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158A - 자동 이송 대차 - Google Patents

자동 이송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158A
KR20090030158A KR1020070095529A KR20070095529A KR20090030158A KR 20090030158 A KR20090030158 A KR 20090030158A KR 1020070095529 A KR1020070095529 A KR 1020070095529A KR 20070095529 A KR20070095529 A KR 20070095529A KR 20090030158 A KR20090030158 A KR 2009003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ing
housing
contact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202B1 (ko
Inventor
정승현
최병훈
Original Assignee
정승현
최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현, 최병훈 filed Critical 정승현
Priority to KR102007009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2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6One motor drives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이동에 따라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작업자를 추종하는 추종수단을 구비하는 자동 이송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는 적재함이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작업자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휠을 구동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도 이송 대차는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자와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작업 속도가 빨라지므로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송 대차 {Automatic moving carrier}
본 발명은 자동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이동에 따라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작업자를 추종하는 추종수단을 구비하는 자동 이송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과 같은 농가에서는 열매를 수확할 때, 수확한 열매를 실어 나르는 대차를 이용한다.
경작지에는 보통 열매가 열린 나무나 줄기 사이로 작업자와 대차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동로를 따라서 작업자가 대차를 이동시켜가면서 이동로의 양 가장자리의 수확물을 따서 대차에 담는다.
그런데, 종래의 대차는 이송에 따른 운반력이 전적으로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운반에 따른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형엔진 또는 구동모터를 운반차가 제안되었는데,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1999-0016042호에는 운반차인 전동식 손수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손수레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적재함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 는 구동모터 및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호간에 설치폭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한 쌍의 후륜을 구비한다.
상기 종래의 전동식 손수레는 소형엔진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다량의 적재물을 싣고도 이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지만, 작업자가 이동할 때마다 전동식 손수레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동기를 조작해야 하므로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자동 이송 대차는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대차가 작업자와 적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작업자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자동 이송 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는 적재함이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작업자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휠을 구동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수신기와, 작업자가 소지하며, 상기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를 소지한 작업자가 수신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면, 수신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와 인접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나란한 수직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 로 연장되어 작업자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상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접촉단자가 마련된 연결로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로프의 상기 접촉단자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단자를 상기 접촉부재를 향하여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 및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를 향해 설정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도 이송 대차는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자와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작업 속도가 빨라지므로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자동 이송 대차(100)는 적재함(11)이 구비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휠(21)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21)과 함께 상기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보조휠(26)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21)을 회전시키 는 구동부(30)와, 상기 프레임(10)이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작업자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30)를 제어하여 구동휠(21)을 구동하는 이동제어부(4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적재함(11)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적재함(1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과 적재함(11)은 적재되는 화물 즉, 수확한 열매의 위생적인 적재를 위해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거나, 도료나 합성수지재가 코팅될 수 있다.
구동휠(21)은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10) 및 적재함(11)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의 하부에 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제2 축받이부(22,23)에 결합된 제1, 제2 차축(24,25)의 외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조휠(26)은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구동휠(21)과 함께 프레임(10)을 지지한다. 보조휠(26)은 구동휠(21)이 후술하는 구동부(30)에 의해 구동하면, 전진 또는 후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프레임(10)을 지지한다.
또한 프레임(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3)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배터리(13)는 이동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구동휠(21)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배터리(13)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2차 전지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0)는 프레임(10)에 고정된 별도의 브라켓(14)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 모터(31)의 구동력을 제1, 제2 축받이부(22,23)에 지지된 제1, 제2 차축(24,25)에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상호 대응되는 제1, 제2 차축(24,25)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베벨기어(32,33)와, 상기 제1, 제2 베벨기어(32,33)에 치합되는 제1, 제2 유성기어(34,35)들과, 제1, 제2 유성기어(34,35)들의 각 회전축(27,28)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제2 차축(24,25)과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36)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제2 유성기어(34,35)들은 회전축(27,28)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36)은 구동모터(31)의 구동회전축(37a)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37)과 체인(38)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는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기름이 경작지의 토양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이를 감싸는 별도의 케이스(39)를 구비한다.
구동부(3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스프로킷(36)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동제어부(40)는 프레임(10)의 진행방향 상에서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신기(41)와, 수신기(41)에 신호를 보내며 작업자가 소지하는 송신기(42)와, 수신기(41)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1)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3)를 구비한다.
작업자가 소지하는 송신기(42)는 수신기(41)에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낸다. 수신기(41)에서는 송신기(42)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정보를 제어기(43)로 보낸다.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서 이동할 때, 작업자가 수신기(41)로부터 설정된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수신기(41)에 수신되는 송신기(42)의 신호가 약해지거나 끊 어지게 된다. 제어기(43)는 수신기(41)에 수신되는 신호가 약해지거나 끊어지면 구동모터(31)를 구동하여 작업자를 향해 프레임(10)이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10)의 이동거리는 설정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수신기(41)에 수신되는 송신기(42)의 신호가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까지 이동하도록 세팅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작업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어기(43)에서 작업자가 소지한 송신기(4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프레임(10)을 이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이동제어부(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제어부(50)는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며 관통홀(52)이 형성된 하우징(51)과, 관통홀(52)을 통해 하우징(51)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와 연결되는 연결로프(53)와, 하우징(51)의 내면에 설치된 접촉부재(54)와, 접촉부재(54)와 접촉하며 연결로프(53)의 일단에 결합된 접촉단자(55) 및 접촉단자(55)와 접촉부재(54)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56)를 구비한다.
하우징(51)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프레임(10)의 전면과 나란한 수직면에 관통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52)이 형성된 수직면과 대향되는 프레임(10)과의 접촉면에 접촉부재(54)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재(54)는 제어기(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로프(53)는 관통홀(52)을 통해 일단은 하우징(5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단은 작업자와 연결된다. 연결로프(53)의 일단에 결합된 접촉단자(55)는 관통홀(52)보다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연결로프(53)가 하우징(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부재(56)는 접촉단자(55)와 관통홀(52)이 형성된 하우징(51)의 내주면 사이에서 연결로프(53)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56)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접촉단자(55)와 하우징(5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접촉단자(55)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접촉부재(54)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단자(55)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서 이동을 하면, 연결로프(53)가 당겨져 접촉단자(55)와 접촉부재(54)가 분리된다. 접촉부재(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57)는 접촉부재(54)로부터 접촉단자(55)가 분리되면 구동부(30)를 구동시켜 설정된 거리만큼 구동휠(21)이 회동함으로써 프레임(10)이 이동되게 한다. 프레임(10)이 이동하여 작업자와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 탄성부재(56)에 의해 접촉단자(55)가 다시 접촉부재(54)와 접촉되므로 자동 이송 대차(10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작업자가 이동하면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자동 이송 대차(100)가 작업자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자동 이송 대차(100)의 구성요소들과 그 기능 및 형태가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는 농가에서 작업 능률을 상승시키도록 실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송 대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이동제어부의 블럭도,
도 4는 이동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이동제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 이송 대차
10; 프레임 30; 구동부
40; 이동제어부
41; 수신기 42; 송신기 43; 제어기

