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138A -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138A
KR20090030138A KR1020070095486A KR20070095486A KR20090030138A KR 20090030138 A KR20090030138 A KR 20090030138A KR 1020070095486 A KR1020070095486 A KR 1020070095486A KR 20070095486 A KR20070095486 A KR 20070095486A KR 20090030138 A KR20090030138 A KR 2009003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ze
control signal
display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235B1 (ko
Inventor
이현정
장욱
박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는 보관 용기에 보관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화면 크기 감지부와,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어 상기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스크린, 노출 크기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란, 종이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면서 종이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즉, 전자 종이는 종이 두께의 화면에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로서, 현재 전자 종이는 0.1mm 이하의 작은 공이나 캡슐 등을 이용해 잉크의 효과를 내는 방식과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전자 종이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어느 정도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펜과 같은 원통형 보관 용기에 감겨진 형태로 보관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자 종이의 등장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가볍고 간편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 종이가 원통형 보관 용기에 감겨진 형태로 보관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만을 인출하여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때 인출되지 않는 부분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전력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 장치에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관 용기의 크기가 한정됨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과 같은 수단의 구비도 한정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응용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는 보관 용기에 보관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화면 크기 감지부와,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어 상기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은 보관 용기에 보관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어 상기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플렉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관 용기에서 인출 시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면적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라 한다)는 보관 용기(100), 기능 버튼(111, 112, 113) 및 스크린(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관 용기(100)는 스크린(380)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스크린(380)은 그 재질이 플렉서블(flexible)한 판을 의미하는데, 이에 따라 스크린(380)은 롤(roll) 형태로 감겨 보관 용기(1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관 용기(100)의 외부로 노출된 스크린(380)의 측면을 잡아당김으로써 롤 형태로 감긴 스크린(38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380)에는 탄성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보관 용기(100)의 내부로 삽입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고, 일단 노출된 스크린(380)은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개폐 버튼(111)을 이용하여 고정 수단에 의한 스크린(380)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스크린(380)이 보관 용기(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롤 형태로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는 스크린의 노출 크기를 확인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절하는데, 이를 위하여 스크린(380)에는 노출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 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톱니(미도시) 또는 조그 다이얼(미도시)이 스크린(380)에 구비되어 톱니의 회전 수 또는 조그 다이얼의 회전량에 의하여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확인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바(bar)(382)가 스크린(380)에 구비되어 접촉 위치에 따라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8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거나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의 조합을 포함하는데, 이하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멀티미디어 컨텐츠라 한다.
디스플레이부(381)는 스크린(380)의 일면에 밀착하여 구비되는데, 디스플레이부(381)는 그 재질이 플렉서블하여 스크린(380)과 함께 롤 형태로 감겨 보관 용기(1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플레서블한 디스플레이부(38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의 측면도로서, 스크린(380)이 삽입되거나 도출되는 보관 용기(100)의 출입구 주변에 화면 크기 감지부(34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접촉 바(382)에 접촉되어 현재 접촉 바(382)의 어느 위치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접촉 바(382)가 스크린(380)의 상측면에 구비된 경우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보관 용기 출입구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면 크기 감지부(340)가 현재 접촉된 접촉 바(38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 음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는 스크린(380)의 노출 정도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접촉 바(382)의 접촉 위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노출 크기가 확인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톱니 또는 조그 다이얼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노출 크기가 확인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입력부(310), 화소 제어부(320), 활성 화면 제어부(330), 화면 크기 감지부(340), 제어부(350), 화면 요소 제어부(360), 이동 제어부(370), 스크린(380) 및 저장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제어 신호에는 스크린의 개폐를 위한 개폐 제어 신호,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메뉴 제어 신호 및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개폐 버튼(111)을 선택하여 개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크린(38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버튼(111)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크린(38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노출된 스크린(380)이 보관 용기(100)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개폐 버튼(111)에 의하여 스크린(380)이 자동으로 노출 또는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관 용기(100)에는 전동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12)는 메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데, 메뉴 제어 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부(381)에는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381)는 노출된 스크린(380)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데, 메뉴 버튼(112)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무관하게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확대/축소 버튼은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확대/축소 버튼이 선택된 상태로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변경되면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노출된 스크린(380)의 크기로 변경된다.
