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160A - 체인 구동형 차량 - Google Patents

체인 구동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160A
KR20190060160A KR1020170158071A KR20170158071A KR20190060160A KR 20190060160 A KR20190060160 A KR 20190060160A KR 1020170158071 A KR1020170158071 A KR 1020170158071A KR 20170158071 A KR20170158071 A KR 20170158071A KR 20190060160 A KR20190060160 A KR 2019006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
drive
chai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637B1 (ko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종순
Priority to KR102017015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60K1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of mechan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체인을 통해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체인 구동형 차량이 소개된다.
체인 구동형 차량은 전륜 및 후륜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과, 전륜 및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 엔진과, 구동 엔진에 구동 연결되고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 샤프트를 제공하는 변속기와,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지지 스프라켓 및 제 2 지지 스프라켓이 구비된 지지 샤프트와, 구동 스프라켓 및 제 1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1 구동 체인과, 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차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륜 샤프트에 전륜 스프라켓이 마련되는 전륜 구동부와, 전륜 스프라켓 및 제 2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2 구동 체인과, 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후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 구동형 차량{CHAINE DRIV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체인 구동형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엔진의 구동력이 체인을 통해 바퀴에 전달될 수 있는 체인 구동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운반차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적재된 화물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차량을 말한다. 소형 운반차는 공장, 화물 창고, 농작물 재배 지역, 그리고 축산 농장 등의 좁은 장소에서 사람의 힘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물체를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운반차는 가솔린 등의 화석 연료의 연소에 의한 동력으로 운행되는 운반차와, 전력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모터의 동력으로 운행되는 운반차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소형 운반차가 후륜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소형 운반차의 비탈길 주행시 전륜의 틀림 현상이 발생되어 운전자의 의도대로 주행이 어려울 수 있고, 구동방식이 복잡하여 차량 무게 및 제작 비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차량의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조의 구동방식을 통해 차량의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10-0925687(2009. 11.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체인 구동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은, 전륜 및 후륜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 상기 전륜 및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 엔진; 상기 구동 엔진에 구동 연결되고,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 샤프트를 제공하는 변속기; 상기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지지 스프라켓 및 제 2 지지 스프라켓이 구비된 지지 샤프트; 상기 구동 스프라켓 및 상기 제 1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1 구동 체인; 상기 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륜 샤프트에 전륜 스프라켓이 마련되는 전륜 구동부; 상기 전륜 스프라켓 및 상기 제 2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2 구동 체인; 및 상기 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후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륜이 장착되는 너클 어셈블리;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되도록 상기 너클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서스펜션; 상기 너클 어셈블리 및 상기 전륜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및 상기 전륜의 조향을 위해 상기 너클 어셈블리에 힌지 연결되는 스티어링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 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1 후륜 샤프트;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륜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제 2 후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 스프라켓은 제 3 구동 체인을 통해 상기 지지 샤프트에 구비된 제 3 지지 스프라켓에 체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륜; 및 체인을 통해 상기 후륜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서포트륜에 전달받는 서포트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륜 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을 통해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1 서포트륜 샤프트;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을 통해 상기 후륜 구동부의 제 2 후륜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2 서포트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 엔진의 구동력을 체인을 통해 4개의 바퀴에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 엔진의 구동력을 체인을 통해 6개의 바퀴에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에서, 전륜의 너클 어셈블리 및 스티어링 로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에서, 전륜의 너클 어셈블리 및 스티어링 로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은, 차체 프레임(100), 구동 엔진(210), 변속기(220), 지지 샤프트(300), 제 1 구동 체인(410), 전륜 구동부(500), 제 2 구동 체인(420), 후륜 구동부(600), 너클 어셈블리(710), 서스펜션(720), 유니버셜 조인트(730) 및 스티어링 로드(7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프레임(100)은 상술한 주요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체인 구동형 차량의 전체적인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 양측에는 전륜(110)이 회전 및 조향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양측에는 후륜(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는 전륜(110)의 조향을 위한 핸들(140)이 마련될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상측에는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시트와, 수하물의 이송을 위한 적재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100)의 중앙 양측에는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지지 샤프트(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의 중앙 내측에는 구동 엔진(210) 및 변속기(2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엔진(210)은 전륜(110) 및 후륜(1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엔진으로, 구동 벨트(211)를 통해 변속기(220)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시동에 의해, 구동 엔진(210)이 작동되면, 구동 엔진(210)에서 제공된 구동력이 구동 벨트(211)를 통해 변속기(220)에 전달될 수 있다.
