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019A -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019A
KR20090030019A KR1020070095298A KR20070095298A KR20090030019A KR 20090030019 A KR20090030019 A KR 20090030019A KR 1020070095298 A KR1020070095298 A KR 1020070095298A KR 20070095298 A KR20070095298 A KR 20070095298A KR 20090030019 A KR20090030019 A KR 2009003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pace
space forming
forming memb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만
Original Assignee
변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기만 filed Critical 변기만
Priority to KR102007009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019A/ko
Publication of KR2009003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착되는 콧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가 개시된다.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형성부재를 통하여 안착되는 콧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밀착할 수 있고, 상기 콧등의 피부에 염증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안경테, 안경 코받침

Description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Nose pad for spectacles and spectacles fram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되는 콧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착용시에 양측의 다리가 귀에 걸리고, 양측 렌즈 사이의 안경테에 설치된 코받침이 콧등에 안착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코받침은 상기와 같은 안경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안경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받침은 안경 전체의 무게를 양측 다리와 함께 분담하면서 콧등에 안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콧등에 안경의 하중이 집중되게 된다. 안경 착용자에게는 안경착용으로 인한 안경의 무게 중압감으로 인하여 콧등에 신경이 집중하게 되어 이 부분이 상당히 민감해진다. 심할 경우에는 안경 착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나아가 스트레스까지 받게 된다.
또한, 안경의 무게에 의하여 콧등으로부터 안경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불편 함이 발생하며, 피부와의 마찰로 인하여 콧잔등이 빨갛게 달아오르게 되는 피부염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경 코받침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코받침(10)의 콧등에 대한 접촉면에는 쿠션판(2)이 부착되며, 상기 쿠션판(2)에는 돌출형의 에어포켓(3)(4)이 형성된다. 상기 코받침(10)은 돌출형으로 구성된 에어포켓(3)(4)에 의해 콧등에 부분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에어포켓(3)(4) 사이의 공간을 통해 통기기능이 부여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의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안경 코받침(10')은, 에어포켓(3)(4)이 갖추어진 쿠션판(2')의 중앙에 밀착판(6)이 설치됨으로써 콧등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양호하게 하고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안경 코받침(10)(10')은 여러가지 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다.
상기 안경 코받침(10)은 콧등으로부터 안경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에어포켓(3)(4)의 밀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경 코받침(10')에서의 밀착판(6)은 상기 에어포켓(3)(4)보다는 밀착력이 강하지만, 콧등으로부터 안경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밀착력을 가지기에는 미흡하다. 즉, 상기 밀착판(6)은, 코받침(10')이 안경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될 정도의 밀착력을 발생하기에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흘러내림을 방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미약하다.
또한, 상기 안경 코받침(10)(10')은 안착되는 콧등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통기기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안경 코받침(10)은 에어포켓(3)(4) 사이의 공간을 통해 통기기능을 부여하지만 콧등에 대한 에어포켓(3)(4)의 접촉면으로 인하여 우수한 통기기능을 갖추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상기 안경 코받침(10)(10')은 제조하기 어려운 한계점도 있다. 즉, 안경 코받침(10)(10')은 금형으로 제조하기에는 그 크기가 매우 작음으로써, 에어포켓(3)(4)을 구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안착되는 콧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밀착할 수 있고, 상기 콧등의 피부에 염증 등이 생기지 않도록 공간형성부재를 갖는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 외측과 공기유통이 가능하도록 공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과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끝단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간부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에 상기 공간부의 측벽보다 두껍도록 상기 공간부의 내측으로 보강되는 내측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선단에 상기 공간부의 측벽보다 두껍도록 상기 공간부의 측벽 측으로 보강되는 외측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보강부는 상기 곡면의 중심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유연성, 기체투과성 및 기름흡수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보다 경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중앙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환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부재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부재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에는 상기 끼 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과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환형부재는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로 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상기 안경 코받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형성부재를 통하여 안착되는 콧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밀착할 수 있고, 상기 콧등의 피부에 염증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부의 측벽이 상광하협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공간형성부재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공간형성부재가 콧등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중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부의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에 내측보강부가 형성되어 측벽이 공간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간형성부재의 선단에 외측보강부가 형성되어 공간형성부재의 선단 형상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안경 코받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100)은 체결부재(110), 연결부재(120) 및 공간형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10)는 안경테(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21)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그 중심에 횡방향으로 체결홀(111)이 형성되어, 지지대(21)의 선단에 장착된 체결하우징(22)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재(110)가 체결하우징(22)의 체결홈(22a)에 삽입되고, 체결핀(22c)이 체결하우징(2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22b)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10)는 연결부재(130)보다 경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체결부재(110)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체결부재(110)와 결합한다. 