도와 같이 동작하는 것이다.
한편, 선행 동작되는 혼냉실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후행 동작되는 혼냉실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이며, 종래에는 고로 입구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선행 동작되는 혼냉 조절변이 제어되므로, 열풍의 편차(±40 ~ ±80℃)가 심하게 발생되어 더 이상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고로조업의 노열 밸런스(Balance) 불 균일 및 일시적인 통기저항 상승 등으로 연료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로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편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노열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행 동작되는 혼냉실의 온도는 그 혼냉실의 후단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으로 제어하고 후행 동작되는 혼냉실의 온도는 고로 입구 열전대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으로 제어하여 일시적인 통기저항 상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은 외부 공기가 송풍되도록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열풍로 열전대와 혼냉 조절변이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실 출측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4 단계; 상기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과 고로 입측 열전대가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고로 입측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 동작되는 혼냉실의 온도는 그 혼냉실의 후단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으로 제어하고, 후행 동작되는 혼냉실의 온도는 고로 입구 열전대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으로 제어하여 고로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편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노열 밸런스를 유지하게 되므로 일시적인 통기저항 상승을 미연에 방지하여 연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탄내 타이밍도로서, 종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은 외부 공기가 송풍되도록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열풍로 열전대와 혼냉 조절변이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실 출측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4 단계; 상기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과 고로 입측 열전대가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고로 입측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기(110)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 열풍로(11) 및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승온된 후 고로(120)로 송풍될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제 1 송풍변(21) 및 제 2 송풍변(22)이 개방되어 송풍기(110)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 열풍로(11) 및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하면서 승온된 후 제 1 혼냉 실(31) 및 제 2 혼냉실(32)의 내부로 이동된다.
한편, 제 1 혼냉변(71) 및 제 2 혼냉변(72)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송풍관에 연결된 제 1 분기관(81) 및 제 2 분기관(82)을 통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것이며, 제 1 분기관(81) 및 제 2 분기관(82)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제 1 혼냉 조절변(61) 및 제 2 혼냉 조절변(62)의 개폐량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열풍로(11)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 및 제 1 분기관(81)을 통하여 이동된 냉기는 제 1 혼냉실(31)에서 혼합된 후 고로(120)로 공급되는 것이고, 제 2 열풍로(12)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 및 제 2 분기관(82)을 통하여 이동된 냉기는 제 2 혼냉실(32)에서 혼합된 후 고로(1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선택기(101)에 의해서 제 1 혼냉 조절변(61)과 제 1 온도 조절계(9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혼냉 조절변(61)은 제 1 혼냉실(31)의 출측에 설치된 제 1 열풍로 열전대(51)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선택기(102)에 의해서 제 2 혼냉 조절변(62)과 공통온도 조절계(16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혼냉 조절변(62)은 고로(120)의 입측에 설치된 고로 입구 열전대(1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풍로를 교체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송풍변(21), 제 1 혼냉변(71) 및 제 1 열풍변(41)은 닫혀지고, 제 3 송풍변(23), 제 3 혼냉변(73) 및 제 3 열풍변(43)은 개방되는 것으로서, 송풍기(110)에 의해서 송풍 된 공기는 제 2 열풍로(12) 및 제 3 열풍로(13)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승온된 후 고로(120)로 송풍되는 것이다.
이때, 제 2 선택기(102)가 작동되어 제 2 혼냉 조절변(62)과 제 2 온도 조절계(92)가 연결되고, 제 3 선택기(103)가 작동되어 제 3 혼냉 조절변(63)과 공통온도 조절계(160)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3 혼냉 조절변(63)은 고로(120)의 입측에 설치된 고로 입구 열전대(1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선택기(102)에 의해서 제 2 혼냉 조절변(62)과 제 2 온도 조절계(9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혼냉 조절변(62)은 제 2 혼냉실(32)의 출측에 설치된 제 2 열풍로 열전대(52)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열풍로(11) 내지 제 4 열풍로(14) 중 어느 2개의 열풍로가 순차적으로 연결 및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순차적으로 교체(36회/일) 운전되는 것으로서, 고로(120)에 고온의 공기(1100℃~1300℃)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각 교체신호에 따른 혼냉 조절변 및 선택기의 동작은 도 6에 나타낸 타이밍도와 같이 동작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은 그 열풍로의 혼냉실 출측에 설치된 풍로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조절되고,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은 고로 입측에 설치된 고로 입구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서, 고로(12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의 밸런스를 유지함은 물론, 통기 저항으로 인한 연료비 상승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탄내 타이밍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종래 방법에 의한 열풍로 송풍 과정을 나탄내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 열풍로 12 : 제 2 열풍로
13 : 제 3 열풍로 14 : 제 4 열풍로
21 : 제 1 송풍변 22 : 제 2 송풍변
23 : 제 3 송풍변 24 : 제 4 송풍변
31 : 제 1 소풍관 32 : 제 2 소풍관
33 : 제 3 소풍관 34 : 제 4 소풍관
41 : 제 1 열풍변 42 : 제 2 열풍변
43 : 제 3 열풍변 44 : 제 4 열풍변
51 : 제 1 열풍로 열전대 52 : 제 2 열풍로 열전대
53 : 제 3 열풍로 열전대 54 : 제 4 열풍로 열전대
61 : 제 1 혼냉 조절변 62 : 제 2 혼냉 조절변
63 : 제 3 혼냉 조절변 64 : 제 4 혼냉 조절변
71 : 제 1 혼냉변 72 : 제 2 혼냉변
73 : 제 3 혼냉변 74 : 제 4 혼냉변
81 : 제 1 분기관 82 : 제 2 분기관
83 : 제 3 분기관 84 : 제 4 분기관
91 : 제 1 온도 조절계 92 : 제 2 온도 조절계
93 : 제 3 온도 조절계 94 : 제 4 온도 조절계
101 : 제 1 선택기 102 : 제 2 선택기
103 : 제 3 선택기 104 : 제 4 선택기
110 : 송풍기 120 : 고로
131 : 제 1 송풍관 132 : 제 2 송풍관
133 : 제 3 송풍관 134 : 제 4 송풍관
140 : 고로 입구 열전대 150 : 개도 설정기
160 : 공통 온도 조절계