변속기(220)는 구동 체인(제 1 구동 체인, 제 2 구동 체인, 제 3 구동 체인)을 이용하여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을 전륜(110) 또는 후륜(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변속기(2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 속도를 변속시킬 수 있고, 차량의 운행을 락킹할 수 있다.
이 변속기(220)에는 구동 샤프트(221)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221)는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도 2의 우측)에 위치한 제 1 후륜 샤프트(610a)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221)에는 제 1 구동 체인(410)이 체인 연결되는 구동 스프라켓(222)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300)는 차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지지 샤프트(300)에는 제 1 지지 스프라켓(310)과 한 쌍의 제 2 지지 스프라켓(3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 스프라켓(310)은 제 1 구동 체인(410)을 통해 구동 스프라켓(222)과 구동 연결될 수 있고, 제 2 지지 스프라켓(320)은 제 2 구동 체인(420)을 통해 전륜 구동부(500)의 전륜 스프라켓(520)과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은 제 1 구동 체인(410) 및 제 2 구동 체인(420)을 통해 전륜(11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샤프트(300)에는 제 3 지지 스프라켓(330)이 구비될 수 있다. 제 3 지지 스프라켓(330)은 제 3 구동 체인(430)을 통해 후륜 구동부(600)의 후륜 스프라켓(611)과 구동 연결되므로,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은 제 3 구동 체인(430)을 통해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타측에 위치한 제 2 후륜 샤프트(610b)의 후륜 스프라켓(611)에 전달될 수 있다.
전륜 구동부(500)는 전륜(110)의 회전을 위해,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륜 샤프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 샤프트(510)는 제 2 구동 체인(420)에 체인 연결되는 전륜 스프라켓(520)이 마련되므로, 제 2 구동 체인(4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륜(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륜 샤프트(510)는 유니버셜 조인트(730) 및 너클 어셈블리(710)를 통해, 전륜(110)과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730)는 두 개의 구동축, 예를 들면, 전륜(110)의 회전축과 전륜 샤프트(510) 사이를 축 이음할 수 있고, 전륜(110)의 조향시, 이들 전륜(110)의 회전축과 전륜 샤프트(510)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유니버셜 조인트(730)는 차량의 축 이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니버셜 조인트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너클 어셈블리(710)는 전륜(110)의 조향에 필요한 부품들(일 예로, 너클, 너클 아암, 너클 스핀들, 너클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너클 어셈블리(710)는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스티어링 로드(740)의 작동시, 차량의 원할한 조향이 가능하다.
스티어링 로드(740)는 전륜(110)의 조향을 위해 핸들(140)의 작동력을 너클 어셈블리(710)에 전달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티어링 로드(740)의 일단은 너클 어셈블리(7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스티어링 로드(740)의 타단은 핸들(140)의 조향장치(미도시)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너클 어셈블리(710)의 상측에는 서스펜션(720)이 장착될 수 있다. 서스펜션(720)은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후륜 구동부(600)는 후륜(120)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 샤프트(221)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후륜 구동부(600)는 구동 샤프트(221)에 구동 연결되록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도 2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후륜 샤프트(610a)와,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타측(도 2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후륜 샤프트(61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후륜 샤프트(610b)에는 후륜 스프라켓(611)이 구비되는데, 후륜 스프라켓(611)은 제 3 구동 체인(430)을 통해 지지 샤프트(300)의 제 3 지지 스프라켓(330)에 체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후륜(120)은, 구동 샤프트(221)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된 후륜(120)은 구동 체인(제 1 구동 체인, 제 3 구동 체인) 및 지지 샤프트(300)를 매개로 구동 샤프트(221)의 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구동 엔진(210)의 시동을 진행하면,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은 구동 벨트(211)를 통해 변속기(2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변속기(2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을 조절(변속)할 수 있다.