또한 연결부재(120)의 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연결부재(120)는 도면에 도시한 외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130)는 연결부재(120)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132)를 형성하며, 안착부(132) 사이에 공간부(1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안착부(132)는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공간형성부재(130)는 연결부재(120)의 외측으로부터 중앙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공간형성부재(130)의 안착부(132)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형성부재(130)가 형성한 곡면은 반원형 단면일 수 있다. 도면에는 공간형성부재(130)가 연결부재(120)의 끝단에 연결부재(120)의 외측으로부터 중앙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공간형성부재(130)가 형성한 곡면이 반원형 단면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착부(132)는 공간부(1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그 전체가 콧등에 접촉된다. 안착부(132)는 연결부재(120)의 외형과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의 안착부(132)는 콧등에 접촉될 때, 안경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분산시키며, 이의 제조과정도 용이하다. 또한, 안착부(132)의 외형도 도면에 도시한 외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130)의 선단이 접촉되는 콧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굴곡됨으로써, 접촉되는 콧등의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안착부(132)는 공간형성부재(130)의 선단이 굴곡됨으로써 콧등과 접촉되어 움직이는 경우에 콧등의 안착부위에 대해 부드럽게 슬라이딩한다.
또한, 공간형성부재(130)는 연결부재(120)의 타측면과 공간형성부재(130)의 끝단이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경 코받침(100)이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 안착부(132)는 공간부(131)가 콧등에 대해 압박을 하는 과정에서 콧등에 대해 밀착하면서 넓게 퍼지고 다시 줄어드는 탄성운동을 한다. 이때 공간형성부재(130)의 끝단이 연결부재(120)와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탄성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한편, 안경 코받침(100)이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에, 안경의 자중에 의하여 안착부(132)가 탄성운동을 함으로써 공간형성부재(130)는 연결부재(120)와 접촉하여 폐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경 코받침(100)에 또 다른 하중이 작용되면 폐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순간적으로 폐공간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해 공간형성부재(130)의 형상이 일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간형성부재(130)에는 공간형성부재(130)와 연결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외측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구멍(136)이 형성된다. 공기구멍(136)에 의하여 공간형성부재(130)와 연결부재(120)는 폐공간을 형성하지 못한다. 즉, 공간형성부재(130)와 연결부재(120)가 형성한 공간 내부에는 더 이상 진공이 형성되지 못하고, 이를 통하여 공간형성부재(130)가 일그러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에는 공기구멍이 두 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할 것이 아니다.
또한, 연결부재(120)와 공간형성부재(130)는 유연성, 기체투과성 및 기름흡수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의 재료로 제조되면,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안착되는 콧등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변형되어 콧등에 밀착되면서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20)와 공간형성부재(130)는 기체투과성의 성질을 지님으로써, 안착되는 콧등의 피부가 용이하게 호홉을 하도록 한다. 아울러, 연결부재(120)와 공간형성부재(130)는 기름흡수성이 뛰어남으로써, 콧등의 피부로부터 나오는 땀과 같은 인체의 기름을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재(120)와 공간형성부재(130)의 재료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재료도 채택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200)은 체결부재(210), 연결부재(220) 및 공간형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10), 연결부재(220) 및 공간형성부재(23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재(210)와 연결부재(220)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된 경우 결합부위에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체결부재(210)와 연결부재(220)가 별도로 형성된 안경 코받침(200)은 그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안경의 적정높이에서의 사용을 어렵게 하고, 제조과정도 어려운 한계점이 있는데, 이러한 한계점은 체 결부재(210)와 연결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300)은 체결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공간형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10)와 연결부재(320)는 상기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공간형성부재(330)는 연결부재(320)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332)를 형성하며, 안착부(332) 사이에 공간부(3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안착부(332)는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공간형성부재(330)는 연결부재(32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공간형성부재(330)의 안착부(332)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형성부재(330)가 형성한 곡면은 반원형 단면일 수 있다. 도면에는 공간형성부재(330)가 연결부재(32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공간형성부재(330)는 공간부(3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그 전체가 콧등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332)를 구비한다. 안착부(332)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의 안착부(332)는 콧등에 접촉될 때, 안경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분산시키며, 이의 제조과정도 용이하다. 또한, 안착부(332)의 외형은 도면에 도시한 외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 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330)는 연결부재(320)의 타측면과 공간형성부재(330)의 끝단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형성부재(330)에는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에 외측과 공기유통이 가능하도록 공기구멍(336)이 형성된다. 안경 코받침(300)이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에, 안경의 자중에 의하여 안착부(332)가 탄성운동을 함으로써 공간형성부재(330)는 연결부재(320)와 접촉하여 폐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경 코받침(300)에 또 다른 하중이 작용되면 폐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순간적으로 폐공간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켜 공간형성부재(330)의 형상이 일그러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간형성부재(330)에 형성된 공기구멍(136)을 통하여 외측의 공기가 공간형성부재(330)와 연결부재(320)가 형성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간형성부재(330)와 연결부재(320)가 폐공간을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그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지 못한다. 이를 통하여 공간형성부재(330)가 일그러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400)은 체결부재(410), 연결부재(420) 및 공간부(431)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공간형성부재(430)를 포함하는데, 공간부(431)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에 공간부(431)의 측벽(435)보다 두껍도록 공간부(431)의 내측으로 보강되는 내측보강부(433)가 형성된다.