Claims (3)

  1. 외부 공기가 송풍되도록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를 통과하도록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에 설치된 송풍변, 혼냉변 및 열풍변을 개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열풍로 열전대와 혼냉 조절변이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실 출측에 설치된 열풍로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선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4 단계;
    상기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과 고로 입측 열전대가 연결되도록 선택기를 동작시키고, 고로 입측 열전대의 온도값에 의해서 후행 동작되는 열풍로의 혼냉 조절변을 조절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는 4개가 마련되고, 그 열풍로는 순차적으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는 36회/일 주기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KR1020070095871A 2007-09-20 2007-09-20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KR10093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71A KR100931662B1 (ko) 2007-09-20 2007-09-20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71A KR100931662B1 (ko) 2007-09-20 2007-09-20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513A true KR20090030513A (ko) 2009-03-25
KR100931662B1 KR100931662B1 (ko) 2009-12-14

Family

ID=4069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871A KR100931662B1 (ko) 2007-09-20 2007-09-20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6665A (zh) * 2022-08-30 2022-11-2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炉烘炉时150℃~600℃风温精准控制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482B1 (ko) * 1981-08-20 1983-03-1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풍로 송풍온도 제어방법
JPS63266012A (ja) 1987-04-23 1988-11-02 Kawasaki Steel Corp 熱風炉の操業方法
KR100347584B1 (ko) * 1997-08-29 2002-10-25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열풍로송풍유량제어방법
JP4495011B2 (ja) * 2005-03-02 2010-06-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風炉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6665A (zh) * 2022-08-30 2022-11-2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炉烘炉时150℃~600℃风温精准控制调节方法
CN115386665B (zh) * 2022-08-30 2023-07-2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炉烘炉时150℃~600℃风温精准控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662B1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21786B (zh) 链箅机-回转窑-环冷机的热风系统
CN101949649A (zh) 退火炉助燃空气预热装置
CN206207979U (zh) 不改变供风量的热风管道温度调节装置
CN103940213A (zh) 焦炭烘干系统干燥气温度与流量自调节控制装置及方法
KR100931662B1 (ko) 고로 열풍로의 송풍 방법
CN109929970A (zh) 一种烟气循环式钢板中低温回火炉及低温控制方法
CN206014992U (zh) 一种热风炉用的凉炉、烘炉装置
CN108707713A (zh) 一种热风炉保温装置及方法
JP2005146347A (ja) 熱風炉における熱風温度制御方法
CN108486301A (zh) 一种高炉热风炉风温调节方法及装置
CN204434657U (zh) 一种热处理炉的快速降温装置
CN103525959A (zh) 控制高炉风温的方法
CN102492819B (zh) 高温连续热处理炉及利用其对钢材低温回火或退火的方法
CN104531957A (zh) 一种热处理炉的快速降温装置
KR100832995B1 (ko) 고로 송풍용 열풍의 온도 제어장치
CN201926272U (zh) 链箅机-回转窑-环冷机的热风系统
CN111850211B (zh) 一种热风炉的离线烘炉方法
JP3235700B2 (ja) 蓄熱式バーナ装置の廃ガス温度制御装置
CN216966568U (zh) 一种用于冷却回流焊炉炉膛温度的导风装置
CN203513731U (zh) 一种热补偿铜锭加热炉
CN220867282U (zh) 一种玻璃退火窑r区进风装置
CN202973850U (zh) 一种太阳能电池片烧结炉的温度控制系统
KR20120110983A (ko) 열풍로 운전방법
CN207468676U (zh) 一种真空炉风冷装置
CN206418011U (zh) 一种自动控制玻璃钢化炉温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