변속기(220)에서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면, 변속기(220)에서 출력된 구동력은 구동 샤프트(221)를 통해, 전륜(110) 및 후륜(120)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후륜(120)은 구동 샤프트(221)로부터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륜(110) 및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된 후륜(120)은 구동 체인(제 1 구동 체인 및 제 3 구동 체인)을 매개로 구동 샤프트(221)로부터 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구동 엔진(21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운행이 진행되면, 운전자는 핸들(140)을 통해, 차량을 조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핸들(14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로드(740)가 풀(Pull) 되면서, 전륜(110)에 연결된 너클 어셈블리(7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결국, 차량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일 예로, 우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운전자가 핸들(140)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의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로드(740)가 푸쉬(Push)되면서, 전륜(110)에 연결된 너클 어셈블리(710)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결국, 차량은 타측 방향으로 회전(일 예로, 좌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차체 프레임(100)의 전, 후방에 한 쌍의 전륜(110), 한 쌍의 후륜(120)이 장착되는 4륜 구동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구성들은 다양한 형태/개수의 바퀴를 갖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6륜 구동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은, 차체 프레임(100), 구동 엔진(210), 변속기(220), 지지 샤프트(300), 제 1 구동 체인(410), 전륜 구동부(500), 제 2 구동 체인(420), 후륜 구동부(600), 너클 어셈블리(710), 서스펜션(720), 유니버셜 조인트(730) 및 스티어링 로드(740), 서포트륜(130) 및 서포트륜 구동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륜(130) 및 서포트륜 구동부(8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예를 들어, 차체 프레임(100), 구동 엔진(210), 변속기(220), 지지 샤프트(300), 제 1 구동 체인(410), 전륜 구동부(500), 제 2 구동 체인(420), 후륜 구동부(600), 너클 어셈블리(710), 서스펜션(720), 유니버셜 조인트(730) 구성들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포트륜(130)은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서포트륜(130)이 차량에 추가 설치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형 차량에는, 한 쌍의 전륜(110), 한 쌍의 후륜(120) 및 한 쌍의 서포트륜(130)으로 이루어지는 6개의 바퀴가 제공될 수 있다.
서포트륜 구동부(800)는 구동 엔진(210)의 구동력을 체인을 통해 후륜 구동부(600)로부터 전달받아, 서포트륜(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륜 구동부(800)는 제 4 구동 체인(441)을 통해 구동 샤프트(221)에 구동 연결되는 제 1 서포트륜 샤프트(810a)와, 제 5 구동 체인(442)을 통해 후륜 구동부(600)의 제 2 후륜 샤프트(610b)에 구동 연결되는 제 2 서포트륜 샤프트(8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서포트륜 샤프트(810a)에는 제 4 구동 체인(441)에 체인 연결되는 제 1 서포트륜 스프라켓(811a)이 구비될 수 있고, 제 1 서포트륜 샤프트(810a)의 일단은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 일측(도 4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 1 서포트륜 샤프트(810a)의 타단에는 서포트륜(13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포트륜 샤프트(810b)에는 제 5 구동 체인(442)에 체인 연결되는 제 2 서포트륜 스프라켓(811b)이 구비될 수 있고, 제 2 서포트륜 샤프트(810b)의 일단은 차체 프레임(100)의 후단 타측(도 4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 2 서포트륜 샤프트(810b)의 타단에는 서포트륜(13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인 구동형 차량은 구동 엔진의 구동력을 체인을 통해 다수의 바퀴에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체 프레임 110 :전륜
120 :후륜 130 :서포트륜
210 :구동 엔진 211 :구동 벨트
220 :변속기 221 :구동 샤프트
222 :구동 스프라켓 300 :지지 샤프트
310 :제 1 지지 스프라켓 320 :제 2 지지 스프라켓
330 :제 3 지지 스프라켓 410 :제 1 구동 체인
420 :제 2 구동 체인 430 :제 3 구동 체인
441 :제 4 구동 체인 442 :제 5 구동 체인
500 :전륜 구동부 510 :전륜 샤프트
520 :전륜 스프라켓 600 :후륜 구동부
610a :제 1 후륜 샤프트 610b :제 2 후륜 샤프트
611 :후륜 스프라켓 710 :너클 어셈블리
720 :서스펜션 730 :유니버셜 조인트
740 :스티어링 로드 800 :서포트륜 구동부
810a :제 1 서포트륜 샤프트 811a :제 1 서포트륜 스프라켓
810b :제 2 서포트륜 샤프트 811b :제 2 서포트륜 스프라켓

Claims (6)

  1. 전륜 및 후륜이 구비된 차체 프레임;
    상기 전륜 및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 엔진;
    상기 구동 엔진에 구동 연결되고,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 샤프트를 제공하는 변속기;
    상기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지지 스프라켓 및 제 2 지지 스프라켓이 구비된 지지 샤프트;
    상기 구동 스프라켓 및 상기 제 1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1 구동 체인;
    상기 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륜 샤프트에 전륜 스프라켓이 마련되는 전륜 구동부;
    상기 전륜 스프라켓 및 상기 제 2 지지 스프라켓 사이를 체인 연결하는 제 2 구동 체인; 및
    상기 후륜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후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륜이 장착되는 너클 어셈블리;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되도록 상기 너클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서스펜션;
    상기 너클 어셈블리 및 상기 전륜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및
    상기 전륜의 조향을 위해 상기 너클 어셈블리에 힌지 연결되는 스티어링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1 후륜 샤프트;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륜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제 2 후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스프라켓은
    제 3 구동 체인을 통해 상기 지지 샤프트에 구비된 제 3 지지 스프라켓에 체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양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륜; 및
    체인을 통해 상기 후륜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서포트륜에 전달받는 서포트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륜 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을 통해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1 서포트륜 샤프트;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을 통해 상기 후륜 구동부의 제 2 후륜 샤프트에 구동 연결되는 제 2 서포트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형 차량.