체결부재(410), 연결부재(420) 및 공간형성부재(430)는 상기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간형성부재(430)에 형성된 내측보강부(433)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측보강부(433)는 안경 코받침(400)의 측벽이 공간부(431) 외측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즉, 안경 코받침(400)이 콧등에 안착된 후에, 측벽(435)이 공간부(431) 외측으로 뒤집어져서 공간부(431)의 바닥이 콧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내측보강부(433)는 연결부재(42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500)은 체결부재(510), 연결부재(520) 및 공간부(531)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공간형성부재(530)를 포함하는데, 공간형성부재(530)에는 공간형성부재(530)의 선단에 공간부(531)의 측벽보다 두껍도록 공간부(531)의 측벽 측으로 보강되는 외측보강부(534)가 형성된다.
체결부재(510), 연결부재(520) 및 공간형성부재(530)는 상기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간형성부재(530)에 형성된 외측보강부(534)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외측보강부(534)는 공간형성부재(530)의 선단 형상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외측보강부(534)는 안착부(532)가 콧등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탄성적 변형이 가능하도록 곡면의 중심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외측보강부(534)는 공간형성부재(530)의 선단에서 공간부(531) 측으로 두께를 갖되 안착부(532)의 중심 외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 8 및 도 9에는 내측보강부와 외측보강부가 별도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보강부와 외측보강부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600)은 체결부재(610), 연결부재(620) 및 공간형성부(630)을 포함한다.
체결부재(610), 연결부재(620) 및 공간형성부재(630)는 도 7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610)와 연결부재(6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부재(610)와 연결부재(620)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된 경우 결합부위에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체결부재(610)와 연결부재(6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재(610)와 연결부재(620)가 별도로 형성된 안경 코받침(600)은 그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안경의 적정높이에서의 사용을 어렵게 하고, 제조과정도 어려운 한계점이 있는데, 이러한 한계점 또한 해결될 수 있 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700)은 체결부재(710), 연결부재(720) 및 공간부(731)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공간형성부재(630)를 포함하는데, 공간부(731)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에 공간부(731)의 측벽(735)보다 두껍도록 공간부(731)의 내측으로 보강되는 내측보강부(733)가 형성된다.
체결부재(710)와 연결부재(720)는 도 10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리고 공간형성부재(730)는 도 7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간형성부재(730)에 형성된 내측보강부(733)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측보강부(733)는 안경 코받침(700)의 측벽이 공간부(731) 외측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즉, 안경 코받침(700)이 콧등에 안착된 후에, 측벽(735)이 공간부(731) 외측으로 뒤집어져서 공간부(731)의 바닥이 콧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내측보강부(733)는 연결부재(72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800)은 체결부재(810), 연결부재(820) 및 공간부(831)가 마련되도록 공간형성부재(830)를 포함하는데, 공간형성부재(830)에는 공간형성부재(830)의 선단에 공간부(831)의 측벽(835)보다 두껍도록 공간부(831)의 측벽 측으로 보강되는 외측보강부(834)가 형성된다.