입력부(310)는 버튼 등의 형태로 보관 용기(10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81)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보관 용기(100)에 보관된 스크린(380)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스크린(380)에 구비된 접촉 바(382)의 접촉 위치를 참조하여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를 확인하거나 톱니(미도시)의 회전 수 또는 조그 다이얼의 회전량을 이용하여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화면 크기 감지부(340)에 의하여 확인된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는 제어부(350)로 전달되고, 제어부(350)는 전달받은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역 할을 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라는 응용 프로그램이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 1/5, 2/5 및 3/5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경우, 스크린(380)의 1/5이 노출되면 A가 실행되고, 스크린(380)의 2/5이 노출되면 B가 실행되며, 스크린(380)의 3/5이 노출되면 C가 실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응용 프로그램이 대응되어 있다는 것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크기가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전체 크기가 d라고 할 때,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0.1d~0.2d이면 A 가 실행되고,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0.2d~0.4d이면 B가 실행되며,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0.4d~0.6d이면 C가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응용 프로그램의 실제 해상도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대응시킬 수도 있다. 즉, 응용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 때 제어부(350)는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81)의 전체 크기에 매칭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381)의 노출 크기에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81)의 디스플레이 면적 중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활성 화면 제어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81)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81)의 디스플레이 면적 중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노출 크기가 1/3 인 경우 노출된 1/3 면적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381)의 영역은 동작시키고, 보관 용기(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2/3 면적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381)의 영역은 동작시키지 않는 것이다.
화소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전극 그리드(grid)의 전압을 변경하여 영상의 색상에 맞게 각 화소의 출력 색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화면 요소 제어부(360)는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화면 요소 제어부(360)는 메뉴 생성부(361), GUI 가이드 생성부(362) 및 화면 요소 재배치부(3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뉴 생성부(361)는 팝업 메뉴 및 기능 메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팝업 메뉴는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을 위한 메뉴이고, 기능 메뉴는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GUI 가이드 생성부(362)는 GUI 가이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 GUI 가이드는 스크린(380)의 노출 또는 삽입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스크린(380)을 삽입하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스크린(390)을 노출하면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GUI 가이드인 것이다. GUI 가이드 생성부(362)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며, 특정 시간이 지난 경우 화면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화면 요소 재배치부(363)는 디스플레이부(38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응 용 프로그램 또는 메뉴의 크기를 산출하고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현재 노출된 스크린(380)의 크기를 고려하여 응용 프로그램 및 메뉴의 크기를 산출한 후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로 배치하는 것이다.
이동 제어부(370)는 스크린(380)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톱니 또는 조그 다이얼의 형태로 스크린(380)의 노출 또는 삽입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제어부(370)에는 전동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폐 버튼(111)을 이용하여 스크린(380)이 자동으로 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9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장부(390)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대응 관계는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부(39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하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저장부(39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저장부(390)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에는 별도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81)는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 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381)는 활성 화면 제어부(3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면적만을 동작시키고 보관 용기(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면적은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에는 음성 출력 수단(미도시)가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가 시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420은 다음 단계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 단계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다시 말해 시계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스크린(380)을 잡아당김에 따라 실행되는 다음 응용 프로그램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뷰어(viewer)인 경우 새롭게 도착한 메일의 수가 이전 단계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GUI 가이드(410)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4에서 사용자는 GUI 가이드(410)를 확인하여 스크린(380)을 더 당기면 메일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메뉴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뉴 버튼(112)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팝업 메뉴(500)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팝업 메뉴(500)는 응용 프로그램간의 선택을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381)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상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팝업 메뉴(500)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와 무관하게 메뉴 버튼(112)이 선택되면 언제든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팝업 메뉴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하여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스크린(380)의 변경된 노출 크기가 특정 크기이면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a~b이고, 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가 c~d인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노출된 스크린(380)의 크기가 b~c이면 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시계 응용 프로그램과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음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을 정도로 스크린(380)을 잡아당기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응응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여기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으므로 GUI 가이드(4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GUI 가이드(410)는 특정 시간이 소요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메뉴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사용자는 도 7의 상태에서 다음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정도로 스크린(380)을 잡아당기지 않고 기능 메뉴(800)가 디스플레이될 정도로만 스 크린(380)을 잡아당김으로써 기능 메뉴(80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기능 메뉴(800)는 응용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팝업 메뉴(500)이 아니라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선택을 위한 것이다. 메뉴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 메뉴(500)가 디스플레이되거나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메뉴(8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420은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선택을 위한 아이콘으로서, GUI 가이드(410)의 위치에서 GUI 가이드(410)가 제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스크린이 노출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변경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확대/축소 버튼(113)을 선택한 상태로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확대/축소 버튼(113)이 선택된 상태로 스크린(380)이 노출 크기가 변경되면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변경되는 것이다. 확대/축소 버튼(113)은 디스플레이부(38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114)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 타낸 흐름도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스크린 크기의 변화를 감지한다(S1010). 스크린 크기의 변화 감지는 제어부(350)로 전달되고, 제어부(350)는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1020).
그리하여, 제어 신호로서 메뉴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화면 요소 제어부(360)는 팝업 메뉴(500)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381)상에 팝업 메뉴(500)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81)는 팝업 메뉴(500)를 디스플레이한다(S1030).
한편, 제어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화면 요소 제어부(36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S1050).
한편,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50)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1040).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GUI 가이즈 생성부(362)는 GUI 가이드(410)를 생성하고 생성된 GUI 가이드(410)는 제어부(3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S1060).