KR1020170158071A 2017-11-24 2017-11-24 체인 구동형 차량 KR10201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71A KR102011637B1 (ko) 2017-11-24 2017-11-24 체인 구동형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71A KR102011637B1 (ko) 2017-11-24 2017-11-24 체인 구동형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160A true KR20190060160A (ko) 2019-06-03
KR102011637B1 KR102011637B1 (ko) 2019-08-19

Family

ID=6684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071A KR102011637B1 (ko) 2017-11-24 2017-11-24 체인 구동형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11B1 (ko) * 2019-10-11 2020-05-25 한설봉 레일을 이용한 엔진 동력식 작업대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943A (en) * 1973-07-26 1975-03-25 Wade & Co R M Drive unit
KR20000054489A (ko) * 2000-06-08 2000-09-05 강민철 랙과 피니언기어를 이용한 소형자동차의 직접조향장치
KR100925687B1 (ko) 2007-11-19 2009-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륜차량의 동력전달구조
US20090283350A1 (en) * 2008-05-14 2009-11-19 Arnold David W Vehicles including jack shaft having clutch and coupling engine and front wheel
US20100089678A1 (en) * 2007-02-01 2010-04-15 Jonathan Mark Parsons Multi wheeled single track vehicle
KR101180904B1 (ko) * 2012-06-22 2012-09-10 이텍산업 주식회사 산악용 진중버스
KR101590164B1 (ko) * 2015-02-16 2016-02-01 강덕호 개별 서스펜션을 갖는 사륜형 이동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943A (en) * 1973-07-26 1975-03-25 Wade & Co R M Drive unit
KR20000054489A (ko) * 2000-06-08 2000-09-05 강민철 랙과 피니언기어를 이용한 소형자동차의 직접조향장치
US20100089678A1 (en) * 2007-02-01 2010-04-15 Jonathan Mark Parsons Multi wheeled single track vehicle
KR100925687B1 (ko) 2007-11-19 2009-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륜차량의 동력전달구조
US20090283350A1 (en) * 2008-05-14 2009-11-19 Arnold David W Vehicles including jack shaft having clutch and coupling engine and front wheel
KR101180904B1 (ko) * 2012-06-22 2012-09-10 이텍산업 주식회사 산악용 진중버스
KR101590164B1 (ko) * 2015-02-16 2016-02-01 강덕호 개별 서스펜션을 갖는 사륜형 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37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0060A (en) Transmission
US6889784B2 (en) Motorized chariot
US984501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autonomous vehicle
US20170369097A1 (en) Work vehicle axle device
SE7612163L (sv) Transmission for fordon med frontmotor
EP3630519B1 (en) Tracked vehicle having motor coaxially arranged with drive wheel
KR20190060160A (ko) 체인 구동형 차량
US10717465B2 (en) Steerable knuckle
US11207977B2 (en) Axle drive apparatus
JP2007022163A (ja) 駆動装置の搭載構造
US10183708B2 (en) Articulated vehicle
AU635557B2 (en) Driven running gear with steerable individual units
US4089386A (en) Drive mount housing for a vehicle
US1506653A (en) Four-wheel drive and steering tractor
US3853193A (en) Vehicle drive and control system
WO2015125124A1 (en) An arrangement for packaging an engine of a vehicle
RU2719078C1 (ru) Мотоблочный адаптер
CN109808489B (zh) 驱动轴配置结构
US938196A (en) Running-gear.
JPH0214493Y2 (ko)
US2207904A (en) Multimotored truck
JPS6133369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GB2039837A (en) Steering Transmission for Self Propelled Vehicle
KR20170001980A (ko) 주행과 작업을 겸하는 차량
JP6571316B2 (ja) 電車車体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