체결부재(810)와 연결부재(820)는 도 9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리고 공간형성부재(830)는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간형성부재(830)에 형성된 외측보강부(824)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외측보강부(834)는 공간형성부재(830)의 선단 형상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외측보강부(834)는 안착부(832)가 콧등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탄성적 변형이 가능하도록 곡면의 중심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외측보강부(834)는 공간형성부재(830)의 선단에서 공간부(831) 측으로 두께를 갖되 안착부(832)의 중심 외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900)은 체결부재(910), 끼움홈(921)이 형성된 연결부재(920) 및 환형부재(9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910)와 연결부재(92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 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환형부재(930)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재(920)에 결합된다. 이 때, 환형부재(930)는 중앙에 공간부(931)를 형성한다. 환형부재(930)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부재(930)의 일측면에는 연결부재(920)의 끼움홈(921)에 억지 끼움되는 돌출부(937)가 형성된다. 돌출부(937)가 끼움홈(921)에 끼워짐으로써 환형부재(930)와 연결부재(920)가 결합된다.
도면에는 연결부재(920)와 환형부재(930)가 끼움홈(921)과 돌출부(937)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연결부재(920)와 환형부재(930)는 접착력 있는 물질을 통해 상호 접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환형부재(930)는 연질의 재료, 예를 들면 발포 스폰지, 거품 스폰지, 투명 스폰지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910)와 연결부재(920)는 일체로 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안경 코받침(1000, 1100)은 체결부재(1010, 1110), 끼움홈(1021, 1121)이 형성된 연결부재(1020, 1120) 및 돌출부(1037, 1137)가 형성된 환형부재(1030, 11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010, 1110), 연결부재(1020, 1120) 및 환형부재(1030, 1130)에 대한 이하에서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에 해당함으로 그에 갈음한다.
환형부재(1030, 1130)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 코받침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안경테
100 : 안경 코받침 110: 체결부재
120 : 연결부재 130 : 공간형성부재
131 : 공간부 132 : 안착부
136 : 공기구멍 333, 633 : 내측보강부
434, 734 : 외측보강부

Claims (23)

  1. 안경테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코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만곡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콧등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상기 연 결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과 공기유통이 가능하도록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코받침.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과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끝단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간부 내부 바닥의 가장자리에 상기 공간부의 측벽보다 두껍도록 상기 공간부의 내측으로 보강되는 내측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선단에 상기 공간부의 측벽보다 두껍도록 상기 공간부의 측벽 측으로 보강되는 외측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부는 상기 곡면의 중심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3.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유연성, 기체투과성 및 기름흡수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보다 경질의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6. 안경테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중앙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환형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코받침.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재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재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19.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과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20.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환형부재는 접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21.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22.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23.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코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KR1020070095298A 2007-09-19 2007-09-19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KR20090030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98A KR20090030019A (ko) 2007-09-19 2007-09-19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98A KR20090030019A (ko) 2007-09-19 2007-09-19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019A true KR20090030019A (ko) 2009-03-24

Family

ID=4069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298A KR20090030019A (ko) 2007-09-19 2007-09-19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0Y1 (ko) * 2013-02-18 2013-08-14 이광준 교체가 용이한 안경 코받침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0Y1 (ko) * 2013-02-18 2013-08-14 이광준 교체가 용이한 안경 코받침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618B2 (en) Nose pad
MXPA06012998A (es) Acoplamiento de barra frontal a lentes flotantes para anteojos.
US20140078460A1 (en) Eyeglasses and clipping device therefor
US10206819B2 (en) Swimming goggle cushion pad
US20180143450A1 (en) Nose pad and eyeglasses provided with the pad
US20090021691A1 (en) Eyeglasses with an adjustable nose-pad unit
JPH0933865A (ja) 磁石付眼鏡フレーム
KR101833304B1 (ko) 안경의 코받침
US6516474B2 (en) Swimming goggles with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ider application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KR20090030019A (ko)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TW201002299A (en) Eye mask
JP2019510278A (ja) テンプルバー及びテンプルバーを製造する方法
WO2018096989A1 (ja) 眼鏡の耳あて部及びこの耳あて部を備えた眼鏡
CN210835472U (zh) 一种具有更换鼻托功能的眼镜
KR102512220B1 (ko) 고글
JP4804736B2 (ja) ノーズパッド
CN113093404A (zh) 一种镜腿结构及眼镜
KR20080004331A (ko)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JP2016080992A (ja) 鼻パッド無し眼鏡
WO2008004824A1 (en) Nose pad for spectacles and spectacles frame including the same
KR20130049641A (ko) 안경용 보조패드
KR102597293B1 (ko) 무게분산 안경테
US5389980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JP2005128066A (ja) ノーズ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