GUI 가이드(410)가 디스플레이되면 소정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하여 GUI 가이드(410)의 디스플레이 지속 시간이 확인되는데(S1070), GUI 가이드(410)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지속되어 디스플레이되면 화면 요소 재배치부(363)는 화면상에서 GUI 가이드(410)를 제거한다(S1080).
사용자는 스크린(380)의 노출 크기를 조절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전환이 아닌 팝업 메뉴 또는 기능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화면 크기 감지부(340)는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할 만큼의 스크린 크기 변화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S1090).
그리하여, 화면 크기 감지부(340)의 확인 결과에 따라 화면 요소 재배치부(363)는 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제거한다(S11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메뉴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팝업 메뉴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상태에서 스크린이 노출됨에 따라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메뉴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스크린이 노출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변경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입력부 320 : 화소 제어부
330 : 활성 화면 제어부 340 : 화면 크기 감지부
350 : 제어부 360 : 화면 요소 제어부
370 : 이동 제어부 380 : 스크린
390 : 저장부

Claims (20)

  1. 보관 용기에 보관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화면 크기 감지부;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어 상기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크기 감지부는 상기 스크린에 구비된 톱니의 회전 수를 확인하거나, 접촉 바(bar)의 접촉 위치를 참조하거나, 조그 다이얼의 회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스크린의 노출 크기를 확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면적 중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동작시키는 활성 화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메뉴 제어 신호 및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와 무관하게 메뉴를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절하여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화면 요소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제어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 및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를 참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조작에 이용되는 메뉴를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11. (a) 보관 용기에 보관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b)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스크린에 구비되어 상기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크린에 구비된 톱니의 회전 수를 확인하거나, 접촉 바(bar)의 접촉 위치를 참조하거나, 조그 다이얼의 회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스크린의 노출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면적 중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메뉴의 디스플레이 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메뉴 제어 신호 및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메뉴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된 크기와 무관하게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절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노출 크기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메뉴 제어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 여부 및 상기 확인된 스크린의 크기를 참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조작에 이용되는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KR1020070095486A 2007-09-19 2007-09-19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0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86A KR101406235B1 (ko) 2007-09-19 2007-09-19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86A KR101406235B1 (ko) 2007-09-19 2007-09-19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38A true KR20090030138A (ko) 2009-03-24
KR101406235B1 KR101406235B1 (ko) 2014-06-12

Family

ID=4069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486A KR101406235B1 (ko) 2007-09-19 2007-09-19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2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51A1 (en) * 2013-06-10 2014-12-1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ps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404412A (zh) * 2014-09-05 2016-03-16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其控制方法
WO2017065361A1 (ko) * 2015-10-13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66999A1 (zh) * 2015-10-23 2017-04-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8006709A1 (zh) * 2016-07-08 2018-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53619A (ko) * 2017-11-10 201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혹은 영상을 차량 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173131A (zh) * 2020-01-09 2021-07-27 Lg电子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
KR20220047962A (ko) * 2015-11-18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25A1 (en)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162A (ko) * 2006-01-06 2008-02-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51A1 (en) * 2013-06-10 2014-12-1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ps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860474B2 (en) 2013-06-10 2018-01-02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RE48782E1 (en) 2013-06-10 2021-10-19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404412B (zh) * 2014-09-05 2020-10-09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404412A (zh) * 2014-09-05 2016-03-16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其控制方法
EP3001650A3 (en) * 2014-09-05 2016-07-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same
US9933819B2 (en) 2014-09-05 2018-04-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065361A1 (ko) * 2015-10-13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860201B2 (en) 2015-10-13 2020-12-0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apparatus
WO2017066999A1 (zh) * 2015-10-23 2017-04-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220047962A (ko) * 2015-11-18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650709B2 (en) 2016-07-08 2020-05-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exibl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10621894B2 (en) 2016-07-08 2020-04-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exibl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WO2018006709A1 (zh) * 2016-07-08 2018-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53619A (ko) * 2017-11-10 201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혹은 영상을 차량 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173131A (zh) * 2020-01-09 2021-07-27 Lg电子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235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0138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EP2881852B1 (en) Reproduction of touch operation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746901A2 (en)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thereof
US10423272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576843B2 (ja) 表示装置
JP2005196810A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305437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323977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00283859A1 (en) Image pickup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8206077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447809A (zh) 操作装置、图像形成装置以及操作方法
JP2018032075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299551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05234645A (ja) 電子機器
CN110286811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1265477A (ja) 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画面を有する装置
JP2006349845A (ja) 電子書籍表示装置
JP2004214897A (ja) 写真自動販売機における画像選択方法、画像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写真自動販売機
US9093005B2 (en) Display device
JP2008178082A (ja) カメラ
JP2007156358A (ja) 電子機器及び操作ガイドプログラム
JP643676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37847B2 (ja) 画面取得装置、画面取得方法、及び、画面取得プログラム
JP714653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84899A (ja) 写真シール自販機および画像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