Claims (3)

  1. 적재함이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휠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작업자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휠을 구동하는 이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수신기와;
    작업자가 소지하며, 상기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를 소지한 작업자가 수신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면, 수신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와 인접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 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 치되며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나란한 수직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작업자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상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접촉단자가 마련된 연결로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로프의 상기 접촉단자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단자를 상기 접촉부재를 향하여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 및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를 향해 설정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 대차.
KR1020070095529A 2007-09-19 2007-09-19 자동 이송 대차 KR10089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29A KR100891202B1 (ko) 2007-09-19 2007-09-19 자동 이송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29A KR100891202B1 (ko) 2007-09-19 2007-09-19 자동 이송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58A true KR20090030158A (ko) 2009-03-24
KR100891202B1 KR100891202B1 (ko) 2009-04-02

Family

ID=4069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529A KR100891202B1 (ko) 2007-09-19 2007-09-19 자동 이송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2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40A (ko) 2014-11-26 2016-06-03 김기형 객체 추종 기능을 구비한 로봇
WO2020222330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추종 기능을 갖는 카트
WO2020222329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추종 기능을 갖는 카트
US11511785B2 (en) 2019-04-30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with automatic following function
US11585934B2 (en) 2019-04-30 2023-02-21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394B1 (ko) * 2004-01-28 2005-09-21 김태식 자동 및 수동 가변 대차
JP4739012B2 (ja) * 2005-12-21 2011-08-03 新明工業株式会社 自動走行台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40A (ko) 2014-11-26 2016-06-03 김기형 객체 추종 기능을 구비한 로봇
WO2020222330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추종 기능을 갖는 카트
WO2020222329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추종 기능을 갖는 카트
US11511785B2 (en) 2019-04-30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with automatic following function
US11585934B2 (en) 2019-04-30 2023-02-21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202B1 (ko)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202B1 (ko) 자동 이송 대차
CN110546025A (zh) 具有与驱动轮同轴地设置的马达的履带式车辆
CN104417634B (zh) 纯电动牵引车及适用于场内运输的车辆
CN114502423A (zh) 移动机器人驱动系统
KR200453679Y1 (ko) 덤프적재함이 구비된 4륜구동 운반차
KR200422848Y1 (ko) 농산물 운반용 수레
CN206900379U (zh) 一种电动遥控单轨运输车
JP2011522727A (ja) 耕作地用運搬機械及びそれを備えた運搬システム
KR100940538B1 (ko) 곡선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
KR20130141012A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CN101722845B (zh) 单螺栓铰链摆腰转向四轮驱动机构
CN204712855U (zh) 一种拖拉机底盘
EP0046383B1 (en) Power take-off means in refrigerated vehicles
CN113895248A (zh) 一种山地果园电动遥控单桥轮式运输车
CN107264304A (zh) 一种可协作式搬运小车
CN207861156U (zh) 一种重载横移车用重载滚道
CN107244275A (zh) 一种多功能运输机器人
CN207173661U (zh) 一种智能化物流作业系统
CN201830628U (zh) 果园动力底盘
KR200445718Y1 (ko) 다기능 농기계 동력차량
KR101195298B1 (ko) 농업용 전동 궤도차
KR20190060160A (ko) 체인 구동형 차량
KR20150001611U (ko) 브러쉬를 구비한 청소차
CN2811052Y (zh) 手扶拖拉机驱动拖车传动机构
CN220307750U (zh) 一种自走式垄间集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